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756Y1 - Dust collector for tunnel - Google Patents

Dust collector for tun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756Y1
KR200424756Y1 KR2020060015721U KR20060015721U KR200424756Y1 KR 200424756 Y1 KR200424756 Y1 KR 200424756Y1 KR 2020060015721 U KR2020060015721 U KR 2020060015721U KR 20060015721 U KR20060015721 U KR 20060015721U KR 200424756 Y1 KR200424756 Y1 KR 200424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tunnel
lid
vertical plate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72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호도
Original Assignee
강호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도 filed Critical 강호도
Priority to KR2020060015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75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75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5/00Means or methods for preventing, binding, depositing, or removing dust; Preventing explosions or fires
    • E21F5/20Drawing-off or depositing dust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6/00Drainage
    • E21F16/02Drainage of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널에 있어서, U자형 배수로의 내부와 외부 간의 압력차에 의하여 공기(기류)와 함께 배수로의 내부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침강시킴으로써 포집, 쾌적한 터널 대기환경을 조성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collecting and creating a pleasant tunnel atmospheric environment by effectively settling fine dust flowing into the drainage passage with air (airflow)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U-shaped drainage passage. will be.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터널의 U자형 배수로에 덮여지고 미세먼지가 상기 배수로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망상의 유입구가 형성된 뚜껑, 상기 배수로의 내부가 상하로 구획되어 위쪽에 상부 침강실이 형성되고 아래쪽에 하부 침강실이 형성되도록 상기 배수로의 바닥과 뚜껑 사이에 위치되며 미세먼지가 상기 하부 침강실로 유입되도록 망상의 유입구가 형성된 칸막이, 상기 칸막이가 상기 배수로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거리 떨어져 있도록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vered with a U-shaped drainage channel of the tunnel and the cap is formed with a reticulated inlet so that fine dust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drainage, and the interior of the drainage is partitioned up and down to form an upper settling chamber at the top and a lower portion at the bottom. A partition formed between a bottom of the drainage channel and a lid to form a sinking chamber, and a partition having a reticulated inlet port so that fine dust flows into the lower settling chamber, and an interval for maintaining the gap so that the partition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drainag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ly.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member and the like.

대기환경, 뚜껑, 미세먼지, 자동차, 집진, 철도차량, 칸막이, 터널 Atmosphere, lid, fine dust, automobile, dust collection, rolling stock, partition, tunnel

Description

터널용 집진장치{Dust collector for tunnel}Dust collector for tunnels

도 1은 일반적인 터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tunnel.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터널의 집진과정을 나타내는 부분횡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artial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ust coll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or for the tun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종단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for the tun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5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dust collector for the tun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or for the tunn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종단면도이다.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for the tunn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or for the tunne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종단면이 나타나도록 절단한 상태의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ut state so that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dust collector for tunne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종단면도이다.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for the tunne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 배수로 55d : 하부 침강실50: drainage path 55d: lower settling chamber

55u : 상부 침강실 60 : 뚜껑55u: upper settling chamber 60: lid

65 : 유입구 70 : 칸막이65 inlet 70: partition

70L : 좌측 칸막이 70R : 우측 칸막이70L: left partition 70R: right partition

75 : 유입구 80a : 받침다리75: inlet 80a: support leg

80b : 후크로드 80c : 수직판80b: Hook Rod 80c: Vertical Plate

80L : 좌측 수직판 80R : 우측 수직판80L: Left Vertical Plate 80R: Right Vertical Plate

82 : 후크부 84 : 돌출부82: hook portion 84: protrusion

86 : 보강구멍86: reinforcing hole

1. 기술분야1. Technology Field

터널의 미세먼지(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먼지)를 자연적 방식으로 포집, 미세먼지가 확산되어 터널 대기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터널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nel dust collector which collects fine dust in a tunnel (small dust that is hard to see with the naked eye) in a natural manner and prevents fine dust from spreading and polluting the tunnel atmosphere.

