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222Y1 -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222Y1
KR200427222Y1 KR2020060013348U KR20060013348U KR200427222Y1 KR 200427222 Y1 KR200427222 Y1 KR 200427222Y1 KR 2020060013348 U KR2020060013348 U KR 2020060013348U KR 20060013348 U KR20060013348 U KR 20060013348U KR 200427222 Y1 KR200427222 Y1 KR 200427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measurement
light
reflect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규
심현섭
Original Assignee
아이텍스플래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텍스플래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텍스플래닝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3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2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28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rrangements with two or more detectors, e.g. for sensitivity compen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05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optical manifolds, diffusers, windows
    • G01J3/0251Colorimeters making use of an integrating sp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3/465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taking into account the colour perception of the eye; using tristimulus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2003/466Coded colour; Recognition of predetermined colour; Determining proximity to predetermined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2003/467Colour compu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 규격으로 구분된 색채 프로파일(profile)을 통합하여 색채 계측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PC,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간편하게 연결되어 실시간의 데이터 통신 및 데이터 베이스의 생성이 가능하며, 휴대가 편리하도록 한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색채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색채 신호에서 R, G, B의 색채 구성을 추출하고, 이를 이미 설정된 색채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수치로 출력하는 색채 계측장치에 있어서, 측정대상에 광을 조사하는 측정광원과; 상기 측정광원의 광이 측정대상에 반사되어 귀환되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색채를 감지하는 대상센서와; 상기 측정광원의 광이 측정대상을 제외한 구간에 반사되어 귀환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주변센서와; 상기 대상센서와 주변센서에서 수광된 신호를 수신하여, 색채 신호에서 R, G, B의 색채 구성을 추출하고, 이를 이미 설정된 색채 프로파일과 비교판단하여 각 구성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PC로 전송하기 위해 설치된 USB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를 제공한다.
색채, 컬러센서

Description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COLOR MEASURING APPARATUS USING REFLECTED LIGHT}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색채 계측장치의 구성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색채 계측장치의 회로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색채 계측장치의 중앙처리부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색채 계측장치의 메모리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색채 계측장치가 온라인 상에 연결된 상태 블록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색채 계측장치에 의한 색채 측정과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측정광원 20: 대상센서
21: 주변센서 30: 중앙처리부
40: USB포트 50: 메모리
51: 색채 프로파일 데이터 테이블 52: 구동 데이터 테이블
53: 입/출력 데이터 테이블 60: 통신모듈
70: 전원부
본 고안은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여러 규격으로 구분된 색채 프로파일(profile)을 통합하여 색채 계측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PC,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간편하게 연결되어 실시간의 데이터 통신 및 데이터 베이스의 생성이 가능하며, 휴대가 편리하도록 한 색채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색채 계측장치(이하, 계측장치)는 흔히 "칼라센서"라 통칭되며, 특정의 색채를 갖는 각종 대상물의 색채를 감지하고 처리하여, 처리된 데이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계측장치가 적용되는 분야는 섬유산업분야에서 자동차, 선박, 가구 등의 도장색을 관리하는 도장분야, 서적, 간행물 등의 인쇄물 색을 관리하는 인쇄분야, 야채, 과수 또는 기타 가공식품 등의 색을 관리하는 식품/농림/수산분야, 고무, 플라스틱, 화장품 등의 원료, 제품을 관리하는 기타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섬유산업분야는 주로 의류, 신발, 장신구 등의 패션산업분야에 색채 계측의 비중이 높게 평가되는데, 이는 패션산업에서 색채가 대단히 중요한 감 성요인이 되기 때문에 정확한 색채의 계측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패션제품으로 인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을 위한 주요 전략요인이 됨에 기인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계측장치는 일정 색채의 측정대상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과, 광원에서 출사된 광이 측정대상에 반사되면 이를 수광하여 감지하는 수광센서와, 상기 수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전용의 색추출제어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계측장치는 광원에서 광을 출사하여 측정대상에 조사하고, 측정대상에 반사되어 귀환하는 반사광이 수광센서에 감지되면, 수광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각 색채에 대한 주파수의 형태로 전용의 처리장치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입력된 주파수 신호는 이미 전용의 색추출제어장치에 입력된 색채 프로필과 대비되어 각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색채 데이터가 추출되며, 이와 같이 추출된 색채 데이터는 프린터, 모니터 등에 출력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계측장치는 전용의 색추출제어장치에 입력된 색채 프로파일이 주로 어느 일정한 단일의 규격(국내, 외에 다양한 규격 중 계측장치의 제작사와 연관되는 어느 일정한 규격)만이 저장되어 각 규격에 대한 편차가 무시되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
또한, 상기된 계측장치는 제품 차별성을 위해 제작사에서 제공되는 전용의 색추출제어장치에 의해 구현되기 때문에 일반 PC,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와 호환되지 못하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호환장치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구매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된다.
