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969Y1 -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969Y1
KR200424969Y1 KR2020060014918U KR20060014918U KR200424969Y1 KR 200424969 Y1 KR200424969 Y1 KR 200424969Y1 KR 2020060014918 U KR2020060014918 U KR 2020060014918U KR 20060014918 U KR20060014918 U KR 20060014918U KR 200424969 Y1 KR200424969 Y1 KR 200424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drinking water
drain
nippl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태
Original Assignee
김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태 filed Critical 김규태
Priority to KR2020060014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9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9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2Pumps actuated by the drinking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6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the animal

Abstract

본 고안은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수 공급원에서 배관을 통하여 연결된 배수니플(nipple)이 가축의 구강에 의하여 가압될 경우 배수구가 개방되어 음용수를 식음할 수 있게 함에 있어 특히 배수니플의 전면을 통해서만 가축이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광후협(前廣後狹) 형상 등의 접근방향제한부재를 도입하여 정상적인 사용 또는 장난에 의한 음용수 손실을 방지하고 아울러 니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는 음용수 공급원; 상기 음용수 공급원과 배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가축의 입이 다다를 수 있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으며, 가축의 구강에 의하여 가입될 경우 배수구를 개방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배수니플; 및 상기 배수니플의 전면을 통해서만 가축의 입이 상기 배수니플의 배수구 개폐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방향제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축사, 돼지, 음용수, 공급장치, 니플, 접근방향제한

Description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SUPPLY APPARATUS FOR LIVESTOCK DRINK}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를 갖는 음용수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형태를 갖는 음용수 공급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음용수 공급원 20 : 배관
30 : 배수니플(nipple) 32 : 배수구
34 : 개폐부재 G : 접근방향제한부재
S : 식음공간 P : 펌프
본 고안은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수 공급원에서 배관을 통하여 연결된 배수니플(nipple)이 가축의 구강에 의하여 가압될 경우 배수구가 개방되어 음용수를 식음할 수 있게 함에 있어 특히 배수니플의 전면을 통해서만 가축이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전광후협(前廣後狹) 형상 등의 접근방향제한부재를 도입하여 정상적인 사용 또는 장난에 의한 음용수 손실을 방지하고 아울러 니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음용수"라 함은 단순히 물 뿐만 아니라 각종 약품 혼합수나 우유, 기타 각종 가축 공급욕 액체를 통지하는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돼지, 소, 말과 같은 가축을 일반 농가나 대형 축사에서 기르게 될 때 사료 및 물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통의 외측으로 다수의 급수배관을 부착하고 여기에 물공급관을 연결하거나 단순히 식수통 내부에 물을 채워 두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특히 돼지와 같은 경우 생리적으로 사료섭취를 여러마리가 동시에 하려는 습성을 가지고 있어, 농가에서는 돼지가 충분하게 사료 및 물을 섭취하도록 여러 칸으로 구분된 사료통을 설치하고 돼지들에게 경쟁심을 유발시켜 식욕을 높여 단시간에 돼지의 중량을 늘리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종래 각종 가축이나 애완동물용 음용수 공급장치로는
실용신안공고 제1974-0000230호(1974.04.11) 『동물 사육용 급수변』,
실용신안공개 제1998-0006186호(1998.04.30) 『가축용 자동 급수기』,
실용신안공고 제2000-0174103호(2000.03.15) 『애완동물용 물먹이통의 패킹구조』,
실용신안등록 제0334720호(2003.11.19) 『애완 동물용 자동 급수기』,
실용신안등록 제0369246호(2004.11.23) 『약액 투입장치가 부설된 돼지 식수장치』, 그리고
실용신안등록 제0402983호(2005.12.01) 『돼지 식수 공급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대부분 가축이나 애완동물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음용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어서,
대단위 가축 사육시 정상적인 음용시 또는 거친 가축의 장난에 의하여 음용수가 누수 허비되고 음용수 공급장치, 특히 니플 부분이 고장나는 문제를 고려하고 있지 못하다.
