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824Y1 - 해충 제거기 - Google Patents

해충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824Y1
KR200425824Y1 KR2020060015613U KR20060015613U KR200425824Y1 KR 200425824 Y1 KR200425824 Y1 KR 200425824Y1 KR 2020060015613 U KR2020060015613 U KR 2020060015613U KR 20060015613 U KR20060015613 U KR 20060015613U KR 200425824 Y1 KR200425824 Y1 KR 200425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lamp
ultraviolet
pests
pes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영
Original Assignee
진영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영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5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8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일몰 후 자정 부근까지가 활동 시간대인 해충을 유인하기 위하여 둘레와 밑으로 불빛이 비취도록 설치한 자외선램프(10)과; 주변에 유인된 해충을 반사 자외선 불빛으로 물속에 유인하기 위하여 자외선램프의 밑에 설치한 불빛 반사수(20)와; 불빛 반사수를 담아놓고 제거된 해충을 모으기위한 위한 물그릇(21)과; 해충 활동시간대에 자외선램프을 점등하기 위한 전류개폐기(30)와; 전류개폐기를 통하여 자외선램프을 점등하기 위한 전원장치(40)로; 구성한 해충제거기이다. 이 고안에 의하면 자외선램프의 불빛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고, 자외선램프의 밑에 자외선 불빛을 위로 반사하기 위한 자외선 불빛 반사수를 설치하여 자외선램프로 유인한 해충을 물그릇에 2차 유인하여 포충하고, 파장이 다른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를 함께 구동하므로 해충을 유인하고 유인된 해충을 불안정하게 하여 포충 효율을 높이고, 일몰 후 자정 부근까지 자외선램프를 구동하여 해충을 포충하고, 자정 이후에 구동을 중지시켜 익충을 보호하고,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구동하므로 상용전원이 설치되지 않은 산간 오지에서도 구동할 수 있다.
자외선, 해충

