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068Y1 - 골프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068Y1
KR200429068Y1 KR2020060020101U KR20060020101U KR200429068Y1 KR 200429068 Y1 KR200429068 Y1 KR 200429068Y1 KR 2020060020101 U KR2020060020101 U KR 2020060020101U KR 20060020101 U KR20060020101 U KR 20060020101U KR 200429068 Y1 KR200429068 Y1 KR 200429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head
golf
golf club
cl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빈
Original Assignee
한용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빈 filed Critical 한용빈
Priority to KR2020060020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0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0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클럽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클럽을 스윙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때 골프공에 가해지는 타격력을 증대시켜 골프공의 비거리를 향상시키고 방향성을 향상시킬 수 킬 수 있는 골프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골프공을 타격하는 골프클럽은 타격면이 형성된 헤드를 구비한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연통관을 삽입하고 상기 연통관의 내부에는 유동오일을 일부 충진한 무게가중부를 내설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우드클럽을 스윙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때 헤드가 골프공에 임팩트하는 순간 무게 가중부의 오일이 골프공과 임팩트되는 부분에 몰리게 되어 골프공에 강한 충격을 주어 비거리를 향상시키고 골프공과 임팩트하는 부분에 헤드의 무게중심이 옮겨 지도록 유동오일이 이동하여 골프공이 방향의 빗나가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클럽 헤드{GOLFCLUB HEAD}
도 1은 종래의 골프클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클럽 헤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클럽 헤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클럽 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클럽 헤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클럽 헤드의 정확한 타격시 무게 가중부의 오일 유동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클럽 헤드의 부정확한 타격시 무게 가중부의 오일 유동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삽입홈 11 : 연통관
12 : 유동오일 13 : 무게가중부
본 고안은 골프클럽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클럽을 스윙 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때 골프공에 가해지는 타격력을 증대시켜 골프공의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정확한 타격시에도 헤드의 무게 중심을 타격부분으로 이동시켜 골프공의 방향성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골프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클럽은 크게 나누어 우드클럽(Wood Club), 아이언 클럽(Iron Club), 퍼터(Putter) 3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골프클럽 중 장거리샷을 위한 클럽인 우드클럽은 드라이버와 페어웨이로 나누어지며, 샷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클럽인 아이언클럽은 긴 아이언, 중간 아이언, 짧은 아이언으로 나누어 진다.
또한, 필드의 그린 위에서 사용하는 퍼터클럽은 골프공을 강하게 타격하기 보다는 골프공을 정교하게 굴리는데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골프클럽의 전형적인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부재 번호 1은 손잡이, 2는 샤프트, 3은 헤드를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클럽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스윙을 할 수 있도록 상단에 손잡이(1)를 형성하고 손잡이(1)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2)와 상기 샤프트(2)의 하단으로는 골프공을 타격 하는 타격면을 형성한 헤드(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헤드의 타격면은 수직에 가까운 기울기를 형성하여 스윙을 하는 순간 헤드가 회전하면서 골프공을 타격하여 골프공이 가장 멀리 날아가도록 타격면의 중심점은 헤드의 무게 중심점과 일치한다.
이와 같이 골프클럽 헤드의 타격면 무게중심점에 골프공을 정확히 맞춰야 골 프공의 방향성을 정확도를 높이고 비거리를 멀리할 수 있으며 타격면의 중심점을 맞추지 못하면 골프공이 임의 궤도로 날아가지 못하고 훅이나 슬라이스가 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따라서, 초보자는 골프공의 정확도나 먼 비거리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골프공의 비거리를 멀리하기 위해서는 헤드가 골프공에 임팩트하는 순간 강한 충격을 주기 위하여 헤드의 무게를 무겁게 하거나 헤드의 타격중심에 중량을 높였으나 헤드가 무거울 경우 스윙 자세가 문제가 되었으며 타격중심에만 중량을 높일 경우에는 타격중심점에 골프공을 정확히 맞춰야만 골프공의 정확도나 비거리가 향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우드클럽을 스윙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때 헤드가 골프공에 임팩트하는 순간 무게 가중부의 오일이 골프공과 임팩트되는 부분에 몰리게 되어 골프공에 강한 충격을 주어 비거리를 향상시키고 골프공과 임팩트하는 부분에 헤드의 무게중심이 옮겨 지도록 유동오일이 이동하여 부정확한 타격에도 공프공의 방향을 일정하게 진행 할 수 있는 골프클럽 헤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골프공을 타격하는 골프클럽은 타격면이 형성된 헤드를 구비한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에 연통관을 삽입하고 상기 연통관의 내부에는 유동오일을 일부 충진한 무게 가중부를 내설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삽입홈과 연통관은 타격면 중심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며 또한 상기 삽입홈을 헤드의 저면에 형성하고 연통관을 착탈 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클럽 헤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골프클럽 헤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클럽 헤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클럽 헤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골프클럽 헤드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와 상기 손잡이(1)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2)와 상기 샤프트(2)의 하단으로는 골프공을 타격하는 헤드(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골프클럽의 헤드(3) 내측에는 삽입홈(10)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10)에는 임팩트시 골프공에 헤드의 무게를 가중시킬 수 있는 무게 가중부(13)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무게 가중부(13)는 헤드(3)의 삽입홈(10)에 삽입되는 연통관(11)을 삽입하고 상기 연통관(11)의 내부에는 유동오일(12)을 일부 충진 한다.
