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037Y1 -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 - Google Patents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037Y1
KR200431037Y1 KR2020060022012U KR20060022012U KR200431037Y1 KR 200431037 Y1 KR200431037 Y1 KR 200431037Y1 KR 2020060022012 U KR2020060022012 U KR 2020060022012U KR 20060022012 U KR20060022012 U KR 20060022012U KR 200431037 Y1 KR200431037 Y1 KR 200431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
valve
constant flow
water
flow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옥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2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0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25H3/021Boxes comprising a number of connected storage elements
    • B25H3/022Boxes comprising a number of connected storage elements in fix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정유량밸브가 수납되는 밸브수납부가 형성된 키트본체; 상기 키트본체의 개구를 착탈가능하게 개폐하는 키트덮개; 및 상기 키트본체 내에 마련되되, 상기 정유량밸브의 시공시 사용되는 공구가 수납되는 공구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상이한 규격을 갖는 수도꼭지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다수의 크기와 부피를 갖는 여러 규격의 정유량밸브를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정유량밸브의 시공에 필요한 공구가 함께 갖춰질 수 있어 현장에서 용이하게 정유량밸브를 시공할 수 있다.
수도꼭지, 샤워기, 정유량밸브, 수압, 물, 토출량, 보관, 키트

Description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KIT FOR KEEPING FLOW CONTROL VALVE}
도 1의 (a)는 층고에 따라 물 토출량이 상이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층고에 따라 물 토출량이 상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정유량밸브들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정유량밸브가 수도꼭지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도,
도 6은 정유량밸브가 장착된 수도꼭지의 일반 구성도,
도 7은 정유량밸브가 구비된 수도꼭지의 사용에 따른 유량 조절 기능과 통상의 유량 제한 기능간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도꼭지 12 : 수도꼭지본체
14 : 제1토출구 16 : 제2토출구
18 : 보스부 20 : 샤워기
24 : 유입구 26 : 밸브
30 : 어댑터 32 : 기밀유지용 밀봉부재
40 : 정유량밸브 50 : 키트
51 : 키트본체 52 : 밸브수납부
53 : 공구수납부 54 : 공구
56 : 키트덮개
본 고안은,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이한 규격을 갖는 수도꼭지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다수의 크기와 부피를 갖는 여러 규격의 정유량밸브를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정유량밸브의 시공에 필요한 공구가 함께 갖춰질 수 있어 현장에서 용이하게 정유량밸브를 시공할 수 있는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UN PAI(국제인구행동단체)가 1990년에 대한민국을 연간 1인당 가용한 수자원량을 기준하여 물 부족국가로 분류한 바 있는데, 현재까지 심각한 상태는 아니더라도 지속적인 수요관리의 개선은 필요한 실정이다.
물론, 기간별, 단체별로 전망이 다르기는 하지만 대략 2010년 이후에는 연간 12 내지 18톤 정도의 물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을 사용함에 있어, 특히 가정에서의 사용량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에 있고, 특히 샤워 등이 차지하는 비율이 확대되고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만일, 가정용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토출량(토수량)을 현재 상태에서 사용자가 불편함이 없도록 하면서 강제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면 실질적으로 소비량이 줄어들어 엄청난 절수의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물 부족 현상을 해소할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특허 공보나 혹은 소도꼭지, 샤워기 등의 제품을 보면,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널리 보급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샤워기에 온오프 버튼을 장착하여 물의 토출을 임의로 조정한다거나 혹은 접촉식 근접센서를 사용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물이 토출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기술은 이미 널리 보급된 상태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물의 토출량만을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일 뿐 전반적으로 물 관리의 차원에는 못 미친다.
