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139Y1 -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139Y1
KR200428139Y1 KR2020060018644U KR20060018644U KR200428139Y1 KR 200428139 Y1 KR200428139 Y1 KR 200428139Y1 KR 2020060018644 U KR2020060018644 U KR 2020060018644U KR 20060018644 U KR20060018644 U KR 20060018644U KR 200428139 Y1 KR200428139 Y1 KR 200428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ensor
clothing
coupling structure
li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호
Original Assignee
에프엔씨코오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엔씨코오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엔씨코오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8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1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체의 팔목부위에 접촉되어 신체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신체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견고하고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의류의 소매 단부 내측면에 타단부가 일체로 결합되고 일단부가 탄성수단에 의해 신체의 팔목부위에 밀착되는 안감부재와, 그 안감부재의 내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신체 팔목 부위와 접촉되어 생체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센서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센서가 소매 단부의 내측에서 팔목부위와 접촉되어 각각의 생체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운동중이나 움직임이 많을 경우에도 신축성이 있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신체 부위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착용 가능하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Combining structure for sensor in cloth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안감부재의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탄성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의류 200 : 안감부재
250 : 탄성부재 252 : 돌출부
255 : 탄성체 310 : 센서
410,420 : 결합구
500 : 밴드부재
본 고안은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신체의 팔목 부위에 용이하게 부착시킴과 아울러, 운동이나 이동중에도 센서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밀림을 방지하여 정확한 생체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건강상태를 점검하거나,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파라미터로 사용하기 위해 신체의 생체 정보를 활용하고 있으며, 그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심박수나 혈류 흐름을 근거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있다.
종래 신체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일 예로는 측정자의 가슴 부위에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밀착시킨 후에, 신체 부위로부터 전달되는 심박수등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방식이 있다.
최근에는 그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형태의 심박수 모니터로도 활용되고 있다.
한편, 기존에는 그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신체 일부위에 고정시키기 위해 운동중에 밀착상태가 해지되지 않도록 벨트를 매개로 압박하여 밀착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측정자가 운동중일 때 격렬한 움직임으로 인해 벨트의 착용상태가 해제되거나, 땀이 흘러내려 심박수 측정에 영향을 미치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신체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의류에 부착되어 신체의 측정시 신체 움직임에도 상관없이 정확한 생체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신체의 측정중에 발생되는 땀이 센서의 측정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된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의류의 소매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탄성수단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어 신체 팔목 부위에 밀착되는 안감부재와,
상기 안감부재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신체 팔목부위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안감부재는 타단부가 의류의 내피에 일체로 봉제되고,
상기 일단부 양측에 상기 신체 팔목부위를 감싸도록 서로 착탈 가능한 결합구가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안감부재의 일단부 내측에 일체로 봉제되고 자체 신축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횡방향으로 일체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 밴드인 것이다.
그외에도,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안감부재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내에 자체 신축력을 갖는 탄성체가 수용되어 상기 안감부재의 일단부에 신축력을 부여하도록 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의류의 소매 단부 내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자체 신축력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어 신체 팔목 부위에 밀착되는 밴드부재와,
상기 밴드부재의 내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신체 팔목부위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성은 의류(100)의 소매 단부 내측면에 타단부가 일체로 결합되고 일단부가 탄성수단에 의해 신체의 팔목부위에 밀착되는 안감부재(200)와, 그 안감부재(200)의 내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신체 팔목 부위와 접촉되어 생체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센서(31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안감부재(200)는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며, 의류(100)와 동일한 소재 또는 다른 소재로 구성되고, 일단부 양측에 신체 팔목부위를 감싸도록 서로 착탈 가능한 결합구(410,420)가 결합되며, 타단부가 의류(100)의 내측면과 일체로 봉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센서(310)는 하나로도 가능하지만 정확한 생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전극 형태로 구성되어 신체의 생체정보(맥박수, 혈액의 혈류흐름등)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생체 정보를 연결된 배선(315)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혹은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 결합구(410,420)는 스냅버튼을 채용하거나, 혹은 공지의 통상적인 단추와 단추구멍을 채용하거나, 혹은 후크 또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공지의 벨크로를 채용할 수 있다.
그 탄성수단은 안감부재(200)의 내측면에 일체로 봉제되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신축 가능한 탄성부재(250)를 구비하되, 그 탄성부재(250)가 실리콘 소재로 된 밴드인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탄성부재(250)는 내측면에 복수개의 띠형상으로 서로 이격된 돌출부(2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신체 부위의 접촉시 밀림 방지의 기능을 갖는 것을 주 기능으로 하나, 외부의 이물질(땀)이 센서(310)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갖는다.
그 돌출부(252)는 실리콘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그 소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설명 부호 "A"는 측정자의 팔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 탄성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 탄성수단은 안감부재(200)의 일단부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그 수용공간내에 자체 탄성력을 갖는 탄성체(255)가 수용되어 그 안감부재(200)의 일단부측에 신축성을 부여하도록 한 것이다.
그 탄성체(255)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계열의 소재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굳이 그 소재에 제한을 두지는 아니한다.
이 경우에는, 돌출부(252)가 안감부재(200)의 내측면에 직접 일체로 결합되고, 탄성체(255)는 안감부재(2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관상 보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는, 측정자가 안감부재(200)의 타단부가 소매 내측면에 일체로 봉제 결합된 의류(100)를 착용한 후에, 안감부재(200)의 벌어진 일단부가 손목부위를 감싸도록 결합구(410,420)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후에, 탄성부재(250)의 내측면이 측정자의 팔목 부위에 감겨지게 됨에 따라 전극형태의 센서(310)가 팔목 부위와 접촉된다.
이어서, 센서(310)가 접촉된 신체부위를 통해 측정자의 생체 정보(맥박수, 혈류 흐름등)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정보를 배선(315)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복수개의 띠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252)는 측정자의 팔목부위에 직접 접촉됨에 따라 운동중에 신체의 움직임이 있더라도, 센서(310)가 정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밀림을 방지하면서 땀등의 이물질이 센서(310)측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센서(310)로부터 전송되는 측정자의 생체 정보는 배선을 통해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기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외부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측정자의 운동능력이나 자신에게 적합한 운동강도를 바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 모바일 형태로도 활용할 경우에는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는 달리 안감부재가 생략된 센서와 밴드부재가 의류의 소맷단 내측으로 결합되는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그 구성은 의류(100)의 소매단부 내측에 일체로 봉제 결합되고 자체 신축성을 갖는 밴드부재(500)와, 그 밴드부재(500)의 내측면에 서로 이격된 위치에 일체로 설치되어 신체의 팔목부위와 접촉됨에 따라 생체 정보를 출력하는 센서(310)들로 구성된 것이다.
그 밴드부재(500)는 앞서 설명한 띠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돌출부(252)가 같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소재도 앞서 설명한 고무 또는 실리콘 계열의 소재가 바람직할 것이다.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작용은 신체 착용부분만 상이하고, 그외에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신체의 팔목부위에 접촉되어 신체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신체의 움직임에 상관없이 견고하고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센서가 복수개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팔목부위와 접촉되어 각각의 생체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운동중이나 움직임이 많을 경우에도 신축성이 있는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신체 부위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착용 가능하며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내측으로 띠형상의 돌출부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땀등의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여 정확한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7)