종래 축산농가에서 사용되는 속칭 "워터컵"은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402983호에 개시된 것과 같거나 유사하게 변형된 것들로,
동시에 여러 마리의 가축이 모여들어 식음을 하게 되어 힘이 없는 가축은 물을 제때 먹지 못하게 되어 스트레스와 질병을 유발하게 되고,
어린가축과 같이 사료보다 물의 섭취가 더욱 중요한 시기에 충분히 물을 먹을 수 없게 되어 성장이 더뎌 지게 되고
또 일정량의 물이 워터컵에 항상 고이게 되어 있어 주변에서 발생한 먼지, 사료, 분료 등의 이물질에 의하여 신선한 물을 식음할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다.
나아가 가축들이 물을 식음하게 될 때 물을 공급해주는 물공급관에 충돌하게 되어 상처가 발생되거나 가축들이 측면에서 니플을 물어 음용수를 식음 할 때 니플 측면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하여 니플의 조임부가 점차 느슨해져 결국 풀려버리게 되어 음용수의 누수 및 니플의 수리에 비용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가축, 특히 돼지가 니플에 접근하는 방향을 제한하는 부재를 도입하여 음용수의 낭비나 니플의 고장을 방지하도록 한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항상 신선한 음용수를 가축에게 공급이 가능하며 물이 고이지 않게 하면서도 한번에 다수의 가축이 식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니플-접근방향제한장치 세트]가 니플 장착축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있는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용수 공급원; 상기 음용수 공급원과 배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가축의 입이 다다를 수 있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으며, 가축의 구강에 의하여 가압될 경우 배수구를 개방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배수니플; 및 상기 배수니플의 전면을 통해서만 가축의 입이 상기 배수니플의 배수구 개폐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방향제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방향기준을 도 1을 참조하여 특정하면,
상기 전광후협(前廣後狹) 형상을 갖는 접근방향제한부재(G)에 의하여 둘러싸인 배수니플(30)의 배수구(32) 쪽은 전면 또는 전방으로 정하고, 그 반대쪽을 후면 또는 후방으로 정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용수 공급장치는 음용수 공급원으로부터 배관(20)을 통하여 니플(30) 음용수가 전달되는데,
상기 음용수 공급원은 도면에서는 수조(10) 형태이지만, 지하수나 상수도 시 설로부터 일정 수압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물이 공급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음용수의 이송력은 수조 형태의 음용수 공급원(10)을 상기 배수니플(30) 보다 일정 높이 상부에 설치하여 위치에너지에 의하여 음용수가 흐르도록 하거나,
별도의 전동펌프를 이용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니플(30)은 가축의 종류와 개월수별 크기에 따라 입이 다다를 수 있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으며,
가축의 구강에 의하여 배수구(32)가 개방되는 형태인데,
상기에서"구강"에 의하여 배수구가 개방된다 함은 가축 혀의 가압력, 흡입 압력, 가축 입 천장에 의한 가압력, 가축 주둥이의 접근에 대한 센싱,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전자적 또는 기계적 다양한 방식의 개폐부재의 동작으로 배수구가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겠으나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배수니플(30)의 배수구(32)는 내구성과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공지된 기계적인 개폐부재(34)에 의하여 개방되고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재(34)는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수단과, 상기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어 상기 배수니플의 배수구를 폐쇄하는 개폐구(開閉具), 특히 볼 형태의 개폐구로 이루어진다.
