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414Y1 - 단자대에 퓨즈 내입부가 일체로 된 변압기 - Google Patents

단자대에 퓨즈 내입부가 일체로 된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414Y1
KR200426414Y1 KR2020060016922U KR20060016922U KR200426414Y1 KR 200426414 Y1 KR200426414 Y1 KR 200426414Y1 KR 2020060016922 U KR2020060016922 U KR 2020060016922U KR 20060016922 U KR20060016922 U KR 20060016922U KR 200426414 Y1 KR200426414 Y1 KR 2004264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fuse
transformer
output terminal
fu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9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철 효 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복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복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복전기
Priority to KR20200600169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4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4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4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자대에 퓨즈 내입부가 일체로 된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변압기에 형성된 단자대에서 입력된 전류를 송출하는 출력 단자대에, 변압기의 퓨즈 단자와 연결되는 퓨즈 내입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과전류를 방지하는 퓨즈를 퓨즈 케이스에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변압기의 과전류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퓨즈 내입을 위한 연결구를 구성하지 않고, 출력 단자대에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므로, 결합하는 퓨즈를 간소한 공정으로 편리하고 결합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퓨즈를 쉽게 변압기에 결합하여 사용하므로, 과전류에 대한 안전한 변압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변압기, 단자대, 퓨즈

Description

단자대에 퓨즈 내입부가 일체로 된 변압기{a potential transformer}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의 접점 다이어그램도
도 5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코어
2; 권선
3; 상부 고정부재
3'; 하부 고정부재
3-1; 단턱
4; 변압기
5; 입력 단자대
5-1; 전선 연결부
5-3; 결합 요부
6; 출력 단자대
6-1; 전선 연결부
6-2; 퓨즈 내입부
6-3; 결합 요부
7; 전선
8; 퓨즈
본 고안은 단자대에 퓨즈 내입부가 일체로 된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변압기에 형성된 입, 출력 단자대의 구성에서, 입력된 전류를 송출하는 출력 단자대에, 변압기에 발생하는 과전류를 방지하는 퓨즈를 결합할 수 있는 퓨즈 내입부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압기는 철심과 2개 이상의 권선으로 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교류전력을 받아 전자유도작용에 의하여 전압 및 전류를 변성하여 다른 하나 이상의 회로에 동일 주파수의 교류전력을 공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변압기에 있어서, 유입되는 전류와 유출되는 전류의 원만한 소통을 위하여, 유출측에 계기를 보호하기 위한 과전류를 방지하는 퓨즈를 구비하게 되는데, 종래의 변압기는 퓨즈 단자의 구성이, 변압기 외부로 퓨즈 단자와 연결되는 별 도의 퓨즈 케이스를 구비하여 설치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퓨즈 단자의 사용은, 변압기 이외에 별도로 퓨즈 케이스를 부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생산성도 감소하는 문제점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변압기에 형성된 단자대에서 입력된 전류를 송출하는 출력 단자대에, 변압기의 퓨즈 단자와 연결되는 퓨즈 내입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과전류를 방지하는 퓨즈를 퓨즈 케이스에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변압기에 대한 퓨즈의 결합을 편리하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철심 또는 페라이트 코어(1)와 권선(2) 및 상, 하로 고정부재(3)(3')가 형성된 변압기(4)에 있어서,
전류의 입력 담당하는 입력 단자대(5)와, 출력을 담당하는 출력 단자대(6)에, 전선(7)을 결합하는 전선 연결부(5-1)(6-1)를 형성하고, 출력 단자대(6)에 과전류 방지를 위한 퓨즈(8)가 삽입하는 퓨즈 내입부(6-2)를 형성하고, 상기의 입력 단자대(5)와 출력 단자대(6) 하측으로 결합 요부(5-3)(6-3)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의 상부 고정부재(3)에는 입력 단자대(5)와 출력 단자대(6)에 형성된 요 부(5- 3)(6-3)와 결합하는 단턱(3-1)를 형성하여 변압기(4)에 입력 단자대(5)와 출력 단자대(6)를 결합한 것이다.
미 설명부호 '21'은 고정 볼트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단자대(5)(6)에 퓨즈 내입부(5-2)(6-2)가 일체로 된 변압기(4)의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압기(4)에 형성된 상부 고정부재(3)의 단턱(3-1)에 각각 결합한 입력 단자대(5)와 출력 단자대(6)를 결합 요부(5-3)(6-3)를 이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입력 단자대(5)의 전선 연결부(5-1)에 변압기(4)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4)을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입력 단자대(5)에 전선(4)을 연결한 상태에서, 출력 단자대(6)의 전선 연결부(6-1)에 결합하는 전선(4)을 통해, 변압기(4)를 경유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입력 단자대(5)를 통해 과전류가 공급되는 경우에, 출력 단자대(6)의 퓨즈 내입부(6-2)에 삽입되는 퓨즈(8)가 동작하므로, 출력 단자대(6)를 차단하므로, 변압기(4) 외부로 과전류가 송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변압기(4)는 선박이나 기타 시설의 배전반에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점검 등 유지보수작업시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배전반 내에서의 배선을 효과적으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 단자대(6)에 퓨즈 내입부(6-2)가 일체로 형성되어 변압기(4)의 사용은, 변압기(4)의 과전류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퓨즈(8) 내입을 위한 연결구를 구성하지 않고, 출력 단자대(6)에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므로, 결합하는 퓨즈(8)를 간소한 공정으로 편리하고 결합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퓨즈(8)를 쉽게 변압기(4)에 결합하여 사용하므로, 과전류에 대한 안전한 변압기(4)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철심 또는 페라이트 코어(1)와 권선(2) 및 상, 하로 고정부재(3)(3')가 형성된 변압기(4)에 있어서,
    전류의 입력 담당하는 입력 단자대(5)와, 출력을 담당하는 출력 단자대(6)에, 전선(7)을 결합하는 전선 연결부(5-1)(6-1)를 형성하고, 출력 단자대(6)에 과전류 방지를 위한 퓨즈(8)가 삽입하는 퓨즈 내입부(6-2)를 형성하고,
    상기의 입력 단자대(5)와 출력 단자대(6) 하측으로 결합 요부(5-3)(6-3)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의 상부 고정부재(3)에는 입력 단자대(5)와 출력 단자대(6)에 형성된 요 부(5-3)(6-3)와 결합하는 단턱(3-1)을 형성하여 변압기(4)에 입력 단자대(5)와 출력 단자대(6)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에 퓨즈 내입부가 일체로 된 변압기.
KR2020060016922U 2006-06-23 2006-06-23 단자대에 퓨즈 내입부가 일체로 된 변압기 KR2004264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922U KR200426414Y1 (ko) 2006-06-23 2006-06-23 단자대에 퓨즈 내입부가 일체로 된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922U KR200426414Y1 (ko) 2006-06-23 2006-06-23 단자대에 퓨즈 내입부가 일체로 된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414Y1 true KR200426414Y1 (ko) 2006-09-19

