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865Y1 - Improved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Self Dispensing Device for Gift Certificate - Google Patents

Improved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Self Dispensing Device for Gift Certific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865Y1
KR200428865Y1 KR2020060020581U KR20060020581U KR200428865Y1 KR 200428865 Y1 KR200428865 Y1 KR 200428865Y1 KR 2020060020581 U KR2020060020581 U KR 2020060020581U KR 20060020581 U KR20060020581 U KR 20060020581U KR 200428865 Y1 KR200428865 Y1 KR 200428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edestal
fixing
pai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58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홍
Original Assignee
김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홍 filed Critical 김태홍
Priority to KR2020060020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86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86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현금 자동 입출기 및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a gift voucher.

본 고안에 따른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며, 개폐가 가능한 전방 도어 부재; 상기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며, 개폐가 가능한 후방 도어 부재;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되며, 현금 또는 상품권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 상기 수용 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가능한 받침대; 및 받침대의 상부 표면 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받침대를 상기 본체와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그 하단 측면 부분에 복수개의 회전체가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그 저면부에 복수개의 이동부재가 제공되되,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는 각각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받침대에 장착하는 장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utomatic cash dispenser or 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A front door memb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rear door member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receptacle built in the main body and accommodating cash or gift certificates; A movable pedestal that supports the receiving container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a fixing device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th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pedestal with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pair of sliding members having a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installed in the lower side surface thereof. The pedesta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members at its bottom, and the plurality of moving members each include a rotating member and a moun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rotating member and mounted on the pedestal.

본체, 수용 용기, 받침대 Body, storage container, pedestal

Description

개선된 현금 자동 입출기 및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Improved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Self Dispensing Device for Gift Certificate}Improved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Self Dispensing Device for Gift Certificat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sh dispenser or 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받침대가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cash dispenser or 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pedestal is fixed to the main body.

도 3은 받침대가 본체와 이격되어 있는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teller machine or a 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pedestal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에 사용되는 받침대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base used in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or gift voucher unmanned pay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받침대에 부착된 이동 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ving member attached to the pedestal shown in FIG.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받침대에 부착된 이동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ving member attached to the pedestal shown in FIG.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의 하단부에 제공되는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the support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or gift voucher unmanned pay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개선된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종래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 내의 현금 또는 상품권 수용 용기를 지지하는 이동 가능한 받침대를 구비하여, 보수 유지가 용이하고, 제품 사이즈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제조 비용이 저감되며, 필요에 따라 현금 자동 입출기 및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 자체가 이동 가능한 개선된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cash dispenser or gift voucher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vable pedestal for supporting a cash or gift voucher container in a conventional automatic teller machine or a gift voucher, so that maintenance is easy, product size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manufacturing costs are reduc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cash dispenser or gift voucher unattended payment device, which is reduced and, if necessary, the cash dispenser and the gift certificate autonomous payment device itself are movable.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현금 자동 입출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금 장치는 본체 내부에 현금 또는 상품권을 수용하는 용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현금 또는 상품권 수용 용기는 통상적으로 본체의 측면에서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직접 연결되어 있다. 또한, 현금 또는 상품권 수용 용기는 현금 또는 상품권이 모두 소진되어 다시 채워 넣거나 또는 보수 유지를 위해 본체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수용 용기 전체가 본체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Automated Teller Machines (ATMs) or Gift Certificate Unmanned Machines currently commonly used now have a container for receiving cash or gift certificates inside the body. Such cash or gift certificate receptacles are typically slidably connected directly to the body on the side of the body. In addition, the cash or gift voucher container should be refilled with all the cash or gift voucher exhausted or the entire container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for maintenance.

