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705Y1 -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705Y1
KR200426705Y1 KR2020060018850U KR20060018850U KR200426705Y1 KR 200426705 Y1 KR200426705 Y1 KR 200426705Y1 KR 2020060018850 U KR2020060018850 U KR 2020060018850U KR 20060018850 U KR20060018850 U KR 20060018850U KR 200426705 Y1 KR200426705 Y1 KR 200426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desk
plate
fixing rod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문미
Original Assignee
배문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문미 filed Critical 배문미
Priority to KR2020060018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7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7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3Writing-tabl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1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paper clamps, line indicato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의 상판 일부가 경사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독서판으로서의 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조절장치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 상판의 소정위치 일부분을 분리 형성하여 경첩과 더불어 소정의 각도조절구에 의해 사용자에 따라 사용이 편리한 경사각도로 손쉽게 조절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학습 및 독서에 따른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피로도를 줄일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각도조절장치는 독서판 저면에 장착되는 제1고정봉과 책상판 저면에 장착되는 제2고정봉으로 구성하되, 상기 독서판에 저면에 장착되는 제1고정봉은 하부외주연에 다수의 톱니형 요철부를 가진 2개의 회동조절편을 대칭으로 나란히 형성한 각도조절부를 형성하고, 조절부 전후부에는 원복용 밀턱과 원복용 걸림턱을 형성하며, 회동조절편 사이에는 밀편과 후진편을 가진 작동편을 설치하되, 후진편의 직하부에 걸림요부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고,
제2고정봉은 상단에 유설부를 형성하되, 유설부 내부 후벽에는 걸림돌부를 가진 탄성편을 스프링으로 연결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한편, 제1고정봉과 제2고정봉으로 된 각도조절장치를 독서판의 양측저면에 장착하게 되면 별도의 경첩이 불필요하게 되고, 독서판의 중앙저면에 장착하게 되면 양측에 별도의 경첩일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독서판의 경사각도 조절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져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더불어 다양한 각도로 조절됨에 따라 학생 또는 교육생이 자신의 체형에 맞는 경삭각도로 조절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에 따라 독서 또는 학습에 대한 집중력을 크게 높일 수 있고, 신체적인 피로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학습능률 향상과 학습 또는 독서시간을 보다 더 늘릴수 있게 되는 등의 특징이 따르게 된다.
독서대, 보면대, 경사각도 조절장치, 경첩, 학생용 책상.

