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556Y1 - 배관 고정용 타커 - Google Patents

배관 고정용 타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556Y1
KR200428556Y1 KR2020060013197U KR20060013197U KR200428556Y1 KR 200428556 Y1 KR200428556 Y1 KR 200428556Y1 KR 2020060013197 U KR2020060013197 U KR 2020060013197U KR 20060013197 U KR20060013197 U KR 20060013197U KR 200428556 Y1 KR200428556 Y1 KR 200428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pin
pipe
pin
table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옥표
Original Assignee
홍옥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옥표 filed Critical 홍옥표
Priority to KR2020060013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5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5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 고정용 타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돌배관의 설치간격을 일정하게 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정핀을 바닥면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배관 고정용 타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건축물의 바닥에 배관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핀을 타격하는 타커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을 안내 및 수납하는 수납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고정핀을 타격할 수 있도록 설치한 타정수단과; 상기 타정수단에 다수의 고정핀을 연속적으로 장전시킬 수 있도록 수납홈의 양측에 구비한 장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용 타커가 개시된다.
배관, 고정핀, 타커, 장전수단, 타정수단, 푸시로드, 후크

Description

배관 고정용 타커{Tacker for fixing heating pip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a 내지 4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5a 내지 5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커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타커 110: 몸체
112: 수납홈 113: 안내턱
114: 가이드홈 115: 타출구
116: 후크가이드 118: 걸림턱
120: 펀치 121: 타정홈
124: 가이드돌기 125: 손잡이
126: 리턴스프링 128: 스프링홈
130: 푸시로드 132: 연결핀
134: 후크 136: 탄발스프링
138: 코일스프링 140: 가이드플레이트
141: 경사면 145: 타출홈
P: 고정핀 H: 배관
본 고안은 배관 고정용 타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돌배관의 설치간격을 일정하게 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정핀을 바닥면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배관 고정용 타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등 건축물의 온돌난방 공사 시에는 난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보일러와 연결된 난방배관을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과 형태로 배열한다. 그리고 배관의 배열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핀으로 배관을 감싸서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고정핀을 설치하는 위치마다 쪼그리고 앉아 망치 등의 타격용 공구로 고정핀의 상부를 일일이 내리쳐서 작업을 수행하므로 작업에 따른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부정확한 타격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유발하거나 배관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정핀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바닥에 설치시 이미 설치된 수도배관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수도배관의 누수를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고정핀은 시간이 상당히 경과하면 공기 중의 수분 등에 의해 산화되면서 녹이 발생하고, 동시에 배관과의 접촉부위를 산화시키므로 인하여 배관의 녹물이 바닥면으로 스며나오면서 균열현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여러 개의 고정핀을 연속적으로 장전하여 바닥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고정용 타커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축물의 바닥에 배관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핀을 타격하는 타커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을 안내 및 수납하는 수납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고정핀을 타격할 수 있도록 설치한 타정수단과; 상기 타정수단에 다수의 고정핀을 연속적으로 장전시킬 수 있도록 수납홈의 양측에 구비한 장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배관 고정용 타커에 대한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커(100)는 몸체(110)와 타정수단과, 장전수단으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먼저, 몸체(110)는 여러 개의 고정핀(P)이 수납된 상태에서 타정수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그 내측으로 고정핀(P)과 대응하는 형태의 수납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홈(112)의 저면 양측에는 고정핀(P)이 하부로 이탈됨 없이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고정핀(P)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내턱(113)이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어 있고, 안내턱(113)의 전방에는 타정수단에 의해 타격된 고정핀(P)이 타출될 수 있도록 타출구(1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110)의 저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40,140')를 서로 대응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플레이트(140)는 배관이 휘어지면서 설치 되는 것을 고려하여 호형의 경사면(141)에 의해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고정핀(P)이 타출되는 타출구(115)의 하부에는 타출구가 연장된 형태의 타출홈(14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 마주보는 가이드플레이트(140,140') 사이에 배관을 간편하게 끼운 상태에서 고정핀(P)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타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고정핀(P)은 여러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병렬 연결된 상태로 사출 성형되어 일정한 힘을 가하면 연결부위가 떨어지면서 분리 가능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타정수단은 몸체(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납홈(112)을 따라 안내되는 고정핀(P)을 타격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몸체(110) 전방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그 배면에 가이드홈(114)과 대응하는 가이드돌기(124)를 형성한 펀치(12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돌기(124)의 하단부는 엇각을 이루도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펀치(120)의 저면에는 고정핀(P)의 상부와 대응하는 타정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펀치(120)의 상부에는 누름압을 전달하는 손잡이(125)가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핀(P)을 타격한 펀치(1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는 리턴스프링(126)의 단부가 펀치(12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스프링홈(128)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각각 구비되어 있다.
