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544Y1 -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544Y1
KR200429544Y1 KR2020060014478U KR20060014478U KR200429544Y1 KR 200429544 Y1 KR200429544 Y1 KR 200429544Y1 KR 2020060014478 U KR2020060014478 U KR 2020060014478U KR 20060014478 U KR20060014478 U KR 20060014478U KR 200429544 Y1 KR200429544 Y1 KR 200429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hargeable battery
sides
battery
charger
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수
Original Assignee
김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수 filed Critical 김윤수
Priority to KR2020060014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5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5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야외에서 외부기기에 전원공급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외부단자가 충전장치의 표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그 하단에 충전용 배터리를 장착하고 밴드등으로 결합 및 체결하여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충전용 배터리의 수명이 소진된 경우 간단하게 충전기 본체로 부터 충전용 배터리를 분리하고 새로운 충전용 배터리를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인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사각형상으로 상면 중앙에는 손잡이(10)가 그 전방 양측에는 전원스위치(11)와 점멸등(1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 양측면에는 각각 체결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13) 상단에는 배터리충전단자(14)와 핸드폰 등의 충전을 위한 외부단자(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양측면에서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외부기기를 연결 가능토록 다수개의 외부단자(16)가 구비된 상태에서 저면 전방 양측에는 출력단자(17)가 구비된 충전기 본체(1)와, 상기 충전기 본체(1)의 출력단자(17)와 대응되어 충전 가능하도록 상면 전방 양측에는 입력단자(20)가 구비된 충전용 배터리(2)와, 상기 충전기 본체(1) 저면에 충전용 배터리(2)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2)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충전용 배터리(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양단에는 결합공(30)이 각각 형성되어 결합공(30)과 상기 체결공(13)을 볼트(V) 등으로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 밴드(3)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출력단자(17)는 저면 양측에 각각 복수개가 형성되어 충전용 배터리(2)에 형성된 입력단자(20)의 폭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는 충전용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손상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할 경우 기존과 달리 상기 밴드 양단에 구비된 볼트를 해지하여 간편하고 편리하게 충전용 배터리의 교체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휴대가 편리하여 야외에서 외부기기의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충전기 본체, 충전용 배터리, 밴드.

Description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An electric charging battery combination and separation type carrying along electric charging equipment}
도 1은 본 고안인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충전기 본체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충전기 본체 2 : 충전용 배터리
3 : 밴드 10 : 손잡이
11 : 전원스위치 12 : 점멸등
13 : 체결공 14 : 배터리충전단자
15 : 외부단자 16 : 외부단자
17 : 출력단자 20 : 입력단자
30 : 결합공 V : 볼트
본 고안은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야외에서 외부기기에 전원공급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외부단자가 충전장치의 표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그 하단에 충전용 배터리를 장착하고 밴드등으로 결합 및 체결하여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충전용 배터리의 수명이 소진된 경우 간단하게 충전기 본체로 부터 충전용 배터리를 분리하고 새로운 충전용 배터리를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전자 및 전기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등을 콘센트에 꽂아 전원을 공급받아 다양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나,
야외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충전용 배터리를 이용하여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장치가 충전용 배터리 충전장치인 것이다.
