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134Y1 - 삼지 벙어리장갑 - Google Patents

삼지 벙어리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134Y1
KR200431134Y1 KR2020060021569U KR20060021569U KR200431134Y1 KR 200431134 Y1 KR200431134 Y1 KR 200431134Y1 KR 2020060021569 U KR2020060021569 U KR 2020060021569U KR 20060021569 U KR20060021569 U KR 20060021569U KR 200431134 Y1 KR200431134 Y1 KR 200431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gloves
fingers
thumb
mitt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권수
Original Assignee
신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권수 filed Critical 신권수
Priority to KR2020060021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1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1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Gloves with undivided covering for all four fingers, i.e. mitte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가락 놀림의 유연성과 보온성, 통풍성을 고루 갖춘 장갑의 제작에 관한 것으로 기존 손가락장갑이 가지고 있는 손가락 놀림의 유연성을 최대한 유지하고 벙어리장갑이 가지고 있는 우수한 보온 및 통풍의 원활함을 복합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장갑을 제작 하는 것이다. 기존의 벙어리장갑이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이 한 개의 벙어리에 들어가도록 제작되는 것을 검지와 중지가 한데 들어가게 하는 벙어리와 약지와 계지가 한데 들어가게 하는 벙어리를 따로 만들어 손가락이 세 부분으로 나누어 들어가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하며 이로 인하여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에 적절한 보온을 유지하고 손가락의 활동을 자유롭게 하며 손가락 사의의 통풍을 원활하게 한다.
손가락장갑(Gloves), 벙어리장갑(Mittens), 벙어리, 면장갑, 예식장갑, 반장갑, 코팅장갑, 방수장갑

