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587Y1 -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587Y1
KR200427587Y1 KR2020060017889U KR20060017889U KR200427587Y1 KR 200427587 Y1 KR200427587 Y1 KR 200427587Y1 KR 2020060017889 U KR2020060017889 U KR 2020060017889U KR 20060017889 U KR20060017889 U KR 20060017889U KR 200427587 Y1 KR200427587 Y1 KR 200427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block
circulation passage
block
cooling water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근
Original Assignee
지.티.에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에스 (주) filed Critical 지.티.에스 (주)
Priority to KR2020060017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에는 슈 블록을 안착하고 바닥면에는 상기 슈 블록의 내부에 구비된 냉각수 순환통로의 입구 및 출구와 대응되도록 유입공과 배출공을 각각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되 하부에는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핸들을 구비하는 나선축으로 구성되는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슈 블록에 형성된 냉각수 순환통로의 입구에 일정한 수압을 갖는 물을 공급한 후 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수압 및 배수량을 검사하여 냉각수 순환통로의 가공상태를 사전에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냉각수 순환통로에 일정한 수압을 갖는 물을 공급하여 슈 블록의 누수상태를 사전에 검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스카핑, 블록, 슈, 수압, 검사, 점검, 테스트, 장치

Description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A Test device water pressure for shoe block}
도 1 - 일반적인 스카핑 블록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 - 일반적인 스카핑 블록에 있어서 슈 블록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 - 본 고안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4 - 본 고안을 이용하여 슈 블록의 수압을 검사하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카핑 블록
10: 헤드(Head) 블록 20: 어퍼(Upper) 블록
30: 로우(Lower) 블록
40: 슈(Shoe) 블록 41: 냉각수 순환통로
100: 본 고안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
110: 본체 111: 유입공
112: 배출공
120: 지지대
130: 나선축 131: 고정구
140: 핸들
본 고안은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슈 블록의 내부에 순환되도록 형성된 냉각수 순환통로의 수압을 검사하여 냉각수 순환통로의 가공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및 철강공장에서 생산되는 슬래브(Slab)의 표면에는 산화스케일 등의 이물질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산화스케일은 생산되는 슬래브의 생산품질과 후속공정의 작업효율을 저하하게 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슬래브의 표면을 산소와 가스를 혼합한 기체로 예열하여 용융시킨 후, 상기 혼합기체의 농도를 증가시켜 산소압력 1.5bar와 가스압력 0.25bar의 혼합에 의한 집중분사방식으로 산세함으로써 슬래브의 표면을 일정간격과 일정깊이(약 2㎜)로 산화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스카핑(Scarfing)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카핑 장치는 슬래브의 표면과 예각으로 설치되어 혼합가스의 화염에 따른 가열 및 고압의 산소를 방출시켜 슬래브의 표면 거칠기 및 결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스카핑 블록을 구비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한 스카핑 블록(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분배부가 형성되어 있는 메니폴드(manifold)에 장착되는 헤드 블록(10)과, 상기 헤드 블록(10)의 전방으로 슬래브의 표면과 예각을 갖도록 결합하고 내부에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분출공을 통해서 혼합가스 및 고압의 산소를 방출시켜 슬래브의 표면에 형성된 용융설을 가열한 후 제거하기 위한 어퍼 블록(20) 및 로우 블록(30)과, 상기 로우 블록(30)의 하부와 헤드 블록(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슬래브의 표면과 밀착하는 슈 블록(40)으로 구성되는 세트(Set)형태의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산화스케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얼마나 신속하게 냉각을 시키느냐에 따라서 상기 슈 블록(40)의 내구성과 사용효율이 결정되는데, 이러한 이유는 고온으로 인한 열변형이 발생할 경우에는 수축 및 팽창이 반복되므로 결국 상기 슈 블록(40)이 쉽게 균열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슈 블록(40)의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냉각수 순환통로(41)를 형성하여 고온으로 인한 열변형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냉각수 순환통로(41)에 대한 냉각기능 및 작용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상기 슈 블록(40)은 제작상에서 작업자의 외관검사에 의존할 뿐 실질적으로 냉각기능을 좌우하는 냉각수 순환통로(41)의 가공상태 및 냉각수의 흐름, 누수 등에 대한 정확한 검사(테스트)를 위한 방안(장치)이 강구되지 못해, 결국 상기 슈 블록(40)을 현장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냉각수의 흐름이 지연되거나 열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도출되면 그때 유지보수 및 교체작업을 진행해야하는 비효율적인 단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열변형이 발생한 슈 블록(40)은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이를 교체하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작업라인을 중단시켜야 하므로 결국 작업지연으로 인한 생산차질 및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심각한 폐단을 갖게 되었다.
