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937Y1 -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937Y1
KR200430937Y1 KR2020060022887U KR20060022887U KR200430937Y1 KR 200430937 Y1 KR200430937 Y1 KR 200430937Y1 KR 2020060022887 U KR2020060022887 U KR 2020060022887U KR 20060022887 U KR20060022887 U KR 20060022887U KR 200430937 Y1 KR200430937 Y1 KR 200430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ore
fixing
lower panel
fixe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2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9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9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2050/446Details of the insulating support of the coil, e.g. spool, bobbin, for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에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감기는 보빈; 상기 보빈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자력발생에 따라 자화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자력발생에 따라 상기 고정코어에 접촉 또는 이격되게 승/하강 운동하는 가동코어; 상기 프레임에 나사고정되며 상기 고정코어의 하측을 접촉지지하는 하부판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판넬의 끝단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보빈의 하측면을 지지고정하는 보빈 고정부가 형성됨으로써, 보빈의 흔들림에 의하여 고정코어의 소음, 진동이 하부판넬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부판넬, 고정코어, 보빈, 보빈고정구조

Description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FIXING CONSTRUCTION FOR BOBBIN OF MAGNETIC CONTACTOR}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접촉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를 도시한 분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 : 가동접촉자
14 : 크로스바 16 : 가동코어
17 : 고정코어 18 : 보빈
30 : 하부판넬 31 : 보빈 고정부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접촉기의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는 전기회로의 개폐제어를 담당하는 주된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모터 등의 부하를 운전/정지시킴으로써 부하를 보호, 제어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작동은 전자석의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Thermal-relay)에 의해 부하에 일정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를 감지 하여 전자접촉기의 조작전원을 오프(OFF)시켜 부하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자접촉기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와 함께 조합되어 사용되며 이를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 ; MS)라 한다.
한편, 첨부한 도 1은 종래 전자접촉기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전자접촉기는 프레임(10)에 의해 전자접촉기의 외형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10)에는 전기회로의 전원투입측과 부하측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고정접촉자(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의 하부에는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19) 및 절연재료로 만들어지며 외주면에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18)이 설치되고, 상기 보빈(18)의 하부에는 상기 코일(19)의 자력발생에 따라 자화되는 고정코어(17)가 설치되고, 이 고정코어(17)의 상부에는 자력발생 및 자력소멸에 따라 승/하강 운동하는 가동코어(16)가 설치되며, 상기 보빈(18)과 가동코어(16)의 사이에는 가동코어(16)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21)이 설치된다.
상기 가동코어(16) 상부에는 이 가동코어(16)와 함께 승/하강 운동하는 크로스바(14)가 설치되고, 이 크로스바(14)에는 상기 코일의 자력발생 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접촉자(13)와 접속되거나 이격되는 가동접촉자(12)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 접촉자(13)와 가동접촉자(12)의 접촉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동접촉자(12)에 압력을 가해주는 접촉스프링(15)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코어(17)의 하측면을 지지고정하는 하부판넬(20)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나사(22)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접촉기에는, 상기 코일(19)에 60Hz 또는 50Hz의 교류전원이 인가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고정코어(17)와 가동코어(16) 사이에는 맥동하는 전자력이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코어(17)를 지지고정하는 하부판넬(20)에 상기 코정코어(17)에 작용하는 맥동력이 전달되어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코어(17)의 맥동력이 상기 하부판넬(20)에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코어(17)와 상기 하부판넬(20) 사이에 사이뜸을 만드는 경우에도, 종래의 전자접촉기의 구조하에서는 상기 보빈(18)이 완전히 고정되지 않아서 배선작업시 보빈(18)의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보빈(18)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코어(17)와 상기 가동코어(16)가 정확히 배열되지 못하거나 상기 고정코어(17)와 상기 하부판넬(20) 사이의 사이뜸이 없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여전히 소음, 진동이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보빈을 고정함으로써 고정코어에서 발생하는 진동 소음이 하부판넬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에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감기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자력발생에 따라 자화되는 고정코어와; 상기 고정코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자력발생에 따라 상기 고정코어에 접촉 또는 이격되게 승/하강 운동하는 가동코어와; 상기 프레임에 나사고정되며 상기 고정코어의 하측을 접촉지지하는 하부판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판넬의 끝단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보빈의 하측면을 지지고정하는 보빈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여기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는 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19)이 감기는 보빈(18); 상기 보빈(18)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18)의 자력발생에 따라 자화되는 고정코어(17); 상기 고정코어(17)의 상부에 설치되어 자력발생에 따라 상기 고정코어(17)에 접촉 또는 이격되게 승/하강 운동하는 가동코어(16); 상기 프레임(10)에 나사고정되며 상기 고정코어(17)의 하측을 접촉지지하는 하부판 넬(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판넬(30)의 끝단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보빈(18)의 하측면을 지지고정하는 보빈 고정부(3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빈 고정부(31)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생산비용의 절감 및 공정의 단순화를 위하여 상기 하부판넬(30)의 일부분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빈 고정부(31)는 상기 보빈(18)의 하측면중 상기 고정코어(17)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지지하여 보빈(18)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부판넬(30) 중 상기 고정코어(17)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양 끝단에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코어(17)의 양측면에서 상기 하부판넬(30)이 돌출되어 상기 보빈 고정부(3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보빈 고정부(31)는 그 끝단이 상기 보빈(18)의 하측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빈(18)을 지지고정하는 것으로서, 그 보빈 고정부(31)가 돌출되는 각도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재료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상기 하부판넬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빈 고정부(31)의 끝단에는, 상기 보빈 고정부(31)와 상기 보빈(18)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상기 보빈(18)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보빈(18)의 하측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절곡부(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절곡부(32)의 상측면이 상기 보빈(18)의 하측면을 접촉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자접촉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상기 고정코어(17)와 가동코어(16), 고정접촉자(13)와 가동접촉자(12)가 이격되어 회로가 단로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19)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9)이 여자됨에 따라 그 하부에 설치된 고정코어(17)가 자화된다.
이와 함께 자화된 고정코어(17)의 자력에 의해 이 고정코어(17)의 상부에 설치된 가동코어(16)는 고정코어(17)를 향해 근접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코어(16)와 결합된 크로스바(14)도 복귀스프링(21)을 압축시키며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14)에 설치된 가동접촉자(12)가 상부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된 고정접촉자(13)와 접속됨으로써 회로는 개로된 상태가 되며, 반대로 상기 코일(19)의 자력이 소멸되면 상기의 역순에 의해 가동코어(16)가 고정코어(17)로부터 이격되어 단로된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코일(19)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에 의하여 상기 고정코어(17)와 가동코어(16) 사이에 맥동하는 전자력이 발생하게 되나, 본 고안과 같이 상기 보빈(18)을 지지고정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상기 보빈(18)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고정코어(17)와 상기 가동코어(16)가 정확히 배열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코어(17)와 상기 하부판넬(30) 사이에 일정한 사이 뜸이 항상 유지될 수 있게 되는바, 상기 고정코어(17)의 맥동력에 의한 소음, 진동이 상기 하부판넬(3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에 의하면 배선 과정 등에서의 보빈의 흔들림을 방지함으로써, 고정코어에 발생되는 소음, 진동이 하부프레임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프레임에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 감기는 보빈;
    상기 보빈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자력발생에 따라 자화되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자력발생에 따라 상기 고정코어에 접촉 또는 이격되게 승/하강 운동하는 가동코어;
    상기 프레임에 나사고정되며 상기 고정코어의 하측을 접촉지지하는 하부판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판넬의 끝단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보빈의 하측면을 지지고정하는 보빈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고정부는, 상기 하부판넬 중 상기 고정코어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양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고정부는, 상기 하부판넬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고정부의 끝단에는, 상기 보빈의 하측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의 상측면이 상기 보빈의 하측면을 접촉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
KR2020060022887U 2006-08-25 2006-08-25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 KR200430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887U KR200430937Y1 (ko) 2006-08-25 2006-08-25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887U KR200430937Y1 (ko) 2006-08-25 2006-08-25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937Y1 true KR200430937Y1 (ko) 2006-11-14