2. 용어의 정의2. Definition of terms

터널이라 함은 강 또는 바다 밑ㆍ땅속ㆍ산 따위를 뚫어 만든, 거의 수평이면서 가는 모양의 긴 통로를 말하며, 용도에 따라 ㉠도로터널ㆍ철도터널 등의 교통터널 ㉡수력발전ㆍ관개 등을 위한 수로터널 ㉢상하수도ㆍ전선로 등 그 관로가 대형화 된 터널 등으로 구분되는 바, 여기에서는 차량이 주행하여 기류가 발생되는 교통터널을 말한다.A tunnel is a long, almost horizontal, thin passage made through a river or under the sea, in the ground, or in a mountain. It is a waterway for hydro power generation and irrigation, such as road tunnels and railway tunnels. Tunnels ㉢ Water and sewage and electric lines, such as pipelines are divided into large-size tunnels, etc. Here, it refers to a traffic tunnel where air flows when a vehicle runs.

3. 터널의 구조3. Structure of the tunne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반(10)을 천공하고 그 구멍을 화약을 충전, 발파시킴으로써 형성된 암반면(굴착면)에 숏크리트(shotcrete)공법으로 타설된 숏크리트층(22)과, 이 숏크리트층(22)에 거푸집에 의하여 타설되고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철근이 설계에 따라 배열된 라이닝 콘크리트(lining concrete)층(24)과, 이 라이닝 콘크리트층(24)과 숏크리트층(22) 사이에 개재되어 지하수가 라이닝 콘크리트층(24)을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시트(30)와, 이 방수시트(30)를 타고 아래쪽으로 흐르는 지하수를 받아 배수하도록 방수시트(30)의 양단과 각각 연결된 형태로 매설된 배수관(40)과, 라이닝 콘크리트층(24)의 내면을 타고 아래쪽으로 흐르는 오수 등 불필요한 물을 받아 배수하도록 바닥(도로터널의 경우에는 도로, 철도터널의 경우에는 선로)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개거 형태의 배수로(5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shotcrete layer 22 formed by the shotcrete method on the rock surface (excavation surface) formed by boring the rock 10 and filling and blasting the hole with the gunpowder, and the shotcrete layer ( 22) a lining concrete layer 24 in which reinforcing bars are laid and formed according to design so as to improve structural stability, interposed between the lining concrete layer 24 and the shotcrete layer 22, and the groundwater. Buried in the form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aterproof sheet 30 to prevent the permeation of the lining concrete layer 24 and the ground sheet flowing downward through the waterproof sheet 30 to be drained. Both sides of the floor (road in the case of road tunnels, tracks in the case of road tunnels) to receive and drain unnecessary water such as sewage flowing downward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drain pipe 40 and the lining concrete layer 24, respectively. It is composed of a conduit 50 in the form of open water.

여기서 배수로(50)는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U자형 관의 관로로 구성되고, 배수관(40)과 연결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바닥의 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drainage passage 50 is composed of a U-shaped pipe passag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drainage pipe 40 and the connection pipe, it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loor.

4. 터널의 대기환경4. Atmospheric environment of the tunnel

대부분이 차량(도로터널의 경우에는 자동차, 철도터널의 경우에는 철도차량) 의 주행에 의한 자연환기(피스톤효과 : 예를 들어 전동차가 도착할 무렵, 전동차에 의하여 터널로부터 승강장으로 바람이 먼저 휘몰아쳐 오는 현상)나 팬 등을 이용한 기계환기(강제환기), 또는 자연환기와 기계환기를 병용하여 환기시키고 있으나, 기본적으로 외부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밖에 없는 곳이기 때문에 환기량의 절대 부족으로 미세먼지의 집중포화 공간이다.Most of them are natural ventilation (piston effect: for example, when the train arrives, the wind blows from the tunnel to the platform by the train when the vehicle arrives). Mechanical ventilation (forced ventilation) or natural ventil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by using a fan or the like is ventilated at the same time, but it is basically a place where the external influence is less affected. Space.