Description

해충 제거기 {EXCLUSION APPLIANCE OF HARMFUL}
도 1은 이 고안 해충 제거기 장치도
도 2는 이 고안 자외선램프 구동전류 개폐기 블록도
도 3은 이 고안 자외선램프 구동기의 블록도
이 고안은 해충 제거기에 관한 고안으로, 특히 자외선램프로 해충을 유인하고 유인된 해충을 물그릇에 포충할 수 있는 해충 제거기이다.
밤에 활동하는 해충을 불빛으로 유인하고, 불빛 근처에 날아온 해충을 포충하는 장치들이 실용화되었다. 불빛 근처에 날아온 해충을 포충하는 수단으로 i) 공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해충을 강제로 포충포대에 흡입하는것. ii) 불빛 근처에 고압전류를 배치하여 고압방전에 의해 불빛을 좆는 해충을 전격살충하는 것. iii) 불빛 근처에 날아다니는 해충이 접촉되면 끈끈이의 접착력으로 포충하는 것 등이다. 상기 흡기방식은 설치비용, 운전비용이 크고 소음이 발생하며 포충 효과도 높지 못하다. 상기 전격 살충방식은 방전소음이 나고, 고압 전기의 감전 위험이 있다. 상기 끈끈이 방식은 수동적인 포충 방식으로 포충 효율이 미약하다.
이 고안은 불빛을 좆는 해충의 특성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고 다시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해충을 물그릇에 포충할 수 있게 고안된 해충제거기를 제공한다.
이 고안은 해충의 유인 반응이 좋은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는 해충 제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고안은 자외선램프의 밑에 자외선 불빛을 위로 반사하기 위한 자외선 불빛 반사수를 설치하여 자외선 불빛으로 유인한 해충을 물그릇에 2차 유인하여 포충 하는 해충 제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고안은 파장이 다른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를 함께 구동하므로 해충을 유인하고 유인된 해충을 불안정하게 하여 포충 효율을 높인 해충 제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고안은 일몰 후 자정 부근까지 자외선램프를 구동하여 해충을 포충하고, 자정 이후에 구동을 중지시켜 자정 이후 활동적인 익충을 보호하는 해충 제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고안은 태양전지로 구동하므로 상용전원이 설치되지 않은 산간 오지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해충 제거기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고안을 실시 예 도면을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고안 해충 제거기는 일몰 후 자정 부근까지가 활동 시간대인 해충을 유인하기 위하여 둘레와 밑으로 불빛이 비취도록 설치한 자외선램프(10)과; 주변에 유인된 해충을 반사 자외선 불빛으로 물속에 유인하기 위하여 자외선램프의 밑에 설치한 불빛 반사수(20)와; 불빛 반사수를 담아놓고 제거된 해충을 포충하기 위한 위한 물그릇(21)과; 해충 활동시간대에 자외선램프을 점등하기 위한 전류개폐기(30)와; 전류개폐 기를 통하여 자외선램프을 점등하기 위한 전원장치(40)로; 구성하였다.
시험과 관찰에 의하면 해충은 파장 366nm인 자외선 불빛을 좋아하여 해충의 유인효율이 높다. 해충들은 파장 435nm인 자외선불빛은 주변을 뱅뱅돌고 떠나지 아니하였다. 해충들은 파장 545nm인 자외선 불빛 아래애서 상하좌우로 오르내리며 날아다녔다. 이 고안은 상기 관찰을 기반으로 파장 350nm 내지 550nm인 램프를 사용하였다.
도 1의 자외선램프(10)는 복수의 램프소켓을 설치한 하나의 소켓판(10b) 일면에 파장이 366nm인 램프와 파장이 435nm인 램프와 파장이 545nm인 램프를 함께 설치하고, 램프들을 투명 벌브(10a)로 커버하였다. 상기 소켓판(10b)은 램프들이 아래를 항하게 설치하여 지외선 불빛이 램프의 둘레와 아래로 비취게 하고, 상기 소켓판(10b)은 기둥(11) 상부의 굽은 지지체(12)로 지지하였다.
상기 기둥(11)은 대판(13)위에 고정하고 대판(13)의 상부에 해충을 포충하기 위한 물그릇(21)을 놓다 두었다. 물그릇(21)에 자외선 불빛 반사수(20)를 담아 두었다.
상기 자외선램프(10)가 켜지면 자외선 불빛이 램프 둘레와 램프 아래로 비춘다. 램프둘레를 비추는 불빛은 해충을 유인하고 램프 아래로 비추는 불빛은 그릇(21)에 담긴 반사수(20)의 수면에서 위쪽으로 반사된다. 일몰 이후에 자외선램프(10)를 구동하면 해충은 램프 둘레를 비추는 불빛을 따라 램프 근처로 유인되고 램프근처에서 뱅뱅 돌거나 상하로 날다가 아래쪽 불빛 반사수(20)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에 2차로 유도되어 반사수(20)를 향하여 날아 내려오고 불빛 반사수(20)의 수 면에 충돌하면서 반사수(20)속에 잠겨 그릇(21)에 포충된다. 해충이 포충된 물그릇은 낮 시간에 반사수를 교체하므로 해충을 폐기하고 반사기능을 유지시킨다.
상기 전류개폐기(30)는 일광이 검출되지 않는 밤이되면 자외선을 구동하고 구동시점으로부터 자정쯤이되는 시간을 산출하여 자외선램프을 소등하도록 프로그램된 마이콤(31)과; 프로그램된 마이콤이 자외선램프 구동시점을 정하기 위하여 마이콤에 접속한 일광센서(32)와; 마이컴(31)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어 전원장치(40)에서 자외선램프(10)에 공급하는 구동전류를 개폐하는 스위치(33)와; 자외선램프 구동을 위한 수동 스위치(34)로 구성하였다.
상기 프로그램된 마이콤(31)은 일광센서(32)에서 일광을 검출하는 동안 스위치(33)를 스위치 오프상태로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전원장치(40)의 전류는 자외선램프(10)에서 분리되어있다. 일몰 후 마이콤(31)이 일몰을 검출하면 마이콤(31)은 스위치(33)를 스위치 온 상태로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전원장치(40)의 전류는 자외선램프(10)에 제공되어 램프를 구동한다. 프로그램된 상기 마이콤(31)은 스위치온 제어 시점부터 내부 타이머를 구동하여 소등시간을 관리한다. 프로그램된 소등시간은 점등후 6시간이다. 마이콤이(31) 내부 타이머에서 램프 소등시간을 검출하면 일광센서(32)에서 일광을 검출하기까지 스위치(33)를 스위치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상기 스위치(34)를 온 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마이콤(31)의 제어와 별개로 스위치 온 상태 동안 자외선램프(34)에 전류를 공급하여 구동한다.
상기 전원장치는 태양광으로 부터 발전하는 태양전지(41)와; 태양전지가 발전하는 전류를 저장하는 축전지(42)와; 스위치(33)를 통해 축전지로부터 직류 전기 를 공급받고,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승압하고, 승압된 전류를 자외선램프(10)에 제공하는 자외선램프 구동기(43)로 구성하였다. 상기 태양전지(41)에 저부 힌지(41b) 및 지지 클립(41a)과 배면의 지지 클립(41c)을 설치하였다. 클립(41)은 태양전지의 설치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하고, 힌지(41b)와 클립(41c)은 태양전지의 설치각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이 구성은 일사량이 큰 방향과 각도로 태양전지(41)를 장착할 수 있게한다.
상기 축전지(42)는 태양전지(41)로 부터 발전하므로 상용전원과 원격한 산간 오지에서 자외선램프를 구동할수 있다. 물론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면 태양전지(41)를 사용하지 않고 자외선램프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램프 구동기(43)는 저전압 축전지(42)의 전압을 자외선램프(10)의 구동전압으로 승압하기 위하여 교류로 변환하고 내장 트랜스에서 램프에 적용된 해당전압으로 승압한다.
상기와 같이 이 고안은 자외선램프의 불빛을 이용하여 해충을 유인하고, 자외선램프의 밑에 자외선 불빛을 위로 반사하기 위한 자외선 불빛 반사수를 설치하여 자외선램프로 유인한 해충을 물그릇에 2차 유인하여 포충하고, 파장이 다른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를 함께 구동하므로 해충을 유인하고 유인된 해충을 불안정하게 하여 포충 효율을 높이고, 일몰 후 자정 부근까지 자외선램프를 구동하여 해충을 포충하고, 자정 이후에 구동을 중지시켜 익충을 보호하고,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구동하므로 상용전원이 설치되지 않은 산간 오지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해충 제거기를 제공한다.