Description

삼지 벙어리장갑 {Three finger mittens}
제1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이다.
본 고안은 검지와 중지가 한데 들어가게 하는 벙어리와 약지와 계지가 한데 들어가게 하는 벙어리를 따로 만들어 손가락이 세 부분으로 나누어 들어가도록 하는 장갑을 제작하는 것이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장갑은 다섯 손가락을 각기 따로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장갑과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한곳에 끼울 수 있도록 하는 벙어리장갑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손가락장갑은 다섯 손가락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므로 거의 모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방한효과가 적은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벙어리장갑은 방한효과가 크기 때문에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한의 목적이 우선인 곳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손가락장갑이 가지고 있는 다른 하나의 단점은 손가락 부위에 통풍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점으로 방수장갑의 경우에는 특히 심하다. 손가락 움직임의 유연성이나 섬세함 또는 손가락 사이의 자유로운 통풍을 요하는 분야에서는 손가락 부위의 일부 또는 전체 부분이 없는 반장갑을 사용하기도 한다.
장갑을 사용하는 목적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손을 보호하는 것이다. 외부의 냉기로부터 손을 보호하고, 수분의 접촉을 막고, 외부의 위험요소로부터 피부의 손상을 막는 등이 주요 목적이며 아울러 주어진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수많은 노력에 힘입어 손가락장갑의 보온성이 향상되어 있으나 일반 작업현장에서는 보온성이 적은 일회용 면장갑이나 코팅장갑 종류를 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장갑의 방한효과가 떨어지면 안쪽에 면장갑이나 예식장갑들을 하나 더 끼워 방한효과를 높이는 실정이다. 장갑을 이중으로 끼우게 되면 자연히 손가락의 움직임이 둔해지고 작업능률이 떨어진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장갑의 경우에도 같은 방법을 사용하며 특히 방수장갑의 경우에는 보온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안쪽에 보온성과 흡습성이 있는 장갑을 끼고 그 위에 방수장갑을 끼는 방법을 흔히 사용하고 있다.
본 고안은 손가락 놀림이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는 작업장이나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때 하고자 하는 주어진 일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적절한 보온효과를 유지하여 이중으로 장갑을 끼우지 않아도 되고, 통풍효과를 높여 손가락이 무르는 것을 방지하는 편리한 장갑을 제작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검지와 중지가 한데 들어가게 하는 벙어리1과 약지와 계지가 한데 들어가게 하는 벙어리2를 따로 만들어 손가락이 세 부분으로 나누어 들어가도록 장 갑을 제작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건을 잡는 동작을 구분하면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사물을 휘어 감고 그 후에 엄지로 감싸는 방법,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 끝을 사물에 대고 엄지의 끝으로 사물의 다른 쪽을 잡는 방법, 검지와 중지의 끝을 함께 모아 사물의 한쪽에 대고 엄지의 끝으로 다른 쪽을 잡는 방법, 엄지와 검지의 끝으로 사물을 잡는 방법, 엄지와 중지의 끝으로 사물을 잡는 방법, 검지와 중지 사이에 물건을 끼워 잡는 방법 및 기타 방법들이 있는데 본 고안은 검지와 중지가 약지와 계지로부터 분리되어 움직이도록 고안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방법 중에서 엄지와 검지만을 사용하는 방법 등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한 손가락장갑을 끼고 하는 작업의 거의 모든 방법을 원만히 수행할 수 있다.
인체의 손가락 구조는 엄지손가락은 마디가 두 개이고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은 마디가 세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엄지손가락에 비하여 가늘고 길다. 특히 계지는 네 손가락 중에서 길이가 가장 짧고 굵기도 가늘다. 손가락을 따듯하게 유지하는 열은 심장에서 동맥을 통하여 공급된 혈액 속에 포함된 영양소가 산화작용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얻어지며 이 열기는 손가락 표면을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발산된다. 차가운 대기 중에 손이 노출되면 가장 먼저 손가락 끝이 시려오며 점차로 시린 부위가 위쪽으로 확산되어 가는데 손가락이 시린 정도는 계지가 가장 심하고 다음으로 검지, 중지, 약지가 거의 비슷하게 일어나며 엄지손가락이 가장 나중에 온다. 손가락장갑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손이 시린 현상은 장갑을 끼지 않은 상태와 같은 순서로 일어난다. 손가락의 움직임은 엄지와 검지, 중지가 가장 활발하여 이들 각 손가락에서 많은 열이 생성되므로 엄지, 검지, 중지를 따로 분리하여 장갑을 제작할 수도 있으나 검지와 중지도 보온성에 취약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를 배제한다. 일반적으로 열전도 효과는 고체, 액체, 기체 순으로 점차 적어지며 직접 접촉에 의한 전도는 간접접촉에 의한 전도보다 크다. 본 고안의 취지에 따라 검지와 중지, 약지와 계지를 각각의 벙어리에 끼우도록 하면 손가락 표면과 장갑의 안쪽 면이 접하는 부위가 적어져 직접 접촉을 통하여 밖으로 유출되는 열손실이 적어지며 손가락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차있는 공기로 인하여 보온 효과가 증대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손가락을 서로 접하여 체열을 나누어 쓸 수 있으므로 이들 네 손가락의 보온성이 높아진다.
전기한 바와 같이 인체의 손가락 구조는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은 엄지에 비하여 가늘고 길다. 손가락에 축적되는 습기는 외부에서 장갑의 입구나 표면을 통하여 유입된 수분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손가락에서 솟아난 땀이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안에 머무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장갑이 방수재로 제작되어 있다거나 방수재로 덮어 씌워진 경우에는 특히 심하다. 손가락에 발생한 땀의 일부는 장갑의 내피에 흡수되고 일부는 손가락의 열기에 의하여 기화되어 장갑의 입구 등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는데 손가락의 운동이 활발해지면 땀의 배출이 증가되고 장갑 내피의 흡수력과 통풍에 의한 배출의 한계를 넘어선 나머지 수분은 손가락 부위에 고여 있게 된다. 이 상태가 더 심하여지면 손가락 부위에 고여 있던 수분은 손바닥 부위로 흘러나오게 되는데 이 같은 상황까지 도달하면 어떠한 형태의 장갑을 사용하더라도 장갑을 벗어 물기를 제거하고 사용 하여야한다. 손가락 부위에 수 분이 고이게 되는 현상은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에 심하게 나타나는데 본 고안에 따라 이들 네 손가락을 두 개의 벙어리에 끼우게 되면 손가락 틈새를 통하여 수분이 장갑의 몸체 쪽으로 흘러 이동하는 것이 쉬워져 손가락 부위에 축적되는 수분이 감소된다.
상기 사항은 본 고안에서 비롯되는 물리적인 특성들로 이들 장점을 실용화 하기위한 구체적인 형태를 기술하고자 한다. 상기 특성은 여러 가지 형태의 장갑 제작에 적용될 수 있지만 크게 나누어 물건을 운반하거나 잡는 등의 단순한 일을 하는 작업용 장갑, 하이킹이나 조깅 등의 레저를 포함한 일상용 장갑, 주방이나 기타 유사한 곳에서 뜨거운 물체를 나를 때 사용하는 단열 장갑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자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기본적인 구성은 가장 안쪽 내피는 보온재를 사용하고 바깥쪽 외피는 방수재를 사용한다.
안쪽에 사용하는 보온재는 흡습성이 강한 소재와 흡습성이 약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장갑을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구분되며 이에 따라 장갑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흡습성이 강한 보온재를 사용하는 경우는 비교적 손의 움직임이 적고 땀의 배출이 적고 통풍효과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지 않는 반면에 방한효과가 크게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는 장갑으로 장갑의 손목 부위에 고무줄이나 밴드를 장착하여 손목을 고정시키도록 제작할 수 있다. 흡습성이 약한 보온재는 손의 움직임이 활발하여 땀의 배출이 과다한 곳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품으로 손가락 부위에 축적된 수분이 장갑의 본체로 이동하고 다시 그곳에서 장갑의 목 부분을 통하 여 밖으로 쉽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장갑의 목 부분이 열려있는 형태를 유지하도록 제작한다.
바깥쪽에 사용하는 외피는 나이론이나 코아텍스와 같은 부드러운 방수재를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코팅 등을 하여 방수효과를 증진시키거나 합성수지를 이용한 완전 방수제품으로 성형하는 경우도 배제하지는 않는다. 장갑 외피의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가죽제품이나 이와 유사한 내구재를 손바닥부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손가락 부위를 두 개의 벙어리로 제작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적절한 보온효과와 손가락의 유연성을 함께 갖추고 있으므로 물건을 운반하거나 잡는 등의 단순한 일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하이킹이나 조깅 등을 포함한 일상 활동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통풍효과를 증진시켜 손가락이 부르트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1)

