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721Y1 - 어버트먼트파지기 - Google Patents

어버트먼트파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721Y1
KR200425721Y1 KR2020060017034U KR20060017034U KR200425721Y1 KR 200425721 Y1 KR200425721 Y1 KR 200425721Y1 KR 2020060017034 U KR2020060017034 U KR 2020060017034U KR 20060017034 U KR20060017034 U KR 20060017034U KR 200425721 Y1 KR200425721 Y1 KR 200425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llet
abutment
truncated cone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훈
강정림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7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7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7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버트먼트 파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연삭기로 어버트먼트의 절삭가공하기 위하여 상기 어버트먼트를 지지하도록 하여 어버트먼트의 절삭이 용이하며, 나아가 캡과 콜렛이 함께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랩아날로그의 탈부착이 용이한 어버트먼트 파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어버트먼트 파지기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할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에는 바디결합공을 가지는 바디와, 일단은 상기 바디의 바디결합공에 그리고 타단은 하기 캡의 경사면과 접촉되어 삽입된 랩아날로그를 가압고정하는 콜렛과, 상기 콜렛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캡관통공과 상기 캡관통공을 통해 삽입된 콜렛의 타단과 접하여 가압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랩아날로그, 그라인딩, 절삭, 비대칭, 캡

Description

어버트먼트파지기{Device for gripping an Abutment}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파지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버트먼트 파지기의 선단부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어버트먼트 파지기의 캡을 분리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파지기의 선단부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어버트먼트 파지기의 캡의 측단면도와 정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어버트먼트 파지기의 캡을 분리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어버트먼트 파지기의 선단에 어버트먼트를 고정하고 연삭가공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은 어버트먼트 파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연삭기로 어버트먼트의 절삭가공하기 위하여 상기 어버트먼트를 지지하도록 하여 어버트먼트의 절삭이 용이하며, 나아가 캡과 콜렛이 함께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랩아날로그의 탈부착이 용이한 어버트먼트 파지기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구강구조는 각기 상이하므로 임플란트를 시술할 때, 환자의 구강구조에 적합하도록 어버트먼트의 패스를 수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어버트먼트의 일부를 연삭기로 연삭가공을 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어버트먼트의 연삭작업시 어버트먼트를 랩아날로그(lab analog)에 장착하고, 랩아날로그를 장갑을 낀 손으로 파지한 채 연삭기로 연삭작업을 하기 때문에, 연삭가공시 발생하는 열이 랩아날로그를 거처 손이나 장비에 직접 전달되어 사용자가 연삭가공을 중단하고 어버트먼트, 랩아날로그 등이 냉각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다시 연삭가공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다보니, 어버트먼트의 패스(path) 수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랩아날로그의 파지가 어렵고 연속적인 작업이 불가능하다보니 패스 수정의 정확성이 떨어지며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랩아날로그를 콜렛에 삽입한 뒤 캡으로 체결하고 별도의 파지부를 포함하는 바디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랩아날로그를 직접 파지 하지 아니하고 바디만을 파지하고 연삭가공을 수행할 수 있어서 어버트먼트의 패스수정이 용이한 어버트먼트 파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캡의 내부에 편축가공을 통해 비대칭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콜렛과 캡간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캡과 콜렛이 함께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랩아날로그의 탈장착이 용이한 어버트먼트 파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어버트먼트 파지기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할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에는 바디결합공을 가지는 바디와, 일단은 상기 바디의 바디결합공에 그리고 타단은 하기 캡의 경사면과 접촉되어 삽입된 랩아날로그를 가압고정하는 콜렛과, 상기 콜렛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캡관통공과 상기 캡관통공을 통해 삽입된 콜렛의 타단과 접하여 가압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어버트먼트 파지기는, 상기 콜렛은, 그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확경되는 제1절두원추와, 상기 제1절두원추에서 축경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서 다시 확경되어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축경되는 제2절두원추와, 상기 제2절두원추에서 제1절두원추까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절개됨으로써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편을 포함하며, 상기 콜렛의 제2절두원추는 그 외주면이 상기 캡의 경사면에 접하여 가압되고 상기 제1절두원추는 상기 바디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랩아날로그를 견고하게 고정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어버트먼트 파지기는, 상기 캡은 내주면상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가지며, 상기 돌기는 상기 콜렛의 결합홈에 끼움되어 상기 콜렛이 캡 분리시 캡과 함께 동시에 분리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어버트먼트 파지기는, 상기 캡의 돌기가 상기 캡관통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어버트먼트 파지기는, 상기 캡의 돌기가 상기 캡관통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앞서 본 본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파지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버트먼트 파지기의 선단부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어버트먼트 파지기의 캡을 분리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어버트먼트 파지기(1)는 작업자가 손에 쥘 수 있는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20)와, 상기 바디(20)에 고정되어 하기의 랩아날로그(40)가 삽입되는 콜렛(30)과, 상기 콜렛(30)을 고정시키는 캡(10)과, 어버트먼트가 고정되는 랩아날로그(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20)는 사용자가 파지가능할 정도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한쪽 끝단 또는 양측 끝단에서 상기 캡(10)과 콜렛(30)이 체결될 수 있도록 내측에 바디결합공(21)이 형성되며, 그 외면에서 상기 캡(10)과 체결되는 바디나사산(22)등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결합공(21)은 입구에서 부터 내측으로 진행될수록 축경되는 절두원 추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콜렛(30)이 내측으로 깊이 삽입될수록 쐐기효과로 인해 상기 콜렛(30)을 압착고정시킨다.
