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990Y1 - 소음저감용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소음저감용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990Y1
KR200426990Y1 KR2020060017984U KR20060017984U KR200426990Y1 KR 200426990 Y1 KR200426990 Y1 KR 200426990Y1 KR 2020060017984 U KR2020060017984 U KR 2020060017984U KR 20060017984 U KR20060017984 U KR 20060017984U KR 200426990 Y1 KR200426990 Y1 KR 200426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ing member
hula hoop
protrusion
noise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윤종
Original Assignee
한윤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윤종 filed Critical 한윤종
Priority to KR2020060017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9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63B2210/52Frame members linked by elastic means when disassemb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음을 저감할 수 있음은 물론 휴대와 보관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소음저감용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 일측과 타측에 제1결합돌부와 제1결합홈을 형성하고, 내측과 외측에 지압돌기와 돌기부를 형성한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의 돌기부와 결합되는 돌기홈을 형성하고, 일측과 타측에 제2결합돌부와 제2결합홈을 형성한 제2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연결부에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구성한 이음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에 고정결합되는 결합부와 쿠션부로 구성된 쿠션부재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소음저감용 훌라후프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소음저감용 훌라후프는 외측에 형성된 제2결합부재에 쿠션부재를 장착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킴으로써 실내에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결합부재가 이음부재로 연결되어 있어 결합부재를 분리하였을 시 분실 우려 없이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와 쿠션부재를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훌라후프의 회전운동시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적극적으로 운동을 하게 할 수 있다.
훌라후프, 쿠션, 소음저감, 이음, 휴대

Description

소음저감용 훌라후프{hula hoop for protecting noise}
도 1은 쿠션부재가 장착된 소음저감용 훌라후프의 사시도.
도 2는 이음부재에 연결되어 형성된 제1결합부재의 정면도.
도 3은 제1, 2결합부재와 쿠션부재를 분리한 사시도.
도 4는 제1, 2결합부재와 쿠션부재를 결합한 사시도.
도 5는 제1, 2결합부재를 결합한 훌라후프의 사시도.
도 6은 쿠션부재가 교차하여 형성된 소음저감용 훌라후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결합부재 11 : 제1결합돌부
12 : 제1결합홈 13 : 지압돌기
14 : 돌기부 20 : 제2결합부재
21 : 돌기홈 22 : 제2결합돌부
23 : 제2결합홈 30 : 이음부재
31 : 연결부 32 : 연결수단
40 : 쿠션부재 41 : 결합부
42 : 쿠션부 50 : 소음저감용 훌라후프
본 고안은 실내,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음저감용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부재에 쿠션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실내에서 사용시 떨어뜨림에 의해 발생 되는 소음을 저감시킴은 물론, 상기 결합부재에 이음부재를 형성하여 휴대와 보관이 편리하게 함으로써 실외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음저감용 훌라후프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 들어 비만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건강을 지켜는 움직임들이 활발해 지면서, 헬스나 요가, 댄스 등 다양한 운동을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많은 비용을 소비하는 운동 외에도 간단한 도구를 활용하여 실내,외에서 간편히 할 수 있는 운동으로 훌라후프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어 지는 일반적인 훌라후프는 단순하게 제작된 다수개의 결합부재를 결합하여 원형의 링 형상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으로,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 및 사용이 간단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훌라후프에는 충격을 흡수할 만한 수단이 부착되지 않아 실내에서 사용시 떨어뜨림 등에 의한 소음발생으로 인해 아파트나 빌라의 거실 등에서의 사용에 많은 제약이 따랐으며, 휴대 또는 보관을 위하여 개별적으로 분리를 했을 시에 상기 결합부재들을 연결해줄 만한 수단이 없어 분실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외측에 형성된 제2결합부재에 쿠션부재를 장착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킴으로써 실내에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결합부재가 이음부재로 연결되어 있어 결합부재를 분리하였을 시 분실 우려 없이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와 쿠션부재를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훌라후프의 회전운동시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적극적으로 운동을 하게 할 수 있는 소음저감용 훌라후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소음저감용 훌라후프는 일측과 타측에 제1결합돌부와 제1결합홈을 형성하고, 내측과 외측에 지압돌기와 돌기부를 형성한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의 돌기부와 결합되는 돌기홈을 형성하고, 일측과 타측에 제2결합돌부와 제2결합홈을 형성한 제2결합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재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연결부에 연결되는 연결수단을 구성한 이음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에 고정결합되는 결합부와 쿠션부로 구성된 쿠션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소음저감용 훌라후프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쿠션부재가 장착된 소음저감용 훌라후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음부재에 연결되어 형성된 제1결합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제1, 2결합부재와 쿠션 부재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제1, 2결합부재와 쿠션부재를 결합한 사시도이며, 도 5는 제1, 2결합부재를 결합한 훌라후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쿠션부재가 교차하여 형성된 소음저감용 훌라후프의 사시도이다.