5. 미세먼지의 유해성5. Harmfulness of fine dust

- 대기 중의 빛을 산란시켜 시계를 혼란시키고, 가시거리를 짧게 하는 등 대기를 오염시키는 주범이다.-It is the main cause of polluting the air by scattering the light in the air, disrupting the clock, and shortening the visibility.

- 사람의 폐에 깊숙하게 침투하여 각종 호흡기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며, 몸의 면역기능을 저하시킨다.-It penetrates deep into human lungs and is a direct cause of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and decreases the body's immune function.

6. 종래기술6. Prior art

이하 터널의 대기환경 오염방지(미세먼지 확산방지) 관련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prior art related to the air pollution prevention (fine dust diffusion prevention) of the tunnel as follows.

① 미세먼지의 자연적 포집① Natural collection of fine dust

터널은 주행하는 차량으로 인하여 고속기류가 수시로 발생된다. 이때 차량의 앞쪽은 차량이 공기를 몰아오는 것 때문에 양압(+)이 되고, 뒤쪽은 음압(-)이 되어 차량의 앞쪽이 뒤쪽보다 압력이 높게 된다.The tunnel generates high speed air from time to time due to the vehicle being driven. At this time, the front of the vehicle is positive pressure (+) because the vehicle is driving air, the rear is negative pressure (-), the front of the vehicle is higher than the rear pressure.

이 같은 작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로(50)(이하 도면부호 생략)에도 영향을 미쳐 차량이 주행할 때마다 배수로의 내부와 외부 간에 압력차가 발생되게 하는 바, 배수로에서 차량의 뒤쪽으로 위치되어 음압의 영향을 받는 구간(R)은 (공기의 경우 고압에서 저압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배수로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빨려나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배수로의 내부공기가 유출되었기 때문에)배수로의 외부공기가 배수로의 내부로 유입되기 쉬운 상태가 되어 배수로에서 차량의 앞쪽으로 위치되어 양압의 영향을 받는 구간(F)은 배수로의 외부공기가 배수로의 내부로 빨려 들어오게 된다. 이 과정에서 미세먼지는 공기와 함께 배수로의 내부로 유입, 포집된다.This effect also affects the drainage path 50 (hereinafter, omitted), as shown in FIG. 2, so that a pressure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rainage path each time the vehicle travels. The zone R, which is located and affected by the negative pressure, is sucked into the drainage air (because air has a tendency to move from high pressure to low pressure), and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drainage air flows out) The outside air of the drainage channel is easily inflowed to the inside of the drainage, and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in the drainage path (F) affected by the positive pressure, so that the external air of the drainage channel is sucked into the drainage. In this process, fine dust enters and is collected inside the drainage path with air.

그러나 이와 같은 미세먼지의 포집은 배수로의 경우 뚜껑을 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배수로의 외부공기가 배수로의 내부로 빨려 들어올 때 그 유속을 감속시킬만한 수단이 없어 거의 감속됨이 없이 그대로 유입되므로 이에 포집된 미세먼지가 비산되어 배수로의 외부로 다시 유출, 확산되어 포집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llection of fine dust is not covered in most of the drainage channels, when the external air of the drainage is sucked into the drainage channel, there is no means to slow down the flow rate, so the dust flows in almost without deceler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llected fine dust is scattered and spilled again and spread to the outside of the drainage path and the collection effect is minimal.

반면 뚜껑(그레이팅, grating)을 한 경우에는 이 뚜껑의 저항작용으로 배수로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속시킬 수가 있겠으나, 뚜껑의 단위구멍이 비교적 큰 편이기 때문에 감속효과가 미약하였다. 물론 단위구멍의 크기가 작도록 구성하면 감속량을 증대시킬 수 있겠다. 그러나 감속효과가 클수록 공기 유입량이 감소되어 미세먼지 유입량 또한 적어지게 되기 마련이므로 높은 포집효과를 거둘 수는 없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id (grating) is used, the resistance of the lid can reduce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drainage passage, but the deceleration effect is weak because the unit hole of the lid is relatively large. Of course, if the size of the unit hole is small, the deceleration amount can be increased. However, the greater the deceleration effect, the smaller the inflow of air and the smaller the inflow of fine dust.

