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703Y1 - 낚시용 의자 - Google Patents

낚시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703Y1
KR200428703Y1 KR2020060018475U KR20060018475U KR200428703Y1 KR 200428703 Y1 KR200428703 Y1 KR 200428703Y1 KR 2020060018475 U KR2020060018475 U KR 2020060018475U KR 20060018475 U KR20060018475 U KR 20060018475U KR 200428703 Y1 KR200428703 Y1 KR 200428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backrest
footrest
fishing chair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김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영 filed Critical 김덕영
Priority to KR2020060018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7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7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2Platforms or seat-boxes specially adapted for angling, e.g. tackle boxes for use as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8Chair or stool bases for uneven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철가능하게 형성되는 낚시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의자는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완충재로 이루어지는 좌판(11);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완충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판(11)의 전단에 접철가능하게 구비되는 발판(21); 및 상기 좌판(11)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등받이(31)를 포함한다.
이러한 낚시용 의자는 사용시에는 펼쳐서 사용하고, 운반 및 보관시에는 접을 수 있으며, 좌판, 발판 및 등받이가 완충재로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낚시용 의자, 좌판, 발판, 등받이, 프레임

Description

낚시용 의자 { Chair for fishing }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낚시용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의자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낚시용 의자를 접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낚시용 의자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의자가 접힌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 낚시용 의자 11 : 좌판
12 : 메인 프레임 13 : 스토퍼
14 : 고무패드 15 : 손잡이
16 : 어깨 끈 21 : 발판
22a, 22b : 결속수단 31 : 등받이
32 : 보조 프레임 100 : 낚시용 의자
101 : 메인 프레임 102 : 좌판
103 : 보조 프레임 104 : 등받이
본 고안은 낚시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고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철가능하게 형성되는 낚시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낚시는 미끼를 바늘에 끼우고 낚시바늘을 물속에 던져서 물고기를 낚는 방법의 하나이다.
이러한 낚시는 대부분 물가에서 행해지고 있으므로, 낚시를 즐기기 위해서는 야외로 나가야 하고, 사용자를 위해서 각종 편의장비가 필요하다.
특히, 낚시는 낚시대를 드리운 상태에서 물고기가 바늘을 물 때까지 기다려야 하고, 야외에서 행해지는 관계로 편안하게 앉아서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각종 낚시용 의자가 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낚시용 의자(101)는 서로 교차되도록 힌지연결되는 메인 프레임(101)과, 상기 메인 프레임(101)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천으로 구성되는 좌판(102)과, 상기 메인 프레임(101)에 힌지연결되는 보조 프레임(103)의 상부에 천으로 된 등받이(104)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낚시용 의자는 부피와 중량을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어서, 사용자가 편한 자세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좌판(102)과 등받이(104)는 사용자의 신체가 메인 프레임(101) 및 보조 프레임(103)에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단순하게 천으로만 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할 수는 있으나, 완충작용을 할 수 없어서 사용자가 장시간 낚시용 의자 에 앉아 있으면 불편할 수밖에 없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고, 접철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한 낚시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낚시용 의자는,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완충재로 이루어지는 좌판;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완충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판의 전단에 접철가능하게 구비되는 발판; 및 상기 좌판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등받이를 포함한다.
상기 좌판은 저면에 메인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가 체결되는 보조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는 보조 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저면에 부착된 고무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발판의 전단 및 좌판의 후단에는 발판과 좌판을 선택적으로 결속시키는 결속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판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판의 일측에 구비된 어깨 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낚시용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낚시용 의자가 펼쳐진 상태이고, 도 3은 도 2의 낚시용 의자를 접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2의 낚시용 의자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낚시용 의자(1)는 저면에 메인 프레임(12)이 구비된 좌판(11)과, 상기 좌판(11)의 전단에 접철가능하게 구비되는 발판(21), 및 상기 좌판(11)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등받이(31)를 포함한다.
좌판(11)은 완충재를 재질로 하여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좌판(11)은 사용자가 앉으면 일부 압축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일부 압축됨으로써, 장시간 앉아있더라도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한다..
