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076Y1 -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076Y1
KR200428076Y1 KR2020060020165U KR20060020165U KR200428076Y1 KR 200428076 Y1 KR200428076 Y1 KR 200428076Y1 KR 2020060020165 U KR2020060020165 U KR 2020060020165U KR 20060020165 U KR20060020165 U KR 20060020165U KR 200428076 Y1 KR200428076 Y1 KR 200428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primary
sedimentation
sediment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경
안병준
Original Assignee
(주)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성 filed Critical (주)태성
Priority to KR2020060020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0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0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5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vortex inducer or vortex guide, e.g. c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02F2301/026Spiral, helicoidal, rad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Bis Sedimentation Tank ; BS Tank)에 관한 것으로, 오·탁수를 중화제 및 응집제와 잘 교반하여 미립자 등의 부유물을 고형화·대형화시킴으로써 오·탁수 유발입자들의 침전효율을 향상시키고, 침전과정을 2단계로 나누어 입자들을 이중으로 침전·분리함으로써 체류시간을 극대화 하여 오·탁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탁수를 처리하는 처리장치에 있어서, 1차침전조(10);와 상기 1차침전조(10)의 외부에 연결되어 오·탁수를 유입하는 유입관(11);와 상기 1차침전조(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탁수의 유입방향을 전환하는 제1딥플레이트(21);와 상기 제1딥플레이트(21)의 내측에 설치되어 2차 침전을 유도하는 2차침전조(30);와 상기 2차침전조(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탁수의 유입방향을 전환하는 제2딥플레이트(23);와 상기 제2딥플레이트(23)의 외부에 일체 형성되어 처리수를 방류배관으로 유입시키는 웨어수로(41);와 상기 웨어수로(41)의 일측에서 1차침전조(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처리수를 방류하는 방류관(40);와 상기 1차침전조(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침전슬러지를 인발하는 슬러지인발관(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Device of Twice Continual Deposition Treating}
도 1은 종래의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가 포함된 조골재 및 쇄석모래를 제조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의 단면구성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의 평면구성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의 처리용기 하부의 평면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가 적용된 연속침전 처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구성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차침전조 11. 유입관
12. 침전공간 13. 배플판
21,23. 제1,2딥플레이트 30. 2차침전조
40. 방류관 41. 웨어수로
50. 슬러지인발관 60. 스크래퍼부
62. 스크래퍼 110. 침사조
120. 유량조정조 121. 오·탁수펌프
131~133. 제1~3교반조 140. 응집·침전조
150. 방류조
본 고안은 COD, 산, 알칼리, 기타 혼탁 유발물질등이 포함된 오탁수를 중화, 반응, 응집, 침전 분리하여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성광산폐수, 석회수 등과 같이 산, 알칼리 또는 혼탁성 부유물질이 포함된 폐수로부터 이온성 물질 및 미립자 성분을 거대·고형화 시키고 침전시켜 상등수와 분리함으로써 처리수를 방류하는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침전수 처리장치가 사용되는 조골재 및 쇄석모래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석분이 공급되어 제1크기를 갖는 석분을 걸러내기 위한 제1진동스크린(62)과; 상기 제1진동스크린(62) 상에 잔류된 석분을 파쇄한 후 제2진동스크린(63) 상에 투입시키는 제1파쇄기(61)와; 상기 제1파쇄기를 통해 파쇄된 석분 중 제2크기의 석분을 걸러내는 제2진동스크린(63)과; 제1,2진동스크린(62,63)을 통하여 통과된 쇄석모래를 출력시키는 나선분급기(64); 및 상기 제1,2진동스크린(62,63)을 통과하는 쇄석모래에 물을 뿌리기 위한 물분사수단(68)과; 상기 분급기에 의해 분급되어 