이와 같은 충전용 배터리 충전장치에 장착되는 충전용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200회정도의 충전으로 그 수명을 다하는 것으로서 수명이 소진된 즉, 방전된 충전용 배터리는 교체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충전용 배터리 충전장치의 경우에는 대부분인 박스형상으로 충전기 본체 내에 충전용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된 것으로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수명이 종료될 경우에는 별도의 공구등을 이용하여 충전기 본체를 개방한 후 장착된 충전용 배터리의 해지등으로 인하여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충전기 본체 내부에 충전용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으므로서 충전기 본체를 개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그 내부에 장착된 충전용 배터리를 탈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등등 기존의 충전용 배터리 충전장치는 충전용 배터리의 교체함에 있어 작업자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전자회로를 결손시키게 되므로, 자연방전이 가속되는 현상은 물론, 이로인한 사용 수명단축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본 고안인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는 충전용 배터리의 수명이 종료되거나 또는 충전용 배터리의 손상 등으로 충전기 본체로 부터 충전용 배터리를 탈거시키고 새로운 충전용 배터리를 장착함에 있어 간편하고 편리하게 교체 가능하도록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으며,
또한, 충전기 본체에 장착되는 충전용 배터리에 있어서 충전용 배터리마다 입력단자간의 간격의 상이함으로 인한 호환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입력단자간의 간격이 상이한 충전용 배터리로 호환성을 갖추도록 함으로서 충전용 배터리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함에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인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사각형상으로 상면 중앙에는 손잡이가 그 전방 양측에는 전원스위치와 점멸등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 양측면에는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 상단에는 배터리충전단자와 핸드폰 등의 충전을 위한 외부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양측면에서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외부기기를 연결 가능토록 다수개의 외부단자가 구비된 상태에서 저면 전방 양측에는 출력단자가 구비된 충전기 본체와, 상기 충전기 본체의 출력단자와 대응되어 충전 가능하도록 상면 전방 양측에는 입력단자가 구비된 충전용 배터리와, 상기 충전기 본체 저면에 충전용 배터리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양단에는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결합공과 상기 체결공을 볼트 등으로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 밴드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출력단자는 저면 양측에 각각 복수개가 형성되어 충전용 배터리에 형성된 입력단자의 폭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제공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에 있어서 충전기 본체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지시부호 1은 충전기 본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충전기 본체(1)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그 형상은 다양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충전기 본체(1) 상면 중앙에는 손잡이(10)가 형성되어 있어 운반이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 상기 손잡이(1) 전방 양측에는 전원스위치(11)와 점멸등(12)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이나 기타 외부기기로의 전원 공급에 사용되며 점멸등(12)의 경우에는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충전기 본체(1)의 전후 양측면에는 각각 체결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13) 상단에는 배터리충전단자(14)와 핸드폰 등의 충전을 위한 외부단자(15)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충전기 본체(1)의 좌우 양측면에서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외부기기를 연결 가능토록 다수개의 외부단자(16)가 구비된 상태에서 저면 전방 양측에는 출력단자(17)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출력단자(17)의 경우 저면 양측에 각각 복수개가 형성되어 충전용 배터리(2)에 형성된 입력단자(20)의 폭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지시부호 2는 충전용 배터리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2)는 상기 충전기 본체(1)의 출력단자(17)와 대응되어 충전 가능하도록 상면 전방 양측에는 입력단자(2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단자(20)를 출력단자(17)에 체결한 후 배터리충전단자(14)에 플러그를 꽂아 전원을 공급하면 일정시간 후에 점멸등(12)에 충전상태 즉, 충전이 완성되었는지 불완성되었는지 여부를 서로 다른 불빛으로 식별가능하게 함으로서 충전용 배터리(2)의 충전상태를 알 수 있고 상기 충전용 배터리(2)에 형성된 입력단자(20)간의 폭이 충전용 배터리마다 상이한 경우 이에 따른 충전용 배터리(2)의 호환성을 넓히기 위하여 상기 충전기 본체(1)에 형성된 상기 출력단자(17)의 저면 양측에 각각 복수개가 형성되어 충전용 배터리(2)에 형성된 입력단자(20)의 폭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지시부호 3은 밴드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밴드(3)는 플렉시블한 재질일 수도 있고 기타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밴드(3)는 충전기 본체(1) 저면에 충전용 배터리(2)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2)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충전용 배터리(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양단에는 결합공(30)이 각각 형성되어 결합공(30)과 상기 체결공(13)을 볼트(V) 등으로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서 