완충재로 이루어지는 좌판(11)은 상기 완충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완충재를 지퍼가 구비된 커버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지퍼가 구비된 커버의 내부에 완충재를 구비되도록 하면, 좌판(11)의 완충능력이 저하되는 경우 지퍼를 열고 커버 내부의 완충재를 새것으로 교환하면, 원래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판(11)은 일측에 좌판(11)의 강도를 보강하고, 후술되는 등받이(31)가 구비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12)을 구비한다. 메인 프레임(12)은 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져 좌판(1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데, 그 상단이 상기 좌판(11)의 상부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한다. 메인 프레임(12)의 상단이 좌판(11)의 상부면보다 낮게 위치하는 이유는, 완충재로 이루어지는 좌판(11)에 사용자가 앉았을 때, 좌판(11)이 압축되어 메인 프레임(12)의 상부면이 사용자의 엉덩이에 닿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좌판(11)의 일측에는 손잡이(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15)가 좌판(11)에 구비됨으로써, 낚시용 의자(1)를 용이하게 휴대하거나 운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손잡이(15)가 좌판(11)의 후단에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판(11)의 저면 또는 메인 프레임(12)의 저면에 고무 패드(14)가 구비되도록 한다.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고무 패드(14)가 구비됨으로써, 미끄러운 표면에서 낚시용 의자(1)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외력에 의해 압축되는 좌판(11)보다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메인 프레임(12)의 저면에 고무 패드(14)가 구비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발판(21)은 상기 좌판(11)의 전단에 접철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발을 지지한다. 발판(21)의 저면이 상기 좌판(11)의 저면과 닿을 수 있도록 발판(21)의 후단이 좌판(11)의 전단에 연결되어, 발판(21)을 접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발판(21)도 좌판(11)과 마찬가지로 완충재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하여도 피로가 누적되지 않도록 한다. 완충재는 지퍼가 구비된 커버에 수용되어 교체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판(21)은 상기 좌판(11)보다 두께가 얇게 하여 발판(21)을 좌판(11)에 대하여 펼쳤을 때, 발판(21)의 상부면이 좌판(11)의 상부면에 비하여 낮게 위치하도록 한다. 발판(21)의 상부면이 좌판(11)의 상부면 보다 낮게 함으로써, 사용자 가 좌판(11)에 앉아서 발을 발판(21)에 올렸을 때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여 편안함을 느끼도록 한다.
발판(21)은 운반시에 발판(21)을 접어서 좌판(11)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좌판(11)으로부터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판(21)의 일측과 좌판(11)의 일측을 결속하는 결속수단(22a)(22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수단(22a)(22b)의 예로서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고 자력에 의해 결속시키는 자석 단추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결속수단(22a)(22b)은 상기와 같은 자석 단추이외에도, 발판(21)이 좌판(11)으로부터 이탈되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며, 예컨대 벨크로 테잎, 벨트 연결, 스냅 단추 등을 이용하여 좌판(11)과 발판(21)을 결속시킬 수 있다.
등받이(31)는 상기 좌판(11)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한다.등받이(31)도 상기 좌판(11) 및 발판(21)과 마찬가지로 파스너가 구비된 커버의 내부에 완충재가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받이(31)는, 상기 메인 프레임(12)에 힌지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프레임(32)에 구비된다. 즉, 등받이(31)가 보조 프레임(32)의 상단에 구비되고 보조 프레임(32)의 하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12)에 힌지 연결되도록 하여 등받이(31)가 좌판(11)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등받이(31)를 보조 프레임(32)을 사용하여 지지하는 이유는, 등받이(31)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메인 프레임(12)을 상기 보조 프레임(32) 을 지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등받이(31)의 회동각도를 제한하기 위해서, 즉 과도하게 등받이(31)가 회전하여 등받이(31)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메인 프레임(12)에는 스토퍼(13)가 구비된다.
메인 프레임(12)은 보조 프레임(32)이 일정한 각도까지만 회전할 수 있도록 스토퍼(13)를 구비한다. 스토퍼(13)는 메인 프레임(12)과 보조 프레임(32)이 힌지연결된 부분에 돌출되어, 보조 프레임(32)이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려할 때, 보조 프레임(32)과 접촉하여 지지함으로써 보조 프레임(32)이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낚시용 의자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낚시용 의자는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1)에 대하여 발판(21)과 등받이(31)를 펼쳐서 사용하게 된다. 발판(21)은 좌판(11)과 같이 완충재로 이루어지고, 발판(21)의 상부면이 좌판(11)의 상부면보다 낮게 위치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좌판(11)에 앉은 상태에서 편안하게 발판(21)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다. 특히, 가부좌로 앉아서 기다리는 경우에 복숭아뼈가 완충재질의 발판(21)에 의해 지지되므로, 불편이 해소된다.
또한, 등받이(31)도 좌판(1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등받이(31)이 등을 기댈 수 있다. 이때, 등받이(31)는 스토퍼(13)에 의해서 소정의 각도에서 더이상 회전할 수 없으므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도 2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는 좌판(11)에 앉고, 발판(21)에 발을 놓으며, 등받이(31)에 등을 기댐으로써 편안한 자세에서 낚시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좌판(11)의 저면, 즉 좌판(11)의 일측에 구비된 메인 프레임(12)의 저면에는 고무 패드(14)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바위와 같이 미끄러운 곳에서 사용하거나, 좌대 또는 다른 낚시용 의자에서 본 고안의 낚시용 의자(1)를 사용하는 경우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펼쳐진 상태의 낚시용 의자(1)를 이동하거나 보관하기 위해서 접으려면, 도 3의 'A'방향으로 발판(21)과 등받이(31)를 접는다.
발판(21)과 등받이(31)는 좌판(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 3의 'A'방향으로 각각 발판(21)과 등받이(31)를 회전시키면, 발판(21)과 등받이를 접을 수 있게된다.
발판(21)을 접으면, 발판(21)의 저면과 좌판(11)의 저면이 맞닿게 접을 수 있고, 등받이(31)를 접으면, 등받이(31)의 전면이 좌판(11)의 상부면에 맞닿게 접을 수 있다.
발판(21)과 등받이(31)를 접는 과정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용 의자(1)가 이동과 보관이 용이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발판(21)이 좌판(11)에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발판(21)과 좌판(11)에 구비된 결속수단(22a)(22b)을 이용하여 발판(21)을 좌판(11)에 결속시키면, 발판(21)이 좌판(11)과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발판(21)과 좌판(11) 사이뿐만 아니라, 등받이(31)와 좌판(11) 사이에도 결속수단(22a)(22b)을 구비함으로써, 등받이(31)가 좌판(11)과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본 고안의 낚시용 의자(1)는 사용자가 손잡이(15)를 이용하여 파지함으로써, 용이하게 휴대 및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접혀진 상태의 낚시용 의자(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3에 'B'로 도시된 방향으로 발판(21)과 등받이(31)를 펼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용 의자(1)를 펼쳐서 사용할 수 있게된다.
한편, 본 고안의 낚시용 의자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1)의 일측에 휴대가 용이하도록 좌판(11)의 일측에 어깨끈(16)을 구비할 수도 있다.
좌판(11)의 일측에 어깨끈이 구비되면, 사용자가 손잡이(15)를 사용하지 않고, 어깨에 메어 운반하거나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낚시용 의자는 그 용도를 낚시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장시간 사용자가 앉아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앉아 있는 자세를 유지할 때, 이를 보조할 수 있는 용도이면 어떠한 용도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낚시용 의자에 따르면, 좌판, 발판 및 등받이가 완충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발판과 등받이 좌판에 밀착되도록 접혀짐으로써,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다.

