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727Y1 -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727Y1
KR200429727Y1 KR2020060016426U KR20060016426U KR200429727Y1 KR 200429727 Y1 KR200429727 Y1 KR 200429727Y1 KR 2020060016426 U KR2020060016426 U KR 2020060016426U KR 20060016426 U KR20060016426 U KR 20060016426U KR 200429727 Y1 KR200429727 Y1 KR 200429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lid
motor
outer cylinder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권
Original Assignee
정한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한권 filed Critical 정한권
Priority to KR2020060016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7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7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뚜껑의 결합공에 장착되는 구동부의 제어회로부의 작동에 의해 모터를 정, 역회전 또는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피세척물이 담긴 회전망을 정, 역회전시키면서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 등을 청결하게 씻고 탈수할 있도록 하며, 뚜껑으로부터 구동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파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동부의 모터를 제어회로부에 의해 소정의 횟수 동안 정, 역회전을 반복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야채 및/또는 과일 등의 피세척물이 단시간 내에 세척수와 접촉되어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터치 방식에 의한 작동으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구동부의 탈착이 편리한 유용한 고안이다.
야채, 세척기, 구동부, 모터

Description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 {DRIVING DEVICE FOR VEGETABLES WASH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장치의 구동부가 뚜껑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장치의 제어부 개략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동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종래의 야채 세척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외통 2: 회전망
3: 회전덮개 4: 구동부
5: 뚜껑 6: 마개
7: 탄발스프링 8: 작동레버
9: 스토퍼 10: 밀폐링
7': 탄발스프링 100: 개폐부재
본 고안은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채 또는 과일 등의 피세척물을 넣어 자동으로 정, 역회전시키면서 깨끗이 씻은 세척단계와 탈수단계를 편리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청결하게 세척된 피세척물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한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야채 및 과일 등을 세척하고 탈수하는 장치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2-504 호(실용신안등록 번호 제20-0272873호) "야채 자동 세척, 탈수기"가 제안되었다.
상기 종래의 야채 자동 세척, 탈수기는 도 6에서와 같이 상부(16) 하측으로 단을 이루는 부분에 다수의 배수공(12)이 천공되고 저면 내측 중앙에 축돌기(14)가 돌출형성되며 저면에 배출구(11)가 천공된 외통(1)과; 상기 외통(1)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망(2)과; 상기 회전망(2)의 상부를 개폐하면서 회전력을 회전망(2)에 전달하기 위하여 회전망(2)의 걸림홈(21)으로 끼워지도록 하단에 걸림돌기(31)를 다수 형성한 회전덮개(3)와; 상기 회전덮개(3)의 중앙에 돌출형성되면서 걸림편(32)을 내측에 형성한 연결관(33)으로 끼워져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걸림편(43)을 갖는 구동축(42), 모터(41), 모터(41)를 회전 및 정지하거나 회전의 강도를 조절하는 스위치(44)를 갖는 구동부(4)와; 상기 구동부(4)의 구동축(42)이 상기 회전덮개(3)의 연결관(33)에 끼워져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끼워져 지지하는 결합공(51)이 중앙에 형성되고 세척용 물을 공급하는 주입구(52)가 형성된 뚜껑(5)과; 상기 외통(1)의 저면에 천공된 세척수 배출구(11)에 끼워지는 마개(6) 그리고 상기 외통(1)의 상단 둘레에 손잡이(13)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부(4)의 하부는 뚜껑(5)의 결합공(51)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53)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이루어지고 구동부(4)의 상부는 파지할 수 있는 공간(45)을 갖는다.