이처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슈 블록에 형성된 냉각수 순환통로의 내부로 일정한 수압을 갖는 물을 공급하여 배출되는 물의 수압 및 순환상태를 검사하여 냉각수 순환통로의 가공상태를 사전에 점검할 수 있는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정한 수압을 갖는 물을 냉각수 순환통로에 공급하여 슈 블록의 누수상태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는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100)는 상부에는 슈 블록(40)을 안착하고 바닥면에는 상기 슈 블록(40)의 내부에 구비된 냉각수 순환통로(41)의 입구 및 출구와 대응되도록 유입공(111)과 배출공(112)을 각각 형성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후방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대(120)와, 상기 지지대(12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되 하부에는 고정구(131)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핸들(140)을 구비하는 나선축(130)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상기 본체(110)는 상기 슈 블록(40)에 형성된 냉각수 순환통로(41)의 내부로 일정한 수압을 갖는 물을 공급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수압과 배수량을 검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유입공(111)과 배출공(112)의 설치위치 및 개수는 상기 냉각수 순환통로(41)의 입구 및 출구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입공(111)을 통해서 일정한 수압을 갖는 물이 공급되어 상기 냉각수 순환통로(41)를 통과하여 다시 상기 배출공(112)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이때 상기 유입공(111)측의 수압과 배출공(112)측의 수압변화가 크거나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량이 적을 경우에는 상기 냉각수 순환통로(41)의 가공상태가 불량(병목현상,누수현상)으로 냉각수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냉각수 순환통로(41)의 가공상태가 양호할 경우에는 냉각수의 흐름이 원활하여 냉각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가공상태가 불량일 경우에는 냉각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결국 상기 슈 블록(40)의 열변형으로 내구성을 저하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수 순환통로(41)의 수압은 공지의 압력계(미도시 됨)를 사용하여 공급과 배출되는 물의 수압을 측정하거나 또는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배수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유입공(111)과 배출공(112)의 외주연에는 상기 냉각수 순환통로(41)와의 밀착과정에서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공지의 패킹(오링)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입공(111)과 배출공(112)의 일측에는 유입 및 배출되는 물을 효율적으로 차단 및 공급하기 위한 공지의 수동 또는 자동방식의 밸브(미도시 됨)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구(131)는 상기 슈 블록(40)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즉 작업자가 상기 슈 블록(40)을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안착시킨 후 상기 핸들(140)을 회전시키면 상기 나선축(130)이 나선회전을 통해서 상기 고정구(131)을 하강시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슈 블록(40)을 상기 본체(110)와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슈 블록(40)을 상기 본체(110)에 고정함으로써 수압을 이용하는 검사작업에서 흔들림없이 정확한 수압 및 배수량을 검사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슈 블록(40)의 냉각수 순환통로(41)에 대한 수압 및 배수량의 검사를 위한 물의 수압은 약 1.5~3Kg/cm^2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140)을 회전시켜 상기 슈 블록(40)을 상기 본체(110)와 밀착시켜 고정한 후 일측의 유입공(111)을 통해서 일정한 압력을 갖는 물을 공급하여 타측의 배출 공(112)을 통해서 배출되는 물의 수압 및 배수량, 누수상태를 검사하여 상기 냉각수 순환통로(41)의 가공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본 고안은 슈 블록에 형성된 냉각수 순환통로의 입구에 일정한 수압을 갖는 