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472Y1 - structure for decoration - Google Patents

structure for deco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472Y1
KR200428472Y1 KR2020060019610U KR20060019610U KR200428472Y1 KR 200428472 Y1 KR200428472 Y1 KR 200428472Y1 KR 2020060019610 U KR2020060019610 U KR 2020060019610U KR 20060019610 U KR20060019610 U KR 20060019610U KR 200428472 Y1 KR200428472 Y1 KR 2004284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lpture
boundary
classification
reinforcing memb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61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학
Original Assignee
(주) 거산코아트
이정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거산코아트, 이정학 filed Critical (주) 거산코아트
Priority to KR2020060019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47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4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47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or with an out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plastic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측 및 하측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은, 건물축 벽면에 부착 또는 도포된 서로 다른 마감재를 구분하도록 설치되는 조형물 본체; 상기 조형물 본체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형물 본체의 상측의 강성을 보강하는 상측 보강부재; 그리고, 상기 조형물 본체의 하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형물 본체의 하측의 강성을 보강하는 하측 보강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ulpture for partition boundary classification that can reinforce the upper and lower stiffness. The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sculpture, the sculpture body is installed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finishing materials attached or applied to the building axis wall surface; An upper reinforcement member installed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main body to reinforce rigidity of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main body; And, it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low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includes a lower reinforcement member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low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 보강부재 Sculptures for boundary classification, reinforcement

Description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structure for decoration}Sculpture for the Classification of Finishing Materials {structure for decora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이 건축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ldings for boundary boundary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uilding.

도 2는 도 1의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of Figure 1;

도 4는 도 2의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molding of FIG.

도 5는 도 2의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을 벽면측에서 바라본 배면도.Figure 5 is a rear view as viewed from the wall side of the molding for separating boundary material of Figure 2;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 마감재 10: 조형물 본체1,2: Finish 10: Sculpted Body

20: 상측 보강부재 21: 보강 패널부20: upper reinforcing member 21: reinforcing panel portion

25: 몰딩부 30: 하측 보강부재25: molding portion 30: lower reinforcement member

50: 상측 브라켓 60: 하측 브라켓50: upper bracket 60: lower bracket

51,61: 위치조절용 슬롯 71,75: 제1,2체결부재 51, 61: Position adjusting slot 71, 75: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mber

본 고안은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 하측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for partition boundary classif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lding for boundary boundary classification that can reinforce the upper and lower stiffness.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면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마감재를 도포 내지 부착한다. 이러한 마감재로는 페인트 또는 건축용 석재 등 다양한 종류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건축용 석재로는 내마모성 및 내풍화성을 갖는 화강석이나 대리석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 exterio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is applied to or coated with a finishing material to make the exterior beautiful. As such finishing materials, various kinds such as paint or building stone are applied. Granite or marble having abrasion resistance and weathering resistance is mainly used as the building stone.

상기 마감재로 페인트를 적용할 경우, 상기 건축물의 색상을 다양하게 구현하고 마감 공사에 드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When applying paint as the finish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ariety of colors of the building and to reduce the cost of the finishing work.

또한, 상기 건축용 석재는 자연석을 판상으로 가공한 후 표면을 가공하여 제작된다. 상기 건축용 석재는 건축물 벽면에 철재 프레임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한 후 상기 구조물에 고정된다. 이러한 건축용 석재는 고유의 질감 등을 살리기 위해 마감재로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building stone is produced by processing the surface after processing the natural stone plate. The building stone is fixed to the structure after installing a separate structure, such as steel frame on the building wall. Such building stone is used as a finishing material to make use of the original texture.

상기 건축용 석재를 건축물의 마감재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축물의 시공 단가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건축용 석재는 고유한 색상이나 질감을 가지므로, 건축물의 색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는 없었다.When using the building stone as a finishing material of the building, increase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building stone has a unique color or texture, it was not possible to implement a variety of colors of the building.

