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437Y1 -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 Google Patents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437Y1
KR200431437Y1 KR2020060023116U KR20060023116U KR200431437Y1 KR 200431437 Y1 KR200431437 Y1 KR 200431437Y1 KR 2020060023116 U KR2020060023116 U KR 2020060023116U KR 20060023116 U KR20060023116 U KR 20060023116U KR 200431437 Y1 KR200431437 Y1 KR 200431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compensation device
main body
doo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일
Original Assignee
(주)아이알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알큐브 filed Critical (주)아이알큐브
Priority to KR2020060023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4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록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하는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조절홈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조절홈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조임력을 제공하는 조절 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 볼트가 결합되는 고정판이 형성된 유격 보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록의 본체부의 내부에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하여 도어록의 본체부가 유격 보상 장치의 조임력에 의해 도어에 완전하게 밀착되어 도어와 도어록의 본체부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할 수 있느 효과가 있다.
도어록, 디지털 도어록, 유격, 유격 보상 장치

Description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Door Locking Apparatus with Clearance Compensating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록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록이 도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의 결합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 부 확대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B" 부 확대 단면도,
도 4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C" 부 확대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이 유격을 보상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이 유격을 보상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장치를 구비한 도 어록을 나타낸 도면,
도 7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이 유격을 보상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7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이 유격을 보상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도어록 302: 도어
304: 고정 볼트 310: 본체부
320: 외측 본체부 322: 내면 격벽
324: 외측 삽입공 330: 내측 본체부
334: 내측 삽입공 340: 조절홈
350: 탄성체 360: 유격 보상 장치
370: 고정 부재 372: 볼트공
380: 고정판 382: 결합공
384: 지지 부재 390: 조절 볼트
642: 상부 조절홈 644: 하부 조절홈
662: 상측 고정판 664: 하측 고정판
본 고안은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록의 본체부의 내부에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하여 도어록의 본체부가 유격 보상 장치의 조임력에 의해 도어에 완전하게 밀착되어 도어와 도어록의 본체부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한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금 장치의 일종인 도어록(Door Lock)은 일반 주택 또는 아파트나 기업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어록에는 래치 볼트(Latch Bolt) 또는 트리거 볼트(Trigger Bolt)와 데드 볼트(Dead Bolt)를 가지는 잠금 장치가 적용되며, 래치 볼트와 데드 볼트는 잠금 장치의 측면에서 출몰되는 구조로 장착되어 도어의 핸들과 회전 노브에 의해 조작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록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록이 도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록(100)은 도어(102)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본체(110)와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본체(120)로 이루어진 본체부(130), 도어(102)에 내장되며 데드 볼트(142)와 래치 볼트(144)를 가지는 잠금 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측 본체(110)는 상부에 슬라이딩 되는 커버(112)가 구비되며 커버(112)의 내부에는 비밀 번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해정하는 버튼부(114)와, 수동으로 안전키(미도시)를 삽입하여 도어(102)를 괘정 및 해정하는 키 실린더(116)가 구비된다. 또한, 외측 본체(112)의 하부에는 외측 핸들(118)이 구비된다.
내측 본체(120)는 내부에 버튼부(114)를 콘트롤하는 콘트롤러(122)와, 콘트롤러(12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모터(124) 및 구동 모터(124)의 동력을 전달받아 잠금 장치(140)의 데드 볼트(142)를 구동시키는 구동축(126)이 내장된다. 또한, 내측 본체(122)의 하부에는 외측 핸들(118)에 연결되는 내측 핸들(128)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록(100)은 도어(102)의 외측에서 버튼부(114)를 조작하거나 키 실린더(116)에 안전키를 삽입하면 내측 본체(120)의 콘트롤러(122)는 입력된 버튼부(114)의 비밀 번호 또는 키 실린더(116)에 삽입된 안전키가 전송하는 신호가 인증된 신호인지를 판단한 뒤, 인증된 신호이면 구동 모터(124)를 작동시키고 구동 모터(124)가 작동되면서 발생하는 구동력이 구동축(126)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 운동을 하는 구동축(126)에 의해 데드 볼트(142)를 도어(102)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잠김 상태를 유지하는 도어(102)를 해정시킨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해 구성되는 도어록(100)은 외측 본체(110)와 내측 본체(120)를 도어(102)에 설치하기 위해서 본체부(130)의 상측 및 하측이 고정 볼트(202)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도어(102)에 도어록(100)을 설치할 때, 또는 설치 후 시간이 지나면서 도어(102)와 도어록(100) 사이에는 도어(102)가 내측으로 함몰되면서 만곡부(204)가 발생하여 도어(102)와 도어록(100)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어록(100)과 도어(102) 사이에 발생된 유격에 의해 도어록(100)의 고정 상태가 헐겁게 되어 도어록(100)의 설치 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록의 본체부의 내부에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하여 도어록의 본체부가 유격 보상 장치의 조임력에 의해 도어에 완전하게 밀착되어 도어와 도어록의 본체부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와 도어록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하는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상기 도어에 고정 볼트를 통해 결합되며 내측으로 함몰되는 조절홈이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이 구비되고 상기 조절홈에 체결되는 조절 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 볼트가 결합되는 고정판이 형성된 유격 보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4a, 도 4b, 도 4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A", "B", "C" 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300)은 일면에 조절홈(340)이 형성된 본체부(310), 본체부(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도어(302)와 도어록(300) 사이의 유격을 보상하는 유격 보상 장치(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310)는 도어(302)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측 본체(320)와 도어(302)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측 본체(330)로 구성된다.
