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938Y1 - Auxiliary switch of electronic overcurrent release - Google Patents

Auxiliary switch of electronic overcurrent rele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938Y1
KR200430938Y1 KR2020060022888U KR20060022888U KR200430938Y1 KR 200430938 Y1 KR200430938 Y1 KR 200430938Y1 KR 2020060022888 U KR2020060022888 U KR 2020060022888U KR 20060022888 U KR20060022888 U KR 20060022888U KR 200430938 Y1 KR200430938 Y1 KR 200430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witch
signal
output
circuit breaker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88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영모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2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93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93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12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the switch
    • H01H73/14Indicating lamp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기구를 취부함이 없이 회로의 추가만으로도 배선용 차단기의 ON/OFF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류 변성기(CT)를 통하여 전로에 흐르는 전류를 신호로 입력하는 전류변성기 (CT) 신호입력부; 상기 전류 변성기(CT) 신호입력부로부터 전류 신호를 입력하여 보조스위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로에 과전류 발생시에는 트립신호를 출력하여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조스위치 신호를 차단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출력단 중 상기 트립신호의 출력단이 아닌 임의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보조스위치 신호를 전송하는 보조스위치 리드선; 상기 보조스위치 리드선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스위치 신호의 출력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로 이루어지는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switch of a circuit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switch of a circuit breaker so that the ON / OFF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can be easily understood by adding a circuit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mechanism. To this end, the current transformer (CT) signal input unit for inputting a current flowing in the converter through the current transformer (CT) as a signal; A microprocessor that blocks the auxiliary switch signal by inputting a current signal from the current transformer signal input unit to output an auxiliary switch signal, and outputting a trip signal when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converter to block current flow; An auxiliary switch lead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ther than the output signal of the trip signal among the output terminals of the microprocessor to transmit an auxiliary switch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switch lead wire to display whether the auxiliary switch signal is output; An auxiliary switch of a circuit breaker is provided.

배선용 차단기, 보조스위치 Circuit breaker, auxiliary switch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AUXILIARY SWITCH OF ELECTRONIC OVERCURRENT RELEASE}Auxiliary switch of wiring breaker {AUXILIARY SWITCH OF ELECTRONIC OVERCURRENT RELEASE}

도 1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외관 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도 2 및 도 3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2 and 3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switch of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의 회로구성도.5 is a circuit diagram of an auxiliary switch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symbols in the drawings **

10 : 본체커버 30 : CT출력부10: main body cover 30: CT output unit

40 : CT신호입력부 50 : 마이크로프로세서40: CT signal input unit 50: microprocessor

60 : 램프60 lamp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로의 추가만으로도 배선용 차단기의 ON/OFF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switch of a circuit bre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switch of a circuit breaker so that the ON / OFF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can be easily understood by only adding a circuit.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공장, 빌딩 등의 수배전 설비 중에서 주로 배전반에 설치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용중에는 부하전로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부하 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 및 부하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측 으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In general, wiring breakers are mainly installed in switchboards in factories, buildings, etc., and act as a switchgear that supplies or cuts power to the load side under no load condition. When a large current exceeding the load current flows in order to protect the wires of the converter and the load-side equipment, it serves as a circuit breaker that supplies or cuts of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side to the load side.

이와 같은 배선용 차단기는 프레임의 크기, 극수, 동작방식 등이 상이하여 여러가지 구조의 것이 제작되고 있으나, 몰드케이스, 접촉자, 트립장치, 개폐기구, 소호장치, 단자등을 기본적인 요소로 하여 이루어진다.Such wiring breaker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tructures due to different frame sizes, number of poles, operation methods, and the like, but the mold case, the contactor, the trip device,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the arc extinguishing device, the terminal, etc. are used as basic elements.