Description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 조절장치{an angle control device of a reading desk}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본 고안은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1인용으로 사용되는 학생용 또는 연수용 책상의 상판 일부가 독서대로서의 작용을 하도록 된 책상에 있어서, 독서대의 경사각도를 보다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경사각도 조절장치가 보다 더 안정적으로 작동하면서 내구성이 뛰어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책상 일체형 독서대는 학생용 또는 연수용 책상의 상판 일부를 절개하거나 또는 분리구성하여 이를 소정의 경첩과 각도조절장치로서 조립구성한 것을 말하며 이는 선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0392787호와 실용신안등록 제0397757호에 잘 나타나 있다.
전자의 실용신안등록 제0392787호는 독서대의 경사조절이 원활하면서도 안정 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경첩구성과 함께 래치 및 톱니형 걸림부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고,
후자의 실용신안등록 제0397757호는 발판 또는 레버와 톱니형 걸림부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독서대의 경사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는데 이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랐던 것이다.
즉, 전자의 경우나 후자의 경우에 독서대의 경사조절을 다양한 각도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유용하나 전자의 경우는 사용하는 과정에서 래치 및 톱니형 걸림부가 노출된 구성인데다가 독서대를 들어 올릴 때는 독서대의 끝을 잡고 들어올려야 하고 다시 원상태로 눕히고자 할 때는 별도의 해체레버를 이용하여 눕혀야 함으로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고, 후자의 경우는 노출된 레버나 발판과 길이가 긴 로드에 의해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레바가 쉽게 흔들리거나 톱니형 요철부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독서대가 자주 원상 복귀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선등록 고안에 따른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특히, 조작이 손쉽게 이루어지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여 독서대의 각도조절에 따른 신뢰성과 안정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책상 상판의 소정위치 일부분을 분리 형성하여 사용자에 따라 편리한 각도로 조절사용할 수 있는 독서판(1)을 가진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각도조절장치(2)는 독서판(1) 저면에 장착되는 제1고정봉(3)과 책상판(D) 저면에 장착되는 제2고정봉(4)으로 구성하여 핀(28)으로서 연결구성되게 하되, 상기 독서판(1)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1고정봉(3)은 하부외주연에 다수의 톱니형 요철부(5)를 가진 2개의 회동조절편(6)(6')을 대칭으로 나란히 형성한 각도조절부(7)를 형성하고, 각도조절부(7) 전후부에는 원복용 밀턱(8)과 원복용 걸림턱(9)을 형성하며, 회동조절편(6)(6') 사이에는 밀편(10)과 후진편(10')을 가진 작동편(11)을 설치하되, 후진편(10')의 직하부에 걸림요부(12)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고,
제2고정봉(4)은 상단에 유설부(13)를 형성하되, 유설부(13) 내부 후벽에는 걸림돌부(14)를 가진 탄성편(17)을 스프링(15)으로 연결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한편, 제1고정봉(3)과 제2고정봉(4)으로 이루어진 각도조절장치(2)를 독서판(1)의 양측저면에 장착하게 되면 별도의 경첩이 불필요하게 되고, 독서판의 중앙 저면에 장착하게 되면 양측에 별도의 경첩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책상판(D)의 일부가 독서판(1)의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편리한 각도로 매우 손쉽게 조절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따르게 된다.
즉, 사용자가 독서판(1)의 끝단을 잡고 들어 올리게 되면 독서판(1)의 저면에 장착고정된 제1고정봉(3)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형 요철부(5)가 제2고정 봉(4)의 유설부(13) 내측에 설치된 탄성편(17)의 걸림돌부(14)와 연동하면서 여러 가지 각도로(사용자의 의도대로) 변화되게 되는데, 상기한 탄성편(17)의 설치위치가 톱니형요철부(5)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독서판(1)을 잡아 들어 올릴 때 매우 손쉽고 간편하게 들어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일단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위치로 조절된 뒤에는 뒤로 넘어가지 않게 되어 책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소정의 위치로 조절된 독서판(1)을 최초의 상태인 평면상태로 다시 눕히고자 할 때는 독서판(1)을 사용자 앞으로 완전히 끌어당겨 숙인 후 뒤로 재껴주면 되는데, 이는 독서판(1)을 끌어당겨 완전히 숙였을 때 각도조절부(7)에 형성된 원복용 밀턱(8)이 작동판(11)의 밀편(10)을 약간 더 회전시켜 작동판(11)의 걸림요부(12)가 탄성편(17)의 걸림돌부(14)로 부터 벗어나 작동판(11)의 외주면이 탄성편(17)을 누르고 있는 상태로 되게 한 후 독서판(1)을 뒤로 눕히게 되면 독서판(1)이 거의 다 눕혀지는 시점에서 원복용 걸림턱(9)이 작동판(11)의 후진편(10')을 밀어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줌으로써, 작동판(11)에 형성된 걸림요부(12)가 걸림돌부(14)의 위치로 돌아감에 따라 걸림돌부(14)가 걸림요부(12)에 끼워져 작동판(11)에 형성된 걸림요부(12)가 걸림돌부(14)의 위치로 돌아감에 따라 걸림돌부(14)가 걸림요부(12)에 끼워져 작동판(11)을 지지하면서 회동조절편(6)(6')의 톱니형요철부(5)가 걸림돌부(14)와 연동할 수 있게 되어 독서판(1)이 수평으로 눕혀지게 되는 것이며, 더불어 다양한 각도로 독서판(1)의 각도를 조절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독서판(1)과 책상판(D)에 장착된 각도조절장치(2)자체가 각도조 절은 물론 원복기능까지 동시에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독서판의 경사각도 조절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매우 안정적으로 조절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고, 이에 따라 독서 또는 학습에 대한 집중력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면서 신체적인 피로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학습능률 향상과 학습 또는 독서시간 연장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책상 상판의 소정위치 일부분을 분리 형성하여 사용자에 따라 편리한 각도로 조절사용할 수 있는 독서판(1)을 가진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각도조절장치(2)는 독서판(1) 저면에 장착되는 제1고정봉(3)과 책상판(D) 저면에 장착되는 제2고정봉(4)으로 구성하여 핀(28)으로서 연결 구성되게 하되,
    상기 독서판(1)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1고정봉(3)은 하부 외주연에 다수의 톱니형 요철부(5)를 가진 2개의 회동조절편(6)(6')을 대칭으로 나란히 형성한 각도조절부(7)를 형성하고, 각도조절부(7) 전후부에는 원복용 밀턱(8)과 원복용 걸림턱(9)을 형성하며, 회동조절편(6)(6') 사이에는 밀편(10)과 후진편(10')을 가진 작동편(11)을 설치하되, 후진편(10')의 직하부에 걸림요부(12)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고,
    제2고정봉(4)은 상단에 유설부(13)를 형성하되, 유설부(13) 내부 후벽에는 걸림돌부(14)를 가진 탄성편(17)을 스프링(15)으로 연결 설치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 조절장치.
KR2020060018850U 2006-07-07 2006-07-07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 조절장치 KR200426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850U KR200426705Y1 (ko) 2006-07-07 2006-07-07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850U KR200426705Y1 (ko) 2006-07-07 2006-07-07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705Y1 true KR200426705Y1 (ko) 2006-09-18

Family

ID=4177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850U KR200426705Y1 (ko) 2006-07-07 2006-07-07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7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991B1 (ko) 2009-08-10 2011-09-26 류정숙 독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991B1 (ko) 2009-08-10 2011-09-26 류정숙 독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0964Y1 (ko) 다용도 진공 흡착 기구
US4339104A (en) Floor stand mounted mirror
US6276701B1 (en) Scooter having a safety folding mechanism
US8083290B2 (en) Car seat
US6694891B1 (en) Foldable desk
US20070273191A1 (en) Angle-adjustable backrest device for a child highchair
JPH0390273U (ko)
KR102056182B1 (ko) 인체공학적 높이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책상
JP5653601B2 (ja) 肘掛け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椅子
US11350762B2 (en) Swing dining chair
KR200413830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갖춘 책상.
KR200426705Y1 (ko)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 조절장치
AU2018204000B2 (en) Water sports board with foldable seat back
KR101946819B1 (ko) 앞받침대와 낚시대받침구가 일체로 구비된 관절형 낚시받침대
KR100796696B1 (ko) 높낮이 조절 책상
KR200426704Y1 (ko) 책상 일체형 독서대의 각도 조절장치
JPS5919197Y2 (ja) カメラ用三脚
JP5371258B2 (ja) 折り畳み脚固定装置
KR20080027655A (ko) 의자를 구비한 책상
CN206213630U (zh) 一种可伸缩式折叠椅
CN2905543Y (zh) 儿童座椅底座调整机构
US6598240B1 (en) Toilet seat device having support for children
WO2004088491A1 (en) Adjustable keyboard stand
KR200396467Y1 (ko) 상판 각도가 조절되는 책상 .
CN214803618U (zh) 座椅底座及其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90520

Effective date: 20101126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