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189Y1 - 인삼밭 지주 연결대 - Google Patents

인삼밭 지주 연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189Y1
KR200430189Y1 KR2020060022886U KR20060022886U KR200430189Y1 KR 200430189 Y1 KR200430189 Y1 KR 200430189Y1 KR 2020060022886 U KR2020060022886 U KR 2020060022886U KR 20060022886 U KR20060022886 U KR 20060022886U KR 200430189 Y1 KR200430189 Y1 KR 200430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field
connecting rod
clamps
fasten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일출
Original Assignee
최일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일출 filed Critical 최일출
Priority to KR2020060022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1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1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1Tunnel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rows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삼밭 지주 연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밭에 차광막을 설치하기 위한 가로 및 연결대로 이루어지는 지주를 설치하는 인삼밭 지주 연결대에 관한 것으로, 회전작동으로 가로 연결대와 세로 연결대를 다양한 각도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고, 간편한 체결구조와 논슬립 구조로 보다 견고한 인삼밭 지주 설치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가로 및 세로 연결대(7)(8)를 클램핑하는 클램프(2)(3)로 이루어지는 인삼밭 지주 연결대(1)를 구성함에 있어서,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클램프(2,3)는 대략 관체상으로 되어 중앙 힌지부(21)(31)를 중심으로 개폐작동되는 개폐부(22)(32)가 형성되며, 개폐부(22)(32)에는 양측 플랜지(23)(23'),(33)(33')로 이루어지며, 플랜지(23)(23'),(33)(33')에는 체결공(24,24')(34,34')이 형성되어 체결볼트(25)(35)와 체결너트(26)(36)로서 체결할 수 있는 잠금수단(4)이 구비되고, 양 클램프(2)(3)는 회전연결부(5)로 상호 결합되어 임의의 각도로 상호 자유회전작동되게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인삼밭, 인삼밭 지주, 인삼밭 차광막, 인삼밭 차광막 골조, 인삼밭 지주 연결대

