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956Y1 -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 - Google Patents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956Y1
KR200426956Y1 KR2020060016810U KR20060016810U KR200426956Y1 KR 200426956 Y1 KR200426956 Y1 KR 200426956Y1 KR 2020060016810 U KR2020060016810 U KR 2020060016810U KR 20060016810 U KR20060016810 U KR 20060016810U KR 200426956 Y1 KR200426956 Y1 KR 200426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acupressure
upper cap
rod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노
Original Assignee
주성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노 filed Critical 주성노
Priority to KR2020060016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9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6Hand percussion, i.e.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출혈 겸용 타봉기구의 일단에 지압침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서 통증부위에 대한 자극과 함께 압침을 실시할 수 있게 됨으로 기구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타봉기구는, 몸체(10)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개방구(20a)가 형성된 하부커버(20)가 나사결합하고, 상기 하부커버(20) 내에는 내부에서 출혈 겸용 타봉침(21)이 직선유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몸체(10)의 타단에는 상기 타봉침(21)을 유동시키기 위한 작동구(31)가 내부 스프링(33)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구(31) 단부에는 지압침(32)이 고정 구성되고, 상기 지압침(32)이 노출되어질 수 있도록 노출공(30a)이 형성된 상부캡(30)이 작동구(31) 단부에 나사결합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지압침, 수지침, 타봉

Description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PUMP OUT HIT DEVICE HAVING PRESSURE NEEDLE}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타봉 겸용 출혈침관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타봉기구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타봉기구의 상부캡 및 하부커버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 타봉기구의 부분 단면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상부캡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로서,
5a는 지압침의 비사용시 상태도.
5b는 지압침의 일부 노출시 상태도.
5c는 지압침의 완전 노출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내부하우징
20 : 하부커버 21 : 타봉침
30 : 상부캡 30a: 노출공
31 : 작동구 32 : 지압침
33 : 스프링 34 : 걸림턱
본 고안은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기구형태로 제작되는 타봉기구의 타측에 지압침을 일체로 구성시킨 타봉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어깨나 허리 등의 통증으로 고생하고 있으며, 통증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의 하는 장시간 경직된 자세를 유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학교에서 강의를 듣거나 직장에서 업무를 보는 경우 장시간 경직된 자세를 유지하여 허리나 어깨 등 신체 각 부위에 무리를 줄 수 있고, 자세 또한 불안정한 경우가 많아서 집중력이 떨어져 학업효과나 업무 능률이 저하되고 신체 각 부위의 통증이 유발되게 된다.
이때, 각 기관에 연결된 손과 발의 경혈점을 타봉하거나 수지침을 이용해 압침을 실시함으로써 스트레스와 피로를 완화하여 통증을 해소하는데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압용구의 하나로 장시간 지속되는 학업이나 업무중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압침이 구비된 필기구가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346176호로 선등록된 바 있다.
또한, 타봉 겸용 출혈침관이 국내실용신안등록 제196038호로 선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지압침 필기구의 경우 필기구의 후단측에 지압침의 노 출을 방지하는 보호캡이 구비되어 있으나, 보호캡은 탄성력에 의해 유동되어지기 때문에 후단측을 피부에 대고 눌러주기만 하면 지압침이 노출되게 되어 어린아이들이 잘못 사용했을때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종래 출혈침관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 하단에 반원형 개방구(5)와 대칭되게 형성된 하부커버(6)가 스프링(7)에 탄지되게 나착되고, 상부 작동구(8)를 눌러 하부커버(6)에 내장된 출혈침을 외부로 돌출시켜 피부에 자입 한두방울의 혈액을 출혈시키는 출혈침관(9)을 구성한 상태에서, 선단의 출혈침 일측에 자극돌기를 형성시킴으로 필요에 따라 방향을 바꾸어 교체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주로 치료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인들이 일상생활에서 필요에 따라 손가락부위의 자극을 위한 지압기능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지압기구를 별도로 필요로 할 수 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타봉 겸용 출혈침기구의 후단측에 지압용 부재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서 다양한 이용효율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체로 구비되는 지압용 침의 노출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이 가능토록 함으로 어린아이들로 하여금 부상의 위험을 방지토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몸체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개방구가 형성된 하부커버가 나사결합하고, 상기 하부커버 내에는 내부에서 출혈 겸용 타봉침이 직선유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타단에는 상기 타봉침을 유동시키기 위한 작동구가 내부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구 단부에는 지압침이 고정 구성되고, 상기 지압침이 노출되어질 수 있도록 노출공이 형성된 상부캡이 작동구 단부에 나사결합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필기구 형태를 이루고 있는 본체(10)의 하부에는 개방구(20a)가 형성된 하부커버(20)가 결합되었고 상부에는 노출공(30a)가 형성된 상부캡(30)이 구성되었다.