한편 뚜껑의 경우, 설치된 때 대부분 그 단위구멍이 터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도로/선로의 횡단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기류방향에 대하여서도 수직이므로 공기유입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도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id, since most of the unit holes ar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road / track)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inefficient in terms of air inflow since it is also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direction. .

② 살수차량 또는 공기정화차량 운행② Watering vehicle or air purifying vehicle

최근 들어 터널 대기환경을 쾌적하도록 조성하기 위한 대책으로 살수차량 또는 공기정화차량(미세먼지 흡입차량)을 운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대대적인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고, 에너지 공급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차량의 소통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철도터널의 경우에는 철도차량 운행 시간대에 작업을 행할 수가 없어 철도차량이 운행하지 않은 때에 한하여 작업하여야 하는 시간적 제약을 감수하여야만 하였다.In recent years, as a countermeasure to create a comfortable atmosphere for tunnels, sprinkling vehicles or air purification vehicles (fine dust intake vehicles) have been in operation.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a large manpower is required and an energy supply is required.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s a huge disruption in the communication of the vehicl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ailway tunnels, it was not possible to work during the operating hours of railway vehicles, so it was necessary to take time constraints to work only when railway vehicles were not in operation.

③ 살수장치 가동③ Watering device operation

물탱크의 물을 워터펌프의 압력작용에 의하여 터널의 벽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급수관으로 공급, 급수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노즐에서 분출되게 함으로써 물을 뿌리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An apparatus for spraying water by supplying water from a water tank to a water supply pip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wall by a pressure action of the water pump and ejecting the water from a nozzle installed at an interval to the water supply pipe has been proposed.

이 장치는 종래기술②(살수차량 또는 공기정화차량 운행)와는 달리 미세먼지를 실시간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렇지만 이 또한 에너지 공급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기계적인 장치이므로 그 구조가 복잡한 편이라는 문제점이 있다.This device has the advantage of removing fine dust in real time, unlike the prior art ② (sprinkling vehicle or air purifying vehicle operation). However, this also has a problem that the energy supply is required, and because the mechanical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하 2중구조의 망을 터널의 배수로에 설치한 것과 같도록 배수로의 입구에는 망상의 뚜껑을 설치하고, 배수로의 내부에는 망상의 칸막이를 설치하여 이 뚜껑과 칸막이의 저항으로 배수로로 유입되는 공기(기류)속도가 급격히 저하되도록 함으로써 배수로에 포집되는 미세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적극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터널용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mesh cap is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drainage so that the upper and lower double meshes are installed in the drainage of the tunnel. By lowering the air (airflow) velocity flowing into the drainage channel by the resistance of the lid and the part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ne dust trapped in the drainage to be scattered, thereby effectively collecting dust for tunnel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터널의 U자형 배수로에 덮여지고 미세먼지가 상기 배수로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망상의 유입구가 형성된 뚜껑, 상기 배수로의 내부가 상하로 구획되어 위쪽에 상부 침강실이 형성되고 아래쪽에 하부 침강실이 형성되도록 상기 배수로의 바닥과 뚜껑 사이에 위치되며 미세먼지가 상기 하부 침강실로 유입되도록 망상의 유입구가 형성된 칸막이, 상기 칸막이가 상기 배수로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거리 떨어져 있도록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is covered with a U-shaped drainage channel of the tunnel and the cap is formed with a reticulated inlet so that fine dust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drainage, the interior of the drainage is partitioned up and down the top A partition formed between the bottom and the lid of the drainage passage so that a sinking chamber is formed and a lower sinking chamber at the bottom thereof, and a partition formed with a reticulated inlet so that fine dust flows into the lower sinking chamber, and the partition is fix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gap holding member for maintaining the gap so that the dist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tunnel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tunnel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U자형 배수로(50)에 한 줄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뚜껑(60)ㆍ칸막이(70) 및 간격유지부재로 구성된다.The tunnel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one line in the U-shaped drainage passage 50 of the tunnel,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the lid 60, the partition 70, and the spacing. It is composed of a holding member.