외측 본체(320)는 외면에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후술할 유격 보상 장치(360)와 연결되는 조절홈(3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외측 본체(320)의 외면이라 함은 도어(302)에 밀착되는 외측 본체(320)의 반대편 면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본체(320)의 하부에는 유격 보상 장치(360)에 체결되는 고정 볼트(304)가 외측 본체(320)에 삽입되어 외측 본체(320)의 내면 격벽(322)에 밀착되게 고정되도록 외측 삽입공(324)이 형성된다. 여기서, 외측 본체(320)의 내면이라 함은 도어(302)에 밀착되는 면을 말한다.
내측 본체(330)는 외측 일면에 외측 본체(320)에 형성된 조절홈(340)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조절홈(340)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 본체(330)의 내면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삽입공(324)의 중심과 동일 중심을 가지는 내측 삽입공(334)이 형성되어 내측 본 체(330)에 구비되는 유격 보상 장치(360)가 내측 본체(330)의 내면 격벽(322)에 밀착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내측 본체(330)의 내면이라 함은 도어(302)에 밀착되는 면을 말한다.
또한, 외측 본체(320) 및 내측 본체(330)에 형성되는 조절홈(340)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중앙에 후술할 유격 보상 장치(360)의 조절 볼트(390)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가공된 나사부(342)가 구비된다.
한편, 도어(302)에 밀착되는 본체부(310)의 내면 각 모서리에는 도어(302)의 괘정 또는 해정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체(350)가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체(350)는 본체부(310)에 삽입되거나 부착 수단(미도시)을 통해서 부착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탄성체(350)는 소정의 탄성력이 제공되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본 고안에서는 고무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유격 보상 장치(360)는 도어(302)와 도어록(30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하기 위해 본체부(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본체부(310)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370), 고정 부재(37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판(380) 및 고정판(380)에 결합되며 본체부(310)에 조임력을 제공하는 조절 볼트(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부재(370)은 본체부(310)의 내부에 구비되되 본체부(310)의 외면 격벽과는 이격되게 구비되며, 본체부(310)의 내면 격벽(322)에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본체부(310)의 외관의 형상에 취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체부(310)의 형상이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고정 부재(370)의 형상 또한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본체부(310)에 고정 부재(370)이 최대한 밀착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 부재(370)의 일측에는 볼트공(372)이 형성되며, 볼트공(372)은 본체부(310)의 내면 격벽(322)에 고정 부재(370)을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 볼트(304)가 체결되는 구멍으로서, 내주면을 따라 고정 볼트(304)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 부재(370)이 본체부(3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고정 볼트(304)가 볼트공(372)에 삽입되거나 관통되도록 하여 고정 볼트(304)가 도어(302)에 체결되어도 유격 보상 장치(360)는 본체부(310)의 내면 격벽(322)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나사산은 선택적으로 볼트공(372)에 가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370)에 형성된 볼트공(372)은 도어(302)에 본체부(310)를 설치할 때 고정 볼트(304)가 볼트공(372)을 관통하거나 볼트공(372)에 체결되도록 외측 본체(320)의 외측 삽입공(324) 및 내측 본체(330)의 내측 삽입공(334)의 중심과 동일 중심을 가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고정판(380)은 고정 부재(37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고정판(380)은 본체부(310)의 외면과 내면 중 내면측에 가깝게 형성되되 본체부(310)의 내면에 이격되게 형성되며, 고정판(380)의 끝단에는 조절 볼트(390)가 체결 및 관통되는 결합공(382)이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판(380)은 조절홈(340)에 체결된 조절 볼트(390)의 조임력을 견 딜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한편, 고정판(380)의 일측면에는 고정판(380)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 부재(384)가 구비된다. 