상술한 종래 기술의 현금 자동 입출기(ATM)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금 장치의 구체적인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A specific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or gift voucher unattended now device is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현금 자동 입출기(ATM)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금 장치(100)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 내부에 내장되며, 현금 또는 상품권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120); 상기 수용 용기(120)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한 쌍의 하부 레일(130); 상기 본체(110)의 하부면에 고정 부착되며, 상기 본체(110)를 바닥면에 고정 부착시키는 고정부(140)로 구성된다. 또한, 수용 용기(120)는 본체(110)와 한 쌍의 측면 레일(150)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측면 레일(150)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한 쌍의 측면 레일(150) 중 좌측 측면 레일(150)은 미도시되어 있으며, 우측 측면 레일(150)은 수용 요기(120)에 부착된 측면 레일(150a) 및 본체(110)에 부착된 측면 레일(150b)로 구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ATM or gift certificate unmanned now device 100 of the prior art includes a main body 110; An accommodation container 120 embedded in the main body 110 to accommodate cash or gift certificates; A pair of lower rails 130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container 120; It is fixed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consists of a fixing portion 140 for fixedly attaching the main body 110 to the bottom surface. In addition, the housing container 12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by a pair of side rails 150, and can be slidably moved in the side rail 150 direction. Among the pair of side rails 150, the left side rail 150 is not shown, and the right side rail 150 is a side rail 150a attached to the receiving yoke 120 and a side attached to the main body 110. It consists of the rail 150b.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현금 자동 입출기(ATM)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금 장치(100)에서는, 현금 또는 상품권이 모두 소진되어 다시 채워넣거나 또는 보수 유지를 위해서는, 본체(11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본체의(110)의 일부인 전면 패널 또는 후면 패널(미도시)을 개방한 후, 수용 용기(120)를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 때, 수용 용기(120)는 한 쌍의 측면 레일(15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하부 레일(130)은 이러한 측면 방향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In the ATM or gift certificate unmanned present apparatus 100 of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the cash or gift certificate is exhausted and refilled or maintained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After opening the front panel or the rear panel (not shown) which is part of the body 110, the receiving container 120 must be moved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At this time, the receiving container 120 is moved along the pair of side rails 150, and the lower rail 130 has a function for smoothing the lateral movement.

그러나, 통상적으로 현금 또는 상품권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120)의 무게는 대략 50 내지 100Kg으로 상당히 무거우며, 이러한 무거운 수용 용기(120)는 본체(110)의 측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본체(110)에서 거의 벗어난 상태에서 본체(110)와 결합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수용 용기(120)가 본체(110)에서 거의 벗어난 경우 하부 레일(130)도 본체(110)에서 거의 벗어난 상태이므로, 하부 레일(130)은 수용 용기(12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수용 용기(120)는 측면 레일(150)에 의해서만 지지되어야 하므로, 본체(110)에 부착된 측면 레일(150b)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용 용기(120)에 부착된 측면 레일(150a)의 후측 방향 레일 부분이 충분한 길어야 한다. 그 결과, 본체(110)의 사이즈가 커져야 하므로, 현금 자동 입출기(ATM)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금 장치(100) 자체가 커져서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공간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the weight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120, which typically accommodates cash or gift certificates, is quite heavy, approximately 50 to 100 kg, and this heavy accommodating container 120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to It should be kept in a state of coupling with the main body 110 in an almost deviated state. However, when the receiving container 120 is almost out of the main body 110, the lower rail 130 is also almost out of the main body 110, and thus the lower rail 130 may not support the weight of the receiving container 120. . Therefore, in this state, since the housing container 120 should be supported only by the side rails 150, the side rails attached to the receiving container 120 slidably coupled to the side rails 150b attached to the main body 110. The rearward rail portion of 150a should be long enough. As a result, since the size of the main body 110 needs to be increased, the ATM or the gift certificate unmanned now device 100 itself becomes large, which not only increases costs but also takes up a large space, resulting in low space efficiency. Occurs.

또한, 종래 기술의 현금 자동 입출기(ATM)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금 장치(100)에서는, 측면 레일(150)이 수용 용기(120)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서는 측면 레일(150)을 강철 등과 같은 강성 재질이 사용되어야 하며, 측면 레일(150)의 사이즈도 또한 충분히 커야 하므로, 추가적인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in the ATM or the gift voucher device 100 of the prior art, the side rail 150 is a rigid material such as steel in order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accommodating container 120. This must be used, and the size of the side rails 150 must also be large enough, resulting in an additional cost increase.