뿐만아니라, 상기 전용의 색추출제어장치가 적용됨에 의해 기능확장을 위해 지원되는 여러 옵션장치가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크기가 휴대불가능할 정도의 대형이며, 가격 자체가 대단히 고가로 책정되어 일정규모 이상의 업체에서만 적용될 뿐, 그 보급률이 대단히 낮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색채 측정시 여러 규격의 색채 프로파일(profile)을 모두 적용하여 결과신뢰도를 향상시키게 되며, 외부 장치 및 시스템에 간편하게 연결되어 기능확장이 실현되며, 휴대가 편리하여 대상물의 실시간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 색채 계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색채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색채 신호에서 R, G, B의 색채 구성을 추출하고, 이를 이미 설정된 색채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수치로 출력하는 색채 계측장치에 있어서, 측정대상에 광을 조사하는 측정광원과; 상기 측정광원의 광이 측정대상에 반사되어 귀환되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색채를 감지하는 대상센서와; 상기 측정광원의 광이 측정대상을 제외한 구간에 반사되어 귀환되는 반 사광을 수광하는 주변센서와; 상기 대상센서와 주변센서에서 수광된 신호를 수신하여, 색채 신호에서 R, G, B의 색채 구성을 추출하고, 이를 이미 설정된 색채 프로파일과 비교판단하여 각 구성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PC로 전송하기 위해 설치된 USB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측정광원에서 광을 출사하고, 출사된 광이 측정대상과 그 주변에 반사되어 귀환하는 반사광을 대상센서와 주변센서에서 수광하여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수광된 색채 신호를 주파수 신호로 처리하고, 메모리에 이미 입력된 색채 프로파일 데이터 테이블에서 상기 처리된 주파수 신호와 대응되는 R, G, B 색채구성에 대한 데이터를 호출하여, 측정대상을 구성하는 수치상의 색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색 데이터와, 색 프로파일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된 여러 규격의 색 프로파일 데이터를 호출하여 이들을 비교/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수치상의 색 데이터와 비교/판단된 색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색 데이터를 출력하기 이전에 USB포트에 외부장치가 연결된 경우, 외부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구성이 적용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색채 계측장치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색채 계측장치는 외장이 되는 케이스(1), 목적하는 색상의 광을 출사하는 측정광원(10), 광을 확산하는 광확산필터(2), 광의 색채를 계측하여 검출하는 광검출회로부(3)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는 측정대상(T)이 내측에 장착되는 커버(4)가 일 끝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커버(4)는 케이스(1) 내부에 설치된 측정광원(10)의 광이 측정대상(T)으로 출사될 때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1)에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정광원(10)은 케이스(1)의 내부에서 측정대상(T)에 대해 일정각도를 유지하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측정광원(10)은 측정대상(T)의 측정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 다수개 설치되어 후술될 측정대상(T)에서 반사되는 광의 량을 증가시켜 보다 정확한 계측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정광원(10)은 측정대상에 광을 조사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11, 12, 13)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발광다이오드(11, 12, 13)는 측정 광을 백색 또는 기타의 색채로 출사하기 위해 R(Red; 적), G(Green; 녹), B(Blue; 청)의 것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11, 12, 13)는 이들의 색채가 중첩되도록 하여 전술된 백색 또는 기타의 색채로 된 측정 광을 출사하기 위해 3색의 발광다이오드(11, 12, 13)가 단일화된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형태로 적용된다.
