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760Y1 -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760Y1
KR200430760Y1 KR2020060018258U KR20060018258U KR200430760Y1 KR 200430760 Y1 KR200430760 Y1 KR 200430760Y1 KR 2020060018258 U KR2020060018258 U KR 2020060018258U KR 20060018258 U KR20060018258 U KR 20060018258U KR 200430760 Y1 KR200430760 Y1 KR 200430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rame
clamp
moved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희성
Original Assignee
은성기초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성기초건설(주) filed Critical 은성기초건설(주)
Priority to KR2020060018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7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의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는 해상항타선의 일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며, 파일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파일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 및, 상기 프레임과 제1,2지지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파일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경사항, 직항, 시공각도 조절장치, 해상항타선, 파일

Description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A CONSTRUCTION ANGLE OF A PIL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된 해상항타선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항타선에 설치된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의 지지부재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시공각도 조절장치 10: 해상항타선
100: 각도조절유닛 110:프레임
111, 112: 제1, 2프레임
120, 130: 제1, 2지지부재 121, 131: 제1, 2가이드부재
122, 132: 제1, 2클램프 122a, 132a: 제1, 2클램프 몸체
122b, 132b: 제1, 2커버부재 123, 133: 제1, 2조절수단
124, 134: 제1, 2롤러 125, 135: 제1, 2수용 홀
140: 가이드레일 141, 142: 제1, 2가이드 레일
200: 구동유닛 210: 프레임실린더
211, 212: 제1, 2프레임실린더 220, 230: 제1, 2실린더
221, 231: 제1, 2지지실린더
본 고안은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해상항타선에 설치되어 파일 항타시 파일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경사지게 항타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항만건설 및 호안, 안벽 등을 해안을 따라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해안에 항만 건설 및 호안, 안벽 등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지반을 견고하게 하는 기초공사가 필요하다.
이때 지반을 다지기 위해 파일을 항타하여 지반을 견고하게 다지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지반이 비교적 단단한 육상의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해상의 경우에는 파일을 항타하는 크레인 등을 설치할 수 없어 해상에서 파일을 항타할 수 있도록 하는 해상항타선이 마련된다.
여기서 해상항타선을 이용하여 파일을 시공할 경우에는 수직하게 파일을 시공하는 직항이 주로 시공되는데, 공사 여건상 직항 이외에 경사를 갖게 파일을 시공하는 경사항이 시공된다.
이때 경사항의 시공은 미리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파일을 배치 또는 고정한 후 시공하여야 하는데 상기 경사파일의 각도 조절이 매우 어려워 경사지게 시공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경사 각도를 조절한 후 설치하더라도 허용 오차범위를 초과하는 경우가 많아 파일시공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사파일을 설치하기 위해서 경우에 따라서는 해상항타선을 함께 이동하여야 하고, 각도 조절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에 시공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해상항타선을 이용하여 파일을 시공하되, 수직하게 시공하는 직항과 더불어 파일의 경사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조절된 경사각도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는 해상항타선의 일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며, 파일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파일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 및, 상기 프레임과 제1,2지지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파일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가이드부재를 따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파일이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제1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클램프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제1클램프 몸체와, 상기 제1클램프 몸체에 결합되며, 파일의 직경에 따라 교체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클램프는 상기 경사파일을 항타시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파일의 외주를 가이드 하는 제1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제1롤러는 지지될 파일의 직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1롤러 후방에는 제1조절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를 따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파일이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클램프는 상기 제2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제2클램프 몸체와, 상기 제2클램프 몸체에 결합되며, 파일의 직경에 따라 교체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클램프는 상기 경사파일을 항타시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파일의 외주를 가이드 하는 제2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제2롤러는 지지될 파일의 직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2롤러 후방에는 제2조절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가이드 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프레임과 제1,2지지부재를 유압으로 구동되며,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하는 프레임실린더와, 상기 제1지지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하는 제1실린더 및 제1지지실린더와, 상기 제2지지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하는 제2실린더 및 제2지지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는 해상항타선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에서 이격 설치되며, 상기 해상항타선 하부에 설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며, 파일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프레임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파일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2프레임과 제1,2지지부재를 이동시켜, 경사파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이 가이드 되어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2프레임이 가이드 되어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가 설치된 해상항타선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상항타선에 설치된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의 지지부재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상항타선(10)에 설치된다. 여기서 해상항타선(10)은 항타장치(11)가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해상항타선(10)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 은 생략한다.