하부커버(20) 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타봉침(21)이 하향으로 직선유동 가능하게 장착 구성되어 있는데, 타봉침(21)은 양측단에 각각 굵기를 달리하는 타봉용 자극돌기(22)가 돌출 형성되어져 있어 자극 부위에 따라 장착방향을 달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타봉침(21)을 분리시킨 후 해당 부위에 사혈침(미도시)를 장착하면 사혈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구성을 이룬다.
한편, 본 고안의 상부캡(30)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 몸체(10)의 타단측에는 상기 타봉침(21)을 유동시키기 위한 작동구(31)가 내부 스프링(33)에 의해 탄성지 지되는 상태로 구성되었는데, 외주면상에 나사산(31b)이 형성되었고, 이와 대응되는 상부캡(30) 내주면 역시 나사산(30b)이 형성되었다.
특히, 상기 작동구(31) 단부에는 지압침(32)이 일체로 고정 구성됨으로 노출공(30a)을 통해 선택적인 외부 노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작동구(31) 단부에 형성된 나사선(31b)의 길이는 상부캡(30)의 내주길이 이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 지압침(32)의 노출높이가 최대까지 이를 수 있도록 하였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은 스프링(33)의 하단을 지지하고 있는 내부하우징이고, 34는 스프링(33)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해 작동구(31)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타봉기구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치료부위에 대한 자극을 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자극돌기(22)가 하향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타봉침(21)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하부커버(21)를 손가락, 손등의 과민한 압통점에 맞댄 상태에서 상부캡(30)을 누르게 되면 작동구(31)가 스프링(33)을 가압하면서 하강하게 되어 공지된 순간 침작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자극돌기(12)가 순간적인 속도에 의해 혈처부위를 타봉ㆍ자극한 후 상부캡(30)을 놓으면 스프링(33)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 부항을 이용하여 어혈을 뽑아내기 위한 출혈을 나타내게 위해서는 상기 타봉침(21)을 분리 시킨 후 사혈침(미도시)을 장착 결합시킨 상태에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서, 일반적인 타봉 또는 출혈시키는 작업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타봉기구를 사용하여 압침(수지침)을 수행코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부캡(30)을 돌려서 지압침(32)을 소정 높이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지압을 실시하게 된다.