상기 측정광원(10)이 설치된 외측에는 구(求) 형태의 반사내면을 갖는 적분구(5)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측정광원(10)은 적분구(5) 반사내면의 측정대상(T)과 수평한 중앙선상에서 측정대상(T)측으로 더 가깝게(도면상 하측으로 일정거리 이격)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적분구(5)는 일측이 측정대상측으로 개방되고, 타측이 광확산필터(2)측으로 개방되어 측정광원(10)에 의해 광이 출사되는 구간과, 출사된 광이 측정대상(T)에 반사되어 광확산필터(2)로 수광되는 구간으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광이 출사되는 구간과 수광되는 구간은 차단막(6)이 장착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차단막(6)은 광이 반사되는 특성에 의해 반사광이 상측으로 진행되도록 적분구(5)의 상, 하를 구분하는 중앙지점에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차단막(6)의 대략 중앙에는 측정대상(T)에서 반사된 광이 통과되기 위한 통공(7)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막(6)이 설치됨에 의해 측정광원(10)이 적분구(5)의 상, 하 중앙선상에서 측정대상(T)측으로 더 가깝게 설치된 이유가 설명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광원(10)은 적분구(5)의 중앙선상 하측에 설치되어 측정대상(T)에 출사되는 광이 측정대상(T)의 측정면을 기준으로 적어도 45°각도보다 적은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인해 출사된 광은 측정대상(T)에 반사된 후 적분구(5)의 내측면에 반사되어 산란되는 광의 양이 더욱 많아지게 된다.
예로써 도면 상 우측의 측정광원(10)에서 출사된 광이 45°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출사될 때에는 좌하측의 적분구(5) 내면에 반사되어 광의 손실률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에 반하여, 출사된 광이 45°보다 큰 각도로 출사될 경우, 상당한 량의 광이 적분구(5)의 내측면에 반사되기 보다 차단막(6)으로 진행되어 흡수되기 때문에 손실되는 광의 량이 더 많아지게 된다. 결국, 상기 반사된 광의 량의 차이에 의해 광확산필터(2)에서 수광되는 광의 량에도 차이가 발생되기 때문에 가능한 많은 량의 광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채택함이 당연하다.
상기 광확산필터(2)는 측정광원(10)에서 출사된 광이 측정대상(T)에 반사되면, 반사된 광을 수광하도록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광확산필터(2)는 전술된 것과 같이 광을 수광하는 적분구(5)의 상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광확산필터(2)는 수광된 광이 확산되어 투영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광확산필터(2)는 주로 아크릴계 수지 또는 스틸렌계 수지로 제작된 투과성 플레이트 부재이다. 특히, 상기 광확산필터(2)는 측정대상(T)의 불균일한 반사면(특히, 직물과 같이 반사면의 굴곡이 발생될 수 있는 반사면)에 반사된 광을 수광한 후, 불균일한 반사상태에 의해 그 반사색채의 차이가 발생되면, 불균일한 반사색채를 그 내부에서 확산시켜 혼합되도록 하여 불균일한 색채의 평균값을 계측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광검출회로부(3)는 광확산필터(2)에 투영된 광에 의해 측정대상(T)의 칼라를 계측하도록 케이스(1) 내부에 설치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광검출회로부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색채 계측장치는 대상센서(20), 주변센서(21), 중앙처리부(30), USB포트(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상센서(20)는 측정광원(10)의 광이 측정대상(T)에 반사되어 광확산필트(2)에 투영되어 혼합된 반사광을 수광하여 색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 기 주변센서(21)는 측정광원(10)의 광이 측정대상을 제외한 구간에 반사되어 귀환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대상센서(20)와 주변센서(21)는 포토다이오드에 청색, 녹색, 적색의 필터를 부착하거나 코팅하여, 조사된 광원색에 대응하는 전압출력이나 주파수출력 또는 디지털,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소자형태의 부품으로 적용된다.