최근에는 건축물의 마감재로 페인트와 건축용 석재를 동시에 적용하기도 한다. 가령, 건축물의 저층은 건축용 석재로 마감을 하고, 건축물의 고층은 페인트로 마감을 한다. 이렇게 하나의 건축물에 페인트와 건축용 석재로 동시에 마감하면,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고 세련되게 하면서도 시공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Recently, paint and building stone are simultaneously applied as finishing materials for buildings. For example, the lower floor of a building is finished with building stone, and the higher floor of the building is finished with paint. If you finish a building with paint and building stone at the same time, you can reduce the cost of construction while making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beautiful and refined.

따라서, 건축물 가까운 곳에서는 사람의 시선이 주로 저층에 집중되므로, 시각적으로 건축물이 고급스럽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건축물 멀리서는 사람 의 시선이 건축물의 전체에 집중되므로, 페인트와 건축물 석재를 동시에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어 건축물의 미려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이렇게 건축물의 마감재로 페인트와 건축용 석재를 동시에 적용함으로써, 건축물을 고급화하면서도 건축물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Therefore, since a person's eyes are mainly focused on the lower floor near the building, the building may be visually sensed as luxurious. In addition, since a person's eyes are concentrated in the whole building from a distance, the paint and the stone can be visually felt at the same time, thereby making the building beautiful. By applying paint and building stone at the same time as the finishing material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produce a variety of buildings while improving the building quality.

그런데, 상기와 같이 건축물에 페인트와 건축용 석재를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기 페인트와 건축용 석재로 마감된 경계 부분이 질감 및 색채가 갑자기 변하게 되므로, 상기 페인트와 건축용 석재의 경계 부분이 부자연스러워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when the paint and the building stone is applied to the building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the texture and color of the boundary between the paint and the building stone is suddenly changed, so the boundary between the paint and the building stone looks unnatural. there was.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마감재로 마감된 경계 부분이 자연스럽게 느껴질 수 있도록 하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ish for distinguishing the boundary of the finishing material so that the boundary portion that is finished with different finishing materials can be felt naturally.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측 및 하측에 외래 물체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에 견딜 수 있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lded object for partition boundary classification that can withstand the impact even if the impact of foreign objects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양태에 의하면, 건물축 벽면에 부착 또는 도포된 서로 다른 마감재를 구분하도록 설치되는 조형물 본체; 상기 조형물 본체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형물 본체의 상측의 강성을 보강하는 상측 보강부재; 그리고, 상기 조형물 본체의 하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형 물 본체의 하측의 강성을 보강하는 하측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ulpture body is installed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finishing materials attached or applied to the building shaft wall; An upper reinforcement member installed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main body to reinforce rigidity of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main body; And, it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low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provides a sculpture for partition boundary classification comprising a lower reinforcement member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low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상기 상측 보강부재는, 상기 조형물 본체의 상측을 감싸는 보강패널부; 그리고, 상기 보강패널부의 양면에 몰딩 성형되는 몰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reinforcing member, the reinforcing panel portion surrounding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The molding unit may be molded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panel unit.

상기 몰딩부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lding part may be made of a ceramic material.

상기 조형물 본체에는 상측 모서리와 하측 모서리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보강부재는 상기 조형물 본체의 상면과 상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측 보강부재는 상기 조형물 본체의 하면과 하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body and the lower corner is formed in the sculpture body,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is disposed to surround the upper and upper corners of the sculpture body,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is disposed to surround the lower and lower corners of the sculpture body Can be.

상기 상측 및 하측 보강부재는 조형물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members may be integral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ulpture body.

상기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은, 조형물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조형물 본체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상측 브라켓; 그리고, 상기 조형물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조형물 본체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하측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sculpture, the upper bracket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to fix the sculpture body to the wall;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lower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to fix the sculpture body to the wall.

상기 상측 브라켓은 “ㄱ”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상측 브라켓의 절곡된 일측은 상기 상측 보강부재의 하면에 접면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bracket is bent in the form of "a", the bent one side of the upper bracket may b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상기 상측 브라켓과 상측 보강부재는 제1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하측 브라켓과 하측 보강부재는 제2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bracket and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may be coupled by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lower bracket and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may be coupled by the second fastening member.

상기 상측 및 하측 브라켓에는 제1,2체결부재를 결합할 때에 상기 조형물 본체의 치수에 맞게 상기 상측 및 하측 브라켓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 용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Positioning slots may b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to adjust the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ody whe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mbers are coupled.

