KR200431759Y1 - 종이 앵글 - Google Patents

종이 앵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759Y1
KR200431759Y1 KR2020060024806U KR20060024806U KR200431759Y1 KR 200431759 Y1 KR200431759 Y1 KR 200431759Y1 KR 2020060024806 U KR2020060024806 U KR 2020060024806U KR 20060024806 U KR20060024806 U KR 20060024806U KR 200431759 Y1 KR200431759 Y1 KR 200431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angle
paper
present
concave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김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2020060024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7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7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 B65D5/445Reinforc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4Applications of resilient shock-absorbing materials, e.g. foamed plastics material, honeycomb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 앵글에 길이 방향으로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원재료를 절감하여 제품 코스트 및 제품 공수를 줄임과 동시에 뛰어난 제품 외관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종이 앵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ㄱ' 자 형상의 종이 앵글에 있어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로부터 연장된 오목부가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중강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제품코스트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종이 앵글, 요철, 오목, 볼록, 만곡

Description

종이 앵글{A Paper Angle}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종이 앵글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A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종이 앵글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B-B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종이 앵글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B'-B'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에 의한 종이 앵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b는, 도 3a에 의한 종이 앵글의 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종이 앵글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C-C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종이 앵글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C'-C'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6a에 의한 종이 앵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b는, 도 6a에 의한 종이 앵글의 다른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200', 500, 500' ; 본 고안에 의한 종이 앵글
P1 ; 전자제품 P2 ; 종이상자
본 고안은 종이 앵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이 앵글에 길이 방향으로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원재료를 절감하여 제품 코스트 및 제품 공수를 줄임과 동시에 뛰어난 제품 외관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종이 앵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포장용 앵글로서는 종이로 만든 '종이 앵글'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이 앵글은 판상의 종이로 만들어 져서, 예컨대 종이 상자의 모서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로 사용하거나, 전자제품이나 가구 등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한 모서리 보호용 포장재, 또는 알루미늄샤시나 펄재 도어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한 모서리 보호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a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종이 앵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종이 앵글은 단순히 판상의 종이를 'ㄱ'자 형상으로 하여서 사용하고 있고, 일정 하중에도 견뎌야 하기 때문에 그 두께(T)가 매우 두꺼운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종이 앵글은 하중에 견디기 위하여 두께(T) 를 두껍게 하기 때문에 하나의 종이 앵글을 제조하는 데 많은 양의 판상의 종이를 붙여 사용하여야 하고, 그 결과 원재료인 종이가 많이 소비되고, 또한 하나의 종이 앵글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더욱 더 많은 수의 판상의 종이를 적층하여서 접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공수와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종이 앵글의 목적은, 길이 방향의 요철인 볼록부와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원재료인 종이를 종래 기술에 의한 종이 앵글에 비해서 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한 종이 앵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인 종이 앵글의 다른 목적은, 적층되는 종이의 두께 자체를 종래 기술에 비하여 작게 구현함으로써 적은 수의 판상의 종이가 사용되게 되고, 그 결과 작업 공수와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종이 앵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인 종이 앵글의 또 다른 목적은, 볼록부와 오목부를 만곡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종이 앵글 자체의 제작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종이 앵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인 종이 앵글의 또 다른 목적은, 볼록부와 오목부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뛰어난 제품 외관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종이 앵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종이 앵글은, 'ㄱ' 자 형상의 종이 앵글에 있어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로부터 연장된 오목부가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본 고안인 종이 앵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종이 앵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도 2a의 B-B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종이 앵글(200)은 길이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직각 볼록부'(210)와 상기 직각 볼록부(210)에서 그대로 연장되어서 바깥쪽으로 오목하게(따라서 안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직각 오목부(220)가 연속적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각 볼록부(210)와 직각 오목부(220)의 모서리는 직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a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종이 앵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도 3a의 B'-B'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종이 앵글(200')은 각각 연속적 반복적으로 형성된 '직각 볼록부'(210')와 직각 오목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직각 볼록부(210')와 직각 오목부(220')는 각 모서리(230')가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직각 볼록부(210')와 직각 오목부(220')의 모서 리(230')를 만곡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더욱 더 용이하게 종이 앵글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5a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종이 앵글(5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도 5a의 C-C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종이 앵글(500)은 길이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만곡 볼록부'(510)와 상기 만곡 볼록부(510)에서 그대로 연장되어서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되 평면으로 형성된 '평면 오목부'(520)가 연속적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a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종이 앵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b에는 도 6a의 C'-C'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종이 앵글(500')은, 상기 '만곡 볼록부'(510')와 '평면 오목부'(520')로 구성되며, 상기만곡 볼록부(510')와 평면 오목부(520')의 경계는 만곡 형상의 만곡부(530')로 구성된다.
상기 만곡 볼록불(510')와 평면 오목부(520')의 경계를 만곡부(530')로 구현함으로써 종이 앵글(500')의 제작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인 종이 앵글의 작용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4a에는 도 3a에 의한 종이 앵글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도 3a에 의한 종이 앵글의 다른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a에는 도 6a 에 의한 종이 앵글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b에는 도 6a에 의한 종이 앵글의 다른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4a, 도 4b, 도 7a, 도 7b에서 도면 부호 P1은 전자제품이고 P2는 종이상자이다.
본 고안에 의한 종이 앵글의 두께(t)(즉, 볼록부(210, 210', 510, 510')의 두께와 오목부(220, 220', 520, 520')의 두께를 합한 두께)와 종래 기술에 의한 종이 앵글(T)의 두께와 점유하는 공간은 같지만, 그 실질적 두께 즉, 판상의 종이가 실제 적층되는 두께는 본 고안의 경우는 t'임에 비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종이 앵글의 두께는 T이므로, 본 고안에 의한 종이 앵글의 두께는 종래의 그것의 1/2밖에 되지 않는다.
그 결과, 판상의 종이를 적층하는 종이의 숫자도 반으로 줄어서 원재료비가 반으로 줄고, 그 결과 작업 공수 자체도 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종이 앵글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구조 자체가 대칭에유사하게 쌍대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용하는는 하중이 볼록부(210, 210', 510, 510')와 오목부(220, 220', 520, 520')로 분산되므로 적어도 종래 기술에 의한 종이 앵글보다도 하중 내력이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 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볼록부와 오목부의 형상을 직각 볼록부(210, 210')와 만곡 볼록부(510, 510') 및 직각 오목부(220, 220')와 평면 오목부(520, 520')로 구현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며, 볼록 형상과 오목 형상이 반복적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종이 앵글이라면 본원 고안의 기술적 요지에 속함은 물론이다.
상기의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가지는 본 고안인 종이 앵글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인 볼록부(210, 210', 510, 510')와 오목부(220, 220', 520, 520')를 형성함으로써 원재료인 종이를 종래 기술에 의한 종이 앵글에 비해서 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종이 앵글의 두께(t') 자체를 종래 기술의 그것(T)에 비하여 작게 구현 가능함으로써 적은 수의 판상의 종이로 구현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작업 공수와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볼록부와 오목부를 만곡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종이 앵글 자체의 제작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볼록부와 오목부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뛰어난 제품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ㄱ' 자 형상의 종이 앵글에 있어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로부터 연장된 오목부가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앵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는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직각 볼록부'와 '직각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앵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직각 볼록부와 직각 오목부의 모서리는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앵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 볼록부'이고, 상기 오목부는 평면 형상인 '평면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앵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만곡 볼록부'와 '평면 오목부'의 경계는 만곡 형상의 만곡부로 형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앵글.
KR2020060024806U 2006-09-14 2006-09-14 종이 앵글 KR200431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806U KR200431759Y1 (ko) 2006-09-14 2006-09-14 종이 앵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806U KR200431759Y1 (ko) 2006-09-14 2006-09-14 종이 앵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759Y1 true KR200431759Y1 (ko) 2006-11-24