한편, 대한민국과 같이 아파트나 호텔 등에서 그 층별로 토출되는 물의 양이 다르다. 즉, 도 1의 (a)와 같이, 동일한 수압일 경우에 저층에서는 물이 원활하게 토출되지만 고층으로 갈수록 원하는 양만큼의 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만일, 도 1의 (a)와 같은 상태를 도 1의 (b)와 같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무한정 수압을 높일 경우, 각 층별로 원하는 양만큼의 물이 토출될 수는 있지만 이러한 경우, 저층의 수도꼭지나 샤워기에서는 실제로 낭비되는 물이 많을 수밖에 없다. 즉, 저층에서는 수도꼭지를 조금만 열더라도 원하는 이상의 많은 물이 토출될 수밖에 없다.
결국, 각 층마다 모두 동일하게 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수압을 많이 올리면 물 낭비가 심해지고, 그렇다고 해서 수압을 약하게 하면 상대적으로 고층에서는 물이 원하는 만큼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할 수밖에 없다.
특히, 근자에 들어 아파트나 호텔, 콘도 등의 건물이 대형화되고 그 층고가 높아짐에 따라 이 같은 현상은 더더욱 심화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강한 수압이 걸리는 저층에서는 물 토출량이 감소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약한 수압이 걸리는 고층에서는 물 토출량이 증가하도록 수압에 따라 물 토출량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편함 없이 층고에 무관하게 물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불필요하게 제공되는 수압에 의해 물이 낭비되는 것을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는 정유량밸브가 구비된 수도꼭지의 개발이 시급하다 할 수 있다.
다만, 정유량밸브를 장착하기 위해, 수도꼭지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것에는 비용 관계상 다소 무리가 있으므로, 기존의 수도꼭지에 정유량밸브를 용이하게 장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이한 규격을 갖는 수도꼭지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다수의 크기와 부피를 갖는 여러 규격의 정유량밸브를 보관할 수 있는 키트(kit)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이한 규격을 갖는 수도꼭지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다수의 크기와 부피를 갖는 여러 규격의 정유량밸브를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정유량밸브의 시공에 필요한 공구가 함께 갖춰질 수 있어 현장에서 용이하게 정유량밸브를 시공할 수 있는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정유량밸브가 수납되는 밸브수납부가 형성된 키트본체; 상기 키트본체의 개구를 착탈가능하게 개폐하는 키트덮개; 및 상기 키트본체 내에 마련되되, 상기 정유량밸브의 시공시 사용되는 공구가 수납되는 공구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수납부는 상기 키트본체 내에 다수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밸브수납부에 수납되는 정유량밸브들은 상이한 규격을 갖는 수도꼭지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수의 크기와 부피를 갖는 여러 종류의 규격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구수납부에 수납되는 공구는 적어도 사각 렌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정유량밸브들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유량밸브(40) 보관용 키트(50)는, 크게 키트본체(51)와, 키트덮개(56)를 구비한다.
키트본체(51)는 실질적으로 정유량밸브(40)와 공구(54)가 수납되는 부분으로서, 키트덮개(56)에 비해서는 그 부피가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키트본체(51)의 내부에는 다수의 정유량밸브(40)가 수납되는 밸브수납부(52)와, 공구(54)가 수납되는 공구수납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밸브수납부(52)는 4개가 형성되고, 공구수납부(53)는 1개가 형 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바, 밸브수납부(52)와 공구수납부(53)의 개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밸브수납부(52)와 공구수납부(53)는 모두가 격벽(55)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다수의 밸브수납부(52)에 수납되는 정유량밸브(40)들은 상이한 규격을 갖는 수도꼭지(10, 도 4 내지 도 6 참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수의 크기와 부피를 갖는 여러 종류의 규격들로 채워진다. 물론, 동일한 규격의 정유량밸브(40)들이 수납되어도 무방하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밸브수납부(52) 중 어느 하나에는 정유량밸브(40)를 시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어댑터(30)나 기밀유지용 밀봉부재(32) 등이 더 수납되어도 좋다. 물론, 각 밸브수납부(52)마나 하나의 정유량밸브(40), 하나의 어댑터(30), 하나의 기밀유지용 밀봉부재(32)가 세트로 수납되어도 좋다. 정유량밸브(40)의 개략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공구수납부(53)에는 수도꼭지(10)에 정유량밸브(40)를 시공하기 위한 공구(54)가 수납된다. 여러 가지의 공구(54)가 수납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사각 렌치를 갖추는 것이 좋다.