상기 조형물 본체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culpture body may be made of a porous polyurethane material.

상기 상측 및 하측 브라켓은 조형물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brackets may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ulpture body.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m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achieve the above objec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이 건축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을 벽면측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installation of the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m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molding of Figure 1, Figure 3 is a finishing material boundary of Figure 1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divided object.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molding of Figure 2, Figure 5 is a rear view as viewed from the wall side of the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molding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은 건축물 벽면의 서로 다른 마감재(1,2)의 경계 부분에 설치된다. 이때, 서로 다른 마감재(1,2)의 경계 부분이란 페인트와 건축용 석재의 경계 부분, 서로 다른 색상의 페인트의 경계 부분 또는 서로 다른 건축용 석재의 경계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sculpture is installed on the boundary portions of different finishing materials (1, 2) of the building wall surface. At this time, the boundary portion of the different finishing materials (1, 2) is a concept including both the boundary portion of the paint and the building stone, the boundary portion of the paint of different colors or the boundary portion of the different building stone.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은, 조형물 본체(10), 상측 보강부재(20) 및 하측 보강부재(30)를 포함한다. 2 to 5, the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sculpture includes a sculpture body 10, an upper reinforcing member 20, and a lower reinforcing member 30.

상기 조형물 본체(10)는 건축물 벽면에 부착 또는 도포된 서로 다른 마감재(1,2)의 경계 부분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상기 조형물 본체(10)는 발포 폴리우레탄 등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조형물 본체(10)로 발포 폴리우레 탄을 적용함으로써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sculpture body 10 is elongated along the boundary portions of the different finishes 1, 2 attached or applied to the building wall. The sculpture body 10 may be formed of a porous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foam. Thus, by applying the foamed polyurethane to the body (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elf-weight of the molding for boundary boundary classification.

상기 조형물 본체(10)는 상측이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1)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전방에는 상측 모서리와 하측 모서리가 형성된다. 이러한 조형물 본체(10)는 벽면의 형태 또는 설계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The sculpture main body 10 has a protrusion 11 protruded forward. In addition, an upper edge and a lower edge are formed at the front of the sculpture body 10. The sculpture body 10 can be chang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or design of the wall surface.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상측을 감싸도록 상측 보강부재(2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상측 보강부재(20)는 조형물 본체(10)의 상면과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1)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상측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측 보강부재(20)는 조형물 본체(10)의 돌출부(11)를 감싸도록 대략 “ㄷ”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측 보강부재(20)는 조형물 본체(10)의 상측의 강성을 보강하고 낙하 물체에 의해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상측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An upper reinforcement member 2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10. That is,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2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sculpture body 10 and the protrusion 11 protruding forward.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10 protrudes forward,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20 is formed in a roughly "c" shape to surround the protrusion 11 of the sculpture body (10).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20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10 and prevents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10 from being damaged by the falling object.

상기 상측 보강부재(20)는,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상측을 감싸는 보강패널부(21)와, 상기 보강패널부(21)의 양면에 몰딩 성형되는 몰딩부(25)를 포함한다. The upper reinforcement member 20 includes a reinforcement panel portion 21 surrounding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10 and a molding portion 25 molded on both surfaces of the reinforcement panel portion 21.

이때, 상기 보강패널부(21)의 양면에는 몰딩부(25)가 몰딩 성형되므로, 상기 보강패널부(21)와 몰딩부(25)는 열팽창 계수가 같거나 비슷한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보강패널부(21)와 몰딩부(25)가 외부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됨에 따라 상기 보강패널부(21)와 몰딩부(25)의 접촉면이 떨어지거나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보강패널부(21)로는 철판이나 알루미늄 합금판을 적용하고, 상기 몰딩부(25)로는 콘크리트와 같은 세라믹 재질이 적용 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molding part 25 is molded on both surfaces of the reinforcing panel part 21, the reinforcing panel part 21 and the molding part 25 are preferably made of the same or similar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The reason for this is to prevent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reinforcement panel portion 21 and the molding portion 25 from falling or lifting as the reinforcement panel portion 21 and the molding portion 25 are stretched according to an external temperature change. . Therefore, an iron plate or an aluminum alloy plate may be applied to the reinforcement panel part 21, and a ceramic material such as concrete may be applied to the molding part 25.