나아가, 종래 기술의 현금 자동 입출기(ATM)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금 장치(100)는 본체(110)가 고정부(140)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 부착되므로, 현금 자동 입출기(ATM)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금 장치(100)가 소정 건물 내의 코너(corner) 부분에 위치되는 경우, 예를 들어 보수 유지를 위해 수용 용기(120)를 본체(110)의 측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본체(110)에서 벗어나게 하더라도 보수 유지를 위한 작업 공간이 제한되어 작업자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보수 유지를 위한 작업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Furthermore, the ATM or the gift certificate unmanned device 100 of the prior art, since the main body 110 is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by the fixing unit 140, ATM or gift certificate unmanned. If the device 100 is now located at a corner within a given building, for example, the receptacle 120 may be moved to the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maintain it, even if it is out of the main body 110. Limited working space for maintenance is not only inconvenient for workers, but also increases the working time for maintenance.

본 고안은 종래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 내의 현금 또는 상품권 수용 용기를 지지하는 이동 가능한 받침대를 구비하여, 보수 유지가 용이하고, 제품 사이즈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제조 비용이 저감되며, 필요에 따라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 자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술 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movable pedestal for supporting a cash or gift voucher container in a conventional automatic teller machine or gift voucher, easy maintenance, product size is significantly reduced, manufacturing costs are reduced, Accordingly,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allowing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or gift voucher unattended payment device itself to be movable.

본 고안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현금 자동 입출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며, 개폐가 가능한 전방 도어 부재; 상기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며, 개폐가 가능한 후방 도어 부재;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되며, 현금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 상기 수용 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가능한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상부 표면 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받침대를 상기 본체와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그 하단 측면 부분에 복수개의 회전체가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그 저면부에 복수개의 이동부재가 제공되되,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는 각각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받침대에 장착하는 장착부재를 구비하는 현금 자동 입출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teller machine, comprising: a main body; A front door memb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rear door member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 accommodation container built in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cash; A movable pedestal that supports the receiving container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a fixing device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th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pedestal with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pair of sliding membe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at a lower side surface thereof. The pedesta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able members at its bottom portion, the plurality of movable members supporting the rotating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respectively, for providing a cash dispenser having a mounting member mounted on the pedestal. will be.

본 고안의 제 2 특징에 따르면,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며, 개폐가 가능한 전방 도어 부재; 상기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며, 개폐가 가능한 후방 도어 부재;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되며, 상품권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 상기 수용 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가능한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상부 표면 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받침대를 상기 본체와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그 하단 측면 부분에 복수개의 회전체가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그 저면부에 복수개의 이동부재가 제공되되,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는 각각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받침대에 장착하는 장착부재를 구비하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the main body; A front door memb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rear door member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 accommodation container built in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a gift certificate; A movable pedestal that supports the receiving container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a fixing device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th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pedestal with the main body,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pair of sliding membe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at a lower side surface thereof. The pedesta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members in the bottom portion, the plurality of moving members to support the rotating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respectively, to provide a 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having a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on the pedestal. It is for.