키트덮개(56)는 평상시에 키트본체(51)의 상면 개구부를 덮는 구성요소로서, 키트본체(51) 내에 수납된 정유량밸브(40)와 공구(54)들이 키트본체(5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한다. 이러한 키트덮개(56)는 힌지(미도시)에 의해 키트본체(51)에 대해 회동 개폐된다. 물론, 힌지 결합 외에, 단순한 개폐식이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키트덮개(56)와 키트본체(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정유량밸브(40)와 공구(54)들이 수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정유량밸브(40) 보관용 키트(50)가 사용될 통상의 수도꼭지(10) 구조와, 그에 따른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정유량밸브가 수도꼭지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6은 정유량밸브가 장착된 수도꼭지의 일반 구성도이고, 도 7은 정유량밸브가 구비된 수도꼭지의 사용에 따른 유량 조절 기능과 통상의 유량 제한 기능간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수도꼭지(10)는, 주로 가정용으로 사용되나 필요에 따라 업소용, 혹은 기타 건물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수도꼭지(10)는 새 것일 수도 있고, 기존에 사용되던 것일 수도 있다.
수도꼭지(10)는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물이 유동하는 수로(10a,10b)를 형성하는 수도꼭지본체(12)와, 수도꼭지본체(12)의 일측단에 마련되는 제1토출구(14)와, 제1토출구(14)와는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2토출구(16)와, 수로(10a,10b)를 향해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4)와, 제1 및 제2토출구(14,16)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밸브(26)를 구비한다.
통상적인 구조로 볼 때, 제1토출구(14)는 물이 직접 토출되는 부분으로서 주로 세안을 하거나 손을 씻거나 혹은 물을 받을 때 사용된다. 따라서 제1토출구(14)는 제2토출구(16)와는 달리 별도의 추가적인 구조물이 결합되지 않으며, 수도꼭지본체(12)의 일측단에 관통된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제1토출구(14)와는 달리 제2토출구(16)에는 샤워기(20)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2토출구(16)는 수도꼭지본체(12)의 하부영역으로부터 돌출된 보스부(18)에 형성된다. 이러한 보스부(18)는 보통, 수도꼭지본체(1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혹은 수도꼭지본체(12)와는 별개로 만들어져 수도꼭지본체(1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종래기술의 경우, 커넥터(22)에 의해 샤워기(20)는 보스부(18)에 직접 결합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후술할 어댑터(30)에 커넥터(22)의 일단이 연결되고, 샤워기(20)는 커넥터(22)의 타단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후술할 어댑터(30)의 노출단은 실질적으로 보스부(18)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통상적으로 샤워기(20) 및 커넥터(22)는 일정한 규격품으로 제조되기 때문이다.
밸브(26)는 보스부(18)의 상부영역에 장착되고 그 상단이 수도꼭지본체(12)의 상측으로 노출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밸브(26)는 상하로 동작하면서 제1 및 제2토출구(14,16)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폐하여 유입구(24)를 통해서 수로(10a,10b)를 따라 흐른 물을 제1 및 제2토출구(14,16) 중 다른 하나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러한 밸브(26)는 나사식으로 제작되어 해당 위치에서 나사식으로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토출구(14,16)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보스부(18)에는 어댑터(3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어댑터(30)는 그 내부가 빈 관상체의 형상을 이루는데, 보스부(18)에 나사식 회전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보스부(18)의 외면에는 수나사부(18a)가 형성되어 있고, 어댑터(30)의 일단부 내면에는 수나사부(18a)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어댑터(30)의 암나사부(30a)를 보스부(18)의 수나사부(18a)에 적당히 결합시켜 놓은 후에, 전술한 바와 같이, 키트(50)의 내부에 수납된 사각 렌치를 이용하여 어댑터(30)를 시계방향으로 조임으로써 어댑터(30)를 보스부(18)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보스부(18)에 별도의 어댑터(30)가 더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보스부(18)와 어댑터(30) 간의 조립공차에 의해 물이 누수 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보스부(18)와 어댑터(30) 사이에는 기밀유지용 밀봉부재(32)가 더 개재된다.
