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977Y1 - Stretching apparatus for legs - Google Patents

Stretching apparatus for le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977Y1
KR200426977Y1 KR2020060017694U KR20060017694U KR200426977Y1 KR 200426977 Y1 KR200426977 Y1 KR 200426977Y1 KR 2020060017694 U KR2020060017694 U KR 2020060017694U KR 20060017694 U KR20060017694 U KR 20060017694U KR 200426977 Y1 KR200426977 Y1 KR 200426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vertical frame
legs
chai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6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겸
Original Assignee
김민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겸 filed Critical 김민겸
Priority to KR2020060017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97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97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75Apparatus used for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simultaneously
    • A63B23/03591Upper and lower limb moving in phase, i.e. right foot mov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ight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63B23/048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by spreading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리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10), 수직 프레임(10)의 하단부에 결합하여 다리 스트레칭 장치를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대(20), 수직 프레임(10)의 좌우로 연장되게 결합하는 수평 프레임(30, 31), 스트레칭 운동을 위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10) 및 수평 프레임(30, 31)의 정면에 결합하는 의자(60), 사용자의 양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의자(60)의 정면으로 각기 길게 노출되어 배치되고, 제 2 단부가 의자(60)의 저면에 각기 회전축 결합하고, 의자(60)의 정면으로 노출된 제 1 단부에 사용자의 다리를 고정하는 다리 고정부(90, 91)를 각기 포함하는 두 개의 다리 받침대(50, 51), 적어도 수직 프레임(10)의 상단부, 수직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30, 31)의 사이 및 수평 프레임(30, 31)의 좌우 단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르레(80, 81), 그리고 제 1 단부가 각 다리 받침대(50, 51)의 제 1 단부에 각기 결합하고, 각 도르레(80, 81)에 감겨 수평 프레임(30, 31) 및 수직 프레임(10)에 걸쳐 각기 설치되고, 제 2 단부에 사용자가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손잡이(40, 41)를 각기 포함하는 두 개의 와이어(70, 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g stretching device, the vertical frame 10, which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0 to support the leg stretching device on the floor of the support 20, the vertical frame 10 Horizontal frames 30 and 31 coupled to extend from side to side, chair 60 coupled to the front of the vertical frame 10 and horizontal frames 30 and 31 so that the user can be seated for stretching exercise, both legs of the user Each of them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hair 60 so as to be placed thereon, and the second end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hair 60, respectively, to the rotating shaft, and the first end of the chair 60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hair 60. Two leg rests 50, 51 respectively comprising leg rests 90, 91 for fixing the legs, at leas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0, between the vertical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s 30, 31; An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horizontal frames 30 and 31. A plurality of pulleys 80 and 81, and a first end to be joined to the first ends of the leg rests 50 and 51, respectively, wound around the respective pulleys 80 and 81, and the horizontal frames 30 and 3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wires (70, 71) respectively installed over the vertical frame (10), each comprising a handle (40, 41) to apply a force to the second end.

다리; 스트레칭 Bridge; stretching

Description

다리 스트레칭 장치{STRETCHING APPARATUS FOR LEGS}Leg stretching device {STRETCHING APPARATUS FOR LE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리 스트레칭 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g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리 스트레칭 장치의 사용 상태도.Figure 2 is a state of use of the leg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수직 프레임 20 : 지지대10 vertical frame 20 support

30, 31 : 수평 프레임 40, 41 : 손잡이30, 31: horizontal frame 40, 41: handle

50, 51 : 다리 받침대 60 : 의자50, 51: leg support 60: chair

70, 71 : 와이어 80, 81 : 도르레70, 71: wire 80, 81: pulley

85 : 고정링 90, 91 : 다리 고정부85: fixing ring 90, 91: leg fixing part

본 고안은 다리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다리의 유연성 향상을 위한 스트레칭시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사용자가 자력으로 강도를 조절하며 스트레칭할 수 있는 다리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g stretc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g stretching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stretch and adjust the strength by the magnetic force without the help of others when stretching to improve the flexibility of the leg.