한편, 배선용 차단기에는 차단기의 ON/OFF 상태를 표시하는 보조스위치 및 원방조작장치등이 구비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ircuit breaker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switch for displaying the ON / OFF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etc.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도 1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and FIGS. 2 and 3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uxiliary switch of a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는 도 1에 나타낸 차단기 본체커버(10)의 설치홈(11)에 보조스위치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스위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O(노말오픈), NC(노말 클로우즈), C(공통)접점을 가지는 마이크로 스위치(13), 개폐상태 표시레버(15), 상기 개폐상태 표시레버에 대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들, 마이크로 스위치(13)의 접점 위치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리드선(12)으로 구성된다.In a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an auxiliary switch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11 of the circuit breaker main cover 10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auxiliary switch includes a micro switch 13 having an NO (normally open), an NC (normally closed) and a C (common) contact point, an open / closed state display lever 15, and the open / closed state. Springs that provide a restor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status display lever, and a lead wire 12 for transmitting the contact position of the micro switch 13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 스위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switch of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차단기의 개폐상태 표시레버(15)의 회전축인 제2고정축(17)상에는, 상기 개폐상태 표시레버의 일측에 자신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1고정축(16)상에 걸린 토션스프링(18)이 설치되어 있어, 가동자 샤프트(19)의 타격을 받아 제2고정축(17)을 중심으로 레버(1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토션스프링(18)에는 토션모멘트가 부여된다.On the second fixed shaft 17 which is the rotation axis of the open / close state display lever 15 of the breaker, one end thereof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pen / close state display lever, and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spring is caught on the first fixed shaft 16. A torsion moment is applied to the torsion spring 18 when the lever 15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second fixed shaft 17 by being hit by the movable shaft 19. do.

즉, 차단기의 OFF시 개폐기구부가 동작하여 가동자 샤프트(19)의 레버타격부(20)가 차단기 개폐상태 표시레버(15)의 선단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타격할 경우, 상기 레버(15)는 토션스프링(18)에 토션모멘트를 부여하면서 제2고정축(17)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breaker is turned off, the opening / closing mechanism is operated so that the lever striking portion 20 of the mover shaft 19 strikes the tip of the breaker opening / closing state display lever 15 to rotate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15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bout the second fixed shaft 17 while giving the torsion spring 18 a torsion moment.

이와 같이, 차단기 개폐상태 표시레버(15)의 회동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13)의 버튼(14)에 가해진 누름력이 해제됨이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3)의 접점이 바뀌게 되어 차단기의 ON/OFF상태가 제어판넬(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된다.In this way,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button 14 of the micro switch 13 is released by the rotation of the breaker open / close state display lever 15, so that the contact point of the micro switch 13 is changed to turn ON / OFF of the breaker. The OFF status is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not shown).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는 차단기가 ON/OFF시 차단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액세서리로써, 사용자가 차단기에 취부해야 하는 불편 및 별도의 전원을 연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the auxiliary switch of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is an accessory that displays the state of the breaker when the breaker is ON / OFF, and there is a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attach to the breaker and connect a separate power source.

또한 차단기의 ON/OFF상태가 차단기 내부의 기구적인 동작에 의하여 표시되므로, 기구적인 문제가 발생시 보조스위치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ON / OFF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is displayed by the mechanical operation inside the circuit breaker, when the mechanical problem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ction as an auxiliary switch is lost.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전류변성기(CT)와 전자회로를 응용하여 보조스위치의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별도의 기구를 차단기에 취부할 필요없이 차단기의 ON/OFF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한편, 종래의 기구적인 동작 방식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pplying the current transformer (CT) and the electronic circuit of the conventional circuit breaker to add the function of the auxiliary switch, the circuit breaker ON / without the need to install a separate mechanism to the circuit break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switch of a circuit breaker which can easily recognize an OFF state and can ensure higher reliability than a conventional mechanical operation meth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류 변성기(CT)를 통하여 전로에 흐르는 전류를 신호로 입력하는 전류변성기 (CT) 신호입력부와; 상기 전류 변성기(CT) 신호입력부로부터 전류 신호를 입력하여 보조스위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로에 과전류 발생시에는 트립신호를 출력하여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조스위치 신호를 차단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출력단 중 상기 트립신호의 출력단이 아닌 임의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보조스위치 신호를 전송하는 보조스위치 리드선과; 상기 보조스위치 리드선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스위치 신호의 출력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로 이루어지는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urrent transformer (CT) signal input unit for inputting a current flowing in the converter through the current transformer (CT) as a signal; A microprocessor which cuts the auxiliary switch signal by inputting a current signal from the current transformer (CT) signal input unit to output an auxiliary switch signal, and outputting a trip signal when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converter to block current flow; An auxiliary switch lead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ther than the output signal of the trip signal among the output terminals of the microprocessor to transmit an auxiliary switch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switch lead wire to display whether the auxiliary switch signal is output; An auxiliary switch of a circuit breaker is provided.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의 회로구성도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switch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전류 변성기(30)를 통하여 전로에 흐르는 전류를 신호로 입력하는 전류변성기 신호입력부(40); 상기 전류 변성기 신호입력부로(40)부터 전류 신호 를 입력하여 보조스위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로에 과전류 발생시에는 트립신호를 출력하여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조스위치 신호를 차단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0);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0)의 출력단 중 상기 트립신호의 출력단이 아닌 임의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0)에서 출력되는 보조스위치 신호를 전송하는 보조스위치 리드선(55); 상기 보조스위치 리드선(55)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스위치 신호의 출력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장치(6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transformer signal input unit 40 for inputting a current flowing in the converter through the current transformer 30 as a signal; A microprocessor for cutting the auxiliary switch signal by inputting a current signal from the current transformer signal input unit 40 to output an auxiliary switch signal, and outputting a trip signal when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converter to block the flow of current; 50); An auxiliary switch lead wire 55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ther than the output signal of the trip signal among the output terminals of the microprocessor 50 and transmitting an auxiliary switch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50; And a display device 6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switch lead wire 55 to display whether the auxiliary switch signal is output.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0)는 상기 전류 변성기(30) 및 전류변성기 신호입력부(40)등을 거쳐 입력되는 신호의 출력을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준치와 비교하여 이상전류 발생시 트립신호를 트립부(도시하지 않음)에 전송하여 이를 작동시킴으로써 전로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는 복수개의 출력단이 구비되는데, 그중 일부 출력단에서는 상기한 트립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보조스위치 신호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단 중 상기 트립신호의 출력단이 아닌 임의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The microprocessor 50 compares an output of a signal input through the current transformer 30 and the current transformer signal input unit 40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trips a trip signal when an abnormal current occurs. ) To turn off the converter. The microprocesso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and some of the output stages are configured to output the trip signal. Accordingly, the auxiliary switch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y output stage other than the output stage of the trip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stages. It should be configured to output from.

