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104Y1 -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104Y1
KR200429104Y1 KR2020060020805U KR20060020805U KR200429104Y1 KR 200429104 Y1 KR200429104 Y1 KR 200429104Y1 KR 2020060020805 U KR2020060020805 U KR 2020060020805U KR 20060020805 U KR20060020805 U KR 20060020805U KR 200429104 Y1 KR200429104 Y1 KR 200429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transistor
light emitting
voltage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훈
Original Assignee
황석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석훈 filed Critical 황석훈
Priority to KR2020060020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1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1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용교류전원(AC220V) 입력단에 2개의 전압강하용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콘덴서의 후단부에 콘덴서에 의해 전압강하된 전압을 정류하는 브릿지다이오드를 연결하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에서 정류되어 출력된 전압으로 구동하여 복수개의 점등용 발광다이오드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트랜지스터를 출력단에 연결하되, 상기 발광다이오드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하도록 트랜지스터와 브릿지 다이오드의 사이에 전류제한용 저항을 연결하므로서, 간단한 전원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저렴한 제조원가에도 불구하고 부하측으로 200mA 까지 충분히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통해 조명용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10개까지 무리없이 장시간 구동시킬 수 있고, 또한 기존의 SMPS 방식보다 저렴하면서도 낙뢰 또는 노이즈로부터 안전한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기구, 전원공급장치, 낙뢰, 노이즈, 콘덴서, 트랜지스터,

Description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Power supply device}
도 1 은 본 고안의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를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콘덴서, R: 저항,
Q: 트랜지스터, LED: 발광다이오드,
BD: 브릿지 다이오드,
본 고안은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전원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저렴한 제조원가에도 불구하고 부하측으로 200mA 까지 충분히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통해 조명용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10개까지 무리없이 장시간 구동시킬 수 있고, 또한 기존의 SMPS 방식보다 저렴하면서도 낙뢰 또는 노이즈로부터 안전한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조명장치로서 고휘도 발광다이오드(LED), 백열전구 등을 이용한 다양한 조명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에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해주는 전원공급장치가 필수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조명장치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는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원(AC220V)을 DC3.3V 정도로 다운시켜 공급하면서 다수의 램프류(백열전구,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등) 장시간 동안 점등시킬 수 있도록 약 200mA 이상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어야만 하고, 낙뢰 또는 노이즈로부터 안전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조명기구용 전원공급장치는 대부분이 100mA 정도밖에 전류를 공급하지 못하여 다수의 램프류를 장시간 동안 작동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고, 낙뢰 또는 노이즈에 취약하여 전원공급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부 현장에서는 상기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낙뢰와 노이즈에 강하면서 높은 전류(200mA)를 램프류로 공급할 수 있는 고가의 SMPS(Switch Mode Power Supply)를 구매하여 조명기구에 설치하고 있는데, 고가의 SMPS를 사용할 경우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용교류전원(AC220V) 입력단에 2개의 전압강하용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콘덴서의 후단부에 콘덴서에 의해 전압강하된 전압을 정류하는 브릿지다이오드를 연결하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에서 정류되어 출력된 전압으로 구동하여 복수개의 점등용 발광다이오드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트랜지스터를 출력단에 연결하되, 상기 발광다이오드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하도록 트랜지스터와 브릿지 다이오드의 사이에 전류제한용 저항을 연결하므로서, 간단한 전원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저렴한 제조원가에도 불구하고 부하측으로 200mA 까지 충분히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통해 조명용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10개까지 무리없이 장시간 구동시킬 수 있고, 또한 기존의 SMPS 방식보다 저렴하면서도 낙뢰 또는 노이즈로부터 안전한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상용교류전원(AC220V) 입력단에 2개의 전압강하용 콘덴서(C1,C2)를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콘덴서(C1,C2)의 후단부에 콘덴서(C1,C2)에 의해 전압강하된 전압을 정류하는 브릿지다이오드(BD1)를 연결하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BD1)에서 정류되어 출력된 전압으로 구동하여 복수개의 점등용 발광다이오드(LED)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트랜지스터(Q1,Q2)를 출력단에 연결하되, 상기 발광다이오드(LED)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하도록 트랜지스터(Q1,Q2)와 브릿지 다이오드(BD1)의 사이에 전류제한용 저항(R3)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용교류전원(AC220V)이 입력되면 2개의 전압강하용 콘덴서(C1,C2)가 상용교류전원을 1차 감압하여 브릿지 다이오드(BD1)로 공급하고,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BD1)는 콘덴서(C1,C2)에서 전압강하된 교류전압을 정류하여 DC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BD1)에서 정류된 DC전압에 의해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1,Q2)가 구동하여 부하측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조명용 고휘도 발광다이오드(LED)에 공급하여 점등시키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 같이 고휘도 발광다이오드(LED)로 전압이 공급될때 상기 트랜지스터(Q1,Q2)와 브릿지 다이오드(BD1)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저항(R3)은 발광다이오드(LED)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 한다.
상기와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의 전원공급장치는 전원 입력단에 대용량의 콘덴서(C1,C2)를 연결하여 낙뢰 또는 노이즈에 강할 뿐만 아니라 콘덴서(C1,C2)를 이용하여 전압강하시켜 부하측으로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부하측으로 200mA 이상의 전류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게되므로 10개 이상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던 SMPS에 비해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저렴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줄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용교류전원(AC220V) 입력단에 2개의 전압강하용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콘덴서의 후단부에 콘덴서에 의해 전압강하된 전압을 정류하는 브릿지다이오드를 연결하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에서 정류되어 출력된 전압으로 구동하여 복수개의 점등용 발광다이오드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트랜지스터를 출력단에 연결하되, 상기 발광다이오드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하도록 트랜지스터와 브릿지 다이오드의 사이에 전류제한용 저항을 연결하므로서, 간단한 전원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저렴한 제조원가에도 불구하고 부하측으로 200mA 까지 충분히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통해 조명용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10개까지 무리없이 장시간 구동시킬 수 있고, 또한 기존의 SMPS 방식보다 저렴하면서도 낙뢰 또는 노이즈로부터 안전한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상용교류전원(AC220V) 입력단에 2개의 전압강하용 콘덴서(C1,C2)를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콘덴서(C1,C2)의 후단부에 콘덴서(C1,C2)에 의해 전압강하된 전압을 정류하는 브릿지다이오드(BD1)를 연결하며,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BD1)에서 정류되어 출력된 전압으로 구동하여 복수개의 점등용 발광다이오드(LED)로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트랜지스터(Q1,Q2)를 출력단에 연결하되, 상기 발광다이오드(LED)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하도록 트랜지스터(Q1,Q2)와 브릿지 다이오드(BD1)의 사이에 전류제한용 저항(R3)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
KR2020060020805U 2006-08-03 2006-08-03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 KR200429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805U KR200429104Y1 (ko) 2006-08-03 2006-08-03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805U KR200429104Y1 (ko) 2006-08-03 2006-08-03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104Y1 true KR200429104Y1 (ko) 2006-10-17