다리를 자유로이 움직여야 하는 에어로빅, 무용, 발레, 태권도 및 요가와 같 은 운동을 하기 위하여는 다리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트레칭하거나 다리를 좌우로 찢는 과정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다리를 스트레칭하거나 찢을 수 있는 별다른 장치가 없어 사용자가 직접 바닥에 서서 다리를 점차 벌려 나가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바닥과 발 사이의 마찰력 때문에 다리를 원하는 각도로 벌리거나 오므리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혼자서 스트레칭할 경우 중심을 잡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리를 어느 정도 벌린 후에는 자신의 체중이 가해지고 자세가 불편하여 다리를 다시 오므리는 것이 쉽지 않았으며, 자칫 무리하게 다리를 벌릴 경우 부상의 위험까지 있었다. 따라서, 스트레칭시 다른 사람이 보조하여 위에서 눌러주거나 중심을 잡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유연성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고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알 수 없어 자칫 너무 무리하게 누를 경우 오히려 부상의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Exercises such as aerobics, dance, ballet, taekwondo, and yoga that require you to move your legs freely require stretching or tearing them side to side to improve their flexibility. Conventionally, there is no device for stretching or tearing a leg, and a user uses a method of gradually opening a leg by standing directly on the floor. However, in this case, because of the fri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foot is not only difficult to spread or pinch at the desired angl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enter when stretching alone. In addition, after spreading the legs to some extent their weight was applied and the posture was inconvenient, it was not easy to retract the legs, even if you open your legs too much risk of injury. Therefore, there was a discomfort that the other person to assist in pressing or centering on stretching.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flexibility of the user may not be known and the degree of pain felt by the user may not be known, and if too much pressure is pres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isk of injury may be increas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가 혼자 힘으로 다리를 스트레칭하거나 찢을 수 있으며, 본인의 유연한 정도나 통증에 따라 자유로이 강약을 조절하고 통증이 심할 경우 스트레칭 상태를 쉽게 해제할 수 있어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리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retch or tear the leg by yourself without the help of others, and to adjust the strength and strength freely according to your own flexibility or pain If the pain is severe, you can easily release the stretching state to provide a leg stretching device to prevent injuri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리 스트레칭 장치는, 다리 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양다리를 벌려 스트레칭하는 다리 스트레칭 장치로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10), 수직 프레임(10)의 하단부에 결합하여 다리 스트레칭 장치를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대(20), 수직 프레임(10)의 좌우로 연장되게 결합하는 수평 프레임(30, 31), 스트레칭 운동을 위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10) 및 수평 프레임(30, 31)의 정면에 결합하는 의자(60), 사용자의 양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의자(60)의 정면으로 각기 길게 노출되어 배치되고, 제 2 단부가 의자(60)의 저면에 각기 회전축 결합하고, 의자(60)의 정면으로 노출된 제 1 단부에 사용자의 다리를 고정하는 다리 고정부(90, 91)를 각기 포함하는 두 개의 다리 받침대(50, 51), 적어도 수직 프레임(10)의 상단부, 수직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30, 31)의 사이 및 수평 프레임(30, 31)의 좌우 단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르레(80, 81), 그리고 제 1 단부가 각 다리 받침대(50, 51)의 제 1 단부에 각기 결합하고, 각 도르레(80, 81)에 감겨 수평 프레임(30, 31) 및 수직 프레임(10)에 걸쳐 각기 설치되고, 제 2 단부에 사용자가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손잡이(40, 41)를 각기 포함하는 두 개의 와이어(70, 71)를 포함하고, 각 다리 고정부(90, 91)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각 다리 받침대(50, 51)가 끼워지는 결합부(90a, 91a)를 각기 포함하고, 각 결합부(90a, 91a)에 각 다리 받침대(50, 51)가 끼워진 상태로 각 다리 받침대(50, 51)를 따라 각 다리 고정부(90, 91)를 전후 방향으로 움직여 사용자의 키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하고, 손잡이(40, 41)를 당겨 각 와이어(70, 71)의 제 2 단부에 전달되는 수직 방향의 힘이 각 도르레(80, 81)를 거치면서 전후 방향의 힘으로 전환되어 각 다리 받침 대(50, 51)를 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eg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eg stretching device to stretch the user's legs to improve the flexibility of the legs, the vertical frame 10, the vertical frame 10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20 for supporting the leg stretching device on the floor by coupling to the lower end of the), the horizontal frame 30, 31 to exten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vertical frame 10, the vertical so that the user can be seated for stretching The chair 6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s 30 and 31, and each of the chair 60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hair 60 so as to place both legs of the user. Two leg support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rotation shaft and including leg fixing parts 90 and 91 respectively fixing the user's legs to the first end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hair 60 ( 50, 51, a plurality of pulleys 80, 81 disposed at least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0, between the vertical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s 30, 31 an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horizontal frames 30, 31. And a first end coupled to the first end of each leg support 50, 51, respectively, and wound around each of the pulleys 80, 81 to be installed over the horizontal frame 30, 31 and the vertical frame 10, respectively. And two wires 70 and 71 each including handles 40 and 41 so that the user can exert a force on the second end, and in the lower portion of each leg fixing portion 90 and 91, Each of the leg rests 50 and 51 in a state where the leg rests 50 and 51 are fitted to each of the engaging parts 90a and 91a. Move each leg fixing part 90, 91 along the pedestal 50, 51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adjust its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key, and pull the handles 40, 41 t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force transmitted to the second end of the fish 70, 71 is converted to the for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respective pulleys 80, 81 to spread each leg support 50, 51. .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dvantages, features an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리 스트레칭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리 스트레칭 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다리 스트레칭을 위해 다리 받침대를 좌우로 180°만큼 벌린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리 스트레칭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g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the leg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state by opening the leg support 180 degrees to the left and right for stretching the leg.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eg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1 and 2 as follows.