Description

인삼밭 지주 연결대{A connector for the sunshade frame of a ginseng plot}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부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연결대 2,3: 클램프
21,31: 힌지부 22,32: 개폐부
4: 잠금수단
5: 회전연결부
51: 회전축부 52: 회전축공
6: 논슬립부재 7,8: 연결대
본 고안은 인삼밭 지주 연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밭에 차광막을 설치하기 위한 가로 및 연결대로 이루어지는 지주를 설치하는 인삼밭 지주 연결대에 관한 것으로, 회전작동으로 가로 연결대와 세로 연결대를 다양한 각도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고, 간편한 체결구조와 논슬립 구조로 보다 견고한 인삼밭 지주 설치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인삼밭에는 차광막을 설치하기 위한 지주가 설치되고, 지주는 가로 연결대와 세로 연결대로 구성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하여 결합함으로써 구성된다.
종래 지주설치작업은 가로 연결대와 세로 연결대를 목재로 구성하여 서로 묶거나 못질하여 고정시켜서 연결하게 되어 그 수명이 짧고 내구성도 약한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최근에는 철파이프 등의 철골조로 대신하여 지주를 설치하는 데, 철골조를 휨작업하여 지주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철골조의 휨작업 등에 따른 제작공정이 까다롭고 인삼밭으로 이동하여 설치하는 작업 역시 번거로운 것이었다.
한편, 가로 연결대와 세로 연결대를 단순히 맞대어 연결하거나 각도 조절이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할 있도록 한 연결대가 다양하게 고안된 바 있으나,
이는 가로 연결대와 세로 연결대를 긴밀히 고정시켜 주는 수단이 부재하여 견고한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었으며,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연결대는 각도조절을 위한 조립구성이 복잡하여 제작 단가가 고가로 소요되고, 내구성도 약한 등의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가로 연결대와 세로 연결대를 회전작동이 이루어지는 클램프로 간단히 클램핑하여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로 연결대와 세로 연결대간의 연결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신속 간편하게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논슬립부재를 구비시켜 가로 연결대와 세로 연결대가 견고하게 고정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로 연결대와 세로 연결대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인삼밭 지주에 있어서, 가로 연결대와 세로 연결대를 클램핑하는 클램프가 회전작동되게 하여 설치각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지주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간편하고 신속한 설치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며, 클램프 내측에는 논슬립부재를 구비시켜 더욱 견고한 설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지주 연결대(1)는 가로 및 세로 연결대(7)(8)를 클램핑하는 동일한 구성으로된 한쌍의 클램프(2)(3)로 이루어진다.
한쌍의 클램프(2,3)는 대략 관체상으로 되어 중앙에 축으로 연결한 힌지부(21)(31)가 형성되고 반대측에 개폐부(22)(32)가 형성되어 힌지부(21)(31)를 중심으로 개폐작동되며, 힌지부(21)(31) 맞은편 개폐부(22)(32)에는 체결수단(4)이 결합된다.
상기에서 힌지부(21)(31)는 도 6에서와 같이 클램프(2,3)의 중앙이 얇은 두께로 연결되게 힌지편(21a)(31a)을 형성하여 힌지편(21a)(31a)을 중심으로 개폐부(22)(32)가 개폐작동되게 구성할 수 도 있다.
개폐부(22)(32)는 힌지부(21)(31)를 중심으로 각운동되어 개폐되는 클램프(2)(3)의 끝단 양측 플랜지(23)(23'),(33)(33')로 이루어지며, 플랜지(23)(23'),(33)(33')에는 각 플랜지(23)(23'),(33)(33')에는 체결공(24,24')(34,34')이 형성되어 체결공(24,24')(34,34')을 통해 체결볼트(25)(35)와 체결너트(26)(36)를 끼움체결함으로써 체결, 해제된다.
이러한 한쌍의 클램프(2)(3)는 회전연결부(5)로 상호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임의의 각도로 자유회전되므로 지주를 구성하는 가로 연결대(7)와 세로 연결대(8)를 다양한 설치각도로 연결하여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회전연결부(5)는 일측 클램프(3)의 회전축부(51)와 타측 클램프(2)의 회전축공(52)이 자유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작동되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연결부(5)는 다양한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클램프(2)(3) 내측에는 논슬립부재(6)를 형성하여 클램프(2)(3) 내측에서 클램핑되는 연결대(7)(8)를 긴밀히 밀착시켜 견고한 고정상태로 설치가 이루 어지게 하는 것으로, 논슬립부재(6)는 클램프(2)(3) 내측에 마찰력이 높은 고무나 연질수지 등의 재질로서 밀착 리브(61)를 돌출형성하거나 도 5와 같이 클램프(2)(3) 내측면에 마찰력이 높은 고무나 연질수지 등의 재질로서 논슬립판(62)을 형성하는 등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잠금수단(4)은 체결볼트(25)(35)와 체결너트(26)(36)외에 다양한 여러 등가수단으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세로 연결대(8)를 지면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말뚝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회전작동되는 좌우 클램프(2)(3)로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가로 연결대(7)와 세로 연결대(8)를 연결하여 지주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하에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작업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가로 및 세로 연결대(7)(8)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좌우 클램프(2)(3)는 클램프(2)(3)의 중앙 힌지부(21)(31)를 중심으로 개폐부(22)(32)를 개방한 상태에서 가로 및 세로 연결대(7)(8)를 내측에 삽입하고 개폐부(22)(32)의 양 플랜지(23)(23'),(33)(33')를 맞대어 체결볼트(25)(35)와 체결너트(26)(36)의 잠금수단(4)으로 체결공(24,24')(34,34')에 체결함으로써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대(1)의 조립, 설치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로 연결대(7)와 세로 연결대(8) 상간의 설치각도는 양 클램프(2)(3)가 회전연결부(5)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로 연결대(7)와 세로 연결대(8)의 설치각도에 따라 양 클램프(2)(3)가 자연스럽게 회전작동되면서 자동적으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면서 결합된다.
그리고, 클램프(2)(3)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논슬립부재(6)는 클램프(2)(3)에 클램핑되는 연결대(1)를 긴밀히 밀착시켜 클램프(2)(3)내에서 꽉 주여주면서 강력하게 클램핑시켜 주게 되므로 클램프(2)(3)와 연결대(7)(8)간의 고정력을 높여 매우 안정되고 견고하게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연결부(5)에 의해 연결대(7)(8)의 설치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클램프(2)(3)의 체결, 해체작동만으로 연결대(7)(8)를 조립 연결하여 지주의 설치, 해제작업을 간편,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인삼밭 차광막 설치를 위해 가로 연결대(7)와 세로 연결대(8)를 연결, 조립하여 지주를 설치함에 있어서, 클램프(2)(3)의 클램핑작업과 논슬립부재(6)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한 작업성과 함께 매우 견고한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간단한 구조에 의한 제작의 용이성과 지주 설치시간의 단축 등으로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등 차광막 설치를 위한 지주의 설치작업에 있어서 많은 잇점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가로 및 세로 연결대(7)(8)를 클램핑하는 클램프(2)(3)로 이루어지는 인삼밭 지주 연결대(1)를 구성함에 있어서,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클램프(2,3)는 대략 관체상으로 되어 중앙 힌지부(21)(31)를 중심으로 개폐작동되는 개폐부(22)(32)가 형성되며,
    개폐부(22)(32)에는 양측 플랜지(23)(23'),(33)(33')로 이루어지며, 플랜지(23)(23'),(33)(33')에는 체결공(24,24')(34,34')이 형성되어 체결볼트(25)(35)와 체결너트(26)(36)로서 체결할 수 있는 잠금수단(4)이 구비되고,
    양 클램프(2)(3)는 회전연결부(5)로 상호 결합되어 임의의 각도로 상호 자유회전작동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밭 지주 연결대.
  2. 제 1 항에 있어서,
    클램프(2)(3) 내측에는 클램핑되는 연결대(7)(8)를 긴밀히 밀착시킬 수 있는 논슬립부재(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밭 지주 연결대.
  3. 제 1 항에 있어서,
    클램프(2,3)의 중앙이 얇은 두께로 연결되는 힌지편(21a)(31a)을 형성하여 힌지편(21a)(31a)을 중심으로 개폐부(22)(32)가 개폐작동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밭 지주 연결대.
KR2020060022886U 2006-08-25 2006-08-25 인삼밭 지주 연결대 KR200430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886U KR200430189Y1 (ko) 2006-08-25 2006-08-25 인삼밭 지주 연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886U KR200430189Y1 (ko) 2006-08-25 2006-08-25 인삼밭 지주 연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189Y1 true KR200430189Y1 (ko) 2006-11-03