즉, 지압침(32)을 사용치 않는 경우에는 도 5a에서와 같이 상부캡(30)에 의해 지압침(3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진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상기에서와 같이 상부캡(30)을 누르더라도 지압침(32)에 의한 자극이 피부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5b에서와 같이 상부캡(30)을 조금씩 돌려주게 되면 나사결합이 이루어진 작동구(31)를 따라 상부캡(30)이 서서히 하강하게 됨으로 노출공(30a)을 통해 지압침(32)이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부캡(30)을 끝까지 돌려주게 되면 도 5c에서와 같이 상부캡(30)이 최대 하강 상태를 이루면서 지압침(32)이 가장 높은 높이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부캡(30)의 회전을 조절하여 적절한 높이로 지압침(32)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손이나 발의 경혈점을 압침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압침 과정에서 지압침(32)의 돌출높이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가운데, 피부와의 가압작용으로 인해 스프링(33)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있는 작동구(31)가 탄성작용을 나타냄으로 통증발생을 감소시키는 가운데 효율적인 치료효과 를 나타낼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타봉기구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타봉기구가 원형의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전체적인 외관 형상은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출혈 겸용 타봉기구의 일단에 지압침을 일체로 구비함으로서 선단측에서의 통증부위에 대한 타봉 자극과 함께 후단측을 이용한 압침을 필요에 따라 실시할 수 있게 됨으로 기구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지압침의 돌출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 보다 효과적인 압침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지압침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짐으로 필요 이상의 통증 유발을 방지할 수 있고, 스프링에 의한 지압침의 탄성 압력작용으로 보다 효율적인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몸체(10)를 중심으로 일단에는 개방구(20a)가 형성된 하부커버(20)가 나사결합되되, 상기 하부커버(20) 내에는 사혈침 또는 타봉침(21)이 직선유동 가능하게 장착 구성되고;
    상기 몸체(10)의 타단에는 상기 사혈침 또는 타봉침(21)을 유동시키기 위한 작동구(31)가 내부 스프링(33)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작동구(31) 단부에는 지압침(32)이 고정 구성되고;
    상기 지압침(32)이 노출되어질 수 있도록 노출공(30a)이 형성된 상부캡(30)이 작동구(31) 단부에 나사결합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30)의 회전수에 따라 지압침(32)의 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캡(30)의 내주면에는 전체길이에 걸쳐 나사선(30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31) 단부에 형성된 나사선(31b)의 길이는 상부캡(30)의 내주길이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31)의 중단에는 스프링(33)이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걸림턱(34)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
KR2020060016810U 2006-06-22 2006-06-22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 KR200426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810U KR200426956Y1 (ko) 2006-06-22 2006-06-22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810U KR200426956Y1 (ko) 2006-06-22 2006-06-22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956Y1 true KR200426956Y1 (ko) 2006-09-20

Family

ID=4177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810U KR200426956Y1 (ko) 2006-06-22 2006-06-22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9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3258A (ko) * 2011-11-07 2014-08-26 제트아이에이치 코포레이션 매체 및 리본의 로딩 및 언로딩 기능이 향상된 매체 처리 장치
KR20150004528U (ko) 2014-06-11 2015-12-21 염선영 용천혈 지압구가 구비된 필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3258A (ko) * 2011-11-07 2014-08-26 제트아이에이치 코포레이션 매체 및 리본의 로딩 및 언로딩 기능이 향상된 매체 처리 장치
KR101660479B1 (ko) 2011-11-07 2016-10-10 제트아이에이치 코프. 매체 및 리본의 로딩 및 언로딩 기능이 향상된 매체 처리 장치
KR20150004528U (ko) 2014-06-11 2015-12-21 염선영 용천혈 지압구가 구비된 필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6864Y1 (ko) 지압구가 부착된 장갑
KR200426956Y1 (ko) 지압침이 구비된 타봉기구
KR200418215Y1 (ko) 사혈침 기구
WO2003065965A3 (en) Massage cap
KR20080004947U (ko) 양면 지압 마사지기
KR200415614Y1 (ko) 발가락 반사구 자극용 탄력밴드
KR200400342Y1 (ko) 지압부재가 구비된 필기구
KR200261409Y1 (ko) 지압 시트
CN201171746Y (zh) 眼罩
KR101395082B1 (ko) 손가락 지압기
KR200405321Y1 (ko) 지압부재가 구비된 필기구
KR200323026Y1 (ko) 지압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침관
KR200410062Y1 (ko) 지압구
KR200414730Y1 (ko) 지압구
KR200161802Y1 (ko) 다기능 지압기구
CN215081867U (zh) 一种用于保健理疗按摩仪的按摩头
CN203220562U (zh) 人体经络穴位按摩器
KR200447358Y1 (ko) 손 지압구
KR200402045Y1 (ko) 지압용 필기구
KR200401326Y1 (ko) 필기구를 구비한 파지용 지압기
KR20060096960A (ko) 복합 자기장 지압구
KR20000050104A (ko) 맛사지겸용 지압장갑
KR200356687Y1 (ko) 지압침이 구비된 필기구
KR200352440Y1 (ko) 경혈자극용 휴대 지압기
KR940004734Y1 (ko) 자기 무통 수지압 침(磁氣 無痛 手指壓 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