본 고안에 따른 다리 스트레칭 장치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10), 다리 스트레칭 장치를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대(20), 좌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30, 31), 사용자가 다리를 올려놓는 다리 받침대(50, 51),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60) 및 다리 받침대에 연결되고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따라 설치되어 다리 받침대를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는 와이어(70, 71)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다리 스트레칭 장치는 와이어(70, 71)를 위아래로 당기거나 풀어줌으로써 다리 받침대(50, 51)를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사용자의 다리를 벌리거나 오므려 스트레칭한다. 다리 스트레칭 장치의 재질로는 금속, 합성수지 또는 나무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트레칭 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내구성을 위하여 강도가 높은 재질을 사용하도록 한다.Leg stret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frame 10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20 for supporting the leg stretching device on the floor, horizontal frames 30, 31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user legs It includes a leg rest (50, 51) for placing the legs, the chair (60) seated by the user and the wire (70, 71) connected to the leg rest and installed along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to move the leg res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Leg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tretching or unwinding the wire (70, 71) up and down by moving the leg support (50, 5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tretch or stretch the user's legs.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synthetic resin, or wood can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leg stretching device, and use a material with high strength to stably support the stretching exercise of the user and for durability.

수직 프레임(10)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다리 스트레칭 장치의 동작을 지지하고 와이어(70, 71)의 움직임을 지지한다. 수직 프레임(10)의 하단부에는 다리 스트레칭 장치를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20)가 결합한다. 또한, 수평 프레임(30, 31)은 수직 프레임(10)의 좌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하여 와이어의 움직임을 지지한다.The vertical frame 10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leg stretching device and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wires 70 and 71.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0 is coupled to the support 20 for stably supporting the leg stretching device on the floor. 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30, 31) is coupl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10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wire.

의자(60)는 스트레칭 운동을 위해 사용자가 착석하기 위한 공간으로, 수직 프레임(10) 및 수평 프레임(30, 31)의 정면에 결합한다.The chair 60 is a space for the user to sit for the stretching exercise,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vertical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 (30, 31).

