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992Y1 - 디지털 프린팅 방식의 벽장식지 - Google Patents

디지털 프린팅 방식의 벽장식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992Y1
KR200425992Y1 KR2020060017029U KR20060017029U KR200425992Y1 KR 200425992 Y1 KR200425992 Y1 KR 200425992Y1 KR 2020060017029 U KR2020060017029 U KR 2020060017029U KR 20060017029 U KR20060017029 U KR 20060017029U KR 200425992 Y1 KR200425992 Y1 KR 200425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aper
wall
thermal transf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유제용
Original Assignee
김영준
유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유제용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2020060017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9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8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having a fibrous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at of other sheet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프린팅 방식의 벽장식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여러장으로 나뉘어서 인쇄된 벽장식지를 연이어 붙여서 하나의 그림으로 완성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디지털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보다 자유롭고 다양한 문양을 손쉽게 표현할 수 있고, 원단을 부직포에 배접함으로써 열전사시 문양이 뒤틀리지 않도록 한 벽장식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반적인 벽장식지에 원단은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고, 배접지는 부직포로 형성되며, 접착제는 밀풀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벽장식지에 의하면 원단과 배접지가 열전사시에도 뒤틀어지지 않아서 제품이 질이 향상되고, 열전사시 이색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원단과 배접지를 부착할 때 천연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해가 없는 효과가 있다.
원단, 디지털, 프린팅, 전사, 배접지, 천연소재, 밀풀, 부직포.

Description

디지털 프린팅 방식의 벽장식지{WALL DECORATION PAPER USING DIGITAL PRINTING METHO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벽장식지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에로 형성된 벽장식지의 생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고안은 디지털 프린팅 방식의 벽장식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하게는 여러장으로 나뉘어서 인쇄된 벽장식지를 연이어 붙여서 하나의 그림으로 완성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디지털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보다 자유롭고 다양한 문양을 손쉽게 표현할 수 있고, 원단을 부직포에 배접함으로써 열전사시 문양이 뒤틀리지 않도록 한 벽장식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지는 초기 건축물의 콘크리트면을 피복하여 주거자와 생활용품이 콘크리트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내를 장식하기 위한 것으로 실용성, 장식성 및 기능성을 고려하여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단순한 벽지에서 미적인 효과 또는 품질의 고급 화를 이루기 위해 여러가지 화학약품이 배합된 수지를 원지의 표면에 도포시킨 후 이 표면에 여러가지 문양을 인쇄하고 있다.
최근에는 일명 포인트벽지라하여 한쪽벽에 작품을 걸어놓은 듯한 벽장식지가 벽지와 함께 유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벽장식지는 단순히 패턴방식의 문양에서 벗어나 여러가지 문양을 다양하게 표현함으로써 여러폭을 이어서 부착할 경우 하나의 작품을 걸어놓은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종래의 벽장식지는 대한민국특허청에 민화벽지라는 제목으로 실용신안등록출원하여 실용신안 제0390173호로 등록된 벽장식지가 있다.
상기 종래의 벽장식지는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미리 제작된 디자인 파일의 이미지를 실사 전사하기 이전에 미리 형성된 방염코팅층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단의 일면에 형성된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을 통해 미리 원단에 접착되어 있는 배접지 및 컴퓨터에 의하여 미리 제작된 원본 디자인 파일을 프린터를 통해 전사지에 인쇄하고, 인쇄된 전사지의 이미지를 열전사기를 통해 상기 방염코팅층 위로 전사함으로써 형성된 이미지 인쇄층으로 원단의 조직 안으로 전사염료가 고착되어 형성된 이미지 인쇄층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벽장식지는 배접지로 일반종이를 사용하였는데, 원단과 배접지를 접착하여 열전사기를 통과할 경우 폴리에스테르 원단과 종이의 열수축률이 달라서 뒤틀어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만약 벽장식지를 여러폭 연이어 형성할때는 문양의 위치가 맞지 않아서 전체적인 문양이 뒤틀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높은 열로 열전사시에 문양에 이색(異色)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목적에서 개발되었다.
(1) 원단과 배접지가 열전사시에도 틀어지지 않아서 완성된 벽장식지를 완벽하게 연이어서 하나의 작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벽장식지를 제공한다.
(2) 열전사시 이색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벽장식지를 제공한다.
(3) 원단과 배접지를 부착할 때 천연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해가 없는 벽장식지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고, 전사방식으로 문양이 인쇄된 원단층과; 상기 원단층의 하단에 접착제로 접착된 배접지층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벽장식지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고, 상기 배접지는 부직포로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는 밀풀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장식지를 생산하는 방법은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방염 및 발수코팅을 하는 코팅단계와;
상기 코팅단계을 마친 원단을 부직포의 상단에 밀풀로 배접하는 배접단계와;
상기 원단에 인쇄하기 위해서 컴퓨터로 문양을 준비하는 디자인단계와;
상기 디자인단계에서 완성된 문양을 전사지로 출력하는 프린팅단계와;
상기 배접단계에서 준비된 원단의 상단에 얇은 천을 도포한 후 상기 프린팅 단계에서 프린팅된 전사지를 올려놓고 전사기를 통해서 열전사하는 열전사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고, 전사방식으로 문양이 인쇄된 원단층과; 상기 원단층의 하단에 접착제(200)로 접착된 배접지층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벽장식지에 있어서,
상기 원단(300)은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고, 상기 배접지(100)는 부직포로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200)는 밀풀을 사용한 구성이다.
상기 배접지(100)를 종래에는 일반종이나 특수종이를 사용하였는데, 종이는 열전사시에 폴리에스테르 원단(300)과 열팽창률이 달라서 문양이 뒤틀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배접지(100)로 부직포를 사용하는데 부직포는 펄프와 폴리에스테르가 2 : 8의 비율로 형성된 부직포가 적당하다.
상기 부직포를 형성함에 있어서 펄프와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은 많은 실험을 통해서 결정하였는데, 만약 펄프가 많아질 경우에는 벽면에 접착성은 좋아지지만 문양이 뒤틀어지는 현상이 많이 발생되고, 폴리에스테르가 많아질 경우에는 문양의 뒤틀어지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으나 벽면에 부착했을 때 잘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게된다.
상기 접착제(200)는 가공풀이나 본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밀풀을 사용한다.
상기 벽장식지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은 폴리에스테르 원단(300)에 방염 및 발수코팅을 하는 코팅단계(10)와; 상기 코팅단계을 마친 원단(300)을 부직포의 상단에 밀풀로 배접하는 배접단계(20)와; 상기 원단(300)에 인쇄하기 위해서 컴퓨터로 문양을 준비하는 디자인단계(30)와; 상기 디자인단계(30)에서 완성된 문양을 전사지로 출력하는 프린팅단계(40)와; 상기 배접단계(20)에서 준비된 원단(300)의 상단에 얇은 천을 도포한 후 상기 프린팅단계(40)에서 프린팅된 전사지를 올려놓고 열전사기를 통해서 열전사하는 열전사단계(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염코팅은 폴리에스테르 원단(300)이 화재의 위험에 노출된 공간에서 안전을 위해 행하는 일반적인 코팅방법이다.
상기 발수코팅은 원단(300)에 수분이 흡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수분이 흡수되지 않으므로 오염이 방지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코팅방법이다.
상기 배접단계(20)는 폴리에스테르 원단(300)과 배접지(100)를 배접하는데, 상기 배접지(100)는 부직포로 형성되고, 상기 부직포는 펄프와 폴리에스테르의 비율을 2:8로 맞춘 것을 사용한다.
상기 디자인단계(30)는 문양을 디자인하되, 상기 문양의 크기를 컴퓨터로 조작하고, 몇장으로 인쇄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준비한다.
상기 프린팅단계(40)에서 사용되는 전사지는 열전사 전용 전사지로 원 단(300)의 폭과 동일하게 준비된다.
상기 열전사단계(50)에서는 얇은 천을 올려서 열전사하는데 이는 이색현상을 막고 변색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올려두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열전사단계(50)에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열전사하여도 각각의 배접지(100)가 원단(300)과 동일하게 열팽창을 하기 때문에 문양이 비틀어짐 없이 열전사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벽장식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1) 원단과 배접지가 열전사시에도 뒤틀어지지 않아서 제품이 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2) 열전사시 이색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3) 원단과 배접지를 부착할 때 천연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해가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고, 전사방식으로 문양이 인쇄된 원단층과; 상기 원단층의 하단에 접착제로 접착된 배접지층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벽장식지에 있어서,
    상기 원단(300)은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고, 상기 배접지(100)는 부직포로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200)는 밀풀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장식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접지(100)로 사용되는 부직포는 펄프와 폴리에스테르의 배합비율이 2:8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장식지.
KR2020060017029U 2006-06-23 2006-06-23 디지털 프린팅 방식의 벽장식지 KR200425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29U KR200425992Y1 (ko) 2006-06-23 2006-06-23 디지털 프린팅 방식의 벽장식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29U KR200425992Y1 (ko) 2006-06-23 2006-06-23 디지털 프린팅 방식의 벽장식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001 Division 2006-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992Y1 true KR200425992Y1 (ko) 2006-09-19