장전수단은 다수의 고정핀(P)을 연속적으로 타정수단에 장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몸체(110)의 수납홈(112) 내주면을 따라 고정핀(P)이 스프링 탄지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걸림되면서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18)이 다수 구비되어 있다.
또한, 몸체(110)의 수납홈(112) 양측에 각각 형성된 후크가이드(116) 내부에 장착되어 타정수단의 타격 동작과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하는 푸시로드(13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푸시로드(130)는 전방의 단부를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과 아울러 몸체(110)의 가이드홈(114)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펀치(120)의 하강시 서로 대응하는 엇각에 의해 가이드돌기(124)와 푸시로드(130)가 점진적이고 자연스럽게 밀착되면서 푸시로드(130)를 후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푸시로드(130)와 연결핀(132)에 의해 연동되면서 수납홈(112)을 따라 고정핀(P)을 타격위치로 하나씩 밀어주는 후크(134)가 연결핀(132)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후크(134)는 후크가이드(116)를 통해 수납홈(112)의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며 돌출된 상태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크(134)의 저면에는 연결핀(132)을 축으로 하여 탄력적인 반발력을 제공하는 탄발스프링(136)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푸시로드(130)의 후방에는 타정수단이 고정핀(P)을 타격한 후, 푸시로드(130)를 윈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138)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타커의 작용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방에 위치한 고정핀(P)의 상부가 펀치(120)에 형성된 타정홈(121)과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몸체(110)의 수납홈(112)에 고정핀(P)을 삽입 장착한다.
이때, 고정핀(P)은 다수의 걸림턱(118)에 의해 걸림되므로 후방으로 이동 및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의 저면을 배관(H)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펀치(120)의 손잡이(125)를 강하게 누르면 펀치(120)는 리턴스프링(126)을 압축함과 동시에 가이드홈(114)을 따라 슬라이딩 하강하면서 최전방에 위치한 고정핀(P)을 분리시킴과 함께 타출구(115)를 따라 하부 방향으로 타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고정핀(P)은 배관(H)의 상부를 감싸면서 바닥에 일정한 깊이로 박히게 된다.
여기서, 고정핀(P)이 이미 설치된 수도배관(H1)과 접촉될 경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고정핀(P)의 단부가 자체 탄성에 의해 탄력적인 대응을 하면서 휘어지므로 수도배관(H1)을 손상시키거나 공기 중의 수분 등에 의해 산화되면서 동시에 수도배관(H1)과의 접촉부위를 산화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펀치(120)는 고정핀(P)을 타격함과 함께 푸시로드(130)의 경사진 단부를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푸시로드(130)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연결핀(132)에 의해 연동되는 후크(134)를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도 4a 내지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P)과 다른 고정핀(P) 의 틈새에 끼워져 있던 후크(134)는 연결핀(132)의 외주면 타고 후크가이드(116)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후크(134)는 저면에 장착된 탄발스프링(136)에 의해 탄력적으로 대응하면서 다른 고정핀(P)과 또 다른 고정핀(P)의 틈새에 다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펀치(120)가 리턴스프링(126)의 복원력을 통해 원위치로 상승하게 되면 후크(134)는 다른 고정핀(P)과 또 다른 고정핀(P)의 틈새에 끼워져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면서 동시에 고정핀(P) 다발을 전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크(134)에 의해 수납홈(112)을 따라 이동되는 고정핀(P)은 펀치(120)의 타정홈(121)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타출구(115)에 자동으로 장전되므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서서 손쉽고 안전하게 고정핀(P)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몸체(110)의 저면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140)를 통해 배관(H)의 굴곡 여부와 상관없이 간편하게 끼울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고정핀(P)을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타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장전수단이 타정수단의 타격동 작과 동시에 고정핀을 자동으로 장전하므로 배관을 고정하는 위치마다 고정핀을 하나씩 일일이 장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배관의 고정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작업의 능률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건축물의 바닥에 배관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핀을 타격하는 타커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을 안내 및 수납하는 수납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고정핀을 타격할 수 있도록 설치한 타정수단과;
    상기 타정수단에 다수의 고정핀을 연속적으로 장전시킬 수 있도록 수납홈의 양측에 구비한 장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용 타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정수단은
    몸체의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고, 그 저면에는 고정핀의 상부와 대응하는 타정홈을 형성한 펀치와;
    상기 펀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펀치에 누름압을 전달하는 손잡이와;
    상기 펀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고정핀을 타격한 펀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용 타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전수단은
    몸체의 수납홈 내주면을 따라 다수가 설치되고, 고정핀이 스프링 탄지력에 의해 걸림되면서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과;
    몸체의 수납홈 양측에 형성된 후크가이드 내부에 장착되고, 타정수단의 타격 동작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푸시로드와;
    상기 푸시로드와 연결핀에 의해 연동되면서 수납홈을 따라 고정핀을 타격위치로 하나씩 밀어주는 후크과;
    상기 푸시로드의 전방에 설치되어 타정수단이 고정핀을 타격한 후, 푸시로드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용 타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저면에는
    배관을 간편하게 끼워서 고정핀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타정될 수 있도록 호형의 경사면에 의해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좁아지는 가이드플레이트를 서로 대응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고정용 타커.
  5. 삭제
KR2020060013197U 2006-05-17 2006-05-17 배관 고정용 타커 KR200428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197U KR200428556Y1 (ko) 2006-05-17 2006-05-17 배관 고정용 타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197U KR200428556Y1 (ko) 2006-05-17 2006-05-17 배관 고정용 타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844A Division KR100831166B1 (ko) 2006-05-16 2006-05-16 배관 고정용 타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556Y1 true KR200428556Y1 (ko) 2006-10-13