상기 야채 자동 세척, 탈수기는 회전망(2)에 야채 및/또는 과일 등을 넣은 후 회전덮개(3)로서 회전망(2)의 상부를 덮으면 회전덮개(3)의 걸림돌기(31)가 회전망(2)의 걸림홈(21)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어서 뚜껑(5)을 외통(1)의 상부에 끼워 넣어 결합한 후 뚜껑(5)의 결합공(51)으로 구동부(4)를 끼워 넣으면 구동부(4)의 구동축(42)이 회전덮개(3)의 연결관(33)에 끼워져 각각에 형성된 걸림편(32)과 걸림편(43)이 회전할 때 서로 걸리도록 끼워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소정의 세척수를 준비한 상태에서 구동부(4)의 스위치(44)를 작동시키면 내부에 보관된 통상의 축전지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서 모터(41)가 회전되고, 상기 모터(41)는 다수의 기어를 통해 구동축(42)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축(42)의 회전은 곧 걸림편(32)에 접촉되는 걸림편(43)을 갖는 연결관(3)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덮개(3)가 동시에 회전된다. 상기 회전덮개(3)의 회전은 곧 걸림돌기(31)가 끼워져 있는 걸림홈(21)을 갖는 회전망(2)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망(2)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상기 뚜껑(5)의 주입구(52)로 세척수를 투입하게 되고 투입되는 세척수는 회전망(2)에 담긴 야채 및/또는 과일에 접촉되면서 씻게 된다. 이때 비중이 무거운 모래, 흙 등의 이물질은 외통(1)의 내부 저면으로 수집되며 가벼운 부유물은 회전망(2)의 둘레 또는 회전덮개(3)의 상부로 이동되어 외통(1)의 배수공(12)을 통해 배출시키면 세척이 완료된다.
상기 세척 과정이 완료되면 배출구(11)를 폐쇄하고 있는 마개(6)를 개방하여 야채 및/또는 과일을 씻은 세척수를 배출하게 되고, 곧 상기 구동부(4)의 스위치(44)를 조작하여 모터(41)의 고속 회전력을 회전망(2)에 전달함으로써 원심력의 증대를 통해 회전망(2) 내에 넣어진 야채 및/또는 과일에 묻어있는 물기를 제어한 후 뚜껑(5)과 회전덮개(3)를 열어 세척, 탈수된 야채 및/또는 과일을 꺼내어 취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야채 자동 세척, 탈수기는 세척 및 탈수를 겸할 수 있고 손잡이(13)가 있어 휴대가 편리하나 모터(41)의 구동방식이 단순히 스위치(44)의 작동에 의한 전원의 인가 및 단락 방식이므로 세척과정 중 모터(41)는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41)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망(2)이 회전하게 되면 투입되는 세척수는 회전방향의 야채 및/또는 과일 표면에만 접촉되면서 이물질 또는 부유물이 씻게 된다. 그러므로 세척수와 접촉되지 않는 부분은 이물질 등이 제대로 씻겨지지 않아 청결하게 세척된 야채 또는 과일 등을 취식할 수 없어서 재차 반복하여 세척하는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구동부(4)의 하부가 뚜껑(5)의 결합공(51)에 형성된 걸림턱(53)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사용하다가 구동부(4)를 충전하기 위하여 꺼낼 때 구동부(4)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45)을 이용해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당길 때 힘이 중앙으로 집중되므로 당기는 힘이 강해야만 구동부(4)를 분리할 수 있어 체력이 약한 주부들은 분리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부의 모터를 소정의 횟수 동안 정, 역회전을 반복할 수 있도록 제어하면서 야채 및/또는 과일 등의 피세척물을 단시간 내에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터치 방식에 의한 작동의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구동부의 탈착이 편리하도록 한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개방된 상부에 단을 이루면서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되고 저면 내측 중앙에 축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저면에 배출구가 천공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축돌기 중심에 저면이 위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망과, 상기 회전망의 상부를 개폐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덮개와, 상기 외통의 상부에 끼워지며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세척용 물을 공급하는 주입구가 형성된 뚜껑과, 상기 외통의 저면에 천공된 세척수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통의 결합공으로 끼워져 걸림턱에 함체의 저면이 걸려서 고정되고 상기 회전덮개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동축, 모터, 축전지가 함체에 내장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다수의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덮개의 연결관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중앙에 배치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정, 역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정, 역회전을 제어하도록 2개가 한 조를 이루는 버튼스위치 및 축전지를 접속한 제어회로부를 각각 함체 내부 및 상부로 노출되도록 배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버튼스위치의 터치에 따라 제어회로부가 모터를 정, 역회전 또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회전망을 정, 역회전 또는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피세척물에 묻어있는 이물질 및 부유물을 더욱 청결하게 자동으로 씻고 탈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목적은 뚜껑의 결합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동부를 분리시키기 편리하도록 뚜껑의 결합공 상부에 파지공간을 형성하고, 구동부의 함체 상측 둘레 면에 파지턱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야채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a, b 본 고안에 따른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가 뚜껑에 결합되는 상태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일 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상기 도 6의 선행기술의 구성과 동일 부분에 대한 부호는 동일하게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는 외통(1), 회전망(2), 회전덮개(3), 뚜껑(5) 및 개폐부재(100)로 이루어진 야채 세척기의 뚜껑(5)에 끼워진 후 회전덮개(3)와 회전망(2)을 정, 역회전시키는 구동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통(1)은 개방된 상부에 뚜껑(5)이 끼워져 얹히도록 단을 이루면서 세척시 부유물이 배출되도록 개방된 상부(16) 하측에 단을 이루는 부분으로 다수의 배수공(12)이 천공되고, 저면 내측 중앙에는 회전망(2)의 회전 중심 역할을 하는 축돌기(14)가 돌출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세척수 또는 탈수된 물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가 천공되어 이루어진다.