본 고안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Fur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like or lik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like elements.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받침대가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받침대가 본체와 이격되어 있는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or gift voucher unattended pay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pedestal is fixed to the main body, Figure 3 is a ca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pedestal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Figure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teller machine or a gift voucher unattended payment devic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200)는 본체(210); 상기 본체(210)의 전면에 부착되며, 개폐가 가능한 전방 도어 부재(212); 상기 본체(210)의 후면에 부착되며, 개폐가 가능한 후방 도어 부재(212); 상기 본체(210) 내부에 내장되며, 현금 또는 상품권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220); 및 상기 수용 용기(220)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210)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2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가능한 받침대(23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200)에서 전방 도어부재(212) 또는 후방 도어부재(미도시)는 현금 또는 상품권이 소진되어 다시 채우거나, 또는 보수 유지를 위해 수용 용기(220)를 본체(210)로부터 이격시킬 경우에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전방 도어부재(212) 및 후방 도어부재(미도시)는 각각 본체(210)와 힌지 방식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and 3,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or gift voucher unmanned payment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body 210; A front door member 212 attached to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rear door member 212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 accommodation container 220 embedded in the main body 210 to accommodate cash or gift certificates; And a movable pedestal 230 that supports the receiving container 22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10. In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or the gift voucher automatic payment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the front door member 212 or the rear door member (not shown) is exhausted cash or vouchers to refill, or to maintain maintenance For example, the container 220 may be opened when the container 220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210. In addition, the front door member 212 and the rear door member (not shown)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body 210 and the hinge method, respectively.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200)의 본체(210) 및 수용 용기(220)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100)의 본체(110) 및 수용 용기(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The main body 210 and the receiving container 220 of the cash dispenser or 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2 and 3 is a conventional cash dispenser or 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shown in FIG.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ain body 110 and the receiving container 120 of the (100).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본체(210)는 그 하단 측면 부분에 받침대(23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와주는 복수개의 회전체(242)가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240)(우측 슬라이딩 부재는 미도시)가 제공된다. 회전체(242)는 예를 들어 도르레가 사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240)는 받침대(230)가 본체(21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으로 이동할 때, 받침대(230)의 상부 표면과 협력하여 받침대(23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Referring back to Figures 2 and 3, the main body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ing pair of a plurality of rotating body 242 is installed to help the movement of the pedestal 230 in the lower side portion thereof is smoothly made. Member 240 (the right sliding member is not shown) is provided. The rotating body 242 may be a pulley, for example. The sliding member 240 cooperate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230 to smoothly move the pedestal 230 when the pedestal 230 moves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of the body 210.