Family

ID=4177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197U KR200428556Y1 (ko) 2006-05-17 2006-05-17 배관 고정용 타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5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0089A1 (en) 2018-12-18 2020-06-24 Tia Spolka z .o.o. Pneumatic tac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0089A1 (en) 2018-12-18 2020-06-24 Tia Spolka z .o.o. Pneumatic tack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166B1 (ko) 배관 고정용 타커
US8038173B2 (en) Telescopic extension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JP5562105B2 (ja) スプレーガン用のスプレースイッチ
US202304175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linear trigger assembly
JP4356567B2 (ja) コネクタ
CA2506924A1 (en) Drilling guide for edge connections
WO2008062857A1 (fr) Raccord, et embout femelle et embout mâle utilisés pour le raccord
WO2011119636A2 (en) Adjustable pole
US8678261B2 (en) Position-limiting device and magazine
KR200428556Y1 (ko) 배관 고정용 타커
US7909218B2 (en) Safety apparatus for spring powered staplers
CN209919816U (zh) 一种多功能压线钉枪
CA2515799C (en) An improved nail restrainer and a nailing machine equipped with said restrainer
CN100569629C (zh) 剪式千斤顶手柄的延伸杆
CN202825734U (zh) 具有安全单连发切换装置的打钉枪扳机
KR20230091501A (ko) 스톱래치 결합방식 멀티 유압커플러 고정장치
JP4770967B2 (ja) コネクタ
US20200189082A1 (en) Stapler
CN101244551B (zh) 省力型手动钉枪
US6553655B2 (en) Terminal extracting tool
JP2008036756A (ja) ステープル打ち用釘打機
CN215548405U (zh) 一种可适用多种射钉的打钉枪
JPH0349712B2 (ko)
KR200456986Y1 (ko) 볼 리테이너
KR100866634B1 (ko) 타카핀의 휨 방지구조를 갖는 타카장치의 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