미분이 포함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침전조(65)와; 상기 침전조(65)에서 배출된 슬러지를 저장하는 농축조(66)와; 상기 농축조(66)에서 농축된 슬러지를 케익으로 성형하여 배출하기위한 필터프레스(67)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침전수 처리장치는 슬러지가 가라앉아 응고되거나 침강되어 침전조의 하부 내벽에 응고된 채 굳어서 쌓임으로써, 배출구를 막히게 하거나 폐수와 잘 분리되지 않은 채 방치되어 슬러지의 배출효율이 저하되고, 슬러지와 폐수가 잘 교반되지 않아 슬러지의 침전효율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탁수와 응집제를 교반하고 침전조의 단위 용적당 체류시간을 극대화시켜 이온성물질 및 미립자들을 거대·고형화 시킴으로써 침전효율을 향상시키고,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침전조의 용적내에서 침전부를 2단계로 나누어 침전물을 이중으로 분리함으로써 침전효과를 위해 필요한 단위 용적을 줄임으로써 처리시설 설치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는, 오염물질이 포함된 오·탁수를 처리하는 처리장치에 있어서, 1차침전조(10);와 상기 1차침전조(10)의 외부에 연결되어 오·탁수를 유입하는 유입관(11);와 상기 1차침전조(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탁수의 유입방향을 전환하는 제1딥플레이 트(21);와 상기 제1딥플레이트(21)의 내측에 설치되어 2차 침전을 유도하는 2차침전조(30);와 상기 2차침전조(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탁수의 유입방향을 전환하는 제2딥플레이트(23);와 상기 제2딥플레이트(23)의 외부에 일체 형성되어 처리수를 방류배관으로 유입시키는 웨어수로(41);와 상기 웨어수로(41)의 일측에서 1차침전조(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처리수를 방류하는 방류관(40);와 상기 1차침전조(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침전슬러지를 인발하는 슬러지인발관(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입관(11)은 1차침전조(10)에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 연결되어 유입되는 오·탁수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오·탁수가 유입되는 부위의 제1딥플레이트(21)의 외측에는 배플판(13)이 형성되어 유입되는 오·탁수가 분산되어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처리용기의 상부 일측에는 감속기(71)가 설치되고, 감속기의 하부에는 회전축(72)이 연결되어 2차침전조(30)의 중앙 하부를 관통하며, 상기 1차침전조(10)의 내측 하부 중앙에는 스크래퍼부(6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하부의 회전축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막힘방지날(73)이 부착되어 2차침전조의 하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탁수 처리장치의 단면구성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탁수 처리장치의 평면구성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는 COD, 산, 알칼리, 기타 혼탁 유발물질등이 포함된 오·탁수를 처리하는 장치로,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되는 오·탁수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하나 이상의 딥플레이트에 의해 상하로 반복 이동함으로써, 부유물등의 입자는 침전 분리되어 슬러지인발관(50)을 통해 이동되고, 처리수는 방류관(40)을 통해 별도 유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의 몸체에 해당하는 1차침전조(10)가 구비된다. 1차침전조(10)의 내측 하부에는 고형화된 침전물이 침전되는 침전공간(12)이 형성된다. 1차침전조의 내측 바닥은 침전물이 중앙으로 모여 배출되도록 외측에서 중앙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유입관(11)은 1차침전조(10)의 외부에 연결되어 오·탁수가 유입된다. 유입관(11)은 1차침전조(10)에 일정한 각도(a)를 이루며 연결되어 유입되는 오·탁수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유입관(11)은 1차침전조(10)의 접선방향으로 형성되거나 1차침전조(10)의 접선에 빗각으로 연결된다. 유입관(11)은 평면상 원형의 1차침전조(10) 에 대해 중심으로 즉, 1차침전조(10)의 접선에 직각방향으로 오·탁수를 유입시키지 않는다.
오·탁수가 유입되는 부위의 제1딥플레이트(21)의 외측에는 배플판(13)(baffle board)이 형성되어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되는 오·탁수가 분산되어 유입되도록 한다.
딥플레이트는 하나 이상 설치되어 오·탁수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도록 하여 침전물을 분리한다.
제1딥플레이트(21)는 1차침전조(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유입된 오·탁수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하강하다가 상승한다. 이때의 와류는 원심력과 구심력이 작용하되 중심을 향한 나선형의 와류를 형성한다.