그리고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1)는 해상항타선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파일(P)항타가 가능한 크레인 등의 항타기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파일(P) 시공각도 조절장치(1)는 각도조절유닛(100)과, 상기 각도조절유닛(100)을 구동하는 구동유닛(200)을 포함하며, 각도조절유닛(100)은 프레임(110)과 제1지지부재(120) 및 제2지지부재(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레임(110)은 소정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의 "H"빔 또는"I"빔 등으로 해상항타선(10)의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마련되며, 프레임(110)이 해상항타선(10)의 측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40)이 마련된다.
이때 가이드레일(140)은 해상항타선(10)의 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이동되는 프레임(110)은 가벼우면서 수직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 하부의 빔 사이에 다수의 지지대를 트러스트 공법으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프레임(110)은 해상항타선(1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40)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설치될 경우 파일(P)의 시공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다수개의 파일(P)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10)은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프레임(110)이 이동은 구동유닛(20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된다. 이때 구동유닛(200)은 유압으로 작 동되는 유압시스템이며, 상기 프레임(110)을 이동시키기 위해 프레임실린더(210)가 마련된다.
그리고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30)는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되며, 제1지지부재(120)는 상부에 설치되어 프레임(110)의 상부를 따라 이동되고 제2지지부재(130)는 프레임(110)의 하부를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30)를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유닛(200)은 제1실린더(220)와 제2실린더(230)가 각각 마련되며, 제1실린더(220)와 제2실린더(230)는 프레임(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30)를 프레임(110) 상에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30)가 수직하는 위치일 경우에는 파일(P)을 직항으로 시공할 수 있고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30)가 수직하지 않고 어긋나게 되면 어긋나는 각도만큼 파일(P)을 경사지게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30)는 프레임(110)에서만 이동되므로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30)의 이동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파일(P)만 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30)는 각각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30)의 이동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지지부재(120)는 프레임(110)의 상부를 따라 제1실린더(220)에 의해 이동되는 제1가이드부재(121)와, 제1가이드부재(121)를 따라 이동되는 제1클램프(122)로 구성되며, 제2지지부재(130)는 프레임(110)의 하부를 따라 제2실린더(230)에 의해 이 동되는 제2가이드부재(131)와, 제2가이드부재(131)를 따라 이동되는 제2클램프(132)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가이드부재(121)와 제2가이드부재(131)는 제1클램프(122)와 제2클램프(132)의 이동을 가이드 하면서 제2클램프(132)와 제2클램프(132)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지지실린더(221)와 제2지지실린더(231)가 설치된다.
따라서 프레임(110)을 따라 제1실린더(220)와 제2실린더(230)에 의해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30)가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이동되며, 제1지지부재(120)의 제1가이드부재(121)와 제2지지부재(130)의 제2가이드부재(131)를 따라 제1지지실린더(221)와 제2지지실린더(231)에 의해 제1클램프(122)와 제2클램프(132)가 각각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클램프(122)와 제2클램프(132)는 각각 파일(P)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파일(P)이 중앙을 관통하여 지날 수 있도록 시공될 파일(P)의 직경보다 큰 제1수용 홀(125)과 제2수용 홀(135)이 마련되며, 상기 제1수용 홀(125)과 제2수용 홀(135)의 내부에는 상기 파일(P)을 지지하면서 파일(P)을 시공할 경우 가이드 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1롤러(124)와 제2롤러(134)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롤러(124)와 제2롤러(134)는 각각파일(P)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롤러(124)와 제2롤러(134)는 각각 제1수용 홀(125) 및 제2수용 홀(135) 중심방향으로 가변시켜 일정범위 내에서의 크거나 작은 직경의 파일(P)을 시공할 수 있도록 제1조절수단(123)과 제2조절수단(133)이 각각 마련된다.