또한, 상기 몰딩부(25)는 햇빛이나 강설 등 외부 환경에 노출되므로 내식성, 내열성, 내산성 및 내후성 등을 갖는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몰딩부(25)가 세라믹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molding part 25 is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sunlight or snowfall, a materia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heat resistance, acid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and the like is preferably applied. Therefore, the molding part 25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상술한 상측 보강부재(20)는 접착제(40)에 의해 상기 조형물 본체(10) 외면에 부착된다. 상기 접착제(40)는 고온에 의해 부풀어지지 않는 열경화성 접착제(40)가 적용될 수 있다.The upper reinforcing member 20 described abov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by the adhesive (40). The adhesive 40 may be a thermosetting adhesive 40 that does not swell due to high temperature.

또한,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하측(전면의 하측 일부와 하면)을 감싸도록 하측 보강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하측 보강부재(30)는 상기 조형물 본체(10)와 상측 보강부재(20)의 무게에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하부 모서리를 보호한다. 이러한 하측 보강부재(30)로는 철판, 스테인리스판 또는 알루미늄 합금판 등을 제시한다.In addition, a lower reinforcing member 3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lower side (lower portion and low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culpture body 10.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30 can withstand the weight of the sculpture body 10 and the upper reinforcement member 20 and protects the lower edge of the sculpture body 10.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30 is presented to the iron plate, stainless steel plate or aluminum alloy plate.

상기 상측 및 하측 보강부재(30)는 조형물 본체(10)의 길이만큼의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상측 및 하측 보강부재(30)는 조형물 본체(10)의 상하측을 전체적으로 보강 및 보호한다.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members 30 have a length equal to the length of the sculpture body 10. Thus,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members 30 reinforce and protec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culpture body 10 as a whole.

한편,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상측을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측 브라켓(50)이 설치된다. 상기 상측 브라켓(50)은 단면이 대략 “ㄱ”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bracket 50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10 can be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he upper bracket 50 may be bent in a roughly "a" shape in cross section.

상기 상측 브라켓(50)의 전방측으로 절곡된 부분은 상측 보강부재(20)의 하면에 접면한다. 상기 상측 브라켓(50)이 상측 보강부재(20)에 직접 접면하므로, 상 대적으로 무거운 상측 보강부재(20)에 의해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상측에 무게중심이 편중되더라도 상기 조형물 본체(10)가 벽면으로부터 떨어지려고 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portion bent forward of the upper bracket 5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20). Since the upper bracket 50 i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20, even when the center of gravity is bia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main body 10 by the relatively heavy upper reinforcing member 20, the sculpture main body 10 Try to minimize the distance from the wall.

또한, 상기 상측 브라켓(50)의 전방측으로 절곡된 부분과 상측 보강부재(20)는 제1체결부재(71)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상측 브라켓(50)의 벽면측 절곡부는 상측 앵커(81)에 의해 건축물 벽면에 체결된다. 이러한 상측 보강부재(20)와 상측 브라켓(50)은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상측을 안정되게 지지한다.In addition, a portion bent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upper bracket 50 and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20 are fastened by the first fastening member 71. In addition, the wall surface bent portion of the upper bracket 50 is fastened to the building wall surface by the upper anchor (81).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20 and the upper bracket 50 stably supports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10).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하측을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측 브라켓(60)이 설치된다. 상기 하측 브라켓(60)은 대략 “ㄷ” 형태로 절곡된다. 이때, 상기 하측 브라켓(60)의 절곡된 양측과 상기 하측 보강부재(30)는 제2체결부재(75)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상기 하측 브라켓(60)의 절곡된 양측은 조형물 본체(10)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하측 브라켓(60)의 중심부는 하측 앵커(85)에 의해 벽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하측 보강부재(30)와 하측 브라켓(60)은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하측을 안정되게 지지한다.The lower bracket 60 is installed to fix the lower side of the sculpture main body 10 to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he lower bracket 60 is bent in a roughly "c" shape. At this time, the bent both sides of the lower bracket 60 and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30 is fastened by the second fastening member 75. In addition, the bent both sides of the lower bracket 60 is inserted into the sculpture body (10). 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lower bracket 6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by the lower anchor (85). Therefore,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30 and the lower bracket 60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10 stably.