상기 중앙처리부(30)는 대상센서(20)와 주변센서(21)에서 수광된 신호를 수신하여, 색채 신호에서 R, G, B의 색채 구성을 추출하고, 이를 이미 설정된 색채 프로파일과 비교판단하여 각 구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상기 중앙처리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처리부(30)는 증폭부(31), A/V컨버터(32), 마이크로 프로세서(33), 구동드라이버(34)로 구성된다.
상기 증폭부(31)는 색채 신호, 특히 아날로그 형태의 색채 신호를 처리 가능한 주파수 대역으로 증폭하는 트랜지스터회로 또는 집적회로(IC)로 구성되며, 상기 A/V컨버터(32)는 증폭된 신호를 처리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구성이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4)는 입력된 신호에서 R, G, B의 색채 구성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회로를 포함하며, 각 구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구동을 제어하는 전용의 회로구성이다.
상기 구동드라이버(3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3)에 의해 추출된 수치상의 색채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프린터(35), LCD(액정표시장치, 특히, 박막형 트랜지스터가 부설된 TFT-LCD)(36)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구성이다.
상기 USB포트(40)는 중앙처리부(3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단말기인 PC(퍼스날 컴퓨터)(100)로 전송하기 위해 설치된 일종의 터미널 형태 구성이며, 이 때 상기 PC(100)는 외부장치로 PDA,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전용의 컴퓨터 단말기(CPU 등을 갖는)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색채 계측장치의 메모리 구성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처리부는 색채를 계측할 때 요구되는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색채 프로파일 데이터 테이블(51), 구동 데이터 테이블(52), 입/출력 데이터 테이블(53)로 구성된다.
상기 색채 프로파일 데이터 테이블(51)은 여러규격의 색채 프로파일 데이터가 저장된 것이며, 이 색채 프로파일은 펜톤 칼라, 문셀 칼라, sRGB, CMYK 등의 국제 표준 및 한국섬유 표준 색도감, 실용 한국 섬유 표준색 모음, COS-Color system 등의 국내표준의 데이터이다.
상기 구동 데이터 테이블(52)은 중앙처리부(30)에 의해 각 구성이 구동제어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상기 입/출력 데이터 테이블(53)은 입력된 색채 신호 및 데이터와 구동상황이 수행된 일련의 과정이 입력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내용이 외부장치의 데이터 베이스에 이동되도록 하는 출력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중앙처리부(30)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색채 데이터, 구동과정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60)과 연결되며, 특히, 상기 통신묘듈(60)은 작업장과 사무실의 짧은 공간에서 통신을 수행할 경우 블루투스 묘듈이 적용되고, 외부회선으로 연결될 경우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셀방식의 통신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통신모듈에 의해 색채 계측장치가 온라인 상에 연결된 상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모듈(60)은 색채 계측에 대한 각종 정보 데이터가 수집되어 온라인 상에 구축된 색채 계측 데이터 공급업체의 서버(61)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버(61)는 상기 각종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서버(61)에 의해 운영되는 데이터 베이스(62)와 공급업체의 단말기(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통신모듈(60)은 도면에서와 같이 광검출회로부(3)와 사용자의 단말기인 PC(100)가 연결된 경우 PC(100)에 의해 온라인 통신이 가능하여 통신모듈(60)이 배재될 수 있지만, 광검출회로부(3)가 서버(61)에 직접 연결되기 위해서는 통신 프로토콜 등의 조건에 부합되는 통신모듈(60)이 광검출회로부(3)에 적용되어 서버(61)와 통신모듈(60)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계측장치는 각 구성이 구동되기 위한 전기전원이 AC전원에 의해 공급되어 이를 강압하여 사용될 수 있지만, 휴대성을 고려하여 장치와 착탈식으로 접속되는 배터리 형태로 구성된 전원부(70)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색채 계측장치에 의한 색채 측정과정의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계측장치에 기인하면, 측정광원(10)에서 측정대상 측으로 광을 출사하고(S1), 출사된 광이 측정대상과 그 주변에 반사되어 귀환하는 반사광을 대상센서(20)와 주변센서(21)에서 수광하여 감지하게 된다.(S2)
이 후, 상기 수광된 색채 신호는 대상센서(20)와 주변센서(21)에서 주파수 신호로 처리되고,(S3) 중앙처리부(30)는 메모리(50)에 이미 입력된 색채 프로파일 데이터 테이블(51)에서 상기 처리된 주파수 신호와 대응되는 R, G, B 색채구성에 대한 데이터를 호출하여, 측정대상을 구성하는 수치상의 색 데이터를 추출하게 된다(S4).