한편, 상기 표시장치(60)는 사람의 감각을 통하여 차단기의 ON/OFF여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나, 제작의 편의 내지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때 전구에 불이 들어오면서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램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device 60 may be any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whether the breaker is ON / OFF through the human sense, but the light bulb is lit when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production or the user's convenience It is desirable to construct a lamp that can be visually recogniz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ctions and effects.

먼저, 배선용 차단기가 ON상태인 경우 상기 전류변성기(30)에는 항상 전류가 유기되며, 상기 전류변성기 신호입력부(40)는 상기 전류변성기의 각 상(R상, S상, T상)에서 검출된 전류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0)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는 보조스위치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복수개의 출력단 중 상기 트립신호 출력단이 아닌 임의의 출력단에 연결된 리드선을 타고 전송되어 상기 램프에 불이 켜지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는 차단기의 상태가 ON 상태임을 알 수 있게 된다.First, when the circuit breaker is in an ON state, current is always induced in the current transformer 30, and the current transformer signal input unit 40 is detected in each phase (R phase, S phase, T phase) of the current transformer. The curren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provided to the microprocessor 50. At this time, the microprocessor 40 outputs an auxiliary switch signal, which is transmitted on a lead wir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ther than the trip signal output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f the microprocessor to light up the lamp. . Through this process, the user can know that the state of the breaker is ON.

한편, 배선용 차단기가 OFF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전류변성기(30)에 전류가 유기되지 않으며, 이때에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보조스위치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므로, 상기 램프에 불이 켜지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차단기의 상태가 OFF상태임을 알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ircuit breaker is in the OFF state, no current is induced in the current transformer 30. At this time, since the microprocessor does not output the auxiliary switch signal, the lamp does not turn on. In this way, the user can know that the state of the breaker is OFF.