상기 상측 및 하측 브라켓(50,60)에는 장공 형태의 위치조절용 슬롯(51,6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측 및 하측 브라켓(50,60)의 벽면측 절곡부와 상기 하측 브라켓(60)의 중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장공 형태의 위치조절용 슬롯(51,6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측 및 하측 브라켓(50,60)은 상기 위치조절용 슬롯(51,61)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치수가 변경되더라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brackets 50 and 60 may be formed with slots 51 and 61 for position adjustment in the long hole shape. That is, at the centers of the wall-side bent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50 and 60 and the lower bracket 60, slots 51 and 61 for position adjust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50 and 60 can be moved up and down by the position adjusting slots 51 and 61,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culpture body 10 can be adjusted, and the Flexibility to cope with changing dimensions

또한, 상기 상측 및 하측 브라켓(50,60)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형물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배치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50 and 60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ulpture body 10, as shown in FIG. 5.

또한, 상기 상측 및 하측 보강부재(20,30)와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외면에는 소정 색상 또는 소정의 질감을 갖는 도료층(90)이 도포된다. 상기 도료층(90)은 상기 상측 및 하측 보강부재(20,30)와 조형물 본체(10)의 색상 및 질감을 동일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a paint layer 90 having a predetermined color or a predetermined texture is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members 20 and 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culpture body 10. The paint layer 90 functions to make the color and texture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members 20 and 30 and the sculpture main body 10 the sam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의 설치 과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sculp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상기 상측 브라켓(50)의 위치조절용 슬롯(51)에 상측 앵커(81)를 체결하여 상기 벽면에 상측 브라켓(50)을 고정한다. 또한, 상기 하측 브라켓(60)의 위치조절용 슬롯(61)에 하측 앵커(85)를 체결하여 상기 벽면에 하측 브라켓(60)을 고정한다.First, the upper anchor 81 is fastened to the position adjusting slot 51 of the upper bracket 50 to fix the upper bracket 50 to the wall surface. In addition, the lower bracket 60 is fixed to the wall by fastening the lower anchor 85 to the position adjusting slot 61 of the lower bracket 60.

이때, 상기 상측 브라켓(50)과 하측 브라켓(60)은 위치조절용 슬롯(51,61)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상측 및 하측 브라켓(60)은 조형물 본체(10)의 치수에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설치 위치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upper bracket 50 and the lower bracket 60 can move along the position adjusting slots 51 and 61,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60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dimensions of the sculpture body 10. Do. In addition, even if a slight error occurs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culpture body 10 can be easily coped.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벽면측 일면에 접착제(40)를 도포한 후 상기 조형물 본체(10)를 벽면에 부착한다. 이때, 상기 하측 브라켓(60)의 양측 절곡부는 조형물 본체(10)의 하측에 삽입된다.After the adhesive 40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wall surface of the sculpture body 10, the sculpture body 10 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At this time, both side bent portions of the lower bracket 60 are inserted below the sculpture body 10.

상기 조형물 본체(10)가 벽면에 부착된 후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상면과 돌출부(11)에 접착제(40)를 도포한다. 그리고,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상면과 돌출부(11)에 상측 보강부재(20)를 부착한다.After the sculpture body 10 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the adhesive 40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protrusion 11 of the sculpture body 10. Then,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2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protrusion 11 of the sculpture body (10).

또한, 상기 상측 보강부재(20)와 상측 브라켓(50)을 제1체결부재(71)로 체결하고, 상기 하측 보강부재(30)와 하측 브라켓(60)을 제1체결부재(71)로 체결한다.In addition, the upper reinforcement member 20 and the upper bracket 50 ar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71, and the lower reinforcement member 30 and the lower bracket 60 ar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71. do.

이때, 상기 상측 보강부재(20)의 하면에는 상측 브라켓(50)이 직접 접촉된 상태로 체결되므로, 상기 상측 보강부재(20)와 상측 브라켓(50)이 보다 견고하게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상측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조형물 본체(10)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upper bracket 50 is faste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20 in direct contact,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20 and the upper bracket 50 are more firmly fastened. Therefore, the rigidity of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10 can be reinforced,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culpture body 10 can be alleviated to be forward.