즉, 이와 같이 배수니플(30)에 구비된 개폐부재(34)는 탄성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어 상기 배수니플(30)의 배수구(32)를 개폐하는 개폐구(開閉具)로 이루어져 가축의 입에 의하여 개폐구가 가압되어 음용수를 식음한 후 탄성수단에 의하여 복귀하여 음용수의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니플(30)의 전면을 통해서만 가축, 특히 돼지의 입이 상기 배수니플의 배수구 개폐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방향제한부재(G)는 가축의 주둥이에 알맞게 대략 전면이 넓고 후면이 협소한 형태인 전광후협(前廣後狹)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의 높이가 후면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돼지, 소, 말 등의 각기 다른 가축의 주둥이 형상에 알맞은 형상과 크기를 갖는 식음공간(S)을 제공하여
상기 배수니플(30)의 측면에서 가축이 주둥이로 상기 니플을 물 경우 배수구(32)가 주둥이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 음용수가 누수 허비되는 문제나,
상기 배수니플(30)과 상기 배관(20)의 연결부(나사 결합 형태 등)에 지속적인 진동과 충격이 가해져 연결부가 벌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만약 위치에너지를 이용할 경우에는 일정 높이에 설치된 수조형태의 음용수공급원(10) 또는 직접적으로 수도배관을 통하여 즉시 보충할 수 있는 음용수 공급원으로부터 저장된 음용수를 배관(20)을 통하여 일정 이송압력으로 음용수가 배수니플(30)쪽으로 상시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가축의 입이 배수니플(30)에 접근하여 식음하고자 할 때 상기 접근방향제한 부재(G)에 의하여 접근방향을 전면으로 제한하여 가축의 정상적인 사용이나 장난으로 인한 누수를 막음과 동시에 파손이나 기타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접근방향제한부재(G)는 가축의 입이 닿는 전면이 대응되는 배관(20)과 연결되는 후면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음용수가 고이지 않아 항상 신선한 음용수를 공급하며 나아가 가축의 입이 배수니플(30)에 의하여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용수 공급장치와 달리,
하나의 상기 배수니플(30)과 하나의 상기 접근방향제한부재(G)가 이루는 세트가 다양한 방향에서 동시에 복수의 가축이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니플(30)이 고정된 하나의 장착축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구비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농가에서 임의대로 수량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음용수 공급원(10)과 상기 배수니플(30) 사이에 펌프(P)가 구비되어 있어, 수조형태의 음용수 공급원이 상기 니플에 비하여 높지 않게 설치되어 있어도 음용수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니플-접근방향제한장치 세트]의 높이는 각각 다르게 시설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축사나 돈사의 벽체에 고정된 배관(20)에 접근방향제한부재(G)가 서로 대응되는 양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배관(20)을 감싸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것으로,
일방향에서 가축의 입이 배수니플(30)을 물었을때 흔들림을 줄여 대응되는 타방향에서 동시에 식음하고 있는 가축이 배수니플(30)을 놓치거나 접근방향제한부재(G)에 의해서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여 원활하게 식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음용수 공급장치는 먼저 음용수 공급원(10)에 음용수가 유입되고 상기 음용수 공급원(10)과 연결된 배관(20)을 통하여 음용수가 배수니플(30)로 유입되고 배수니플(30)을 중심으로 접근방향제한부재(G)가 구비되어 가축의 접근방향을 전면으로 제한하고 전면의 높이가 상기 배관(20)과 연결되는 후면의 높이보다 낮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가축이 구강으로 배수니플(30)에 구비된 개폐부재(34)를 가압하여 음용수의 배수를 유도하여 식음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복수의 가축이 식음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니플(30)과 상기 접근방향제한부재(G)가 하나의 세트로 상기 배수니플(30)이 고정된 하나의 장착축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식음하고 식음이 끝난 후 상기 개폐부재(34)에 구비된 개폐구가 탄성수단에 의하여 복귀함으로서 누수의 방지를 막아 물을 절약하며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여 항상 신선한 음용수를 제공하며 배수니플(30)의 흔들림을 최소화 하여 식음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태의 음용수 공급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것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로 가축의 입이 닿는 방향을 제한하고 물이 고이지 않아 항상 신선한 물을 가축에게 공급하게 되며 제한된 방향에서만 접근을 허용하게 되어 충격을 받는 부분이 일정하므로 유지 및 보수가 간단하며 물의 낭비가 없고 가축 및 축사의 청결 및 위생이 한결 좋아지게 되며 한번에 여러 마리의 가축에 물을 공급하여 가축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여 질병예방에 효과가 높으며 종래 음용수 공급장치에 의하여 생기는 상처를 미연에 방지하여 보다 질 좋은 육질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음용수 공급원;