상기 콜렛(30)은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확경되는 제1절두원추(33)와 상기 제1절두원추(33)의 단부에서 축경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결합홈(31)과 상기 결합홈의 일측에서 다시 확경되어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축경되는 제2절두원추(35)와 상기 제2절두원추(35)에서 제1절두원추(33)까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절개됨으로써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편(32)과 상기 절개편(32)에 의해 둘러싸여 규정되는 삽입공(3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절두원추(33)는 길이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확경되어 절두 원추형상을 가짐으로서 외면이 전체적으로 양의 경사각을 가지고 경사져 있으며 그 일단은 상기 바디결합공(21)에 압입된다.
상기 결합홈(31)은 상기 제1절두원추(33)의 타단에서 반경방향으로 함몰된 홈으로서 상기 캡(10)의 내측에 삽입될 때 캡의 돌기(11,14)가 체결되므로 콜렛(30)을 캡(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제2절두원추(35)는 상기 제1절두원추에 대칭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결합홈(31)의 타단에서 확경되어 직경이 다시 축경되는 절두 원추형상을 가지며, 외면이 전체적으로 음의 경사각을 가지고 경사져 있으며 그 외면은 후술하는 캡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가압된다.
상기 절개편(32)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2절두원추(34)에서 제1절두원추(33)까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절개편 사이는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절개편(32)은 상기 랩아날로그(40)의 끝단이 상기 삽입공(34)에 삽입될 시에 인접된 절개편(32)간의 간격이 다시 넓어져 랩아날로그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이어서 상기 캡을 체결하게 되면 제1절두원추가 바디결합공에 그리고 제2절두원추가 캡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어 절개편이 다시 수축되어 랩아날로그를 압착하기 때문에 랩아날로그가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 삽입공(34)은 상기 다수의 절개편(32)에 의해 둘러싸여 규정되는 내부 공간으로서 그 일측은 개방되어 있는 반면 타측은 제1절두원추의 일단에서 폐쇄되어 있으며, 여기로 상기 랩아날로그(40)의 끝단이 삽입된다.
상기 캡(10)은 양단부가 개방된 두껑형태를 가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로는 콜렛(30)이 삽입되고 바디(20)의 일단과 체결되며 타단부로는 랩아날로그(40)가 삽입되는 통형태의 부재이며, 축선A-A를 따라 관통된 캡관통공(13)과, 상기 캡의 내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11)와, 상기 랩아날로그(40)가 삽입되는 입구의 내면에서 음의 경사각을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2)과, 상기 바디(20)의 나사산(22)에 체결되는 캡나사산(15)을 포함한다.
상기 캡관통공(13)은 상기 캡(10)의 중심선 A-A를 따라 관통형성되어 여기에 상기 콜렛이 삽입되게 된다.