Family

ID=4177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886U KR200430189Y1 (ko) 2006-08-25 2006-08-25 인삼밭 지주 연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1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908B1 (ko) * 2008-03-18 2010-06-17 주홍근 인삼재배용 차광막 프레임 설치구조
KR200457356Y1 (ko) 2009-09-22 2011-12-15 이정훈 온실용 권취 파이프 지지용 베어링 조립체
KR20220079207A (ko) * 2020-12-04 2022-06-13 안덕기 고추 지주용 받침부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908B1 (ko) * 2008-03-18 2010-06-17 주홍근 인삼재배용 차광막 프레임 설치구조
KR200457356Y1 (ko) 2009-09-22 2011-12-15 이정훈 온실용 권취 파이프 지지용 베어링 조립체
KR20220079207A (ko) * 2020-12-04 2022-06-13 안덕기 고추 지주용 받침부재
KR102522390B1 (ko) * 2020-12-04 2023-04-18 안덕기 고추 지주용 받침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5573B1 (en) A sliding door arrangement
KR200430189Y1 (ko) 인삼밭 지주 연결대
KR101365492B1 (ko) 천막용 코너 고정장치
KR101883734B1 (ko) 막구조물 코너 등분포하중용 장력조절장치
KR101035306B1 (ko) 천막 고정 구조
FR2929457A1 (fr) Assemblage d'un coffret electrique
KR200476265Y1 (ko) 농업용 해가림 시설의 골조 연결구
KR200452023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KR101460312B1 (ko) 엣지 케이블 뒤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천막 구조물
KR20080002896U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KR20100097828A (ko) 스틸 그레이팅 및 이를 구비하는 역류방지장치
KR20080005302U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KR101175649B1 (ko) 도어의 회전지지장치
KR200495534Y1 (ko) 회전부재 체결용 비계 클램프
KR20080002951U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KR200438629Y1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TWI645125B (zh) 可調整角度之管件樞接裝置
FR2898628A1 (fr) Ensemble de fixation pour vantail comprenant au moins une patte d'articulation et une patte de fixation independantes l'une de l'autre
KR100936975B1 (ko)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보강용 연결바 연결 고정구
KR100296353B1 (ko) 콘크리트들보용거푸집지지장치
KR20080003163U (ko)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KR101097284B1 (ko) 구조물의 기둥 구조
JP2008156822A (ja) アンカーボルトの設置方法及びそのアンカーボルト仮支持用の仮設ナット
JP2008008072A (ja) 施工性に優れたグリーンハウス
KR101719958B1 (ko) 파라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