다리 받침대(50, 51)는 의자(60)에 결합한 상태로 사용자가 양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의자의 정면으로 길게 노출되면서 배치된다. 다리 받침대(50, 51)는 사용자가 양다리를 각기 올려놓을 수 있도록 좌우 두 개 구비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다리 받침대(50, 51)의 양단부 중 의자(60)의 정면으로 노출된 단부를 '제 1 단부'라 하고 의자에 결합하는 단부를 '제 2 단부'라 한다. 다리 받침대(50, 51)의 제 2 단부는 의자(60)에 회전축 결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의자의 저면에 회전축 결합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을 따라 다리 받침대(50, 51)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여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다리 받침대(50, 51)를 최대 180° 내지 200°까지 벌릴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다리 받침대(50, 51)의 제 1 단부에는 다리 받침대에 각기 올려놓은 사용자의 다리를 끼워 고정하는 다리 고정부(90, 91)가 배치된다. 또한, 각 다리 받침대(50, 51)의 제 1 단부에는 다리 받침대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와이어(70, 71)가 각기 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각 다리 받침대(50, 51)의 제 1 단부에는 와 이어(70, 71)가 각기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링(85)을 포함하도록 한다.The leg rests 50 and 51 are arranged while being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hair so that the user can put both legs in a state coupled to the chair 60. The leg rests 50 and 51 are provided with two left and right so that the user can put both legs. Hereinafter, an end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hair 60 among the both ends of the leg rests 50 and 51 is referred to as a 'first end' and an end coupled to the chair is referred to as a 'second end'. The second ends of the leg rests 50, 51 are pivotally coupled to the chair 60, preferably to be pivotal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hair. Accordingly, the leg supports 50 and 51 may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along the rotation axis to open or retract the legs. Preferably, the two leg rests 50 and 51 are configured to be extended up to 180 ° to 200 °. In addition, leg fixing parts 90 and 91 are disposed at the first ends of the leg rests 50 and 51 to fix the leg of the user, which is placed on the leg rest, respectively. Further, wires 70 and 71 for rotating the leg suppor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ends of the leg supports 50 and 51, respectively. To this end, the first end of each leg support (50, 51) to include a fixing ring 85 so that the wires (70, 71) can be coupled respectively.