지지 부재(384)는 일면이 고정판(380)에 형성되며 하단이 고정 부재(370)에 결합되어 조절 볼트(390)의 과도한 조임력으로 인해서 고정판(380)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소정의 각도로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조절 볼트(390)는 본체부(310)의 조절홈(340)에 관통되도록 체결되며 고정판(380)의 결합공(382)에 결합되어 조절 볼트(390)의 조임력에 의해 본체부(310)가 휘어지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이 유격을 보상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이 유격을 보상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장치를 구비한 도어록(300)은 도어(302)와 도어록(30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하기 위해 본체부(310)의 조절홈(340)에 체결되어 있는 조절 볼트(390)를 조절홈(340)의 나사부(342)를 가압할 때까지 조이면 조절 볼트(390)의 조임력에 의해 본체부(310)의 내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어(302)와 도어록(30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어(302)와 도어록(30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은 도어(302)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502)가 형성되되 도어(302)의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된다. 즉, 본체부(310)의 조절홈(340)을 중심으로 본체부(310)의 상부(514)보다 본체부(310)의 하부(516)에 형성되는 유격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절 볼트(390)를 조이면 조절 볼트(390)에 가해지는 힘이 비례하여 도 5b의 점선으로 표시된 최초 위치에 비하여 본체부(310)의 상부(514)보다 하부(516)가 도어(302)측으로 더욱 많이 이동하여 도어와 도어록 사이에 경사지게 유격 즉, 경사부(502)에 완전하게 밀착된다. 결국, 도어록(300)의 본체부(310)가 도어(302)에 형성되는 경사부(502)에 완전 밀착됨에 따라 도어(302)와 도어록(30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조절 볼트(390)의 조임력에 따라 본체부(310)의 내면을 도어(302)측으로 이동시켜 결국, 도어(302)의 경사부(502)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502)가 본체부(310)에도 형성됨으로써, 유격이 발생된 도어(302)에 본체부(310)가 밀착되어 도어(302)와 도어록(300) 사이에 유격을 보상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310)의 외측 본체(320) 및 내측 본체(330)에 형성되는 조절홈(340)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섬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체부(310)의 상부 및 하부, 또는 본체부(310)의 상부, 중앙부, 하부 등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도어(302)와 도어록(30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의 정도에 따라 본체부(310)에 형성된 조절홈(340)에 선택적으로 조임력을 전달하여 도어(302)와 도어 록(30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은 일면에 조절홈(640)이 형성된 본체부(610), 본체부(6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측 및 하측에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는 상측 고정판(662) 및 하측 고정판(664)으로 이루어진 고정판(380)이 구비된 유격 보상 장치(6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610)는 도어(302)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측 본체(620)와 도어(302)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측 본체(630)로 구성된다.
외측 본체(620)는 외면에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고정판(380)에 연결되는 조절홈(640)이 형성된다.
내측 본체(630)는 외측 일면에 외측 본체(620)에 형성된 조절홈(640)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조절홈(640)이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내측 본체(630)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판(380)과 연결된다.
조절홈(640)은 본체부(610)의 외측 본체(620) 및 내측 본체(630)에 각각 형성되되 본체부(6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조절홈(642) 및 본체부(6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조절홈(6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조절홈(642)은 본체부(6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조절 볼트(390)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가공된 나사부(342)가 형성되며 유격 보상 장치(660)의 상측 고정판(662)과 조절 볼트(390)를 통해서 연결된다.
하부 조절홈(644)은 본체부(610)의 하부에 형성되되 유격 보상 장치(660)의 하측에 형성된 하측 고정판(664)과 조절 볼트(390)를 통해서 결합된다. 또한, 하부 조절홈(644)은 상부 조절홈(642)과 마찬가지로 조절 볼트(390)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가공된 나사부(34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측 고정판(662) 및 하측 고정판(664)은 유격 보상 장치(660)의 고정 부재(370)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며, 끝단에는 조절 볼트(390)가 체결 및 관통되는 결합공(382)이 형성된다.