  1. 검지와 중지가 한데 들어가게 하는 벙어리와 약지와 계지가 한데 들어가게 하는 벙어리를 따로 만들어 손가락이 세 부분으로 나누어 들어가도록 하는 장갑.
KR2020060021569U 2006-08-11 2006-08-11 삼지 벙어리장갑 KR200431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569U KR200431134Y1 (ko) 2006-08-11 2006-08-11 삼지 벙어리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569U KR200431134Y1 (ko) 2006-08-11 2006-08-11 삼지 벙어리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134Y1 true KR200431134Y1 (ko) 2006-11-23

Family

ID=4177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569U KR200431134Y1 (ko) 2006-08-11 2006-08-11 삼지 벙어리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1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75067A1 (en) Hybrid mitten-glove with index finger sheath
US20140358203A1 (en) Thermal Assistance Device
US20130219645A1 (en) Wiping Band for Glove or Mitten Covered Hand
KR200431134Y1 (ko) 삼지 벙어리장갑
US7526817B2 (en) Hand-wear with varied insulation
KR20080006195U (ko) 보호장갑을 내포한 고무장갑
US20170156421A1 (en) Water repellent glove
CN103040169A (zh) 新型防水保温多功能手套
JP3173338U (ja) 保冷腕袋
CN204232361U (zh) 一种防止意外创伤的滑雪手套
KR20200001820U (ko) 손가락끈이 구비된 손등 보호형 토시
US20110067167A1 (en) Sport glove
JP3202188U (ja) 撥水手袋
KR102657875B1 (ko) 레저용 토시
CN210353362U (zh) 一种隔热防烫伤型手套
KR200418288Y1 (ko) 고흡수성 고분자 겔의 충전부를 갖는 장갑
KR200236776Y1 (ko) 일면 밴드 손가락장갑
US20220218055A1 (en) Glove and Method of Removing Thereof
CN209284372U (zh) 一种多层复合保暖发热纤维滑雪手套
US20170202280A1 (en) Webbed opposable-thumb mitten
CN210384785U (zh) 一种护腕型拳击手套
KR100772761B1 (ko) 컴퓨터 작업용 장갑
CN206380757U (zh) 一种新型防水舒适型手套
RU2647819C1 (ru) Рукавица лыжника
KR200316912Y1 (ko) 마라톤용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