먼저, 소음저감용 훌라후프(5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재(10)와 제2결합부재(20)와 이음부재(30)와 쿠션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합부재(1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형성되며,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결합돌부(11)와 대응되는 타측에 형성된 제1결합홈(12)을 다른 제1결합부재(10)의 제1결합돌부(11)와 제1결합홈(12)에 결합함으로써 원형의 링 형상을 만드는 것으로, 내측으로 지압을 위한 지압돌기(13)를 형성하고, 외측으로 돌기부(14)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지압돌기(13)는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14)는 제1결합부재(10)의 크기에 맞게 소정이 크기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재(2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재(10)와 결합 되는 것으로, 상기 제1결합부재(10)의 외측에 형성된 돌기부(14)와 결합되는 돌기홈(11)을 내측에 형성하고 있으며, 양측으로 상기 제1결합부재(10)의 제1결합돌부(11) 및 제1결합홈(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돌부(22)와 제2결합홈(2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이음부재(3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재(10)들을 연결하는 것으로, 제1결합돌부(11)의 끝단과 제1결합홈(12)의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부(31)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31)에 연결되어 각각의 제1결합부재(10)를 연결해 주는 연결수단(3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이음부재(30)의 연결수단(32)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나, 탄성이 있는 고무재로 형성하여 비틀림 또는 휘어짐을 자유롭게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을 보다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4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재(10)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20)에 장착되는 것으로, 고정을 위한 결합부(41)와 제2결합부재(2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쿠션부(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쿠션부재(40)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부재(20)에 교차하여 장착시킬 수도 있으며, 장소에 따라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41)는 밴드, 벨크로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나, 보다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밴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쿠션부(42)는 효율적인 충격흡수를 위하여 스펀지나 은박 보온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 2결합부재(10,20)와 쿠션부재(40)는 하나의 단일색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시각적인 효과를 위하여 각기 다른 색상으로 다양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내에서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쿠션부재(40)에 형성된 결합부(41)를 이용하여 상기 쿠션부재(40)를 제2결합부재(20)에 장착한 후, 상기 쿠션부재(40)가 장착된 제2결합부재(20)를 이음부재(30)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결합부재(10)와 결합시킨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수개의 제2결합부재(20)를 제1결합부재(10)와 결합시킨 후, 결합된 제1, 2결합부재(10,20)를 결합된 다른 제1, 2결합부재(10,20)와 결합시킴으로써, 원형의 링 형상을 만들면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을 완료한 후에는 실내에서 소음저감용 훌라후프(50)를 사용하면 되는데, 이때 사용과정에서 떨어뜨림 등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은 상기 제2결합부재(20)에 장착된 쿠션부(42)에 의해 완충 되게 됨으로써, 가족 및 아래층 거주민으로부터의 간섭없이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이 끝난 후에는 결합된 상태로 벽에 걸어 보관하거나, 각각의 제1, 2결합부재(10,20)의 제1, 2결합홈(12,23)에서 제1, 2결합돌부(11,22)를 분리시킨 후, 상기 제1결합부재(10)와 연결되어 형성된 이음부재(30)를 접어 보관함으로써 부피를 줄여 공간활용을 함과 동시에 분실의 우려 없이 보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2결합부재(1,20)와 쿠션부재(40)가 다양한 색으로 각기 다르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음저감용 훌라후프(50)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인 효과에 의한 유희감을 느끼게 하여 보다 적극적인 운동을 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결합부재(10)에는 지압돌기(13)가 형성되어 있어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은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실외에서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다수개의 제2결합부재(20) 를 이음부재(30)로 연결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제1결합부재(10)와 결합시킨다.