다리 고정부(90, 91)는 다리 받침대(50, 51)의 제 1 단부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양다리, 구체적으로 발목이나 종아리 등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스트레칭시 사용자의 다리가 다리 받침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리 고정부(90, 91)는 사용자의 다리가 좌우로 움직일 수 없도록 상부로 돌출 형성된 측벽 형태로 구성하거나, 사용자의 다리를 안정적으로 묶을 수 있도록 벨트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리 고정부(90, 91)가 사용자의 발목과 종아리를 함께 감싸서 고정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의 폭을 넓게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다리 고정부(90, 91)의 하부에는 다리 받침대(50, 51)가 끼워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부(90a, 91a)를 포함하여 결합부를 통해 다리 고정부를 다리 받침대에 고정하고, 결합부(90a, 91a)에 다리 받침대(50, 51)를 끼운 상태에서 다리 고정부(90, 91)를 다리 받침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사용자의 키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하도록 한다. 또한, 결합부(90a, 91a)와 다리 받침대(50, 51)의 저면에는 사용자의 키에 따른 단계별로 나사홈을 형성하고 나사(미도시)를 체결함으로써 다리 고정부(90, 91)의 전후 방향의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다리 받침대(50, 51)를 의자(60)의 저면에 결합할 경우 다리 받침대의 높이와 의자의 높이는 의자의 두께만큼 차이가 생기므로, 다리 고정부(90, 91)가 다리 받침대(50, 51) 위로 의자의 높이만큼 도드라지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가 의자의 높이와 동일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편안함을 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다리 고정부(90, 91)는 좌우 방향의 단면이 '┖┙' 모양을 이 루게 된다.The leg fixing parts 90 and 91 are coupled to the first ends of the leg supports 50 and 51 to stably fix the user's legs, specifically the ankle or the calf, so that the user's legs are separated from the leg support during stretching. prevent. The leg fixing parts 90 and 91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sidewalls protruding upward so that the user's legs cannot move left or right, or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elt so as to stably bind the user's legs. Preferably, the leg fixing portion (90, 91) is to form a wide wid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so that the user's ankle and calf can be wrapped and fixed together.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leg fixing portion (90, 91) includes a coupling portion (90a, 91a)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so that the leg support (50, 51) is fitted to secure the leg fixing portion to the leg support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leg rests 50 and 51 are fitted to the coupling parts 90a and 91a, the leg fixing parts 90 and 91 are moved along the leg rest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adjust the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coupling portion (90a, 91a) and the leg support (50, 51) forms a screw groove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and by tightening the screw (not shown) before and after the leg fixing portion (90, 91)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rection so that it can be fixed.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gs 50 and 51 ar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hair 60, the height of the legs and the height of the chair are different by the thickness of the chair, so that the leg fixing parts 90 and 91 are It is formed to be as high as the height of the chair above the leg rests 50 and 51 so that the user's legs are positioned equal to the height of the chair to provide comfort. Therefore, the leg fixing parts 90 and 91 form a '┖┙' shap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와이어(70, 71)는 일단부가 다리 받침대(50, 51)에 결합한 상태로 수직 프레임(10) 및 수평 프레임(30, 31)에 걸쳐 연결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와이어(70, 71)의 양단부 중 다리 받침대(50, 51)와 결합하는 단부를 '제 1 단부'라 하고 나머지 단부를 '제 2 단부'라 한다. 와이어(70, 71)는 두 개의 다리 받침대(50, 51)에 각기 결합하도록 두 개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두 개의 다리 받침대(50, 51)를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각각의 와이어(70, 71)는 수직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30, 31)에 장착된 복수의 도르레(80, 81)에 감겨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에 걸쳐 설치되고 도르레를 따라 움직인다. 도르레(80, 81)는 와이어(70, 71)에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을 수평 방향으로 전환한다. 도르레(80, 81)는 수직 프레임(10)의 상단부,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30, 31) 사이, 그리고 수평 프레임(30, 31)의 좌우 단부에 각기 배치되고, 각각의 도르레는 인접한 도르레와 서로 직교하며 배치된다. 즉, 수직 프레임(1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도르레(80, 81)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고,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30, 31) 사이에 배치되는 도르레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며, 수평 프레임의 좌우 단부에 배치되는 도르레는 전후 수평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와이어(70, 71)의 제 2 단부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의 힘은 각각의 도르레(80, 81)를 통해 전후 방향의 힘으로 전환되어 다리 받침대(50, 51)을 움직인다. 와이어(70, 71)의 제 2 단부에는 사용자가 와이어를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40, 41)가 각기 구비된다.The wires 70 and 71 are connected and disposed over the vertical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s 30 and 31 with one end coupled to the leg supports 50 and 51.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e end of the two ends of the wires 70 and 71 that engages with the leg rests 50 and 51 is called a 'first end' and the other end is called a 'second end'. Two wires 70 and 71 ar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two leg rests 50 and 51, respectively. Thus, the two leg rests 50 and 51 can be moved independently. Each wire 70, 71 is wound around a plurality of pulleys 80, 81 mounted on the vertical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s 30, 31, installed over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nd moved along the pulley. The pulleys 80 and 81 convert the force transmit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wires 70 and 7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ulleys 80, 81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0,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30, 31, an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30, 31, respectively.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That is, the pulleys 80 and 81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0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ulleys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30 and 31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ulleys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ame rotate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s. Accordingly, the vertical force applied to the second ends of the wires 70 and 71 is converted to the forc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rough the respective pulleys 80 and 81 to move the leg supports 50 and 51. The second ends of the wires 70 and 71 are provided with handles 40 and 41, respectively, for the user to hold the wires.

본 고안에 따른 다리 스트레칭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g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다리 스트레칭 장치의 두 개의 다리 받침대(50, 51)가 가운데로 모아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자(60)에 착석하고 양다리를 다리 받침대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다리 고정부(90, 91)에 발목 또는 종아리를 고정한다.With the two leg rests 50, 51 of the leg stretching device gathered in the center, the user is seated on the chair 60 and the legs are placed on the leg rests. Then, the ankles or calves are fixed to the leg fixing parts 90 and 91.