물을 공급한 후 출구로 배출되는 물의 수압 및 배수량을 검사하여 냉각수 순환통로의 가공상태를 사전에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냉각수 순환통로에 일정한 수압을 갖는 물을 공급하여 슈 블록의 누수상태를 사전에 검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부에는 슈 블록을 안착하고 바닥면에는 상기 슈 블록의 내부에 구비된 냉각수 순환통로의 입구 및 출구와 대응되도록 유입공과 배출공을 각각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후방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되 하부에는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핸들을 구비하는 나선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
KR2020060017889U 2006-07-03 2006-07-03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 KR200427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889U KR200427587Y1 (ko) 2006-07-03 2006-07-03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889U KR200427587Y1 (ko) 2006-07-03 2006-07-03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587Y1 true KR200427587Y1 (ko) 2006-09-27

Family

ID=4177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889U KR200427587Y1 (ko) 2006-07-03 2006-07-03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5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766B1 (ko) * 2019-11-04 2020-10-13 주식회사 포스코 스카퍼용 예열간격 측정장치
KR20210109280A (ko) 2020-02-27 2021-09-06 삼덕기계공업주식회사 스카핑유니트용 슈블록의 누설시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766B1 (ko) * 2019-11-04 2020-10-13 주식회사 포스코 스카퍼용 예열간격 측정장치
KR20210109280A (ko) 2020-02-27 2021-09-06 삼덕기계공업주식회사 스카핑유니트용 슈블록의 누설시험장치
KR102363587B1 (ko) * 2020-02-27 2022-02-16 삼덕기계공업주식회사 스카핑유니트용 슈블록의 누설시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7587Y1 (ko) 슈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
CN105158046B (zh) 一种连铸坯低倍样的快速制备方法
KR200427586Y1 (ko) 어퍼 블록과 로우 블록의 수압 검사장치
US10442717B2 (en) Post-manufacturing processes for submerged combustion burner
KR20130052085A (ko) 세척장치를 포함한 보일러
KR102038781B1 (ko) 유량제어형 열피로 균열 발생장치
CN106092453B (zh) 检修换热器内漏的方法
KR20060126858A (ko) 어퍼 블록과 로우 블록의 분사각도 및 분사형태 검사장치
CN112964832A (zh) 一种压力容器煤气取样分析系统与控制方法
JP2004517291A (ja) 廃棄物の熱処理プラントにおける火格子部分を形成する火格子ブロック
KR101327329B1 (ko) 로터리조인트 테스트장치
KR102581934B1 (ko) 자동차 콤프레샤 하우징용 리크테스트 장치
KR102363587B1 (ko) 스카핑유니트용 슈블록의 누설시험장치
KR101076189B1 (ko) 고로 대탕도용 수냉커버
KR100230989B1 (ko) 반도체설비의 배관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67232Y1 (ko) 가스냉각튜브 누수검사장치
KR100581498B1 (ko) 구형 탱크의 외부 검사 및 보수용 조립식 비계시스템에서의 작업대 좌우 회전장치
JP5386154B2 (ja) 鋳造品の中空部閉塞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TWI833937B (zh) 給水分佈器修復
KR101694454B1 (ko) 스테이브 보수 장치 및 방법
KR102325289B1 (ko) 초임계 이산화탄소 염색기의 염색 공정 모니터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염색 종료시점 판단방법
US11898940B2 (en) Leak det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for the system
Silber et al. Specimen Testing for Steam Generator Tube Leaks with Measurement of Flow Patterns
KR200354692Y1 (ko) 구형 탱크의 외부 검사 및 보수용 조립식 비계시스템에서의 작업대 좌우 회전장치
CN109695774B (zh) 一种硬密封球阀内漏闭环检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