한편, 받침대(230)는 상부 표면 일부에 본체(210)와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고정부재(232) 및 한 쌍의 제 1 고정수단(234)을 구비한다. 고정부재(232) 및 제 1 고정수단(234)은 수용 용기(220) 내에 현금 또는 상품권을 다시 채우거나 또는 유지 보수 작업이 끝난 후에 받침대(230)가 수용 용기(220)를 지지한 상태로 본체(210) 내부에 진입한 후에, 본체(210)와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고정부재(232)는 직각 형상의 금속제 부재이고, 제 1 고정수단(234) 및 제 2 고정수단(236)은 각각 나사 또는 볼트이다. 고정부재(232)는 제 2 고정수단(236)에 의해 받침대(230)에 고정된다. 또한, 본체(210)의 슬라이딩 부재(240)의 소정 위치에는 제 1 고정수단(234)이 고정되는 고정공(244)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고정수단(234)이 볼트인 경우에는 볼트가 고정공(242) 내로 수용된 후, 너트(미도 시)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고정부재(232), 제 1 고정수단(234), 및 고정공(244)은 받침대(230)와 본체(2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일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고, 당업자라면 고정부재(232), 제 1 고정수단(234) 및 고정공(244) 이외에도, 예를 들어 받침대(230)에 부착되는 회전 가능한 고정부재 및 본체(210) 또는 슬라이딩 부재(240)의 일부에 제공되며, 회전 가능한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걸림 요홈과 같은 임의의 고정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pedestal 230 includes a pair of fixing members 232 and a pair of first fixing means 234 for fixing the body 210 to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The fixing member 232 and the first fixing means 234 refill the cash or gift certificate in the container 220 or after the maintenance work is completed, the base 230 supports the container 220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230 is supported. After entering the inside 210, the main body 210 is fixed. The fixing member 232 shown in FIGS. 2 and 3 is a right-angled metal member, and the first fixing means 234 and the second fixing means 236 are screws or bolts, respectively. The fixing member 232 is fixed to the pedestal 230 by the second fixing means 236. In addition, a predetermined hole of the sliding member 240 of the main body 210 is provided with a fixing hole 244 to which the first fixing means 234 is fixed. When the first fixing means 234 is a bolt, the bolt may be received into the fixing hole 242 and then coupled with a nut (not shown). 2 and 3, the fixing member 232, the first fixing means 234, and the fixing hole 244 illustrate one embodiment for fixing the pedestal 230 and the main body 210.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fixing member 232, the first fixing means 234 and the fixing hole 244, for example, a part of the rotatable fixing member and the main body 210 or the sliding member 240 attached to the pedestal 230 It will be appreciated that any fixing devic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 locking recess for receiving a rotatable fixing member, may be used.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에 사용되는 받침대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받침대에 부착된 이동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pedestal used in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or gift voucher pay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member attached to the pedestal shown in FIG.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230)의 저면부에는 복수개의 이동부재(250)가 제공된다. 각각의 이동부재(250)는 회전부재(260), 및 회전부재(260)를 지지하며, 받침대(230)에 장착하는 장착부재(27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250)가 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3개 이상의 이동부재(250)가 사용될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 and 5, a plurality of moving members 250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edestal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moving member 250 is composed of a mounting member 270 that supports the rotating member 260 and the rotating member 260, and is mounted on the pedestal 23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member 250 is four.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at three or more moving members 250 may be used.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장착부재(270)의 중앙부에는 회전부재(26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280)가 결합되는 결합공(272)이 제공된다. 높이조절부재(280)는 원통 형상의 스토퍼(stopper: 282), 높낮이 조절용 톱니부(284),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공(272)에 결합되며, 타측이 스토퍼(282) 및 높낮이 조절용 톱니부(284)와 고정 결합되는 회전축(286)으로 구성된다. 높낮이 조 절용 톱니부(284)를 회전시키면, 회전축(286)이 회전하여, 높이조절부재(280)의 높이가 조절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높낮이 조절용 톱니부(28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높이조절부재(280)의 높이가 낮아져서 회전부재(26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높낮이 조절용 톱니부(28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높이조절부재(280)의 높이가 높아져 회전부재(260)의 회전이 방지된다. 즉, 받침대(230)가 본체(210)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받침대(230)를 본체(210)에 결합시킬 경우에는 높이조절부재(280)의 높이를 낮추어 회전부재(26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받침대(230)의 이동이 가능하다. 반면에, 받침대(230)가 본체(210)에 결합된 후, 현금 자동 입출기 및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200) 전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높이조절부재(280)의 높이를 높혀서 스토퍼(282)가 회전부재(260)를 고정시키면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부재(260)는 바퀴인 것이 바람직하다.4 and 5, a coupling hole 27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mounting member 270 to which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80 is coupl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260. Height adjustment member 280 is a cylindrical stopper (stopper 282), the height adjustment toothed portion 284, one side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72 rotatably, the other side stopper 282 and the height adjustment toothed portion And a rotating shaft 286 fixedly coupled with the 284. When the height adjustment tooth 284 is rotated, the rotating shaft 286 is rotated,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80 is adjusted.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the height adjustment toothed portion 284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280 is lowered to enabl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260, the height adjustment toothed portion 284. When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80 is increased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260. That is, when the pedestal 230 is separated from or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10, when the pedestal 23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80 is lowered to rotate the rotating member 260. This becomes possible, and the movement of the pedestal 230 is possible. On the other hand, after the pedestal 23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in order to fix the entire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gift voucher unmanned payment device 200, the stopper 282 by raising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80 The rotating member 260 may be fix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rotating member 260 is preferably a wheel.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받침대에 부착된 이동 부재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moving member attached to the pedestal shown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250)는 브레이크 부재(290)를 구비한다. 즉, 브레이크 부재(290)에 하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면 브레이크 부재(290)가 회전부재(26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되고, 브레이크 부재(290)에 상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면 브레이크 부재(290)가 회전부재(260)의 회전을 허용하게 되어, 받침대(23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6, the movable member 2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ke member 290. That is, when a force is applied downward to the brake member 290, the brake member 290 prevents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member 260, and when a force is applied upward to the brake member 290, the brake member 290. ) Allow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260, the movement of the pedestal 230 is possible.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의 하단 부에 제공되는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or 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200)의 본체(210)는 그 하단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4개의 지지대(300)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200)의 경우, 본체(210)와 받침대(2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210)의 바닥부가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이다. 따라서, 받침대(230)가 본체(2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본체(210)의 바닥부가 지면에 닿게 된다. 또한, 받침대(230)를 본체(210)에 결합하는 경우, 본체(210)의 바닥부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받침대(230)를 수용할 수 있는 높이까지 본체(210)를 들어올려야 하므로, 작업자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최소한 2명 이상의 작업자의 협력이 요구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main body 210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or the 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four support members 300 having height adjustments at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teller machine or 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7, the main body 210 and the pedestal 230 is coupled, the bottom of the body 210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It is a state. Therefore, when the pedestal 23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10,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In addition, when the pedestal 23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in the state where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10 touches the ground, the main body 210 needs to be lifted to a height that can accommodate the pedestal 230. Is very cumbersome and requires the cooperation of at least two workers.