이때 제1조절수단(123)과 제2조절수단(133)은 볼트의 회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미도시한 유압실린더 또는 모터와 기어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용 홀(125)을 개방할 수 있도록 제1클램프(122)는 제1클램프 몸체(122a)와 제1커버부재(122b)로 구성되며, 제1클램프 몸체(122a)에 제1커버부재(122b)를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제1클램프 몸체(122a)와 제1커버부재(122b)는 롤러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며, 제1커버부재(122b)는 파일(P)의 직경에 따라 적용될 수 있도록 일정한 직경단위로 다수개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1클램프(122)를 제1클램프 몸체(122a)와 제1커버부재(122b)로 분리 형성하는 이유는 직경이 크거나 작은 직경의 파일(P) 시공시 그 직경에 적합한 제1커버부재(122b)를 결합함으로서 다양한 파일(P)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파일(P) 시공시 상기 제1수용 홀(125)에 파일(P)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클램프(122)와 마찬가지로 제2수용 홀(135)을 개방할 수 있도록 제2클램프(132)는 제2클램프 몸체(132a)와 제2커버부재(132b)로 구성되며, 제2클램프 몸체(132a)에 제2커버부재(132b)를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제2클램프 몸체(132a)와 제2커버부재(132b)는 롤러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며, 제2커버부재(132b)는 파일(P)의 직경에 따라 적용될 수 있도록 일정한 직경단위로 다수개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2클램프(132)를 제2클램프 몸체(132a)와 제2커버부재(132b)로 분리 형성하는 이유는 직경이 크거나 작은 직경의 파일(P) 시공시 그 직경에 적합한 제2커버부재(132b)를 결합함으로서 다양한 파일(P)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파일(P) 시공시 상기 제2수용 홀(135)에 파일(P)을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고안의 경사파일(P) 시공각도 조절장치(1)를 이용하여 경사파일(P) 시공을 위한 각도조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중력방향인 해상항타선의 수직하는 방향을 Y방향, 프레임(110) 방향을 Z방향, 해상항타선의 측면의 프레임(110)이 이동하는 방향은 X방향이라 하며, 일예로 수직하는 Y방향에서 Z방향으로 -15도 경사지고, X방향으로 10도 경사지는 경사파일(P)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파일(P)을 구동유닛(200)의 프레임실린더(210)에 의해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프레임(110)을 이동시켜 시공할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후, 수직하는 Y방향을 기준으로 Z방향으로 -15도의 경사로 조절할 수 있게 제1지지부재(120)의 Z방향 이동거리를 삼각함수에 적용하여 구하고, 수직하는 Y방향을 기준으로 X방향으로 10도의 경사로 조절할 수 있게 제1지지부재(120)의 X방향 이동거리를 삼각함수에 적용하여 구한다.
이때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30)의 Y방향 거리측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후 Z방향 이동거리만큼 구동유닛(200)의 제1실린더(220)를 구동하여 제1지지부재(120)를 이동시킨다. 이때 제1지지부재(120)를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 으나, 반대로 제2실린더(230)가 제2지지부재(130)를 제1지지부재(120)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실린더(220)와 제2실린더(230)가 동시에 구동하여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30)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X방향 이동거리만큼 구동유닛(200)의 제1지지실린더(221)를 구동하여 제1클램프(122)를 이동시킨다. 이때 제1클램프(122)를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대로 제2지지 실린더가 제2클램프(132)를 제1클램프(122) 이동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실린더(221)와 제2지지실린더(231)가 동시에 구동하여 제1클램프(122)와 제2클램프(132)가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경사진 방향으로 조절이 완료된 경사파일(P)을 제1롤러(124)와 제2롤러(134)에 안내되어 시공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파일(P)의 경사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를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측면도이다.
여기서 일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일실시예 동일한 참조부호가 적용되며, 일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는 각도조절유닛(100)의 프레임(110) 구성을 상부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111)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2프레임(11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프레임(111)과 제2프레임(112)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마련되며, 각각 별도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유닛(200)은 제1프레임실린더(211)와 제2프레임실린더(212)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1프레임실린더(211)에 의해 제1가이드부재(121)와 제1클램프(122)를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120)가 제1프레임(111)과 함께 이동되며, 제2프레임실린더(212)에 의해 제2가이드부재(131)와 제2클램프(132)를 포함하는 제2지지부재(130)가 제2프레임(112)과 함께 이동된다.