이 때, 상기 주변센서(21)에서 수신된 측정대상 주변의 색채 신호는 색채 프로파일 데이터 테이블(51)의 데이터에 의해 색채를 측정함에 있어, 간섭요인이 발생되지 않는다면 무시되는 신호이며, 간섭요인이 발생될 경우 간섭률을 R, G, B 색채의 수치로 분해하여 대상센서(20)에 의해 추출된 수치상의 색 데이터에 가감되어 정확한 색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과정이 수행되면, 중앙처리부(30)는 추출된 색 데이터와, 색 프로파일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된 여러 규격의 색 프로파일 데이터를 호출하여 이들을 비교/판단하게 되며,(S5) 상기 추출된 수치상의 색 데이터와 비교/판단된 색 데이터를 프린터(35) 또는 LCD(36)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S8).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색 데이터를 출력하기 이전에 USB포트(40)에 PC(100) 등의 외부장치가 연결된 경우(S6), PC(100) 등의 외부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외 부장치에 의한 확장기능을 적용하여 색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S9).
또한, 상기 색 데이터를 출력하기 이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대상이 존재할 경우(S7), 색 데이터를 통신대상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측정대상의 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신대상에게 통보할 수 있게 된다(S10).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은 PC(100)가 계측장치와 연결된 경우, PC의 인터넷,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보다 편리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 확장된 기능으로, 상기 메모리(50)에 저장된 각각의 데이터 테이블(51, 52, 53) 등이 PC(100)에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되면, 계측장치를 보다 소형화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되며, 측정이 수행된 각종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더욱 많은 기술적 진보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색채 측정시 여러 규격의 색채 프로파일(profile)을 모두 적용하여 결과신뢰도를 향상시키므로써 제품의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PC, 인터넷 등의 외부 장치 및 시스템에 간편하게 연결되어 기능확장이 실현되므로써 보다 많은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게 되며, 크기의 소형화에 따른 휴대 편리성이 제공되어 실시간으로 색 측정이 수행됨에 따른 제품의 높은 만족도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색채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색채 신호에서 R, G, B의 색채 구성을 추출하고, 이를 이미 설정된 색채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수치로 출력하는 색채 계측장치에 있어서,
    끝단부에 측정대상이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측정대상에 대해 각도를 유지하며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측정대상으로 광을 출사하는 측정광원과;
    상기 출사된 광이 측정대상에 반사되면, 반사된 광을 수광하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광된 광이 확산되어 투영되는 광확산필터와;
    상기 광확산필터에 투영된 광을 감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투영된 광에 의해 측정대상의 칼라를 계측하는 광검출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광원의 외측에는 구(求) 형태의 반사내면을 갖는 적분구가 설치되고, 상기 측정광원이 적분구 반사내면의 측정대상과 수평한 중앙선상에서 측정대상측으로 더 가깝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구는
    일측이 측정대상측으로 개방되고, 타측이 광확산필터측으로 개방되어 측정광원에 의해 광이 출사되는 구간과, 출사된 광이 측정대상에 반사되어 광확산필터로 수광되는 구간으로 구분되기 위해 상기 중앙선상에 차단막이 장착되고, 차단막의 중앙에는 측정대상에서 반사된 광이 통과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광원은
    측정대상의 측정지점을 중심으로 방사상 다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광원은
    광의 3원색인 R, G, B 색상으로 구비된 LED의 조합에 의해 목적하는 색채의 광을 출사하는 LED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회로부는
    상기 측정광원의 광이 측정대상에 반사되어 귀환되는 반사광을 수광하여 색채를 감지하는 대상센서와;
    상기 측정광원의 광이 측정대상을 제외한 구간에 반사되어 귀환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주변센서와;
    상기 대상센서와 주변센서에서 수광된 신호를 수신하여, 색채 신호에서 R, G, B의 색채 구성을 추출하고, 이를 이미 설정된 색채 프로파일과 비교판단하여 각 구성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PC로 전송하기 위해 설치된 USB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색채를 계측할 때 요구되는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여러규격의 색채 프로파일 데이터가 저장된 색채 프로파일 데이터 테이블과;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각 구성이 구동제어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구동 데이터 테이블과;