상기와 같은 무게 가중부(13)는 삽입홈(10)과 연통관(11)의 형상을 타격 면(4) 중심측으로 만곡되게 형성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0)과 연통관(11)의 형상을 삼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삼각형의 꼭지점이 타격면(4)의 중심축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10)을 헤드(3)의 저면에 형성하고 연통관(11)을 접착 또는 억지끼움식으로 착탈 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골프클럽을 스윙하면 헤드(3)가 회전되면서 헤드(3)의 원심력을 골프공(G)에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골프클럽을 스윙할 때에는 무게 가중부(13)의 연통관(11) 내에 충진된 유동오일(12)이 타격면(4)의 반대측으로 몰리며 헤드(3)의 타격면(4)이 골프공(G)에 임팩트 할 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격히 타격면(4)으로 쏠리면서 골프공(G)에 가해지는 타격력을 가중시켜 골프공의 비거리를 늘려준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가 골프공을 타격할 때 헤드(3)의 타격면(4) 중앙에서 조금 벗어 나더라도 상기 유동오일(12)은 골프공과 임팩트되는 부분으로 몰리게 되어 골프공과 임팩트되는 헤드(3) 부분에 무게 중심을 두게 되어 골프공을 일정한 방향으로 타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우드클럽을 스윙하여 골프공을 타격할 때 헤드가 골프공에 임팩트하는 순간 무게 가중부의 오일이 골프공과 임팩트되는 부분에 몰리게 되어 골프공에 강한 충격을 주어 비거리를 향상시키고 골프공과 임 팩트하는 부분에 헤드의 무게중심이 옮겨 지면서 헤드에 골프공이 정확히 맞지 않더라도 골프공의 진행 방향의 일정하게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격면(4)이 형성된 헤드(3)를 구비한 골프클럽에 있어서,
    상기 헤드(3)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10)에 연통관(11)을 삽입하고 상기 연통관(11)의 내부에는 유동오일(12)을 일부 충진한 무게가중부(13)를 내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헤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0)과 연통관(11)은 타격면(4) 중심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헤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0)을 헤드(3)의 저면에 형성하고 연통관(11)을 착탈 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클럽헤드.
KR2020060020101U 2006-07-25 2006-07-25 골프클럽 헤드 KR200429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01U KR200429068Y1 (ko) 2006-07-25 2006-07-25 골프클럽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01U KR200429068Y1 (ko) 2006-07-25 2006-07-25 골프클럽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068Y1 true KR200429068Y1 (ko) 2006-10-17

Family

ID=4177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101U KR200429068Y1 (ko) 2006-07-25 2006-07-25 골프클럽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0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77Y1 (ko) * 2018-04-19 2018-10-22 진경만 비거리 증가 골프클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677Y1 (ko) * 2018-04-19 2018-10-22 진경만 비거리 증가 골프클럽
WO2019203506A1 (ko) * 2018-04-19 2019-10-24 진경만 비거리 증가 골프클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266B2 (en) Golf club
US5839973A (en) Golf club head with enlarged hosel
KR101125246B1 (ko) 개량된 헤드 구조에 의해 퍼팅의 방향과 거리의 정확도 향상에 도움을 주는 골프 퍼터
US5947838A (en) Golf club and shaft for improved golf swing
US20050261080A1 (en) Putter head
US20080009365A1 (en) Golf Club
US20050064949A1 (en) Golf club
KR200487187Y1 (ko) 직진성 개선 구조를 이루는 퍼터 헤드
KR200429068Y1 (ko) 골프클럽 헤드
KR200376169Y1 (ko) 연습용 골프클럽
KR200445545Y1 (ko) 골프 퍼터
US20070066419A1 (en) Wood-type golf club
KR200429070Y1 (ko) 골프클럽 헤드
KR100423847B1 (ko) 골프 퍼터
KR101027652B1 (ko) 연습용 골프클럽
KR200299155Y1 (ko) 강선을 갖는 골프 퍼터
KR200429067Y1 (ko) 골프클럽 아이언 헤드
KR200403038Y1 (ko) 골프 퍼터
KR101139924B1 (ko) 골프 퍼터
KR200456852Y1 (ko) 골프용 퍼터
US20030036440A1 (en) Impact point development for golf clubs
KR200323615Y1 (ko) 골프 퍼터
KR200237894Y1 (ko) 골프용 경사확인장치
US20220105409A1 (en) Putting alignment training device
KR200314281Y1 (ko) 퍼터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