  1. 의류(100)의 소매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고 일단부가 탄성수단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어 신체 팔목 부위에 밀착되는 안감부재(200)와,
    상기 안감부재(20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신체 팔목부위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3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감부재(200)는 타단부가 의류의 내측면에 일체로 봉제되고,
    상기 일단부 양측에 상기 신체 팔목부위를 감싸도록 서로 착탈 가능한 결합구(410,42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안감부재(200)의 일단부 내측에 일체로 봉제되고 자체 신축력을 갖는 탄성부재(2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5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게 횡방향으 로 일체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25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50)는 실리콘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안감부재(200)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내에 자체 신축력을 갖는 탄성체(255)가 수용되어 상기 안감부재(200)의 일단부에 신축력을 부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
  7. 의류(100)의 소매 단부 내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자체 신축력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어 신체 팔목 부위에 밀착되는 밴드부재(500)와,
    상기 밴드부재(500)의 내측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신체 팔목부위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복수개의 센서(3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
KR2020060018644U 2006-07-10 2006-07-10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 KR200428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644U KR200428139Y1 (ko) 2006-07-10 2006-07-10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644U KR200428139Y1 (ko) 2006-07-10 2006-07-10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139Y1 true KR200428139Y1 (ko) 2006-10-09

Family

ID=4929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644U KR200428139Y1 (ko) 2006-07-10 2006-07-10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1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504B1 (ko) * 2018-01-26 2019-07-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504B1 (ko) * 2018-01-26 2019-07-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300B1 (ko) 생체신호 측정의복과 생체신호 처리시스템
KR100670809B1 (ko)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스마트 의복
KR100759948B1 (ko) 생체신호의 측정을 위한 스마트 의복
KR100734986B1 (ko) 생체신호 측정의복
ES2286031T3 (es) Sistema de medicion fisiologica que comprende una prenda en forma de manga o de guante y un aparato sensor incorporado en la prenda.
CN107847190B (zh) 用于保持生理传感器的用具
JP6977665B2 (ja) 生体センサが取り付けられた被服
JP3978453B2 (ja) 動物の生体信号の検出装置
KR200428139Y1 (ko) 의류의 센서 결합구조
KR100972208B1 (ko) 생체신호 측정기
KR101237308B1 (ko) 생체신호 측정용 다채널 전극 어셈블리
KR101002087B1 (ko) 손목 착용형 심박수 측정 장치
JP2006506160A (ja) 簡単化された電極を有する個人との生体電気的相互作用のためのシステム
KR101550410B1 (ko) 엑스 밴드 형태의 건강 관리용 디지털 의류
JP2003325466A (ja) 心拍数計測装置
KR102202015B1 (ko)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WI830880B (zh) 生物體信號取得用具
WO2010073913A1 (ja) 生体情報測定用プローブ
US20160278702A1 (en)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belt
JP2008086399A (ja) 検出装置固定用バンド及び生体情報検出装置
KR20160076630A (ko) 유연성 생체신호 측정센서
GB2586571A (en) Improvements in body monitoring T shirts and clothing
TWM505913U (zh) 生理感測裝置以及應用其之穿戴裝置
TWM473190U (zh) 具有心率接收器之手套
KR20150081463A (ko) 생체바이오 측정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헬스 필로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