사용자가 수직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손잡이(40, 41)를 아래로 당기면, 와이어(70, 71)의 제 2 단부에는 와이어를 아래로 당기는 수직 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와이어(70, 71)의 제 2 단부에 가해진 수직 방향의 힘은 수직 프레임(10)과 수평 프레임(30, 31) 사이에 배치된 도르레(80, 81)를 거치면서 좌우 방향의 힘으로 전환되고, 다시 수평 프레임의 좌우 단부에 배치된 도르레를 거치면서 전후 방향의 힘으로 전환되어 다리 받침대(50, 51)의 제 1 단부에 전달된다. 다리 받침대(50, 51)는 제 2 단부가 의자(60)와 회전축 결합한 상태이므로, 와이어(70, 71)에 의해 전달된 힘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점차 벌어진다. 따라서, 다리 받침대(50, 51)에 올려진 사용자의 양다리가 점차 벌어지게 된다. 이때, 두 개의 와이어(70, 71)가 두 개의 다리 받침대(50, 51)에 각기 연결되어 있으므로 손잡이(40, 41)를 당기는 힘을 달리하여 두 개의 다리 받침대를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스트레칭 중 양다리를 너무 벌려 통증을 느끼는 경우 손잡이(40, 41)를 당기는 힘을 완화시키면 다리 받침대(50, 51)에 가해지는 힘이 줄어들어 양다리를 다시 오므릴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pulls down the handles 40 and 41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0, a second force of the wires 70 and 71 is a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ull the wires down. The vertical force applied to the second ends of the wires 70 and 71 is converted to the for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rough the pulleys 80 and 81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s 30 and 31. In addi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pulley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horizontal frame, it is converted to the for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ends of the leg supports 50 and 51. Since the second ends are coupled to the chair 60 with the rotation shaft, the leg supports 50 and 51 are gradually opened while rot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force transmitted by the wires 70 and 71. Therefore, both legs of the user mounted on the leg rests 50 and 51 are gradually opened. At this time, since the two wires 70 and 71 are connected to the two leg rests 50 and 51, respectively, the two leg rests may be mov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by varying the pulling force of the handles 40 and 41. On the other hand, if you feel the pain by stretching the legs too wide while stretching the force to pull the handle (40, 41) is reduced to the force applied to the leg support (50, 51) it is possible to retract both legs.

변형예Variant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손잡이(40, 41)를 직접 잡아당겨 다리 받침대(50, 51)를 움직이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와이어(70, 71)의 제 2 단부를 별도의 구동모터와 연동하고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의 구동력을 발생함으로써 와이어를 자동으로 당기거나 풀어 다리 받침대를 움직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원하는 만큼 다리 받침대(50, 51)를 움직일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운동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moves the leg supports 50 and 51 by directly pulling the handles 40 and 41 is different. Alternatively, the second end of the wires 70 and 71 is interlocked with a separate drive motor to drive the same.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move the leg support by automatically pulling or releasing the wire by controlling the motor to generate one or the opposite direction of driving force. Therefore, the user can move the leg rests 50 and 51 as much as desired by only operating a switch, and can exercise more conveniently.

본 고안에 따른 다리 스트레칭 장치는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Leg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가 혼자 힘으로 원하는 만큼 편리하게 스트레칭할 수 있다.1. You can stretch as conveniently as you want by yourself without the help of others.

2. 사용자의 유연한 정도에 따라 자유로이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통증이 심할 경우 스트레칭 상태를 바로 해제할 수 있으므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2. You can adjust the intensity freely according to the user's flexibility, and if the pain is severe, you can immediately release the stretching state to prevent injury.

3.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스트레칭하므로 사용자가 중심이 흔들리지 않고 보다 편한 자세로 운동할 수 있다.3. Stretching while sitting on a chair, the user can exercise 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without shaking the center.