회전망(2)은 개방된 상부의 내측에 걸림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외통(1)의 축돌기(14) 중심에 저면이 위치되어 회전되면서 세척수 또는 탈수되는 물기가 외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바구니 형태를 이룬다.
회전덮개(3)는 상기 회전망(2)의 상부를 개폐하면서 회전력을 회전망(2)에 전달하기 위하여 회전망(2)의 걸림홈(21)으로 끼워지도록 둘레 면 하단에 걸림돌기(31)가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걸림편(32)을 내측에 형성한 연결관(33)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세척수의 공급 및 부유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망 형태를 이룬다.
뚜껑(5)은 상기 구동부(4)가 끼워지는 결합공(51)이 중앙에 형성되고, 결합공(51)의 하단에는 걸림턱(53)이 돌출 형성되며, 세척용 물을 공급하는 주입구(5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개폐부재(100)는 세척수 및 탈수된 잔여 물기를 간편하게 누르는 동작에 의해 외통(1)에 천공된 배출구(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외통(1)의 요입부(15)에 일단이 끼워진 탄발스프링(7)과 인위적인 누름 동작에 의해 회전축(81)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면서 외통(1)의 배출구(11)를 개폐하는 차단부(82)를 일체로 형성한 작동레버(8), 상기 작동레버(8)에 결합되어 탄발스프링(7')에 의해 외통(1)에 형성된 걸림홈(17)에 밀려 들어가 작동레버(8)를 정지시키는 스토퍼(9)로 이루어진다.
구동부(4)는 본 고안의 주요 구성으로서 도 3a에서와 같이 함체(49)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덮개(3)의 중앙에 돌출된 연결관(33)으로 끼워져 걸림편(32)에 접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걸림편(43)을 갖는 구동축(42)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42)을 정, 역회전시키는 모터(41)와, 상기 모터(41)의 정, 역회전을 제어하도록 2개가 한 조를 이루는 버튼스위치(44')가 함체(49)의 상부에서 터치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모터(41), 버튼스위치(44') 및 축전지(47)를 접속한 제어회로부(46)가 함체(49) 내에 배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4)의 제어회로부(46)는 첨부된 도 3a와 같이 버튼스위치(44') 등이 접촉된 통상의 회로판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 4의 개략 구성도를 통해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버튼스위치(44')의 버튼(SW1, SW2) 터치에 따라 변환부를 거처 중앙처리장치(CPU)에 신호를 전달하면 중앙처리장치(CPU)는 설정된 시간 동안 릴레이(RY1)와 릴레이(RY2)를 단독 또는 동시에 작동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릴레이(RY1, RY2)의 작동에 따라 모터(41)를 세척을 위해 정, 역회전 또는 탈수를 위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41)의 회전은 최종적으로 상기 회전망(2)을 정, 역회전 또는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피세척물에 묻어있는 이물질 및 부유물을 더욱 청결하게 씻고 탈수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회로부(46) 및 모터(41)는 함체(49)에 내장되어 있는 DC 5V용 축전지(4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된다.