Claims (4)

  1. 일몰 후 자정 부근까지가 활동 시간대인 해충을 유인하기 위하여 둘레와 밑으로 불빛이 비취도록 설치한 자외선램프(10)과; 주변에 유인된 해충을 반사 자외선 불빛으로 물속에 유인하기 위하여 자외선램프의 밑에 설치한 불빛 반사수(20)와; 불빛 반사수를 담아놓고 제거된 해충을 모으기위한 위한 물그릇(21)과; 해충 활동시간대에 자외선램프을 점등하기 위한 전류개폐기(30)와; 전류개폐기를 통하여 자외선램프을 점등하기 위한 전원장치(40)로; 구성한 해충제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자외선램프(10)은 자외선 파장 350nm 내지 파장 550nm 자외선 방전관을 등을 하나 이상을 모아 설치한 해충제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전류개폐기(30)는 일광이 검출되지 않는 밤이되면 자외선을 구동하고 구동시점으로부터 자정쯤이되는 시간을 산출하여 자외선램프을 소등하도록 프로그램된 마이콤(31)과; 프로그램된 마이콤이 자외선램프 구동시점을 정하기 위하여 마이콤에 접속한 일광센서(32)와; 마이컴(31)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어 전원장치(40)에서 자외선램프(10)에 공급하는 구동전류를 개폐하는 스위치(33)와; 자외선램프 구동을 위한 수동 스위치(34)로 구성한 해충제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전원장치는 태양광으로부터 발전하는 태양전지(41)와; 태양전지가 발전하는 전류를 저장하는 축전지(42)와; 스위치(33)를 통해 축전지로부터 직류 전기를 공급받고,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승압하고, 승압된 전류를 자외선램프(10)에 제공하는 자외선램프 구동기(43)로 구성된 해충 제거기.
KR2020060015613U 2006-06-10 2006-06-10 해충 제거기 KR200425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613U KR200425824Y1 (ko) 2006-06-10 2006-06-10 해충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613U KR200425824Y1 (ko) 2006-06-10 2006-06-10 해충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824Y1 true KR200425824Y1 (ko) 2006-09-12

Family

ID=4177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613U KR200425824Y1 (ko) 2006-06-10 2006-06-10 해충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8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411B1 (ko) * 2018-03-28 2018-11-28 한국에너지 주식회사 태양광 포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411B1 (ko) * 2018-03-28 2018-11-28 한국에너지 주식회사 태양광 포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7022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for a plurality of luminaires
KR101346053B1 (ko) 해충 유인 조명 방법 및 해충 유인 조명 시스템
US20070175085A1 (en) Combination lamp and insect eliminator
US10701923B2 (en) Portable light and insect extermination device
US20080013306A1 (en) Solar rechargeable flag illuminator
US8525420B2 (en) Luminaire having a HID light source and a LED light source
CN105475253B (zh) 太阳能灭虫灯
KR20100043369A (ko) 친환경 야외조명 및 해충유인 포획 기구
US6421952B1 (en) Insect attracting and exterminating apparatus
JP4592722B2 (ja) 電撃殺虫器
WO2007079619A1 (fr) Tue-insectes solaire
KR200425824Y1 (ko) 해충 제거기
US7766504B1 (en) Solar power illuminator
KR102316596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보행등이 구비된 가로등 장치
KR20100033336A (ko) 해충 포집기
CN104329626B (zh) 一种太阳能诱虫捕虫led路灯
CN203985706U (zh) 一种太阳能光诱灭虫器
KR100895486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자동전원제어 비래해충 포충장치
KR200242831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다목적 가로등 장치
KR100970704B1 (ko) 초음파를 이용한 해충 퇴치 조명기구
CN213089582U (zh) 一种高效安全型诱虫杀虫led照明路灯
JPH10241424A (ja) ソーラ式非常用屋外灯
RU191371U1 (ru) Ультрафиолетовый дезинсектор-ловушка для уничтожения насекомых
CN211657228U (zh) 一种太阳能充电光源诱虫黏捕装置
JP5460512B2 (ja) 害虫誘引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1210

Effective date: 20080718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80812

Effective date: 2009060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