제1딥플레이트(21)의 상부는 1차침전조(10)의 상부높이만큼 위치하고, 제1딥플레이트(21)의 하부는 1차침전조(10)의 바닥(침전공간(12))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이격된다. 유입된 오·탁수는 1차침전조(10)의 내벽과 제1딥플레이트(21)의 외벽 사이의 공간을 따라 하강하다가 제1딥플레이트(21)의 하부에서 이동방향이 바뀌어 상승한다.
2차침전조(30)는 제1딥플레이트(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탁수의 유입방향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상승하다가 하강한다. 이때의 와류는 원심력과 구심력이 작용하되 중심을 향한 나선형의 와류를 형성한다.
2차침전조(30)의 상부는 제1딥플레이트(21)의 상부높이보다 낮고, 2차침전조(30)의 하부도 제1딥플레이트(21)의 하부높이보다 낮다. 유입된 오·탁수는 제1 딥플레이트(21)의 내벽과 2차침전조(30)의 외벽 사이의 공간을 따라 상승하다가 2차침전조(30)의 상부에서 이동방향이 바뀌어 하강한다.
2차침전조(30)의 하부에는 기울기 60도 이상의 경사면이 콘형상으로형성되어 침전물이 하부로 모인다. 경사면의 중앙 하부에는 1차침전조 하부의 호퍼부로 침전물을 배출하는 배출관(31)이 형성된다. 2차침전조 하측부에는 가이드플레이트(22)가 형성되어 오·탁수가 제1딥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선회하여 상승할 수 있게 안내한다.
제2딥플레이트(23)는 2차침전조(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탁수의 흐름방향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하강하다가 상승한다. 이때의 와류는 원심력과 구심력이 작용하되 중심을 향한 나선형의 와류를 형성한다.
제2딥플레이트(23)의 상부는 2차침전조(30)의 상부높이보다 높고, 제2딥플레이트(23)의 하부는 2차침전조 하부경사면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이격된다. 유입된 오·탁수는 2차침전조(30)의 내벽과 제2딥플레이트(23)의 외벽 사이의 공간을 따라 하강하다가 제2딥플레이트(23)의 하부에서 이동방향이 바뀌어 상승한다.
이때 이동하는 오·탁수가 제2딥플레이트(23)의 하부에서 1차침전조하부 경사면에 반사되어 이동방향이 바뀌어 상승한다. 제2딥플레이트(23)에 의해 오·탁수가 이동하는 중에도 침전성 입자는 2차침전조 하부 경사면의 중앙 하부로 침전되어 모인다.
상기에 설명한 배플판(13) 및 제1,2딥플레이트는 각각 연결대(도시 생략)에 의해 연결 지지된다. 연결대는 막대형태로 유체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을 일정한 간 격으로 설치된다.
제2딥플레이트(23)의 외부에 웨어수로(41)가 일체 형성되어 침전물이 분리된 처리수를 방류시키기 위해 모은다. 웨어수로(41)는 2차침전조(30)와 제2딥플레이트(23)의 사이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어, 경사판(30) 및 제2딥플레이트(23)의 내측 상부로 상승하는 상등수가 월류된다.
방류관(40)은 웨어수로(41)의 일측에 연결되고 1차침전조(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웨어수로(41)로 월류된 상등수를 모아서 유출시킨다.
한편 1차침전조의 내측 하부에는 감속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크래퍼부가 형성된다. 스크래퍼는 1차침전조의 경사면 바닥에 적체되는 침전물을 긁어모아 외부로 배출시킨다.
감속기(71)는 1차침전조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감속기의 하부에는 회전축(72)이 연결되어 2차침전조 중앙 하부를 관통한다. 1차침전조(10)의 내측 하부 중앙에는 스크래퍼부(60)가 연결된다.
스크래퍼부(60)의 실시예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의 하단부에 연결대(61)가 크로스되어 형성되고, 각 연결대의 하부에는 다수의 장방형 스크래퍼(62)가 배열 부착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의 1차침전조 하부의 평면상태를 나타낸다.