본 고안에 따른 지지대(300)는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210)의 바닥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도 5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재(280)가 사용되거나, 본체(210) 하단부 측면에 부착되며, 절첩 방식으로 회전이 가능한 지지대, 또는 본체(210) 하단부 측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하 양끝단에서 고정이 가능한 슬라이드 방식의 지지대 등과 같은 임의의 지지대가 사용될 수 있다. The suppor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height adjusting member 280 shown in FIG. 5 is used, or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10 The support is rotatable in a folding manner, or is attached to the bottom side of the main body 21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ny support such as a support of a slide type that can be fixed at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may be us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현금 자동 입출기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200)를 개시하고 있지만, 본 고안은 기타 다른 응용예에 적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내장물을 다시 채워 넣거나 또는 내부 부속 장치에 대한 유지 보수가 필요한 종래 음료수용 자동 판매기, 커피 등의 다양한 차류를 판매하는 대형 차류용 자동 판매기 또는 공항 등에서 사용되는 주차비용 정산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 다. 즉, 종래 음료수용 자동 판매기, 대형 차류용 자판기 또는 주차비용 정산장치가 본 고안의 특징적인 받침대를 구비하는 경우, 전체 제품의 사이즈가 상당히 감소되어 제조 비용이 현저히 절감되고, 공간 효율성이 현저히 높아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utomated teller machine or a 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200,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applications. More specifically, a conventional beverage vending machine that refills the interior or needs maintenance on internal accessories, a large vending machine that sells a variety of teas such as coffee, or a parking cost settlement device used in an airport. Can be applied. That is, when a conventional beverage vending machine, a large vehicle vending machine, or a parking cost settlement device is equipped with the pedestal 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whole product is considerably reduced,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space efficiency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have.

상술한 본 고안의 현금 자동 입출기(ATM)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금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The above-described automatic teller machine (ATM)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gift certificate unmanned now device is achieved the following effects.

1. 측면 방향의 본체 사이즈가 종래 기술에 비해 대략 50%까지 줄이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 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될 뿐만 아니라 공간 효율성도 현저하게 높아지는 효과가 달성된다. 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ody size in the lateral direction by approximately 50% compared to the prior art, so that not only the manufacturing cost is significantly reduced, but also the space efficiency is markedly increased.

2. 받침대가 이동이 가능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의 현금 자동 입출기(ATM) 또는 상품권 무인 지금 장치도 이동 가능하여, 보수 유지를 위한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보수 유지 작업의 편리성이 확보되고 작업 시간이 감소되는 효과가 달성된다.2. Since the base can be moved, the ATM or the gift certificate unmanne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a sufficient working space for maintenance can be secured, so that the maintenance work is convenient. The effect of securing the castle and reducing the working time is achieved.