즉, 상부 조절홈(642)은 유격 보상 장치(660)의 상부에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상측 고정판(662)과 조절 볼트(390)를 통해서 결합되고, 하부 조절홈(644)은 유격 보상 장치(660)의 하부에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하측 고정판(664)과 조절 볼트(390)를 통해서 결합되어 본체부(610)의 상부 또는 하부의 조임력을 각각 조절함으로써, 도어(302)와 도어록(60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의 정도에 따라 상부 및 하부로 구분지어 조절하거나 상부 및 하부를 함께 조절하여 도어(302)와 도어록(60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하는 것이다.
도 7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이 유격을 보상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고, 도 7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이 유격을 보상한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격 보상장치를 구비한 도어록(600)은 도어(302)와 도어록(60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하기 위해 본체부(610)의 조절홈(640)에 체결되어 있는 조절 볼트(390)를 조이면 조절 볼트(390)의 조임력에 의해 본체부(610)가 내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어(302)와 도어록(600)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하부 조절홈(644)보다 작은 유격을 가지는 본체부(610)의 상부측은 상부 조절홈(642)에 체결된 조절 볼트(390)를 조여 상측에 발생한 유격을 보상할 수 있으며, 본체부(610)의 상부 조절홈(642)보다 큰 유격을 가지는 하부 조절홈(644)은 상부 조절홈(642)에 체결된 조절 볼트(390)의 조임력보다 큰 조임력을 가함으로써, 하측에 발생한 유격을 보상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록의 본체부의 내부에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하여 도어록의 본체부가 유격 보상 장치의 조임력에 의해 도어에 완전하게 밀착되어 도어와 도어록의 본체부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할 수 있느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도어와 도어록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하는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은
    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조절홈이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고정 부재와, 상기 조절홈에 체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조임력을 제공하는 조절 볼트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 볼트가 결합되는 고정판이 형성된 유격 보상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조절 볼트의 조임력에 의해서 상기 도어에 경사지게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되 돌출되게 형성되며 끝단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유격 보상 장치의 상측에 형성되되 끝단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상측 고정판; 및
    상기 유격 보상 장치의 하측에 형성되되 끝단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상측 고정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일면에는 지지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에는 상기 고정 볼트에 고정되도록 볼트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은 상기 본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홈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에 연결되는 상부 조절홈;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유격 보상 장치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판에 연결되는 하부 조절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는 탄성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거나 부착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KR2020060023116U 2006-08-29 2006-08-29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KR200431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116U KR200431437Y1 (ko) 2006-08-29 2006-08-29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116U KR200431437Y1 (ko) 2006-08-29 2006-08-29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437Y1 true KR200431437Y1 (ko) 2006-11-23

Family

ID=41779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116U KR200431437Y1 (ko) 2006-08-29 2006-08-29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4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69Y1 (ko) 2008-04-07 2009-10-22 (주)에버넷 회전부재가 구비된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래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69Y1 (ko) 2008-04-07 2009-10-22 (주)에버넷 회전부재가 구비된 유리문용 디지털 도어록의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4487A (en) Impact resistant security door auxiliary latch mechanism
US20070138821A1 (en) Seat fixing device
US20100031577A1 (en) Device with a carriage for holding panels, carriage, rail and separation element
EP3570396B1 (en) Adjustable ring assembly for electrical installation box
US20140117681A1 (en) Security Door Lock Device
US20100178183A1 (en) Pump mounting
KR200431437Y1 (ko)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도어록
US11591834B2 (en) Sash lock capable of bi-directional engagement
KR200492147Y1 (ko) 도어락의 핸들 조립구조체
US20040089038A1 (en) Bar lock for double sliding door
US3496594A (en) Adjustable coupler for door closer
JP5047819B2 (ja) 電気錠取付構造
US10683678B2 (en) Door with door fitting
EP2184928B1 (en) Speaker mounting device and speaker
JP3491785B2 (ja) 引戸錠用のストライカー
KR200421490Y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KR200435374Y1 (ko) 도어록 장치
KR101979144B1 (ko) 열림 방지 구조의 디지털 도어 록
JP4443427B2 (ja) 施錠装置
US20220131348A1 (en) Switch cabinet with a frame and a sidewall element mounted thereon
JPH0248602Y2 (ko)
KR101807736B1 (ko) 시공 구조를 개선한 보조 도어 락 장치
KR101371503B1 (ko) 도어락의 손잡이 축 연결구조체
KR100737824B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WO2021049017A1 (ja) 引き戸の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