상기 돌기(11)는 상기 캡의 내면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중심선 A-A를 따라 대칭적인 형태를 가지며 상기 콜렛의 결합홈(31)에 삽입되어 콜렛을 캡에 고정시키게 된다. 랩아날로그를 교체하거나 분리하기 위하여 캡을 바 디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캡의 돌기(11)가 콜렛의 결합홈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콜렛은 캡과 함께 분리된다. 하지만, 위 돌기(11)는 대칭적인 형태를 하게 되면, 콜렛을 캡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서는 위 돌기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직경이 콜렛이 삽입가능할 정도로 제한되므로 어느 정도 이상으로는 작아질 수 없다(즉 돌기의 돌출 정도가 제한되는 것을 의미함). 따라서, 캡의 돌기가 콜렛의 결합홈에 걸리는 결합력이 약하지게 되는 반면 콜렛의 제1절두원추(33)는 바디의 바디결합공(21)에 쐐기효과에 의해 강하게 압입되어 있으므로, 캡과 콜렛간의 결합력이 콜렛과 바디와의 결합력에 비해 작아서, 캡을 분리시키게 되면 콜렛이 캡과 함께 분리되지 못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의 바디결합공에 여전히 압입되어 있게 된다. 그래서, 작업자는 다시 콜렛을 바디로부터 분리시키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14)는 앞서 본 도 2의 돌기(11)과 같이 캡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점에 있어서는 동일하지만 대칭형인 도 2의 돌기(11)와 달리 비대칭형이라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돌기(1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중심선 B-B와 캡관통공의 중심선 A-A 간에는 소정의 거리 C만큼 편심량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14)는 캡관통공의 중심선 A-A를 기준으로 비대칭형상을 취하게 되어 캡의 원주둘레를 따라 그 돌출정도가 모두 상이하게 되고 어떤 부위(14a)에는 가장 적고 어떤 부위(14b)에서는 가장 크게 된다. 이 처럼, 돌기가 비대칭 구조를 가지게 되 면, 콜렛을 캡에 용이하게 삽입결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결합후 캡과 콜렛의 견고한 결합력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콜렛을 캡에 삽입할 때는 살펴보면, 돌기(1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직경은 앞서 본 돌기(11)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콜렛의 제2절두원추(35)는 다소 편심된 체 상기 돌기(14)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을 용이하게 통과하게 되고 통과한 뒤에는 가장 크게 돌출된 돌기(14b)가 상기 콜렛의 결합홈(31)으로 돌출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캡을 분리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돌출된 돌기(14b)가 상기 결합홈(31)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캡을 분리하게 되면 콜렛(30)도 캡과 함께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콜렛의 분리가 용이해서 작업이 간편하며 작업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경사면(12)은 상기 캡관통공(13)에서 상기 랩아날로그(40)가 삽입되는 입구쪽의 내면에서 형성되며, 상기 입구쪽에서 내측으로 음의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며, 상기 음의 경사각은 상기 콜렛의 제2절두원추(35)의 외면의 음의 경사각에 대응된다. 위 경사면(12)은 캡을 바디에 체결할 때 콜렛의 제2절두원추의 외면과 접촉된 체 가압하므로 절개편의 직경이 축경되어 절개편(32)의 삽입공(34)에 삽입된 랩아날로그를 압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랩아날로그(40)는 어버트먼트(60, 도 7참조)가 끼움고정되는 부재로서, 그 일단이 앞서 본 콜렛에 삽입되어 캡에 의해 가압고정되게 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결합관계와 사용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대칭형 돌기를 가진 도 2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먼저 바디의 바디결합 공(21)에 콜렛(30)의 제1절두원추(33)의 일단을 삽입하고, 캡(10)을 콜렛의 제2절두원추(35)에 위치시키고 바디방향으로 가압하며 랩아날로그(40)를 캡의 입구로 삽입하여 랩아날로그의 일단이 상기 콜렛(30)의 삽입공(34)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 때, 콜렛(30)은 캡의 캡관통공(13)의 중심선 A-A를 따라 진입하면서 제2절두원추(35)가 돌기(11)를 만나게 되고 제2절두원추의 경사진 외면은 돌기(11)에 의해 가압되고 다수의 절개편이 오므라들면서 절개편간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면서 제2절두원추가 상기 돌기(11)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통과한 뒤에는 다시 절개편이 확장되면서 절개편간의 간격이 원상복귀되게 되고, 랩아날로그의 일단이 상기 콜렛의 삽입공으로 용이하게 삽입되게 된다.