Family

ID=41780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806U KR200431759Y1 (ko) 2006-09-14 2006-09-14 종이 앵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7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60677A (en) Reinforced corrugated sheet
US2699599A (en) Structural sheet
USD933231S1 (en) Controller
WO2007027836A3 (en) Octagonal bulk bin with self-locking webbed bottom flaps
USD562468S1 (en) Bonded panel having interlocking sides
USD834952S1 (en) Diagonal lid panel for an egg carton
JP2001516005A5 (ko)
US20180354677A1 (en) Reinforced container
EP1849592A1 (en) Plastic honeycomb composite board with curved surface
KR200431759Y1 (ko) 종이 앵글
JP3438141B2 (ja) 包装用緩衝材
DE602004022940D1 (en) Ussboden
ES2214279T3 (es) Metodo para doblar un laminado de embalaje, laminado de embalaje y embalaje.
CN201406063Y (zh) 包装箱
CN204399651U (zh) 一种框架纸
JP4324945B2 (ja) 板状部材の縁部保護材
JP2001105408A (ja) 竹の集成材体並びに竹の集成材体を使用した積層材
CN216070902U (zh) 一种高强度缓冲内衬纸卡及包装盒
JP3233622U (ja) 箱用シート
JP2014200579A (ja) 段ボール製棺
JPH0442545U (ko)
JP3235530U (ja) 箱用シート
JP3165551U (ja) 建築板
JP3198613U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JPH0872937A (ja) 包装用緩衝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