연결대(61)는 1차침전조의 하부 내측을 긁기 위해 마주하는 연결대의 길이를 길고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대는 도 4에서와 같이 사방으로 4개가 돌출되게 회전축의 하단에 부착되었으나, 그 수를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연결 대와 연결대는 각각 지지와이어(63)를 연결하여 서로의 연결대를 당겨 연결대에 회전력이 고루 분산되게 하고, 연결대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스크래퍼(62)는 그 하부가 고무재로 되어 처리용기의 바닥을 잘 쓸면서 긁어준다. 스크래퍼의 하부 재질은 고무재에 한정되지 않고 처리용기의 바닥을 긁어주는 역할을 하는 다른 수단도 가능하다.
2차침전조 경사면 하부의 배출관(31)에 위치하는 회전축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막힘방지날(73)이 부착되어 경사면의 배출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슬러지인발관(50)은 1차침전조(10)의 하부에 연결된다. 슬러지인발관은 1차침전조 하부로 바로 침전되는 침전물, 2차침전조 경사면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침전물을 처리용기의 외부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가 적용되는 처리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가 적용된 처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구성상태도이다.
우선 처음 단계는 침사 침전물 처리단계로, 침사조(110)에 유입된 오·탁수에서 걸러진 일부 침전물을 자연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침사조(110)는 모래 및 기타 협잡물 입자들이 침전,제거되는 수조로, 침사조(110)를 통과한 상등수는 오·탁수 중 일부 부유물이 제거된 상태이다. 일부 부유물이 제거된 상등수는 유량조정조로 유입된다. 인발된 슬러지는 자연 건조시켜서 별도 처리한다.
다음 단계는 유량 조정단계로, 급격한 유입유량변동에 대해 완충작용을 하며 침사조에서 월류된 유입수를 유량펌프를 이용하여 일정양을 균등하게 반응조로 펌핑하는 단계이다.
침사조(110)를 통과한 후 월류된 상등수는 유량조정조(120)로 이동된다. 유량조정조(120)에는 하나 이상의 펌프가 설치되어 유량펌프(121)를 통해 반응조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정한다.
다음 단계는 교반단계로, 유량 조정단계에서 일정량의 오·탁수를 펌핑하고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로 연결된 배관 상에 내부가 스크류 방식으로 가공된 교반조(Line mixer)를 3개소 설치하여 각 개소의 전단에 약품투입구를 부착함으로써 유입오·탁수와 투입약품이 교반, 반응되도록 한다.
교반단계는 제1교반조(131)를 통해 오·탁수와 황산을 교반하고, 제2교반조(132)를 통해 오·탁수와 가성소다를 교반하며, 제3교반조(133)를 통해 오·탁수와 응집제를 교반하여 다음 단계로 이동시킨다. 131a는 황산탱크이고, 132a는 가성소다탱크이며, 133a는 폴리머 응집제탱크이다.
황산과 오·탁수를 교반하는 것은 산성인 황산을 오·탁수와 교반하여 pH지수를 낮추어 오·탁수를 중화시키기 위함이다. 가성소다와 오·탁수를 교반하는 것은 알칼리성인 가성소다를 오·탁수와 교반하여 pH지수를 높여 오·탁수를 중화시키기 위함이다. 폴리머 응집제와 오·탁수를 교반하는 것은 황산과 가성소다와의 교반을 통해 중화된 오·탁수 중 미세입자를 응집시켜 거대·고형화시키기 위함이 다.
교반조는 통상의 기술로써, 관내에 여러 개의 요소가 좌우방향 연속적으로 층류의 유체를 난류의 유체로 변환시킨다. 교반조는 오·탁수의 통과 중에 연속적인 교반(MIXING)을 일으켜 효과적으로 2가지 이상 유체, 기체, 분체를 혼합시켜주는 장치이다. 교반조는 유체흐름을 분할시키고 흐름의 방향을 뒤바꾸어주고 전환시키면서 배관 내 이송 중에 분할, 방향전환, 뒤섞임의 3가지 역할을 연속적으로 시켜주어 세밀한 교반까지 할 수 있는 장치이다.