이어서, 캡을 회전시키게 되면 캡의 나사산(15)이 바디의 나사산(22)에 나사체결되면서 캡이 바디에 점점 깊이 체결되기 시작하고, 상기 캡의 경사면(12)는 점점 콜렛의 제2절두원추의 외면을 가압하여 절개편(32)이 수축되면서 절개편간의 간격이 줄어들고 결국 다수의 절개편(32)이 삽입된 랩아날로그(40)의 일단을 강하게 압착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쳐 랩아날로그(40)가 어버트먼트 파지기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본 고안의 파지기의 랩아날로그에 어버트먼트(60)를 고정하고 한 손으로는 바디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연삭기(70)를 잡고 어버트먼트의 패스를 수정하게 된다.
이어서, 패스수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랩아날로그(40)를 분리하기 위하여 캡(10)을 회전시키게 되면 캡의 경사면(12)과 제2절두원추(35)의 접촉상태가 해제 되어 절개편(32)이 다시 확장하므로 랩아날로그(40)가 절개편(32)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되며 이어서 캡을 바디(20)로부터 분리해내면 랩아날로그도 캡과 함께 빠져나오게 된다. 하지만,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돌기(11)가 대칭형인 경우에는 도 3과 같이 콜렛(30)의 제1절두원추(33)가 바디의 바디결합공(21)에 강하게 압입된 체 남아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재차 콜렛(30)을 잡고 바디(20)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을 해야 한다.
한편, 비대칭형 돌기를 가진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먼저 바디의 바디결합공(21)에 콜렛(30)의 제1절두원추(33)의 일단을 삽입하고, 캡(10)을 콜렛의 제2절두원추(35)에 위치시키고 바디방향으로 가압하며 랩아날로그(40)를 캡의 입구로 삽입하여 랩아날로그의 일단이 상기 콜렛(30)의 삽입공(34)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 때, 콜렛(30)은 캡의 돌기(1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중심선 B-B를 따라 진입하면서 제2절두원추(35)가 돌기(14)를 만나게 되고 제2절두원추의 경사진 외면은 돌기(14)에 의해 가압되고 다수의 절개편이 오므라들면서 절개편간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면서 제2절두원추가 상기 돌기(14)를 통과하게 되고 캡관통공(13)의 중심선 A-A를 따라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통과한 뒤에는 다시 절개편이 확장되면서 절개편간의 간격이 원상복귀되게 되고, 랩아날로그의 일단이 상기 콜렛의 삽입공으로 용이하게 삽입되게 된다.
이어서, 캡을 회전시키게 되면 캡의 나사산(15)이 바디의 나사산(22)에 나사체결되면서 캡이 바디에 점점 깊이 체결되기 시작하고, 상기 캡의 경사면(12)는 점점 콜렛의 제2절두원추의 외면을 가압하여 절개편(32)이 수축되면서 절개편간의 간 격이 줄어들고 결국 다수의 절개편(32)이 삽입된 랩아날로그(40)의 일단을 강하게 압착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쳐 랩아날로그(40)가 어버트먼트 파지기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본 고안의 파지기의 랩아날로그에 어버트먼트(60)를 고정하고 한 손으로는 바디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연삭기(70)를 잡고 어버트먼트의 패스를 수정하게 된다.