다양한 변형예가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Figure 112006055057877-utm00001
Sinc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configurations and method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matter contained in the above description or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llustrative and is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t is not.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Figure 112006055057877-utm00001

Claims (14)

현금 자동 입출기에 있어서,In the automated teller machine, 본체; main body; 상기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며, 개폐가 가능한 전방 도어 부재;A front door memb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상기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며, 개폐가 가능한 후방 도어 부재;A rear door member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되며, 현금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An accommodation container built in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cash; 상기 수용 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가능한 받침대; 및 A movable pedestal that supports the receiving container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받침대의 상부 표면 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받침대를 상기 본체와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A fixing device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for securing the pedestal with the body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본체는 그 하단 측면 부분에 복수개의 회전체가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The main body includes a pair of sliding members in which a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ar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surface portion thereof, 상기 받침대는 그 저면부에 복수개의 이동부재가 제공되되,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는 각각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받침대에 장착하는 장착부재를 구비하는 The pedesta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members in the bottom portion, the plurality of moving members each support a rotating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and having a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to the pedestal 현금 자동 입출기.Cash dispens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는 그 하단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4개의 지지대를 추가로 구비하는 현금 자동 입출기.The main body is an automatic teller machine further comprises four supports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at the lower en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지지대는 각각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본체의 하단부 측면에 부착되며, 절첩 방식으로 회전이 가능한 지지대, 또는 상기 본체의 하단부 측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하 양끝단에서 고정이 가능한 슬라이드 방식의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인 현금 자동 입출기.The support member is attached to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support is rotatable in a folding manner, or attached to the bottom side of the main body to enable the vertical movement And, automatic cash dispenser which is any one of the slide-type support that can be fixed at both ends.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고정 장치는 한 쌍의 고정부재 및 한 쌍의 제 1 고정수단으로 구성되고,The fixing device is composed of a pair of fixing members and a pair of first fixing means,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는 각각 직각 형상의 금속제 부재이고, 한 쌍의 제 2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며, Each of the pair of fixing members is a metal member having a right angle shape, and is fixed to the pedestal by a pair of second fixing means,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는 각각 소정 위치에 상기 제 1 고정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을 구비하는 The pair of sliding members each have a fixing hole for fixing the first fixing mean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현금 자동 입출기.Cash dispenser.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 1 고정수단 및 상기 제 2 고정수단은 각각 나사이거나 또는 보울트와 너트인 현금 자동 입출기.And said first holding means and said second holding means are each a screw or a bolt and a nut.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받침대에 부착되는 회전 가능한 고정부재, 및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걸림 요홈으로 구성되는 현금 자동 입출기.And the fix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fixing member attached to the pedestal, and a locking recess provided in the main body or a part of the sliding member and accommodating the rotatable fixing member.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이동부재가 4개인 현금 자동 입출기.An automatic teller machine with four moving members.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에 있어서,In the 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본체;main body; 상기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며, 개폐가 가능한 전방 도어 부재;A front door memb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상기 본체의 후면에 부착되며, 개폐가 가능한 후방 도어 부재;A rear door member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되며, 상품권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An accommodation container built in the main body to accommodate a gift certificate; 상기 수용 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가능한 받침대; 및 A movable pedestal that supports the receiving container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받침대의 상부 표면 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받침대를 상기 본체와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A fixing device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for securing the pedestal with the body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본체는 그 하단 측면 부분에 복수개의 회전체가 설치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고,The main body includes a pair of sliding members in which a plurality of rotating bodies ar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surface portion thereof, 상기 받침대는 그 저면부에 복수개의 이동부재가 제공되되, 상기 복수의 이동부재는 각각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받침대에 장착하는 장착부재를 구비하는 The pedesta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ing members in the bottom portion, the plurality of moving members each support a rotating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and having a mounting member for mounting to the pedestal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본체는 그 하단부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4개의 지지대를 추가로 구비하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gift certificate unmanned dispensing device further comprises four supports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at the lower end.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지지대는 각각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본체의 하단부 측면에 부착되며, 절첩 방식으로 회전이 가능한 지지대, 또는 상기 본체의 하단부 측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하 양끝단에서 고정이 가능한 슬라이드 방식의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인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The support member is attached to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support is rotatable in a folding manner, or attached to the bottom side of the main body to enable the vertical movement And, one of the slide type support system that can be fixed at both ends up and down the 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상기 고정 장치는 한 쌍의 고정부재 및 한 쌍의 제 1 고정수단으로 구성되고,The fixing device is composed of a pair of fixing members and a pair of first fixing means,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는 각각 직각 형상의 금속제 부재이고, 한 쌍의 제 2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며,Each of the pair of fixing members is a metal member having a right angle shape, and is fixed to the pedestal by a pair of second fixing means,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는 각각 소정 위치에 상기 제 1 고정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을 구비하는 The pair of sliding members each have a fixing hole for fixing the first fixing mean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Gift certificate unmanned payment device.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 1 고정수단 및 상기 제 2 고정수단은 각각 나사이거나 또는 보울트와 너트인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And the first fixing means and the second fixing means are screws or bolts and nuts, respectively.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받침대에 부착되는 회전 가능한 고정부재, 및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걸림 요홈으로 구성되는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The fix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fixing member attached to the pedestal, and the main body or a portion of the sliding member, gift voucher unmanned payment device consisting of a locking groove for receiving the rotatable fixing member.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0, 상기 이동부재가 4개인 상품권 무인 지급장치.The gift card unmanned payment device having four moving members.
KR2020060020581U 2006-07-31 2006-07-31 Improved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Self Dispensing Device for Gift Certificate KR20042886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581U KR200428865Y1 (en) 2006-07-31 2006-07-31 Improved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Self Dispensing Device for Gift Certific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581U KR200428865Y1 (en) 2006-07-31 2006-07-31 Improved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Self Dispensing Device for Gift Certific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865Y1 true KR200428865Y1 (en) 2006-10-16