또한, 본 고안은 뚜껑(5)의 결합공(51)으로부터 구동부(4)를 편리하게 파지하여 꺼내어 미도시된 충전기로서 축전지(47)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5)의 결합공(51) 상부에 어지 및 나머지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도록 여유가 있는 파지공간(54)을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구동부(4)의 함체(49) 상측 둘레 면에 링 형태의 파지턱(48)을 형성하여 구동부(4)의 파지턱(48)이 상기 파지공간(54)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뚜껑(5)의 결합공(51)으로부터 구동부(4)의 함체(49)에 형성된 파지턱(48)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00은 축전지(47)의 충전 및 방전 상태를 적색 또는 녹색으로 표시하는 램프로서 구동부(4)의 함체(49)의 상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회로부(46)과 접속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에 대한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개폐부재(100)가 외통(1)에 결합되어 배출구(11)를 폐쇄한 상태에서 도 3a에서와 같이 회전망(2)을 외통(1)의 축돌기(14)에 얹혀져 회전 가능하도록 끼우게 되고, 이어서 세척하고자 하는 미도시된 야채 등의 피세척물을 회전망(2)에 담게 되며, 이어서 회전덮개(3)를 회전망(2)의 상부에 끼워 덮으면 회전덮개(3)의 걸림돌기(31)가 회전망(2)의 걸림홈(21)에 끼워져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된다.
상기 상태에서 외통(1)의 상부로 뚜껑(5)을 덮은 후 뚜껑(5)의 결합공(51)으로 구동부(4)를 끼워 넣으면 구동부(4)의 구동축(42)이 상기 회전덮개(3)의 연결관(33)으로 삽입되면서 구동축(42)의 걸림편(43)과 연결관(33)의 걸림편(32)이 서로 맞물린 상태가 유지되고, 세척수를 준비하면 야채 세척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야채를 세척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먼저 구동부(4)의 세척용 버튼스위치(44')를 작동시키면 축전지(47)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서 변환부를 통해 설정된 신호 값이 제어회로부(4)의 중앙처리장치(CPU)로 인가되고, 제 어회로부(46)의 중앙처리부(CPU)는 설정된 시간 동안 릴레이(RY1)와 릴레이(RY2)를 단독 또는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릴레이(RY1, RY2)의 작동에 따라 모터(41)가 정, 역회전 또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41)는 다수의 기어들이 연결된 구동축(42)에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구동축(42)의 회전은 곧 걸림편(43)이 맞물려있는 걸림편(32)을 갖는 연결관(33)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덮개(3)를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덮개(3)의 회전은 회전덮개(3)의 걸림돌기(31)가 끼워져 있는 걸림홈(21)을 갖는 회전망(2)을 최종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망(2)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뚜껑(5)의 주입구(52)로 세척수를 공급하게 되고, 공급되는 세척수는 회전망(2)에 담긴 피세척물로 낙하면서 접촉되어 일차적으로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씻어내게 된다. 상기 세척수의 접촉에 의하여 씻겨진 이물질과 세척수를 외통(1)의 배출구(11)로 계속하여 배출시키는 세척방법을 이용하거나 초기에 씻겨진 이물질만을 배출시킨 후 배출구(11)를 개폐부재(100)로서 폐쇄한 상태에서 세척수를 계속 공급하여 외통(1) 내부에 계속 채우면 회전망(2) 내부에 담긴 피세척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 중 부유물은 회전망(2)과 외통(1) 사이 공간 또는 회전망(2)의 상부와 회전덮개(3)를 통과하여 외통(1)의 상부에 천공되어 있는 배수공(1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망(2)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원을 제공하는 모터(41)는 제어회로부(46)의 중앙처리장치(CPU)에 저장된 프로그램 동작에 의해 정, 역회전 방향 으로 약 6~12회전씩 약 8~10회 반복 작동한 후 정지됨으로써 피세척물 표면 전체를 청결 하게 씻을 수 있다.