또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0)는 상기 전류변성기(30) 및 전류변성기 신호입력부(4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되어 있던 기준치와 비교하여, 상기 입력값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즉, 과전류등이 발생된 경우 트립신호를 출력한다. 이는 상기 트립신호 출력단을 거쳐 상기 트립부(도시하지 않음)에 전달되어 상기 트립부를 작동시키며, 이에 따라 전로는 차단되는바, 이 경우 상기 보조 스위치는 차단기가 OFF상태인 경우와 같이 작동하여 상기 램프에 불이 꺼지게 되다.In addition, the microprocessor 50 compares a signal input through the current transformer 30 and the current transformer signal input unit 40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hat is, when the input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at is, overcurrent If a lamp is generated, a trip signal is output. It is transmitted to the trip unit (not shown) through the trip signal output terminal to operate the trip unit, and thus the converter is cut off. In this case, the auxiliary switch operates as if the breaker is in the OFF state. The light goes ou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차단기의 보조스위치는 별도의 기구를 취부하지 않고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인출되는 선에 표시장치만을 연결하여 차단기의 ON/OFF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종래 기구적인 동작에 의한 방식보 다 차단기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switch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cognize the ON / OFF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by connecting only the display device to the line drawn out from the microprocessor without attaching a separate mechanism. The reliability of the circuit breaker is improved rather than by the metho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배선용차단기의 보조스위치는 별도의 기구를 취부하지 않고도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인출되는 선에 램프등과 같은 표시장치만을 연결하여 차단기의 ON/OFF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제작 및 사용이 편리하며, 종래 기구적인 동작에 의한 방식보다 차단기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switch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cognize the ON / OFF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by connecting only a display device such as a lamp to the line drawn from the microprocessor without attaching a separate mechanism.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use,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circuit breaker than the conventional mechanical operation.

Claims (2)

전류 변성기(CT)를 통하여 전로에 흐르는 전류를 신호로 입력하는 전류변성기 (CT) 신호입력부;A current transformer (CT) signal input unit for inputting a current flowing in the converter through the current transformer (CT) as a signal; 상기 전류 변성기(CT) 신호입력부로부터 전류 신호를 입력하여 보조스위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전로에 과전류 발생시에는 트립신호를 출력하여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조스위치 신호를 차단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A microprocessor that blocks the auxiliary switch signal by inputting a current signal from the current transformer signal input unit to output an auxiliary switch signal, and outputting a trip signal when an overcurrent occurs in the converter to block current flow;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출력단 중 상기 트립신호의 출력단이 아닌 임의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보조스위치 신호를 전송하는 보조스위치 리드선;An auxiliary switch lead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ther than the output signal of the trip signal among the output terminals of the microprocessor to transmit an auxiliary switch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rocessor; 상기 보조스위치 리드선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스위치 신호의 출력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장치;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switch lead wire to display whether the auxiliary switch signal is output;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차단기의 보조스위치.Auxiliary switch of th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장치는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차단기의 보조스위치.And the display device is a lamp.
KR2020060022888U 2006-08-25 2006-08-25 Auxiliary switch of electronic overcurrent release KR20043093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888U KR200430938Y1 (en) 2006-08-25 2006-08-25 Auxiliary switch of electronic overcurrent rele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888U KR200430938Y1 (en) 2006-08-25 2006-08-25 Auxiliary switch of electronic overcurrent rele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938Y1 true KR200430938Y1 (en) 2006-11-14

Family

ID=4177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888U KR200430938Y1 (en) 2006-08-25 2006-08-25 Auxiliary switch of electronic overcurrent rele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93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4769B2 (en) Lockout mechanism for residual current devices
JP4624390B2 (en) Switchgear and method for displaying cause of shutoff in switchgear
JP2015198477A (en) distribution board
KR200430938Y1 (en) Auxiliary switch of electronic overcurrent release
KR100894573B1 (en) Instrumentation display unit in a distributing board
JP2009259440A (en) Circuit breaker unit and distribution panel
JPS6454633A (en) Wiring breaker with additional function
US20090050455A1 (en) Electrical Circuit Breaker
US5500781A (en) Digital circuit interrupter with multiple accessory function
JP2015198478A (en) distribution board
US67280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actuating a circuit protection device
JP2012138263A (en) Circuit breaker
KR100509584B1 (en) Electronic mold case circuit breaker
JP2021048771A (en) Power distribution panel
KR200208218Y1 (en) Alarm and auxiliary switch of wiring breaker
KR100938705B1 (en) Power and load terminal part split type micro breaker
JP7149020B2 (en) Distribution board
JP5131900B2 (en) Circuit breaker and distribution board for wiring with current alarm
CN104810788B (en) External control for an electromagnetic trigger
JP6986783B2 (en) Distribution board
JP6924505B2 (en) Distribution board
KR200208220Y1 (en) Wiring connection structure of auxiliary switch for alarm of wiring breaker
EP4270438A1 (en) State-indicating device for low current applications with wider operating range
JP6792886B2 (en) Distribution board
KR200208221Y1 (en) Wiring connection structure of auxiliary switch for alarm of wiring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