Family

ID=4177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805U KR200429104Y1 (ko) 2006-08-03 2006-08-03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10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073B1 (ko) 2008-09-08 2010-12-21 (주) 파워에이앤디 조명용 led의 정전류 제어장치
KR101042090B1 (ko) 2009-10-01 2011-06-16 박이현 정전류 회로를 갖는 교류 발광다이오드 회로
KR101266932B1 (ko) * 2011-07-13 2013-05-28 주식회사 디에스이 엘이디 전구 전원 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073B1 (ko) 2008-09-08 2010-12-21 (주) 파워에이앤디 조명용 led의 정전류 제어장치
KR101042090B1 (ko) 2009-10-01 2011-06-16 박이현 정전류 회로를 갖는 교류 발광다이오드 회로
KR101266932B1 (ko) * 2011-07-13 2013-05-28 주식회사 디에스이 엘이디 전구 전원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1794B2 (ja) Led照明用アタッチメント
US20110169408A1 (en) Circuit structure of light-emitting diode (led) lamp
US20130057146A1 (en) Concentrated light emitting device
TWI432672B (zh) 發光二極體燈管與應用其之發光二極體燈具
US20110006703A1 (en) Light emitting diode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current
US9265114B2 (en) Driver circuit for solid state light sources
US8093819B2 (en) Flashing light string
US20100102735A1 (en) Led light string with zener diodes or resistors as shunts
CN104206019A (zh) 包括高效光装置的灯
US10136483B2 (en) Solid-state lighting with auto-select settings for line voltage and ballast voltage
US20070008721A1 (en) Light string having alternating current light-emitting diodes
US20100148694A1 (en) LED light string with capacitor based rectifier filter for increasing output voltage
US9844123B2 (en) Solid-state lighting operable with ballasts and line voltages without ambiguity
US8044599B2 (en) Light string with alternate LED lamps and incandescent lamps
US20090284159A1 (en) Decorative light string device
EP2838318A1 (en) Lighting circuit and luminiare
JP2012104466A (ja) 発光素子を使用した蛍光灯回路
KR200429104Y1 (ko) 조명기구용 전원 공급장치
JP2009272088A (ja) 一般用蛍光灯照明器具に取り付け可能なledランプ
US8564222B2 (en) Lighting device controlling circuit module
US20100315014A1 (en) LED light string
KR101061222B1 (ko) Led조명장치
JP6202419B2 (ja) 照明器具
US20120217902A1 (en) Full-voltage ac led module
JP2012160284A (ja) Led点灯装置、照明装置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