상기 피세척물을 씻은 세척수는 개폐부재(100)의 작동에 의해 외통(1)의 배출구(11)를 개방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며, 세척수가 모두 배출된 후 피세척물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탈수용 버튼스위치(44')를 누르면 상기 세척과정의 동력전달과정과 동일한 순서로 작동되어 모터(41)에 의해 최종적으로 회전망(2)이 고속회전(350~450회전/분당)하여 원심력에 의해 물기가 탈수됨으로써 외통(1)의 내부 저면에 수집되거나 바로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행하면 탈수과정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구동부(4)가 결합된 뚜껑(5)과 회전덮개(3)를 순차적으로 분리시킨 후 세척 및 탈수가 완료된 피세척물을 꺼내어 요리에 사용하거나 취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5)의 결합공(51) 상부에 형성된 파지공간(54)으로 손가락을 끼워 넣으면서 구동부(4)의 함체(49) 상측 둘레 면에 형성된 파지턱(48)을 파지한 후 당겨내어 구동부(4)를 분리시킨 후 충전하거나 뚜껑(5)을 세척하게 된다.
상기 피세척물을 씻는 세척수 및 탈수 물기의 배출 과정을 살펴보면 도 3a에서와 같이 개폐부재(100)는 탄발스프링(7)에 의하여 회전축(81)을 중심으로 차단부(82)가 상승하여 외통(1)의 배출구(11)를 폐쇄하는 상태가 기본 상태이고, 상기 상태에서 초벌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작동레버(8)의 외측 자유단을 눌러 하강시키면 회전축(81)을 중심으로 차단부(82)는 하강하고 탄발스프링(7)은 압축되면서 차단부(82)가 외통(1)의 배출구(11)가 개방되어 세척수 및 이물질이 외부로 배 출된다. 상기 작동레버(8)의 자유단이 하강함에 따라 탄발스프링(7')에 의해 외통(1)의 둘레 면에 밀착되는 스토퍼(9)가 외통(1)의 걸림홈(17)의 위치에 도달하면 걸리게 된다. 이때 작동레버(8)의 자유단을 누르고 있던 손을 놓으면 탄발스프링(7)의 복원력이 작용하여도 작동레버(8)의 차단부(82)는 상승하지 않아 외통(1)의 배출구(11)를 계속 개방하게 된다. 일차 초벌 세척수를 배출한 후 외통(1)의 배출구(11)를 폐쇄하고자 할 때에는 스토퍼(9)를 눌러서 외통(1)의 걸림홈(17)으로부터 스토퍼(9)의 걸림 부위를 이격시키면 탄발스프링(7)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작동레버(8)의 차단부(82)가 외통(1)의 배출공(11)을 폐쇄하면 외통(1)의 주입구(52)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피세척물을 씻으면서 외통(1)의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상기 외통(1) 내부에 세척수를 계속 채우는 동안 피세척물은 정, 역회전하면서 씻겨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부유물은 상승하게 되며, 상승하는 부유물은 세척수와 함께 외통(1)의 상부에 천공된 배수공(12)으로 배출되어 본 세척을 마무리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맑은 세척수가 배출되면 세척을 중지시키고 작동레버(8)를 작동하여 세척수를 모두 외통(1)의 배출구(11)로 배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피세척물에 잔류하고 있는 물기는 탈수함으로써 깨끗이 씻겨진 피세척물을 취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동레버(8)의 버튼부(84) 또는 스토퍼(9)의 버튼부(93)를 누르고 놓는 간편한 동작만으로 작동레버(8)의 차단부(83)가 외통(1)의 배출구(11)를 폐쇄 또는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손에 이물질이 포함된 세척수 또는 탈수용 물기 등이 묻지 않아 매우 위생적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4)의 작동에 의해 피세척물을 씻는 세척 과정 및 탈수 과정을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피세척물의 투입 단계로서 피세척물을 회전망(2)에 담은 후 회전덮개(3), 뚜껑(5)을 덮고, 상기 뚜껑(5)의 결합공(51)으로 구동부(4)를 끼워 넣으면 구동부(4)의 함체(49) 하부는 뚜껑(1)의 걸림턱(53)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구동부(4)의 구동축(42)이 회전덮개(3)의 연결관에 끼워져 각각의 걸림편(43)과 걸림편(32)이 맞물리도록 결합하게 된다.