한편, 어댑터(30)의 내부에는 제2토출구(16)를 통해서 물이 토출되는 방향을 따라 정유량밸브(40)가 장착된다. 이러한 정유량밸브(40)는 제2토출구(16)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수압에 따라 물 토출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정유량밸브(40)는 통상적인 것을 그대로 전용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4에 확대 도시된 정유량밸브(40)는 그 동작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 실제의 제품과는 다르다.
도 4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유량밸브(40)는 밸브몸체(42)와, 밸브몸체(42)의 일측에 마련된 고정편(44)과, 고정편(44)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이동편(46)과, 고정편(44)에 대해 이동편(46)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48)를 구비한다. 물론, 이들 외에도 각종 세밀한 구성요소들이 갖춰질 수 있으 나 이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필요시 공지된 것을 인용토록 한다.
밸브몸체(42)는 정유량밸브(4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내부가 빈 관상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토출구(16)를 통해 토출되는 물은 어댑터(30) 내에서 밸브몸체(42)의 상부로 유입된 후, 고정편(44)과 이동편(46)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밸브몸체(42)의 하부로 토출된 후에 샤워기(20)로 전달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샤워기(20)에서 토출되는 물의 양이 많아지기 위해서는 고정편(44)과 이동편(46) 사이의 간극이 넓어야 하고, 반대로, 샤워기(20)에서 토출되는 물의 양이 적어지기 위해서는 고정편(44)과 이동편(46) 사이의 간극이 좁아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별도의 제어수단이 아니라 단순히 제2토출구(16)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결정된다. 예컨대, 제2토출구(16)를 통해서 토출되는 물의 수압이 크면, 수압에 의해 탄성부재(48)가 압축되면서 이동편(46)이 고정편(44) 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고정편(44)과 이동편(46) 사이의 간극이 좁아져서 샤워기(20)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이 적어진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제2토출구(16)를 통해서 토출되는 물의 수압이 작으면, 오히려 탄성부재(48)가 팽창되면서 이동편(46)이 고정편(44)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고정편(44)과 이동편(46) 사이의 간극이 넓어져서 샤워기(20)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이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정유량밸브(40)를 키트(50)로부터 꺼내어 도 1에 도시된 각 층의 수도꼭지(10)들에 모두 설치하고, 고층에서도 원활하게 물을 사용할 수 있을 정 도의 수압을 각 층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저층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압이 걸리게 되지만, 수압이 높아지면 높아지는 만큼, 수압에 의해 탄성부재(48)가 압축되면서 이동편(46)이 고정편(44)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고정편(44)과 이동편(46) 사이의 간극이 좁아져서 샤워기(20)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이 적어지는 효과를 얻는다.