Claims (6)

  1.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완충재로 이루어지는 좌판(11);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완충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판(11)의 전단에 접철가능하게 구비되는 발판(21); 및
    상기 좌판(11)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등받이(31)를 포함하는 낚시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1)은 저면에 메인 프레임(12)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12)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등받이(31)가 체결되는 보조 프레임(32)을 구비하며,
    상기 등받이(31)는 보조 프레임(32)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12)은 저면에 부착된 고무 패드(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21)의 전단 및 좌판(11)의 후단에는 발판(21)과 좌판(11)을 선택적으로 결속시키는 결속수단(22a)(22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1)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1)의 일측에 구비된 어깨 끈(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의자.
KR2020060018475U 2006-07-07 2006-07-07 낚시용 의자 KR200428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475U KR200428703Y1 (ko) 2006-07-07 2006-07-07 낚시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475U KR200428703Y1 (ko) 2006-07-07 2006-07-07 낚시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703Y1 true KR200428703Y1 (ko) 2006-10-16

Family

ID=4177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475U KR200428703Y1 (ko) 2006-07-07 2006-07-07 낚시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7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15Y1 (ko) * 2022-02-15 2022-09-20 조대현 접이식 낚시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15Y1 (ko) * 2022-02-15 2022-09-20 조대현 접이식 낚시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2902B1 (en) Stadium seat
US7118172B1 (en) Backpack chair
US6082813A (en) Foldable chair
US20070007800A1 (en) Chair blanket, and method for covering chair occupant
US4532948A (en) Walker with a flexible seat
US7281759B1 (en) Portable high chair
US11805918B2 (en) Yoga stool
US4375901A (en) Beach chair
US5385390A (en) Portable seat carrier
CZ301584B6 (cs) Sedací nábytek prestavitelný na lužko
US20050126873A1 (en) Bag with a grip
KR200428703Y1 (ko) 낚시용 의자
KR20120045444A (ko) 식탁 겸용으로 사용되는 유아용 의자
US20230218469A1 (en) Curtain for a rolling walker
JP4509333B2 (ja) 便器
US9414687B2 (en) Collapsible seat and storage apparatus
JP2005013674A (ja) 療養ベッド
JP3244280U (ja) 折り畳み式ベッド
KR200367476Y1 (ko) 절첩식 의자가 부설된 배낭
CN217644849U (zh) 一种可折叠的户外休闲躺椅
US11344137B1 (en) Convertible infant seat
JP2018023861A (ja) 腰痛防止具
JP3114639U (ja) 携帯用正座いす
KR200478946Y1 (ko) 연장 팔부를 갖는 소파
JP2003265570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