Family

ID=4177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029U KR200425992Y1 (ko) 2006-06-23 2006-06-23 디지털 프린팅 방식의 벽장식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9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19781A (zh) 一种水转印贴膜及其工艺
KR101118035B1 (ko) 디지털 프린터와 에폭시를 이용한 벽화타일 및 그 제조방법
CN104533044A (zh) 一种感温变色立体图案墙贴及其制备方法
KR100948628B1 (ko) 디지털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점착형 인테리어 자재 및 그 제조 방법
CN101157321A (zh) 立体布艺年画及其制作方法
KR200425992Y1 (ko) 디지털 프린팅 방식의 벽장식지
KR20080004821U (ko) 점착식 직물시트지
CN213061537U (zh) 一种具有防伪功能的印刷装饰纸
KR100930499B1 (ko) 벽지
WO2012114137A1 (en) Process for producing surface decoration on vlies base material, and the decoration product applied by the process
KR101350578B1 (ko) 재부착 용이한 벽지 제조 방법 및 벽지
CN201769251U (zh) 环保板材
CN205840221U (zh) 一种带装饰软片的装饰板
KR101755862B1 (ko) 흡음 한지 장식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7236Y1 (ko) 요요아트시트
KR20100008738A (ko) 무늬가 형성된 가구용 패널 제조 방법 및 그 가구용 패널
KR102485451B1 (ko) 능화지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능화지 및 상기 능화지를 이용한 가공품
CN205637417U (zh) 一种具有发光功能的墙纸
US20120064328A1 (en) Decorative element for decoration of surfaces, preferably wall surfaces
CN209384026U (zh) 一种便于均匀压纹的装饰纸
KR200192123Y1 (ko) 문양이 형성되는 단위편재를 상호 교호 조립하여서 된돗자리
KR200455988Y1 (ko) 무지개빛 필름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KR101263093B1 (ko) 입체무늬용 한지 제조방법
KR910004998B1 (ko) 천 강화수지 장식판의 제조방법
KR20090108761A (ko) 인테리어 포인트 벽화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