또한, 해상항타선(10)에는 제1프레임(111)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제1가이드레일(141)이 설치되고, 제1가이드레일(141)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하부에는 제2프레임(112)을 가이드 하는 제2가이드레일(142)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제1프레임(111)과 제1프레임(111)으로 분할 구성하면, 제1지지부재(120)와 제2지지부재(130)에 각각 설치된 제1지지실린더(221)와 제2지지실린더(231)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X방향의 경사각도를 더 크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상항타선에 설치되어 경사지는 경사항을 시공할 있도록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는 수직하게 시공하는 직항과 더불어 파일의 경사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원하는 경사각도로 조절된 파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함으로서 파일 시공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해상항타선의 일측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며, 파일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상기 프레임의 하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파일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 및,
    상기 프레임과 제1,2지지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파일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1가이드부재를 따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파일이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제1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제1클램프 몸체와, 상기 제1클램프 몸체에 결합되며, 파일의 직경에 따라 교체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프는 상기 경사파일을 항타시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파일의 외주를 가이드 하는 제1롤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는 지지될 파일의 직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1롤러 후방에는 제1조절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2가이드부재를 따라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파일이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프는 상기 제2가이드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제2클램프 몸체와, 상기 제2클램프 몸체에 결합되며, 파일의 직경에 따라 교체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램프는 상기 경사파일을 항타시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파일의 외주를 가이드 하는 제2롤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는 지지될 파일의 직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2롤러 후방에는 제2조절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상기 프레임이 가이드 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프레임과 제1,2지지부재를 유압으로 구동되며,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하는 프레임실린더;
    상기 제1지지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하는 제1실린더 및 제1지지실린더;
    상기 제2지지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하는 제2실린더 및 제2지지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12. 해상항타선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서 이격 설치되며, 상기 해상항타선 하부에 설치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며, 파일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2프레임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파일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2프레임과 제1,2지지부재를 이동시켜, 경사파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이 가이드 되어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1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2프레임이 가이드 되어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KR2020060018258U 2006-07-05 2006-07-05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KR200430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258U KR200430760Y1 (ko) 2006-07-05 2006-07-05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258U KR200430760Y1 (ko) 2006-07-05 2006-07-05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971A Division KR100799724B1 (ko) 2006-07-05 2006-07-05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760Y1 true KR200430760Y1 (ko) 2006-11-10

Family

ID=4177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258U KR200430760Y1 (ko) 2006-07-05 2006-07-05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7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442B1 (ko) 2011-06-10 2013-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타워의 위치조정 장치
CN108532605A (zh) * 2018-05-10 2018-09-14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水上施打斜桩的导向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442B1 (ko) 2011-06-10 2013-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타워의 위치조정 장치
CN108532605A (zh) * 2018-05-10 2018-09-14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水上施打斜桩的导向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2009108C2 (en) Vessel for forming a trench in a water bottom.
CN102839666A (zh) 坐底式水上打桩平台
US4441449A (en) Port ramp for access to a roll-on roll-off ship
KR200430760Y1 (ko)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KR100799724B1 (ko) 경사파일 시공각도 조절장치
CN103201432A (zh) 浮桥的构造
EP1304415B1 (en) Pile guide
US9863109B2 (en) Cable management for marine barriers and gate systems
KR101784800B1 (ko) 이동형 파일 가이드 장치
JP5666469B2 (ja) ロールオン/ロールオフ船舶の荷揚げおよび荷下ろしのための結合ブリッジ
CN104420453B (zh) 一种自升式钻井平台悬臂梁整体合拢方法
WO2005058683A3 (fr) Ensemble d&#39;amarrage comportant des systèmes mobiles flottants de déplacement des pannes
NL2016759B1 (en)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KR20190034817A (ko) 중량물 이동용 이동선
KR100824399B1 (ko) 강관파일 셋팅용 지그
CN116605352B (zh) 一种便于多向调整的打桩船
CN107059825B (zh) 一种水上作业平台定位方法
KR20210036126A (ko) 마찰저항 증대형 케이슨 제작시스템 및 제작방법
KR102522014B1 (ko) 해상용 연직배수재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1411409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NL1027171C1 (nl) Bodemscherm.
CN106628025B (zh) 一种用于水上作业平台辅助定位的动力船
CN211395671U (zh) 一种水上打桩装置
CN106836219B (zh) 一种水上快速布设多个桩的方法
CN101628609A (zh) 工程船横向行走定位桩台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