따라서 저층에서 불필요하게 물이 낭비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 1의 (b)와 같이, 각 층마다 물이 불필요하게 낭비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원하는 만큼 충분한 양의 물을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할 때, 본 실시예의 정유량밸브(40)가 장착된 수도꼭지(10)의 경우에는 A와 같이, 일정한 수압 이상부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토출량을 형성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단순 절수형 수도꼭지(미도시)의 경우에는 B와 같이, 수압이 크면 클수록 토출량도 증가한다. 이러한 그래프를 미루어 볼 때, A와 B의 선이 교차하는 지점의 전 영역에서는 본 실시예의 정유량밸브(40)가 장착된 수도꼭지(10)를 사용함으로써 물 토출양이 많아져 사용자의 만족도가 그만큼 증가하게 되고(Q1), A와 B의 선이 교차하는 지점의 후 영역에서는 본 실시예의 정유량밸브(40)가 장착된 수도꼭지(10)를 사용함으로써 물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Q2). 하지만,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단순 절수형 수도꼭지(미도시)를 통해서는 이러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이한 규격을 갖는 수도꼭지(10)에 원활하게 대 응할 수 있도록 다수의 크기와 부피를 갖는 여러 규격의 정유량밸브(40)를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정유량밸브(40)의 시공에 필요한 공구(54)가 함께 갖춰질 수 있어 현장에서 용이하게 정유량밸브(40)를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샤워기(20)를 제2토출구(16) 측에 설치하였으나 제1토출구(14) 측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또한 정유량밸브(40)가 제2토출구(16) 측에 장착되어 있으나, 이 역시 제1토출구(14) 측에 설치해도 무방하고, 제1 및 제2토출구(14,16) 측에 모두 장착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이한 규격을 갖는 수도꼭지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다수의 크기와 부피를 갖는 여러 규격의 정유량밸브를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정유량밸브의 시공에 필요한 공구가 함께 갖춰질 수 있어 현장에서 용이하게 정유량밸브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정유량밸브가 수납되는 밸브수납부가 형성된 키트본체;
    상기 키트본체의 개구를 착탈가능하게 개폐하는 키트덮개; 및
    상기 키트본체 내에 마련되되, 상기 정유량밸브의 시공시 사용되는 공구가 수납되는 공구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수납부는 상기 키트본체 내에 다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밸브수납부에 수납되는 정유량밸브들은 상이한 규격을 갖는 수도꼭지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수의 크기와 부피를 갖는 여러 종류의 규격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수납부에 수납되는 공구는 적어도 사각 렌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
KR2020060022012U 2006-08-17 2006-08-17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 KR200431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012U KR200431037Y1 (ko) 2006-08-17 2006-08-17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012U KR200431037Y1 (ko) 2006-08-17 2006-08-17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037Y1 true KR200431037Y1 (ko) 2006-11-13

Family

ID=4177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012U KR200431037Y1 (ko) 2006-08-17 2006-08-17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0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0271B2 (en) Cartridge unit and trap for sewer gas and odor containment
US7575025B2 (en) Plumbing valve with stick control handle
US20110126932A1 (en) Faucet device
CN2900636Y (zh) 利用水压自动调节自来水出水量的装置
KR200431037Y1 (ko) 정유량밸브 보관용 키트
US20130174926A1 (en) Cabinet Door Operated Faucet Valve
CN103688001B (zh) 电子控制的暗装式-厕所-冲洗设备
KR200429981Y1 (ko) 정유량밸브가 구비된 수도꼭지
KR200430061Y1 (ko) 정유량밸브가 구비된 샤워기
KR200429982Y1 (ko) 정유량밸브가 구비된 수도꼭지
CN210104886U (zh) 一种具有溢流功能的去水器
KR200430063Y1 (ko) 정유량밸브가 구비된 샤워기
KR100917103B1 (ko) 센서일체형 수도전자밸브
KR20120070936A (ko) 푸쉬 파우셋 및 이를 포함하는 언더싱크형 정수기
KR20120014802A (ko) 수전장치
CA2557956A1 (en) Dual flush system for toilet
CN102677753A (zh) 一种可选择进水方向的暗装型冲洗阀
KR200311820Y1 (ko) 다중 배출구를 구비하는 수도관용 컨넥터
KR20180001701U (ko) 보조 출수구가 구비된 앵글밸브
CN215721012U (zh) 一种淋浴龙头
CN211475194U (zh) 一种恒温卫浴设备进水接头
KR100341351B1 (ko) 절수형 세면기
EP1593785A2 (en) A compact siphon construction for sanitary fittings
JP4502727B2 (ja) 湯水混合栓
KR100961750B1 (ko) 역류방지용 연결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