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076Y1 - 표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양초 - Google Patents

표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양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076Y1
KR200426076Y1 KR2020060015740U KR20060015740U KR200426076Y1 KR 200426076 Y1 KR200426076 Y1 KR 200426076Y1 KR 2020060015740 U KR2020060015740 U KR 2020060015740U KR 20060015740 U KR20060015740 U KR 20060015740U KR 200426076 Y1 KR200426076 Y1 KR 200426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printing
opp film
pattern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규
Original Assignee
최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규 filed Critical 최현규
Priority to KR2020060015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0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0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문양이나 문자가 인쇄된 인쇄부를 인쇄적성이 우수한 OPP필름에 형성하여 이 OPP필름을 양초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양초의 표면에 인쇄부를 매우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고, 문양이나 문자의 상태가 선명하여 인쇄품질이 향상된 인쇄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양초의 연소시 촛농이 표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매끄러운 표면과 깨끗한 표면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양초의 연소시간을 연장시켜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표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양초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양초는 바깥지름이 35∼45㎜인 양초(20)의 바깥둘레면에 문양이나 문자가 인쇄된 인쇄부(11)를 구비한 OPP필름(10)을 원통형상으로 둘러싸고, 그 양끝단을 겹쳐 접착제로 부착하여 구성되며, OPP필름(10)의 상단은 양초(20)의 상단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표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양초{CANDLE WITH PRINTING FA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초의 표면에 인쇄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양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OPP필름 11 : 인쇄부
20 : 양초 21 : 촛농
22 : 촛불
본 고안은 표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양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양이나 문자가 인쇄된 연신폴리프로필렌필름(Oriented Poly Propylene Film; 이하, OPP필름이라 약칭함)을 양초의 바깥둘레면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양초 표면에 문양이나 문자등의 인쇄부를 형성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양초의 표면을 깨끗하고 매끄러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촛농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양초의 연소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양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행사용이나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양초의 표면에는 그 행사나 장식분위기에 적합한 여러 가지 문양이나 문자를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양초의 표면에 문양이나 문자를 인쇄한 인쇄부를 형성하는 종래의 방식으로는 문양이나 문자가 인쇄된 전사지를 양초의 표면에 전사하는 방식과, 문양이나 문자를 실크스크린 인쇄법에 의해 양초의 표면에 직접 인쇄하는 방식과, 문양이나 문자를 직접 그려 넣거나 인쇄한 한지를 양초의 표면에 부착하는 방식이 널리 알려져 있다.
먼저, 전사지를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 원지의 일면에 문양이나 문자를 인쇄하고, 이 인쇄층 위에 코팅층 및 접착층을 차례로 형성하여 전사지를 제조한 후, 접착층을 양초의 표면에 부착하고 압력이나 열을 가함과 동시에 원지를 코팅층으로부터 박리하면 인쇄층과 코팅층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양초의 표면에 부착 전사되는 것에 의해 양초의 표면에 문양이나 문자가 인쇄된 인쇄부를 형성하였던 것으로, 이와 같이 전사지를 이용한 방식은 복잡한 공정을 통해 양초용 전자시를 일일이 제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양초에 대한 전사지의 전사공정이 복잡해 그 작업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실크스크린 인쇄법의 경우, 문양이나 문자를 형성한 스크린망을 통해 양초의 표면에 직접 인쇄하여 인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전사지를 이용한 방식에 비하여 인쇄공정이 간편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양초의 표면이 대부분 원형으 로 되어 있고 매끄럽지 않기 때문에, 인쇄 품질은 전사지를 이용한 방식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한지를 이용한 방식은, 한지를 양초의 바깥둘레면에 접착제로 부착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부착상태가 매끄럽지 않아 미관상 좋지 않으며, 습기 및 구조적 강도가 약해 쉽게 박리되거나 찢어지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한 전사식, 스크린 인쇄 및 한지 방식은 모두 양초의 연소시 촛농이 표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에 의해 인쇄된 문양이나 문자가 손상되어 인쇄부의 기능이 상실됨과 동시에, 외관상으로도 보기 흉하여 깨끗한 표면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문양이나 문자가 인쇄된 인쇄부를 인쇄적성이 우수한 OPP필름에 형성하여 이 OPP필름을 양초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양초의 표면에 인쇄부를 매우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고, 문양이나 문자의 상태가 선명하여 인쇄품질이 향상된 인쇄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양초의 연소시 촛농이 표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매끄러운 표면과 깨끗한 표면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양초의 연소시간을 연장시켜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표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양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깥지름이 35∼45㎜인 양초의 바깥둘레면에 문양이나 문자가 인쇄된 인쇄부를 구비한 OPP필름을 원통형상으로 둘 러싸고, 그 양끝단을 겹쳐 접착제로 부착하여 구성되며, OPP필름의 상단은 양초의 상단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표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양초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문양이나 문자를 인쇄하여 인쇄부(11)를 구비한 OPP필름(10)을 양초(20)의 바깥둘레면에 부착하여 구성된다.
도 2는 OPP필름(10)을 양초(20)의 바깥둘레면에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인쇄부(11)가 구비된 OPP필름(10)을 양초(20)의 원주길이보다는 적어도 길게 절단하여 양초(20)의 바깥둘레면을 감싼 후, 그 양끝단이 겹쳐진 부분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부착함으로써 인쇄부(11)를 양초(20)의 바깥둘레면에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OPP필름(10)의 상단은 양초(20)의 상단보다 적어도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양초(20)의 연소시 촛농(21)이 양초(20)의 표면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초(20)의 바깥둘레는 35∼45㎜ 범위내로 형성하여 촛불(22)의 바깥부분과 OPP필름(10) 사이에 소정의 간격(a)을 유지함으로써 촛불(22)에 의하여 OPP필름(10)이 직접 가열되지는 않지만 열의 영향에 의해 녹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인쇄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OPP필름(10)에 문양이나 문자를 인쇄하여 인쇄부(11)를 형성한 후, OPP필름(10)을 양 초(20)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양초(20)의 표면에 인쇄부(11)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인쇄상태가 선명하고 깨끗하여 인쇄품질이 매우 양호한 인쇄부(11)를 가지는 양초(20)를 얻을 수 있고, 또한 OPP필름(10)은 통상적으로 투명성, 광택, 활성, 방습성 및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여 표면을 매끄러운 상태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양초(20)의 표면을 매끄러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양초(2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초(20)의 상단보다 OPP필름(10)의 상단이 높게 돌출시켜 형성한 것이므로, 양초(20)의 연소시에는 OPP필름(10)의 상단이 댐 기능을 수행하여 촛농(21)이 양초(20)의 표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촛농(21)이 OPP필름(10)에 의해 양초(20)의 상단에 고인상태에서 연소되므로, 양초(20)의 연소시간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고, 양초(20)의 연소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초(20)의 연소로 인해 양초(20)의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되어 촛불(22)의 가장 넓은 바깥부분이 OPP필름(10)의 상단 높이로 근접하게 되면, 양초(20)의 바깥지름이 35∼45㎜ 이상으로 형성되어 촛불(22)과 OPP필름(10)의 상단 사이에 소정의 간격(a)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촛불(22)에 의해 OPP필름(10)이 직접 연소되지는 않고, 촛불(22)의 열에 의해 OPP필름(10)의 상단이 촛불(22)쪽으로 오무라들면서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OPP필름(10)의 상단 높이와 촛불(22)의 가장 넓은 바깥부분 높이의 사이거리가 양초(20)의 연소에 대응하여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촛농(21)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댐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양초(20) 의 연소에 필요한 산소의 공급을 방해하지 않게 되어 촛불(22)이 꺼지는 일은 없게 된다.
지금까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타 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양초에 의하면 인쇄하기에 적합하고, 적성, 투명성, 방습성, 활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OPP필름에 문양이나 문자를 인쇄하여 양초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이므로, 양초의 표면에 인쇄부를 형성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져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인쇄품질이 우수한 인쇄부를 양초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으며, 양초의 표면을 깨끗하고 매끄러운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초의 연소시에 촛농이 양초의 표면으로 흐르지 않기 때문에, 인쇄부의 문양이나 문자의 손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양초의 표면을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고, 촛농이 흘러내리지 않고 연소되므로 양초의 연소시간이 대폭 연장되어 연소효율이 향상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바깥지름이 35∼45㎜인 양초(20)의 바깥둘레면에 문양이나 문자가 인쇄된 인쇄부(11)를 구비한 OPP필름(10)을 원통형상으로 둘러싸고, 그 양끝단을 겹쳐 접착제로 부착하여 구성되며, OPP필름(10)의 상단은 양초(20)의 상단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양초.
KR2020060015740U 2006-06-12 2006-06-12 표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양초 KR200426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740U KR200426076Y1 (ko) 2006-06-12 2006-06-12 표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양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740U KR200426076Y1 (ko) 2006-06-12 2006-06-12 표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양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076Y1 true KR200426076Y1 (ko) 2006-09-14