여기서, 실외에서 사용시에는 실외에서 발생하는 자체 소음이 있기 때문에 쿠션부재(40)를 장착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쿠션부재(4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 후, 결합된 상기 제1, 2결합부재(10,20)를 결합된 다른 제1, 2결합부재(10,20)와 결합함으로써, 원형의 링 형상을 만들면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을 완료한 후에는 실내에서 사용 것과 동일하게 실외에서 소음저감용 훌라후프(5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외에서 상기 소음저감용 훌라후프(50)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제1, 2결합부재(10,20)가 다양한 색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음저감용 훌라후프(50)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인 효과에 의한 유희감을 느끼게 하여 보다 적극적인 운동을 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제1결합부재(10)에는 지압돌기(13)가 형성되어 있어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은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사용이 끝난 후에는 결합 되어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 각각의 제1, 2결합부재(10,20)를 제1, 2결합홈(12,23)에서 제1, 2결합돌부(11,22)를 분리한 후, 상기 제1결합부재(10)들을 연결하는 이음부재(30)를 접어 보관함으로써, 휴대를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음부재(30)에 의해 각각의 제1결합부재(10)가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하여 이동할 때에도 상기 소음저감용 훌라후프(50)를 분실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소음저감용 훌라후프(50)는 제2 결합부재(20)에 쿠션부재(40)를 장착함으로써 실내에서의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1결합부재(10)가 이음부재(30)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상기 각각의 제1, 2결합부재(10,20)와 쿠션부재(40)가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유희감을 느끼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소음저감용 훌라후프는 외측에 형성된 제2결합부재에 쿠션부재를 장착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킴으로써 실내에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결합부재가 이음부재로 연결되어 있어 결합부재를 분리하였을 시 분실 우려 없이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와 쿠션부재를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훌라후프의 회전운동시 시각적인 효과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적극적으로 운동을 하게 하는 장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일측과 타측에 결합돌부와 결합홈이 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부재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훌라후프에 있어서,
    일측과 타측에 제1결합돌부(11)와 제1결합홈(12)을 형성하고, 내측과 외측에 지압돌기(13)와 돌기부(14)를 형성한 제1결합부재(10);
    상기 제1결합부재(10)의 돌기부(14)와 결합되는 돌기홈(21)을 형성하고, 일측과 타측에 제2결합돌부(22)와 제2결합홈(23)을 형성한 제2결합부재(20);
    상기 제1결합부재(10)의 양끝단에 형성되는 연결부(31)에 연결되는 연결수단(32)을 구성한 이음부재(30);
    상기 제2결합부재(20)에 고정결합되는 결합부(41)와 쿠션부(42)로 구성된 쿠션부재(4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소음저감용 훌라후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결합부재(10,20)와 쿠션부재(40)는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소음저감용 훌라후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40)는 교차하여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소음저감용 훌라후프.
KR2020060017984U 2006-07-03 2006-07-03 소음저감용 훌라후프 KR200426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984U KR200426990Y1 (ko) 2006-07-03 2006-07-03 소음저감용 훌라후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984U KR200426990Y1 (ko) 2006-07-03 2006-07-03 소음저감용 훌라후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990Y1 true KR200426990Y1 (ko) 2006-09-20

Family

ID=4177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984U KR200426990Y1 (ko) 2006-07-03 2006-07-03 소음저감용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9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271Y1 (ko) 2008-09-10 2011-08-30 공노규 조립식 가변 훌라후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271Y1 (ko) 2008-09-10 2011-08-30 공노규 조립식 가변 훌라후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1956B2 (en) Playhouse
KR200418050Y1 (ko) 훌라후프
KR200426990Y1 (ko) 소음저감용 훌라후프
KR200470448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대놀이기구
KR200261717Y1 (ko) 다용도 라켓
CN202227726U (zh) 组合式游戏屋
WO2015072151A1 (ja) 装飾機構及び該装飾機構を使用した装飾品、運動具、及び遊具
CN203954619U (zh) 便携式羽毛球网架
KR200207021Y1 (ko) 훌라후프
KR200442765Y1 (ko) 훌라후프
CN211201028U (zh) 一种拼接式稳固型健美操场地
JP3223937U (ja) 運動用品の衝撃吸収型ハンドル構造
JP3106898U (ja) 運動装置
CN201469966U (zh) 多功能呼啦圈
JPS6112993Y2 (ko)
CN200973966Y (zh) 空气球、台球之二合一球台
CN208003329U (zh) 一种稳固型蹦床
KR200245596Y1 (ko) 배구용 네트의 결합구조
RU173879U1 (ru) Модульная огораживающая време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100281599B1 (ko) 운동 연습기
KR200249829Y1 (ko) 다기능 운동기구
JP3134040U (ja) ゲーム性を有するスポーツ用具
CN115581887A (zh) 一种蹦床帐篷
CN103463803A (zh) 乒乓球自练自娱活动板
TH69916S (th) โครงอุปกรณ์ฝึกทักษะการตีเทเบิลเทนนิสแบบ 2 ด้า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