4. 별도의 동력 없이 사용자의 힘만으로 동작하므로 경제적이며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장소나 시간에 구애되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4. It is economical and does not generate noise because it operates by user's power without extra power, so it can be used conveniently regardless of place or time.

5. 두 개의 와이어로 다리 받침대를 각기 움직이므로 두 개의 다리 받침대를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한쪽 다리만을 스트레칭하거나 각도를 다르게 하는 등 다양한 스트레칭 동작이 가능하다.5. Since the two legs can be moved independently with two wires, the two legs can be moved independently so that only one leg can be stretched or the angle can be varied.

6. 다리 고정부를 이용해 사용자의 다리를 다리 받침대에 고정하므로 운동시 약간의 통증으로 인해 다리 받침대로부터 다리를 떼는 것을 방지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여 운동 효과를 높이고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6. Using the leg fixing part to fix the user's leg to the leg support, so that the slight pain during exercise to prevent the foot from being removed from the leg support to maintain the correct posture can improve the exercise effect and prevent injury.

7. 별도의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와이어를 감거나 풀도록 구성할 경우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다리 받침대를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운동할 수 있다.7. If you have a separate drive motor to be configured to wind or unwind the wire, the foot rest can be moved automatically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8. 에어로빅, 무용, 발레, 태권도, 요가 및 헬스 등 다리의 유연성이 필요한 운동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적용의 폭이 넓다.8. It can be used for aerobics, dance, ballet, taekwondo, yoga, and fitness that require flexibility of legs.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Whil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using specific terms, such description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You must lose.

Claims (1)

다리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양다리를 벌려 스트레칭하는 다리 스트레칭 장치로서,In order to improve the flexibility of the legs to stretch the user's legs, stretching device,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10);A vertical frame 10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하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다리 스트레칭 장치를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대(20);A support 2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0 to support the leg stretching device on a floor;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좌우로 연장되게 결합하는 수평 프레임(30, 31);Horizontal frames 30 and 31 coupled to extend left and right of the vertical frame 10; 스트레칭 운동을 위해 상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10) 및 상기 수평 프레임(30, 31)의 정면에 결합하는 의자(60);A chair (60) coupled to the front of the vertical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 (30, 31) to allow the user to sit for a stretching exercise; 상기 사용자의 양다리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의자(60)의 정면으로 각기 길게 노출되어 배치되고, 제 2 단부가 상기 의자(60)의 저면에 각기 회전축 결합하고, 상기 의자(60)의 정면으로 노출된 제 1 단부에 상기 사용자의 다리를 고정하는 다리 고정부(90, 91)를 각기 포함하는 두 개의 다리 받침대(50, 51);Each of the legs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hair 60 so as to place both legs, the second end is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hair 60, respectively,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hair 60 Two leg rests (50, 51) each of which includes leg fixing parts (90, 91) for fixing the user's legs at the first end; 적어도 상기 수직 프레임(10)의 상단부, 상기 수직 프레임(10)과 상기 수평 프레임(30, 31)의 사이 및 상기 수평 프레임(30, 31)의 좌우 단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르레(80, 81); 및A plurality of pulleys 80, 81 disposed at least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0, between the vertical frame 10 and the horizontal frames 30, 31, an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horizontal frames 30, 31. ; And 제 1 단부가 상기 각 다리 받침대(50, 51)의 제 1 단부에 각기 결합하고, 상기 각 도르레(80, 81)에 감겨 상기 수평 프레임(30, 31) 및 상기 수직 프레임(10)에 걸쳐 각기 설치되고, 제 2 단부에 사용자가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손잡이(40, 41)를 각기 포함하는 두 개의 와이어(70, 71)를 포함하고,A first end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ends of the respective leg rests 50 and 51, and wound around the respective pulleys 80 and 81, respectively, over the horizontal frames 30 and 31 and the vertical frame 10, respectively. Installed and comprising two wires 70, 71, each comprising handles 40, 41 so as to exert a force on the second end, 상기 각 다리 고정부(90, 91)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각 다리 받침대(50, 51)가 끼워지는 결합부(90a, 91a)를 각기 포함하고, 상기 각 결합부(90a, 91a)에 상기 각 다리 받침대(50, 51)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각 다리 받침대(50, 51)를 따라 상기 각 다리 고정부(90, 91)를 전후 방향으로 움직여 사용자의 키에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하고,A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leg fixing parts 90 and 91, and includes a coupling part 90a and 91a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which the leg rests 50 and 51 are fitted, respectively. The leg rests 90 and 91 along the leg rests 50 and 51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le the leg rests 50 and 51 are fitted to the foot rests. Adjust it, 상기 손잡이(40, 41)를 당겨 상기 각 와이어(70, 71)의 제 2 단부에 전달되는 수직 방향의 힘이 상기 각 도르레(80, 81)를 거치면서 전후 방향의 힘으로 전환되어 상기 각 다리 받침대(50, 51)를 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스트레칭 장치.The vertical force transmitted to the second ends of the wires 70 and 71 by pulling the handles 40 and 41 is converted to the for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respective pulleys 80 and 81, and thereby the respective legs. Leg stretc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pread the pedestal (50, 51).
KR2020060017694U 2006-06-30 2006-06-30 Stretching apparatus for legs KR20042697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694U KR200426977Y1 (en) 2006-06-30 2006-06-30 Stretching apparatus for le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694U KR200426977Y1 (en) 2006-06-30 2006-06-30 Stretching apparatus for leg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556A Division KR20080003153A (en) 2006-08-21 2006-08-21 Stretching apparatus for le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977Y1 true KR200426977Y1 (en) 2006-09-20