다음으로, 세척버튼을 가동하는 단계로서 버튼스위치(44')의 버튼(SW1)을 작동시키면 변환부를 통해 중앙처리장치(CPU)에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CPU)는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릴레이(RY1)와, 릴레이(RY2)를 단일 또는 동시에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릴레이(RY1)와 릴레이(RY2)를 동시에 작동시키면 모터(41)를 정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릴레이(RY2)만 작동시키면 모터(41)를 역회전시키도록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릴레이(RY1)와, 릴레이(RY2)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터(41)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각각 10회전씩 반복하여 약 8~9회/분 작동하면서 최종적으로 피세척물을 담은 회전망(2)을 회전시키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초벌 세척 또는 본 세척 때까지 작동하게 된다.
다음 단계로서 상기 모터(41)의 가동으로 피세척물을 담은 회전망(2)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곧 세척수를 뚜껑(5)의 주입구(52)로 공급하게 되고, 공급되는 세척수는 낙하하면서 피세척물 전체에 접촉되면서 이물질 및 부유물을 씻어내게 된다.
상기 단계는 세척수의 투입으로 피세척물에 접촉되어 있는 이물질 및 부유물 을 씻어내는 초벌 세척 과정으로서 모터(41)의 정, 역회전이 각 10회전씩 대략 2~3회 반복되는 과정이며, 이때 피세척물로부터 씻겨진 이물질 및 부유물을 세척수와 함께 바로 외통(1)의 배출구(11)로 배출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초벌 세척이 공정에 이어서 외통(1)의 배출구(11)를 폐쇄하면서 세척수는 계속 투입하여 본 세척 과정으로 연이어지게 된다.
상기 본 세척 단계는 공급되는 세척수가 외통(1)의 내부에 계속하여 채워지면서 정, 역회전하는 회전망(2)에 담긴 피세척물과 세척수가 접촉되면 피세척물이 흔들리면서 표면에 묻어 있던 잔여 이물질 또는 부유물을 분리시키게 된다. 분리되는 이물질 중 비중이 무거운 것은 외통(1)의 배부 하측에 가라앉아 수집되고 부유물은 상승하여 외통(1)의 상부에 천공된 배수공(12)으로 배출된다. 상기 본 세척 과정은 일 방향으로 10회씩 정, 역회전하면서 반복된 6회의 과정을 거치면 청결하게 피세척물을 씻을 수 있다.
상기 본 세척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부유물의 배출이 없으면 조기에 버튼스위치(44')를 재 터치하여 중지시킬 수 있으며, 부유물이 계속하여 배출되면 재가동하여 추가 급수를 통해 청결하게 피세척물을 세척하게 된다.
본 세척이 완료되면 개폐부재(100)를 작동하여 외통(1) 내부에 채워져 있는 세척수를 배출구(11)로 배출하게 되고, 배출이 완료되면 마지막 단계로서 탈수 버튼인 버튼스위치(44')의 버튼(SW2)의 터치하게 된다.
상기 버튼스위치(44')의 버튼(SW2)을 터치하면 변환부를 통해 중앙처리장치(CPU)에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CPU)는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릴 레이(RY1)만이 작동되어 탈수기능을 위하여 모터(41)를 일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도록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릴레이(RY1)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모터(41)는 일 방향으로 상기 세척 과정의 회전 속도보다 2배 이상으로 회전하여 피세척물에 잔류하고 있는 물기를 원심력으로 분리되게 한다. 상기 모터(41)의 회전은 30초간 회전된 후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추가 탈수가 가능하다.
상기 피세척물을 탈수한 후에는 뚜껑(5)과 회전덮개(3)를 분리하고 회전망(2)에 담긴 청결하게 씻겨진 피세척물을 요리에 사용하거나 직접 취식하게 된다.