다음 단계는 침전단계로, 교반단계에서 이동된 혼합수를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에 의해 처리한 후 상등수는 방류시키고 침전슬러지는 침사조(110)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되는 오·탁수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하나 이상의 딥플레이트에 의해 상하로 반복 이동함으로써, 오염물은 침전 분리되어 슬러지인발관(50)을 통해 침사조(110)로 이동되고, 처리수는 방류관(40)을 통해 방류조로 유출된다. 140은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이다. 침전단계는 도 2를 참조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COD, 산, 알칼리, 기타 혼탁 유발물질등이 포함된 오탁수를 유입관(11)을 통해 1차침전조(10)로 유입시킨다. 오·탁수가 1차침전조(10)에 유입될 때 배플판(13)에 의해 1차침전조(10)의 내벽과 제1딥플레이트(21)의 외벽 사이의 공간으로 분산된다.
오·탁수는 중심을 향하는 나선형의 와류를 형성하면서 제1딥플레이트(21)의 외벽을 따라 하강한다. 하강하던 오·탁수에서 고형입자(101)들이 하중에 의해 1차 침전조(10) 하부의 침전공간(12)으로 하강한다. 이때 거대·고형입자들의 하중이 와류의 회전력보다 세기 때문에 하강하고, 미세입자들은 자체 하중보다 와류의 회전력이 세기 때문에 침전되지 않고 오·탁수와 함께 회전한다.
제1딥플레이트(21)의 외벽을 따라 하강하던 오·탁수는 제1딥플레이트(21)의 하부에서 이동방향이 전환되면서 2차침전조(30)의 외벽을 만나 외벽을 따라 상승한다.
가이드플레이트(22)의 외벽을 따라 상승하던 오·탁수는 2차침전조(30)의 상부에서 이동방향이 전환되면서 웨어수로(41)의 하부를 만나 제2딥플레이트(23)의 외벽을 따라 하강한다.
제2딥플레이트(23)의 외벽을 따라 상승하던 오·탁수는 제2딥플레이트(23)의 하부에서 이동방향이 전환되면서 제2딥플레이트(23)의 내부로 상승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동안 생성되는 수중의 입자들은 2차침전조경사면의 내벽을 따라 경사면 하부 중앙으로 침전되었다가 배출관(31)을 통해 1차침전조(10) 내부로 배출된다. 와류의 회전력이 약화되면서 수중 입자들의의 하중이 와류의 회전력보다 세기 때문에 하강하며 침전된다.
침전공간(12)으로 하강된 고형 침전물과, 2차침전조경사면 하부로 배출된 침전물은 슬러지인발관(50)을 통해 침사조(110)로 이동된다. 제2딥플레이트(23) 내부로 상승한 처리수(103)는 웨어수로(41)로 월류되어 방류관(40)을 통해 1차침전조(10)의 외부로 유출된다.
아울러 감속기(71)가 작동하여 회전하면서 회전축(72)의 회전력을 받은 스크 레퍼부(60)가 회전한다. 스크레퍼부의 스크레퍼(62)가 처리용기의 바닥을 긁어 처리용기의 바닥에 침전물이 응고되어 적체되지 않도록 한다.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막힘방지날(73)도 회전하여 배출관(31)을 통해 배출되는 제2침전조 내의 침전물이 원활히 침전공간(12)으로 배출된다.
다음 단계는 처리수 재활용 및 방류단계로, 침전단계에서 유출되는 처리수를 약품탱크로 이동시켜 재활용하거나 방류시키는 단계이다.