이어서, 패스수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랩아날로그를 분리하기 위하여 캡(10)을 회전시키게 되면 캡의 경사면(12)과 제2절두원추(35)의 접촉상태가 해제되어 절개편(32)이 다시 확장하므로 랩아날로그(40)가 절개편(32)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되며 이어서 캡을 바디(20)로부터 분리해내면 랩아날로그도 캡과 함께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돌기(11)가 비대칭형인 경우에는, 콜렛(30)의 제1절두원추(33)가 바디의 바디결합공(21)에 강하게 압입되어 있다하더라도,가장 많이 돌출된 돌기(14b)가 콜렛의 결합홈(31)에 깊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캡을 잡고 바디로부터 제거하게 되면 캡의 돌기(14b)에 체결된 콜렛도 캡과 함께 빠져나오게 되어, 재차 콜렛(30)을 잡고 바디(20)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을 추가로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랩아날로그를 콜렛에 삽입한 뒤 캡으로 체결하고 별도의 파지부를 포함하는 바디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랩아날로그를 직접 파지 하지 아니하고 바 디만을 파지하고 연삭가공을 수행할 수 있어서 어버트먼트의 패스수정이 정확하고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캡의 내부에 편축가공을 통해 비대칭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콜렛과 캡간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캡과 콜렛이 함께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랩아날로그의 탈장착이 용이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사용자가 파지가능할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그 일단에는 바디결합공을 가지는 바디와, 일단은 상기 바디의 바디결합공에 그리고 타단은 하기 캡의 경사면과 접촉되어 삽입된 랩아날로그를 가압고정하는 콜렛과, 상기 콜렛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캡관통공과 상기 캡관통공을 통해 삽입된 콜렛의 타단과 접하여 가압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캡을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파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렛은, 그 일단에서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확경되는 제1절두원추와, 상기 제1절두원추에서 축경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서 다시 확경되어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축경되는 제2절두원추와, 상기 제2절두원추에서 제1절두원추까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절개됨으로써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편을 포함하며, 상기 콜렛의 제2절두원추는 그 외주면이 상기 캡의 경사면에 접하여 가압되고 상기 제1절두원추는 상기 바디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랩아날로그를 견고하게 고정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파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내주면상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를 가지며, 상기 돌기는 상기 콜렛의 결합홈에 끼움되어 상기 콜렛이 캡 분리시 캡과 함께 동시에 분리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파지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돌기는 상기 캡관통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파지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돌기는 상기 캡관통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파지기.
KR2020060017034U 2006-06-23 2006-06-23 어버트먼트파지기 KR200425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34U KR200425721Y1 (ko) 2006-06-23 2006-06-23 어버트먼트파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34U KR200425721Y1 (ko) 2006-06-23 2006-06-23 어버트먼트파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721Y1 true KR200425721Y1 (ko) 2006-09-06

Family

ID=4177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034U KR200425721Y1 (ko) 2006-06-23 2006-06-23 어버트먼트파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72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603B1 (ko) 2007-01-03 2007-05-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분리장치
KR101525397B1 (ko) * 2014-03-10 2015-06-03 오스템임플란트(주)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KR102498757B1 (ko) 2022-04-06 2023-02-09 김용철 랩 아날로그 파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603B1 (ko) 2007-01-03 2007-05-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용 분리장치
KR101525397B1 (ko) * 2014-03-10 2015-06-03 오스템임플란트(주) 치과용 임플란트의 각도 조절도구
KR102498757B1 (ko) 2022-04-06 2023-02-09 김용철 랩 아날로그 파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2254B2 (ja) コレット及びロックナットアセンブリ
JP6211769B2 (ja) 回転工具およびこのような回転工具用の切削ヘッド
US9162295B2 (en) Rotatable tool for chip removing machining as well as a loose top and a basic body therefor
JP2003291044A (ja) 回転工具及びその刃部品
KR20100138802A (ko) 칩 제거 가공을 위한 드릴 공구 및 루즈 탑과 이를 위한 기본체
KR20140136887A (ko) 결합 부품, 특히 회전 공구용 절삭 헤드, 및 이것의 상보적 결합 부품, 및 회전 공구
JP2011101945A (ja) 切り屑除去機械加工用回転工具及びそのためのルーズトップと基体
RU2697677C1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KR200425721Y1 (ko) 어버트먼트파지기
US8727674B2 (en) Tool holder with nubs for clamping a cutting insert with notches
KR101107444B1 (ko) 절삭 공구 및 절삭 공구용 인서트
JP4129192B2 (ja) スローアウェイドリル
KR102025532B1 (ko)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TW202035038A (zh) 具有含橫向定位嵌件接納凹穴而含具有外彈性槽的彈性上顎的嵌件座及切削刀具
JP2002508260A (ja) セラミック製切断用インサート
JP2004306170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及びこれに装着される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2006247790A (ja)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RU2618973C2 (ru) Сборный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о съемной инструментальной головкой
KR101535565B1 (ko) 절삭공구 체결용 홀더
KR102374641B1 (ko) 어버트먼트용 환봉 고정을 위한 체결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환봉 가공장치
JP2010220635A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のチャック装置
US20050282109A1 (en) Root canal instrument set
KR100749529B1 (ko) 콜릿척
RU2302941C2 (ru) Ручка для инструмента
JP5045957B2 (ja) ゴルフクラブのシャフト及びグ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