Family

ID=4177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887U KR200430937Y1 (ko) 2006-08-25 2006-08-25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9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207B1 (ko) * 2013-11-08 2015-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KR101591637B1 (ko) * 2014-09-25 2016-02-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접촉기 및 전자 접촉기의 조립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207B1 (ko) * 2013-11-08 2015-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US9202642B2 (en) 2013-11-08 2015-12-01 Lsis Co., Ltd. Magnetic contactor
KR101591637B1 (ko) * 2014-09-25 2016-02-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접촉기 및 전자 접촉기의 조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87365B (zh) 直流继电器
KR100899432B1 (ko) 절전형 전자 접촉기
EP2863408B1 (en) Magnetic contactor
JP2019179690A (ja) リレー
US11244798B2 (en) Connection unit
JP5600577B2 (ja)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KR101513207B1 (ko) 전자접촉기
KR20100125369A (ko) 스위칭 디바이스, 그 스위칭 디바이스를 어셈블링 및 동작시키는 방법, 및 그 스위칭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KR200430937Y1 (ko) 전자접촉기의 보빈 고정구조
KR101276905B1 (ko) 전자 접촉기
KR101221353B1 (ko)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
KR100663112B1 (ko) 절전형 전자개폐기
JP7156050B2 (ja) リレー
KR100518256B1 (ko) 전자접촉기의 접촉자 장착구조
KR101922154B1 (ko) 전자접촉기
JP2015176810A (ja) 電磁接触器
KR102349755B1 (ko) 전자접촉기
KR100298331B1 (ko) 전자접촉기의보조가동접촉자어셈블리
JP4379281B2 (ja) 電磁継電器
KR101869722B1 (ko) 전자접촉기
JP2009158150A (ja) 電磁リレー
KR200470820Y1 (ko) 전자 접촉기용 소음 및 진동 저감기구
KR101869718B1 (ko) 전자접촉기
JP4364723B2 (ja) 電磁接触器
RU2208870C2 (ru) Контак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