1차침전조(10)의 방류관(40)으로부터 유출된 처리수는 방류조(150)에 모였다가 일부는 약품용해수로 재활용되거나 방류조(150)의 외부로 방류시킨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는 오·탁수와과 약품을 잘 교반하여 용해성 물질 및 입자들을 거대·고형화시킴으로써, 용존물질들의 침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오·탁수가 유입되는 처리용기 내측에 침전공간을 형성하고, 딥플레이트를 하나 이상 설치하여 내측의 딥플레이트에 경사면을 형성하며, 침전공간과 경사면의 하부에 각각 슬러지인발관을 연결함으로써, 오·탁수의 유입시 형성되는 와류의 회전력과 발생입자들의 하중에 따라 오·탁수가 이중으로 분리되어 용존입자들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침전조형태(1차침전조형태)의 내부에 딥플레이트 및 2차침전조를 추가 설치하여 침전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용존입자들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1차침전조 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한 스크레퍼를 설치함으로써, 침전물이 처리용기의 바닥에 적체되지 않고 모두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침전물이 포함된 오·탁수를 처리하는 연속침전 처리장치에 있어서,
    1차침전조(10);
    상기 1차침전조(10)의 외부에 연결되어 오·탁수를 유입하는 유입관(11);
    상기 1차침전조(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탁수의 유입방향을 전환하는 제1딥플레이트(21);
    상기 제1딥플레이트(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탁수의 유입방향을 전환하는 2차침전조(30);
    상기 2차침전조(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탁수의 유입방향을 전환하는 제2딥플레이트(23);
    상기 제2딥플레이트(23)의 외부에 일체 형성되어 침전물이 분리된 처리수를 모으는 웨어수로(41);
    상기 웨어수로(41)의 일측에서 1차침전조(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처리수를 유출하는 방류관(40); 및
    상기 1차침전조(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침전슬러지들을 이동시키는 슬러지인발관(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11)은 1차침전조(10)에 일정한 각도를 이루어 연결되어 유입되는 오·탁수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탁수가 유입되는 부위의 제1딥플레이트(21)의 외측에는 배플판(13)이 형성되어, 오·탁수가 분산되어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침전조의 상부 일측에는 감속기(71)가 설치되고, 감속기의 하부에는 회전축(72)이 연결되어 2차침전조(30) 하부경사면의 중앙 하부를 관통하며, 상기 1차침전조(10)의 내측 하부 중앙에는 스크래퍼부(6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2차침전조 하부경사면의 회전축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막힘방지날(73) 이 부착되어 경사판의 하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KR2020060020165U 2006-07-26 2006-07-26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KR200428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65U KR200428076Y1 (ko) 2006-07-26 2006-07-26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65U KR200428076Y1 (ko) 2006-07-26 2006-07-26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721A Division KR100639266B1 (ko) 2005-09-02 2005-09-02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076Y1 true KR200428076Y1 (ko) 2006-10-04

Family

ID=4177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165U KR200428076Y1 (ko) 2006-07-26 2006-07-26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0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030B1 (ko) 2007-04-11 2008-01-04 보문기공(주) 고형물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처리 수질의 원격 감시 시스템을 포함하는 오ㆍ폐수 처리 설비
US7688792B2 (en) 2005-04-21 2010-03-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wireless data services on a TE2 device using an IP-based inte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8792B2 (en) 2005-04-21 2010-03-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wireless data services on a TE2 device using an IP-based interface
KR100792030B1 (ko) 2007-04-11 2008-01-04 보문기공(주) 고형물 제거 효율이 우수하고 처리 수질의 원격 감시 시스템을 포함하는 오ㆍ폐수 처리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266B1 (ko)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8168073B2 (en) Waste concrete and aggregate reclaimer
EP3130385B1 (en) Sedimentation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RU2316483C2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осаждения минеральных взвесей
KR100992430B1 (ko) 침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ㆍ폐수 처리 장치
KR100810334B1 (ko) 응집분리장치
KR102406986B1 (ko) 2회 연속 침전 처리장치
KR101358629B1 (ko) 싸이클론 침전장치
JP2008246282A (ja) 泥水浄化分離装置
KR100946402B1 (ko) 고속 응집침전시스템
WO1997035655A1 (en) Water treatment system
KR101345262B1 (ko) V―블록형 경사판 침전장치
KR200428076Y1 (ko)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KR101145049B1 (ko) 하수 및 폐수처리장치
KR101976216B1 (ko) 물 정화 방법 및 장치
KR20060093997A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KR20190121115A (ko) 응집 반응 장치
KR200421751Y1 (ko) 원형 경사판을 가지는 침전장치
CN108946890B (zh) 一种集净化与浓缩为一体的污水处理系统
KR20160001603U (ko) 와류 발생 구조를 갖는 폐수 처리장치
KR20190121114A (ko) 무동력 교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응집 반응 장치
JP2004008909A (ja) 凝集沈殿方法及び装置
JP5916535B2 (ja) 濁水の固液分離装置
WO1997035654A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JP2006095494A (ja) 凝集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