충전기 본체로 부터 충전용 배터리를 분리키 위해서는 기존과 달리 충전기 본체를 개방할 필요가 없이 바로 상기 밴드의 양단에 형성된 볼트만 해지하면 충전기 본체로 부터 충전용 배터리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탈거시킬 수 있으며 체결시에는 상기 충전기 본체의 출력단자와 충전용 배터리의 입력단자를 체결한 후 밴드를 결합하고 상기 밴드 양단에 형성된 결합공과 충전기 본체에 형성된 체결공을 일치시킨 후 볼트 등으로 체결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는 충전용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손상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할 경우 기존과 달리 상기 밴드 양단에 구비된 볼트를 해지하여 간편하고 편리하게 충전용 배터리의 교체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휴대가 편리하여 야외에서 외부기기의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사각형상으로 상면 중앙에는 손잡이(10)가 그 전방 양측에는 전원스위치(11)와 점멸등(1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 양측면에는 각각 체결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13) 상단에는 배터리충전단자(14)와 핸드폰 등의 충전을 위한 외부단자(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양측면에서 일측면에는 다수개의 외부기기를 연결 가능토록 다수개의 외부단자(16)가 구비된 상태에서 저면 전방 양측에는 출력단자(17)가 구비된 충전기 본체(1)와,
    상기 충전기 본체(1)의 출력단자(17)와 대응되어 충전 가능하도록 상면 전방 양측에는 입력단자(20)가 구비된 충전용 배터리(2)와,
    상기 충전기 본체(1) 저면에 충전용 배터리(2)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2)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충전용 배터리(2)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양단에는 결합공(30)이 각각 형성되어 결합공(30)과 상기 체결공(13)을 볼트(V) 등으로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 밴드(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자(17)는 저면 양측에 각각 복수개가 형성되어 충전용 배터리(2)에 형성된 입력단자(20)의 폭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
KR2020060014478U 2006-05-30 2006-05-30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 KR200429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478U KR200429544Y1 (ko) 2006-05-30 2006-05-30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478U KR200429544Y1 (ko) 2006-05-30 2006-05-30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544Y1 true KR200429544Y1 (ko) 2006-10-24

Family

ID=4177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478U KR200429544Y1 (ko) 2006-05-30 2006-05-30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54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873B1 (ko) 2012-12-06 2014-06-24 정덕현 휴대단말 충전장치
KR101542903B1 (ko) 2013-12-06 2015-08-07 신호테크 주식회사 구조변경과 이동이 용이한 비상전원공급장치
KR20220124477A (ko) 2021-03-03 2022-09-14 (주)코미트 리튬이온배터리 카트리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873B1 (ko) 2012-12-06 2014-06-24 정덕현 휴대단말 충전장치
KR101481120B1 (ko) 2012-12-06 2015-01-14 (주)유니크맥스 컨텐츠 표시가 가능한 휴대단말 충전장치
JP2016508015A (ja) * 2012-12-06 2016-03-10 チョン ド ギョンJEONG, Deok Hyeon 携帯端末充電装置
KR101542903B1 (ko) 2013-12-06 2015-08-07 신호테크 주식회사 구조변경과 이동이 용이한 비상전원공급장치
KR20220124477A (ko) 2021-03-03 2022-09-14 (주)코미트 리튬이온배터리 카트리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8320B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电池和便携式电话电池的充电设备
HK1096743A1 (en) Battery charger for porta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20090026843A1 (en) Portable apparatus of emergency power supply and battery charger
CN202424278U (zh) 一种多用途充电器
WO2003096513A1 (fr) Système à dispositifs sans cordon
US20090140689A1 (en) Solar charger
US10862176B2 (en) Portable rechargeable battery pack with a selectable battery switch and state of charge display for cordless power tools
US20070279000A1 (en) Plug in power adapter and/or battery pack for cordless tools
KR200429544Y1 (ko)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
CN101106282A (zh) 便携式大容量电源装置
KR200428346Y1 (ko) 충전용 배터리의 착탈이 용이한 휴대용 충전장치
CN102157969B (zh) 一种便携式充电装置
CN201868533U (zh) 一种可充放电控制电池、嵌套电池及一种电动剃须刀
WO2002041464A3 (en) High capacity compact power source
JP2006340114A (ja)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用の内蔵電池パック及び携帯電話機用の補助電源
US20210184277A1 (en) Battery pack system with integrated charging device
US7583054B1 (en) Portable power supply and recharging apparatus
KR20150106296A (ko) 휴대 단말기용 보조 배터리
KR102269644B1 (ko) Usb 충전식 건전지
FR2804800B1 (fr) Bloc batterie li-ion pouvant etre charge par un chargeur alcalin
CN204793462U (zh) 一种多功能便携式插座
KR200199327Y1 (ko) 태양전지가 부착된 배터리
EP4374737A1 (en) Base for placing grinders
JP3081161U (ja) 情報携帯端末用の二次電池一体型充電器
KR20120007003U (ko) 휴대폰 충전용 보조 배터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