    상기 입력된 색채 신호 및 데이터와 구동상황이 수행된 일련의 과정이 입력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내용이 외부장치의 데이터 베이스에 이동되도록 출력되는 입/출력 데이터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유/무선 통신에 의해 색채 데이터, 구동과정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각 구성이 구동되기 위한 전기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착탈식 배터리 형태로 구성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회로부는
    퍼스널 컴퓨터와 연결되어 색채계측에 요구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공급받으며,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를 가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색채 계측에 대한 각종 정보 데이터가 수집되어 온라인 상에 구축된 색채 계측 데이터 공급업체의 서버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KR2020060013348U 2006-05-18 2006-05-18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KR200427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348U KR200427222Y1 (ko) 2006-05-18 2006-05-18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348U KR200427222Y1 (ko) 2006-05-18 2006-05-18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751A Division KR20070111671A (ko) 2006-05-18 2006-05-18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222Y1 true KR200427222Y1 (ko) 2006-09-22

Family

ID=4177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348U KR200427222Y1 (ko) 2006-05-18 2006-05-18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2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1671A (ko)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334602B2 (ja) カラーキャリ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CN107945769B (zh) 环境光强度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93640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spectra of skin and other objects and materials and making predictions based thereon
CN107941330B (zh) 环境光强度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0111296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LEDs
CN108449962B (zh) 用于确定物体的反射率的方法和相关设备
KR20170006392A (ko) 식품 상태 측정 장치, 식품 상태 측정 모듈,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장치
CN104751756A (zh) 显示面板的光学调节装置、方法和显示装置
US10161878B2 (en) Diamond identification apparatus
EP24874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avelength spectrum analysis for detection of various gases using a treated tape
TW201341774A (zh) 成像感測器陣列測試設備
CN112219110A (zh) 用于评估光照条件对于使用移动设备的相机来检测样品中的分析物的适宜性的方法
US9917955B2 (en) Spectral transmissive measurement of media
Schaefer Colorimetric water quality sensing with mobile smart phones
US20130260824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tance measuring device
Boehle et al. Single board computing system for automated colorimetric analysis on low-cost analytical devices
KR200427222Y1 (ko)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KR20150016723A (ko) 스마트기기의 조도센서를 이용하는 정보분석시스템 및 이에 의한 정보분석방법
TWI610072B (zh) 攜帶型資訊終端以及攜帶型資訊終端的控制方法
KR102293333B1 (ko) 식품의 상태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의 상태 측정 시스템
KR102437294B1 (ko)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0627342B2 (en) Colorimeter attachment for smart phone
KR20070111670A (ko) 부스형 색채 계측장치
KR20070092544A (ko) 반사광을 이용한 색채 계측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