Family

ID=4177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581U KR200428865Y1 (en) 2006-07-31 2006-07-31 Improved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Self Dispensing Device for Gift Certific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86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123A (en) * 2017-09-04 2019-03-1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Upper body anti-shaking structure of AT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123A (en) * 2017-09-04 2019-03-1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Upper body anti-shaking structure of ATM
KR102399021B1 (en) 2017-09-04 2022-05-18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Upper body anti-shaking structure of AT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2398B2 (en) Carriage for holding a separation element and separation element
KR101083588B1 (en) An ATM for vehicle driver
AU2004200194A1 (en) Mounting bracket for a gaming machine
CA2680875A1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which dispenses, receives and stores notes and other financial instrument sheets
EP3032506B1 (en) Teller cash recycler
EP2848473B1 (en) Load carrier for mounting on the rear of a vehicle
US20100199845A1 (en) Appliance for dispensing a beverage
JP7470479B2 (en) Prize acquisition game device
KR200428865Y1 (en) Improved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Self Dispensing Device for Gift Certificate
KR930008626B1 (en) Apparatus for immobilizing movable cabinet
JP5268687B2 (en)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CN205524643U (en) Multi -functional two -wheeled express delivery railway carriage
US4561704A (en) ATM Enclosure
US20020002743A1 (en) Mattress support
CN107341937B (en) A kind of open-and-close mechanism for paper medium transmission
US20160036603A1 (en) Media conveying
WO1988001083A1 (en) A dispensing and deposit machine
JP6357432B2 (en) Level adjustment device
CN106373259B (en) Banknote box, self-service financial equipment and banknote processing method
JP2565519Y2 (en) Door support structure
JP4711028B2 (en) Mounting structure of banknote dispensing device
KR101910746B1 (en) Cash dispenser with adjustable height
US20090127064A1 (en) Machine for dispensing paid-in-cash products and/or services
CN108360858A (en) A kind of shared bicycle parking device of underground easy-offtaking
CN217443921U (en) Vending machine discharge mechanism with goods monitoring is discrimina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