    상기 음용수 공급원과 배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가축의 입이 다다를 수 있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으며, 가축의 구강에 의하여 가입될 경우 배수구를 개방하는 개폐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배수니플; 및
    상기 배수니플의 전면을 통해서만 가축의 입이 상기 배수니플의 배수구 개폐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방향제한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탄성수단과,
    상기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어 상기 배수니플의 배수구를 폐쇄하는 개폐구(開閉具)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배수니플과 하나의 상기 접근방향제한부재가 이루는 세트는
    다양한 방향에서 동시에 복수의 가축이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니플이 고정된 하나의 장착축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방향제한부재는 가축의 주둥이에 알맞게 전광후협(前廣後狹) 및 전면의 높이가 후면의 높이에 비해 낮게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수 공급원과 상기 배수니플 사이에는 펌프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
KR2020060014918U 2006-06-02 2006-06-02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 KR200424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918U KR200424969Y1 (ko) 2006-06-02 2006-06-02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918U KR200424969Y1 (ko) 2006-06-02 2006-06-02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969Y1 true KR200424969Y1 (ko) 2006-08-28

Family

ID=4177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918U KR200424969Y1 (ko) 2006-06-02 2006-06-02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96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3653A1 (en) * 2007-04-09 2008-10-16 Koca Co. Extracting part of humid-typed feeder for rearing pigs
KR101151948B1 (ko) 2010-08-16 2012-06-01 임진수 울타리 일체형 식수공급장치
KR20210007575A (ko) 2019-07-12 2021-01-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높이 조절 급수 시스템
KR20240011012A (ko) 2022-07-18 2024-01-25 (주)서일애니팜 축사용 음용수 공급장치
JP7442830B2 (ja) 2021-03-05 2024-03-05 ジェックス株式会社 ペット用給水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3653A1 (en) * 2007-04-09 2008-10-16 Koca Co. Extracting part of humid-typed feeder for rearing pigs
KR101151948B1 (ko) 2010-08-16 2012-06-01 임진수 울타리 일체형 식수공급장치
KR20210007575A (ko) 2019-07-12 2021-01-2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높이 조절 급수 시스템
JP7442830B2 (ja) 2021-03-05 2024-03-05 ジェックス株式会社 ペット用給水器
KR20240011012A (ko) 2022-07-18 2024-01-25 (주)서일애니팜 축사용 음용수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4969Y1 (ko) 가축용 음용수 공급장치
KR101567284B1 (ko) 중량센서를 이용하는 사료량 측정장치
US20060137617A1 (en) Regulating feeder for a horse
KR20060084427A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140136550A (ko) 습식 및 건식 겸용 사료급이기
KR101410088B1 (ko) 식수 및 사료 급이기의 위생 사료받침대
KR950009164Y1 (ko) 가축용 급이기
KR101066405B1 (ko) 송아지용 사료공급통
EP1272029B1 (en) Milk feeding of young animals
CN206603015U (zh) 一种仔猪养殖用饮水装置
KR20190002068A (ko) 아파트형 양계용 케이지의 사료공급 분배장치
US20030150392A1 (en) Milk feeding of young animals
KR102597873B1 (ko) 반려동물용 스마트 돌봄장치
US20100193066A1 (en) Livestock Water Bowl
CN212184651U (zh) 一种猪舍饲料及饮水自动供应系统
CN212753697U (zh) 一种带自动喂食装置的家畜养殖栏架
CN214508733U (zh) 一种兽用喂奶器
KR102462622B1 (ko) 애완동물 입마개 어셈블리
CN213784763U (zh) 一种宠物饮水器
EP3970481A1 (en) Environmental enrichment device for the prevention of tail-biting in pig farms
JP3026905U (ja) 豚の餌付け用サイホン給飼器
CN209882783U (zh) 一种自动化养殖设备
CN206674769U (zh) 畜牧饮水装置
KR200334720Y1 (ko) 애완 동물용 자동 급수기
KR20210001903U (ko) 카프스트롱 - 사료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