Family

ID=4177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694U KR200426977Y1 (en) 2006-06-30 2006-06-30 Stretching apparatus for le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977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6693A2 (en) * 2010-02-02 2011-08-11 Kim Gi-Baek Leg stretching exercise machine
CN112774127A (en) * 2021-01-25 2021-05-11 东华理工大学 Shank stretching device for body-building
KR20220069454A (en) * 2020-11-20 2022-05-27 김성민 Devices for pelvic correction and stretching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6693A2 (en) * 2010-02-02 2011-08-11 Kim Gi-Baek Leg stretching exercise machine
WO2011096693A3 (en) * 2010-02-02 2011-12-15 Kim Gi-Baek Leg stretching exercise machine
KR101167637B1 (en) * 2010-02-02 2012-07-20 김기백 Leg stretching exercising apparatus
KR20220069454A (en) * 2020-11-20 2022-05-27 김성민 Devices for pelvic correction and stretching
KR102483877B1 (en) * 2020-11-20 2023-01-02 김성민 Devices for pelvic correction and stretching
CN112774127A (en) * 2021-01-25 2021-05-11 东华理工大学 Shank stretching device for body-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3153A (en) Stretching apparatus for legs
US20070197360A1 (en) Machine for improved curve and stretching device
TWM375498U (en) Electric exercise bed for hands and legs
WO2002053234A9 (en) Resistance devices, total-body exercise machines outfitted therewith, and exercise methods using such devices and machines
WO2005009319A1 (en) Leg-stretching device and method
US7014602B2 (en) Leg stretching apparatus
KR200426977Y1 (en) Stretching apparatus for legs
JP2003275341A (en) Upper body exercise tool
US20070173390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JP2008508928A (en) Sit-up board
KR101003447B1 (en) Multifunction sporting apparatus
KR101094821B1 (en) The pedal exercising machine
TWM353755U (en) Waist twisting and leg stretching apparatus
US10441836B1 (en) Combination towel-band exercise device
KR200480977Y1 (en) complex athletic apparatus
US20020198082A1 (en) Removable recumbent seat attachment for exercise device
GB2484975A (en) A calf raises exerciser
JP3147055U (en) Health appliances
JP2008113968A (en) Health exercise tool
JP2004174105A (en) Upside down hanging body stretcher
JP3135170U (en) Muscle stretching health equipment
JPH06182000A (en) Handstand device for body shaping
KR200323430Y1 (en) Stretcher for the leg of the human body
JP6150160B2 (en) Strength training seat chair
CN212914385U (en) Stretcher for physical fit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