그리고, 상기 상측 및 하측 보강부재(20,30)와 조형물 본체(10)의 외면에는 도료층(90)이 도포된다. In addition, a paint layer 90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members 20 and 30 and the molded body 10.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Sculpture boundary classification m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고안에 의하면, 서로 다른 마감재의 경계 부분에 조형물을 배치시킴으로써 마감재의 연결이 자연스럽게 느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connection of the finishing materials feel natural by placing the sculptures at the boundary portions of the different finishing materials.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조형물의 상하측 모서리에 상측 및 하측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조형물의 상측 및 하측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members in the upper and lower corners of the sculpture,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culpture.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상측 및 하측 브라켓에 위치조절용 슬롯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형물의 치수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고 조형 물의 설치 오차에도 대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position adjusting slots on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fixed to the wall surface,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the size of the sculpture and cope with the installation error of the sculpture.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측 보강부재는 금속성판에 세라믹을 몰딩하여 성형된 것으로, 강성을 보강하면서도 외부 환경에 따라 물성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팽창 계수가 비슷한 재질로 몰딩을 하므로, 외부의 열에 의해 신축되더라도 접촉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is molded by molding a ceramic on the metallic plate, it can be prevented from changing the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while reinforcing the rigidity. In addition, since the molding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imilar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ct surface from falling even if stretched by the external heat.

Claims (11)

건물축 벽면에 부착 또는 도포된 서로 다른 마감재를 구분하도록 설치되는 조형물 본체;A sculpture body installed to distinguish different finishing materials attached or applied to the wall of the building shaft; 상기 조형물 본체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형물 본체의 상측의 강성을 보강하는 상측 보강부재; 그리고,An upper reinforcement member installed to surround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main body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upper side of the sculpture main body; And, 상기 조형물 본체의 하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형물 본체의 하측의 강성을 보강하는 하측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Sculpture for boundary finish classification comprising a lower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low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low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측 보강부재는:The upper reinforcing member is: 상기 조형물 본체의 상측을 감싸는 보강패널부; 그리고,A reinforcing panel unit surrounding an upp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And, 상기 보강패널부의 양면에 몰딩 성형되는 몰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Sculpture boundary classification mol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lding part molded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ement panel.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몰딩부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Sculpture boundary classification mo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molding portion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조형물 본체에는 상측 모서리와 하측 모서리가 형성되고,The upper body and the lower corner is formed in the sculpture body, 상기 상측 보강부재는 상기 조형물 본체의 상면과 상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배치되고,The upper reinforcing member is disposed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edge of the sculpture body, 상기 하측 보강부재는 상기 조형물 본체의 하면과 하측 모서리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The lower reinforcing member is a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sculptur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surround the lower edge and the lower edge of the sculpture body.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상측 및 하측 보강부재는 조형물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member is a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sculpture,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ulpture body.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조형물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조형물 본체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상측 브라켓; 그리고,An upper bracket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to fix the sculpture body to a wall; And, 상기 조형물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조형물 본체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하측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Sculpture for boundary finishing classification further comprises a lower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culpture body to secure the sculpture body to the wal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상측 브라켓은 “ㄱ” 형태로 절곡되고,The upper bracket is bent in the form "a", 상기 상측 브라켓의 절곡된 일측은 상기 상측 보강부재의 하면에 접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Sculpture for the boundary of the finish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side of the upper bracke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상측 브라켓과 상측 보강부재는 제1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고,The upper bracket and the upper reinforcing member is coupled by the first fastening member, 상기 하측 브라켓과 하측 보강부재는 제2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The lower bracket and the lower reinforcing member is a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sculptur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by the second fastening member.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상측 및 하측 브라켓에는 제1,2체결부재를 결합할 때에 상기 조형물 본체의 치수에 맞게 상기 상측 및 하측 브라켓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용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The upper and lower brackets, when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mbers are coupled to each o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adjustment slot is form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body to be formed.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조형물 본체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The sculpture body is a finishing material boundary classification sculptur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porous polyurethane material.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상측 및 하측 브라켓은 조형물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감재 경계 구분용 조형물.The upper and lower brackets are formed for the boundary boundary class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ulpture body.
KR2020060019610U 2006-07-20 2006-07-20 structure for decoration KR20042847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610U KR200428472Y1 (en) 2006-07-20 2006-07-20 structure for deco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610U KR200428472Y1 (en) 2006-07-20 2006-07-20 structure for deco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472Y1 true KR200428472Y1 (en) 2006-10-11