Family

ID=4177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922U KR200426414Y1 (ko) 2006-06-23 2006-06-23 단자대에 퓨즈 내입부가 일체로 된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4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976A (ko) 2015-03-25 2016-10-06 주식회사 평일 퓨즈 내장형 엘보 접속재
KR20190001716U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운영 퓨즈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트랜스포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976A (ko) 2015-03-25 2016-10-06 주식회사 평일 퓨즈 내장형 엘보 접속재
KR20190001716U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운영 퓨즈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트랜스포머
KR200490528Y1 (ko) * 2017-12-28 2019-11-26 주식회사 운영 퓨즈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트랜스포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01175B (zh) 保障a型剩余电流装置的保护功能的电气监控装置及方法
US9824809B2 (en) Modular transformer system
CN106233554A (zh) 电流转换器用的用于避免过压的对接模块和包括对接模块的电流转换器
KR200426414Y1 (ko) 단자대에 퓨즈 내입부가 일체로 된 변압기
US20170212151A1 (en) Current transformer assembly with attachable functional adaptor
JP2022515034A (ja) 気中回路遮断器の変流器
KR102283854B1 (ko) 트랜스 어셈블리
KR20050120316A (ko)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KR101379322B1 (ko) 전기기기 및 전기기기 지지부재
KR200439071Y1 (ko)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체
KR200490528Y1 (ko) 퓨즈의 설치 구조가 개선된 트랜스포머
CN208570264U (zh) 一种具有防护性能的适用于各类电力的变压器
KR100594907B1 (ko) 차단기의 접속장치
CN203746653U (zh) 一种新型电流互感器
KR200231521Y1 (ko) 이용량 변압기
CN207116200U (zh) 一种组合互感器
CN105340168A (zh) 装置的设备内部能量供给
CN212231339U (zh) 一种自动升压降压的变压装置
AU2456901A (en) Power conversion systems utilizing wire core inductive devices
KR101409352B1 (ko) 지하철 변전소에 사용되는 기기의 전원 공급용 써지 보호 회로를 구비한 전원 장치
KR200453418Y1 (ko) 전자접촉기용 안전커버
KR200219839Y1 (ko) 전자기유도를 이용한 무접점 고압방수 콘덕터
KR100451250B1 (ko) 결상 검출방법 및 차단장치
JP2006332297A (ja) 三相変圧器の耐雷素子取付構造
KR200262519Y1 (ko) 제어용 트랜스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