Family

ID=4177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740U KR200426076Y1 (ko) 2006-06-12 2006-06-12 표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양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0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924Y1 (ko) 2011-09-29 2012-04-20 정명희 부적을 구비한 양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924Y1 (ko) 2011-09-29 2012-04-20 정명희 부적을 구비한 양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2940B1 (en) Luminary product
TWI284397B (en) Carrier substrate for electronic components
KR20030001423A (ko) 인광성 라벨을 구비한 발광 장치
EP1999407B1 (en) Lantern candle with translucent casing
KR200426076Y1 (ko) 표면에 인쇄부를 가지는 양초
KR20100012023U (ko) 이벤트초
EP1640426A2 (en) Heat-resistant label
CN205523299U (zh) 立体浮雕图案水转印纸
KR100358817B1 (ko) 장식용 양초 제조방법
EP1243373A3 (en) Laser marking on a coated substrate
KR200436960Y1 (ko) 적층형 양초
KR20040095084A (ko) 인조가죽 및 그 제조방법
KR200257307Y1 (ko) 직물에 프린트하기 위한 전사시트
CN213940475U (zh) 一种高热效率的电热水壶
CN200998982Y (zh) 贴纸
KR20040077205A (ko) 크리스마스장식용 공과 그의 제조방법
KR200289244Y1 (ko) 엠보싱 구조를 갖는 요업용 전사지
TW200635769A (en) Light-reflection material with light-reflecting pattern and the fabricating method for the same
JP2003531395A5 (ko)
KR200283669Y1 (ko) 메시지 전달용 액세서리
KR200298406Y1 (ko) 전사용 반사입자 시이트
KR200376689Y1 (ko) 양초에 문양등을 인쇄하는 스크린 인쇄장치
JP3073524U (ja) 装飾用の貼付紙
KR200315221Y1 (ko) 크리스마스장식용 공
CN100500453C (zh) 在植物及仿真植物表面制做特效图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