Family

ID=4177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610U KR200428472Y1 (en) 2006-07-20 2006-07-20 structure for deco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472Y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150B1 (en) * 2006-11-08 2007-02-08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Building decoration structure
KR100738508B1 (en) 2006-09-06 2007-07-11 대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Reinforcement structure of modeling for building exterior adornment
KR100755732B1 (en) 2007-02-09 2007-09-05 주식회사 류림스톤 Process of artificial stone moulding for decoration of building
KR100803040B1 (en) 2006-12-21 2008-02-18 주식회사 단디건설 Structure of fixed external wall decoration molding for building
KR100817912B1 (en) 2007-06-05 2008-03-31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Assembly for building exterior
KR100943322B1 (en) * 2007-10-01 2010-02-22 박왕규 Structure of fixed external wall decoration molding for building
KR101011782B1 (en) * 2010-06-15 2011-02-07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A aluminum plus molding and that of construction method
WO2011155752A2 (en) * 2010-06-11 2011-12-15 그린바이오 주식회사 Molding structure for building decoratio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508B1 (en) 2006-09-06 2007-07-11 대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Reinforcement structure of modeling for building exterior adornment
KR100680150B1 (en) * 2006-11-08 2007-02-08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Building decoration structure
KR100803040B1 (en) 2006-12-21 2008-02-18 주식회사 단디건설 Structure of fixed external wall decoration molding for building
KR100755732B1 (en) 2007-02-09 2007-09-05 주식회사 류림스톤 Process of artificial stone moulding for decoration of building
KR100817912B1 (en) 2007-06-05 2008-03-31 강산이디에스 주식회사 Assembly for building exterior
KR100943322B1 (en) * 2007-10-01 2010-02-22 박왕규 Structure of fixed external wall decoration molding for building
WO2011155752A2 (en) * 2010-06-11 2011-12-15 그린바이오 주식회사 Molding structure for building decoration
WO2011155752A3 (en) * 2010-06-11 2012-05-03 그린바이오 주식회사 Molding structure for building decoration
KR101011782B1 (en) * 2010-06-15 2011-02-07 주식회사 길종합건축사사무소 A aluminum plus molding and that of construc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472Y1 (en) structure for decoration
CA2361320C (en) Improvement in the assembly structure of a high door
AU2008227059A1 (en) External corner member, constructing structure of external corner por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external corner portion using the same
KR100752399B1 (en) Moulding and structure with the same
KR200430548Y1 (en) Decoration mould of building structure
KR200428473Y1 (en) structure for decoration
KR101530359B1 (en) Outer wall molding of a building
KR100738508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modeling for building exterior adornment
KR100769889B1 (en) Molding for decoration of the building outside
KR100669810B1 (en) Construction structure of expanded polystyrene mou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305528B1 (en) Finishing panel for building and device for installation of the same
KR100864240B1 (en) Molding for decoration
KR101219093B1 (en) Ending wall panel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0398409Y1 (en) Construction structure of expanded polystyrene moulding
KR200403420Y1 (en) Flooring member using plastic injection molding goods inserted bending member
KR102190967B1 (en) External molding structure and manufacture method
KR200219015Y1 (en) Prefabricated bathroom wall made by connecting wall panels with brackets for flat and corner connections
KR20070046046A (en) Moulding and structure with the same
CN220469312U (en) Circular arc baseboard
CN207974696U (en) A kind of exterior window trim side modules component
US3722151A (en) Back and end walls for bathtub alcove
KR20070047742A (en) Molding for decoration
KR101036236B1 (en) Composition panel for exterior of building
CN211472895U (en) Deformation joint device for building structure
CN216340627U (en) Slope frame for laying inclined ground and bathroom chassis with slope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