또한, 뚜껑(5)의 파지공간(54)으로 손가락을 끼워 넣으면서 구동부(4)의 함체(49) 상측 둘레 면에 형성된 파지턱(48)을 파지하여 당기면 용이하게 구동부(4)가 분리된다. 상기 분리된 뚜껑(5)은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고, 구동부(4)는 미도시된 충전기를 이용하여 축전지(47)를 충전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상기의 세척 과정은 제어회로부(46)의 제어에 따라 모터(41)가 정, 역회전 또는 탈수를 위한 고속 회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피세척물이 흔들리면서 전체에 세척수가 접촉되어 이물질 및 부유물 등을 더욱 청결하게 세척하고 탈 수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구동부의 모터를 제어회로부에 의해 소정의 횟수 동안 정, 역회전을 반복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야채 및/또는 과일 등의 피세척물이 단시간 내에 세척수와 접촉되어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 터치 방식에 의한 작동으로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구동부 의 탈착이 편리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개방된 상부(16) 하측으로 단을 이루는 부분에 다수의 배수공(12)이 천공되고 저면 내측 중앙에 축돌기(14)가 돌출 형성되며 저면에 배출구(11)가 천공된 외통(1)과, 상기 외통(1)의 축돌기(14) 중심에 저면이 위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망(2)과, 상기 회전망(2)의 상부를 개폐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덮개(3)와, 상기 외통(1)의 상부에 끼워지며 중앙에 결합공(51)이 형성되고 세척용 물을 공급하는 주입구(52)가 형성된 뚜껑(5)과, 상기 외통(1)의 저면에 천공된 세척수 배출구(1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1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5)의 결합공(51)으로 끼워져 결합공(51)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53)에 함체(49)의 저면이 걸려서 고정되고 상기 회전덮개(3)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동축(42), 모터(41), 축전지(47)가 함체(49)에 내장한구동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는,
    다수의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덮개(3)의 연결관(33)에 끼워져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중앙에 배치되는 구동축(42)과, 상기 구동축(42)을 정, 역회전시키는 모터(41)와, 상기 모터(41)의 정, 역회전을 제어하도록 2개가 한 조를 이루는 버튼스위치(44') 및 축전지(47)를 접속한 제어회로부(46)를 각각 함체(49) 내부 및 상부로 노출되도록 배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버튼스위치(44')의 터치에 따라 제어회로부(46)가 모터(41)를 정, 역회전 또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회전망(2)을 정,역회전 또는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피세척물에 묻어있는 이물질 및 부유물을 더욱 청결하게 자동으로 씻고 탈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5)의 결합공(51) 상부에 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도록 파지공간(54)을 양측에 형성하고, 상기 구동부(4)의 함체(49) 상측 둘레 면에 파지턱(48)을 형성하여 구동부(4)의 파지턱(48)이 상기 파지공간(54)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뚜껑(5)의 결합공(51)으로부터 구동부(4)를 편리하게 파지하여 꺼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
KR2020060016426U 2006-06-19 2006-06-19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 KR200429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426U KR200429727Y1 (ko) 2006-06-19 2006-06-19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426U KR200429727Y1 (ko) 2006-06-19 2006-06-19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727Y1 true KR200429727Y1 (ko) 2006-10-26

Family

ID=4177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426U KR200429727Y1 (ko) 2006-06-19 2006-06-19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7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1357C2 (ru) Экстрактор для соков
KR101167274B1 (ko) 착즙기
CN208625492U (zh) 一种超声波果蔬清洗机
KR101257441B1 (ko)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KR102254613B1 (ko) 세척을 위한 트레이를 포함하는 패킹 구조체
KR101389959B1 (ko) 착즙기의 동력전달 구조
KR200429727Y1 (ko) 야채 세척기의 구동장치
CN111438854A (zh) 一种塑料餐盒的回收加工装置
KR200439290Y1 (ko) 보조통을 구비한 야채 세척기
CN109178721A (zh) 一种市政建设废旧衣物回收箱
KR200425390Y1 (ko) 야채 세척기의 배수장치
US5305685A (en) Grounds removal centrifuge
CN205018171U (zh) 一种蔬菜脱水器
CN213282785U (zh) 一种电动拖把清洗桶
KR20090081819A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탈수장치
KR200416666Y1 (ko) 구근 탈피기
CN102716817B (zh) 一种离心装置及其离心杯
CN112575516A (zh) 一种可自适应调节漂洗及脱水强度的洗衣装置
KR101310822B1 (ko) 측면에서 착즙 통을 결합시킬 수 있는 본체를 갖는 착즙기
CN202619597U (zh) 一种水桶
KR200166278Y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탈수통의 고정장치
CN206006866U (zh) 一种电烹饪器具
KR200272873Y1 (ko) 야채 자동 세척, 탈수기
CN106580114B (zh) 电饭煲盖与桶的结合装置
CN102273993A (zh) 一种拖把自动清洗和脱干的方法及实施该方法的双筒拖把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