뚜껑(60)은 배수로(50)의 개구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터널의 미세먼지가 공기(기류)와 함께 배수로(5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에는 그 전체에 걸쳐 유입구(65)가 형성되고, 이 유입구(65)는 쓰레기 등 이물이 배수로(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망 형태로 형성된다.The lid 60 is installed in such a way as to cover the opening of the drainage passage 50, and the inlet port (over the entire edge thereof) is disposed so that the fine dust of the tunnel is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passage 50 together with air (airflow). 65 is formed, the inlet 65 is formed in the form of a net so that foreign matter such as garbage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drainage path (50).

여기에서 뚜껑(60)의 유입구(65)를 구성하는 단위구멍은 공기가 배수로(50)의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입되도록 기류방향, 즉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다랗도록 형성된 슬롯(slot) 모양으로 형성된다.Here, the unit hole constituting the inlet 65 of the lid 60 is formed in a slot shape formed to be elongated along the air flow direction,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so that air is effectively introduced into the drain passage 50. do.

칸막이(70)는 이물이 배수로(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2차 방지하는 한편 배수로(5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뚜껑(60)에 의하여 1차 감속된 공기의 속도를 2차로 감속, 배수로(50)의 내부에 포집되는 미세먼지가 배수로(50)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partition 70 secondly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drainage passage 50, while decelerating the speed of the air first reduced by the lid 60 in the process of flowing into the drainage passage 50 in a second manner and draining the drainage passage. The fine dust collected inside the 50 is prevented from being scattered by the air flowing into the drain 50.

이 같은 칸막이(70)는 배수로(50)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여 위쪽에 상부 침강실(55u)이 형성되고 아래쪽에 하부 침강실(55d)이 형성되도록 배수로(50)의 바닥과 뚜껑(60) 사이에 위치된다. 또 공기와 함께 상부 침강실(55u)로 유입된 미세먼지가 하부 침강실(55d)로 유입되도록 전체에 걸쳐 망 형태의 유입구(75)가 형성된다.The partition 70 divides the inside of the drainage passage 50 vertically so that the upper settling chamber 55u is formed 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ettling chamber 55d is formed at the bottom, and the lid 60 is formed. Is located between). In addition, a net inlet 75 is formed throughout so that fine dust introduced into the upper settling chamber 55u together with air flows into the lower settling chamber 55d.

여기에서 칸막이(70)의 유입구(75)를 구성하는 단위구멍은 이물유입 2차 방지 및 유속 감속을 위하여 뚜껑(60)의 유입구를 구성하는 단위구멍에 비하여 그 크기가 더 작고, 아울러 더 촘촘하게 배열된다. 물론 칸막이(70)의 유입구(75)를 구성하는 단위구멍이 과도하게 작게 되면 오히려 미세먼지 또는 이물에 의하여 막히게 될 수도 있으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크기가 결정되어야 하겠다.Here, the unit hole constituting the inlet 75 of the partition 70 is smaller in size and arranged more closely than the unit hole constituting the inlet of the lid 60 to prevent foreign matter inflow and reduce the flow rate. do. Of course, if the unit hole constituting the inlet 75 of the partition 70 is too small may be blocked by fine dust or foreign matter, the size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또한 칸막이(70)의 유입구(75)를 구성하는 단위구멍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그 안쪽둘레가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미세먼지가 하부 침강실(55d)로 유입되는 것은 용이하나, 이처럼 일단 유입되면 반대로 하부 침강실(55d)로부터 유출되는 것은 어렵게 된다.In addition, the unit hole constituting the inlet 75 of the partition 70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ner circumference is formed in the form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lower side. Therefore, it is easy for fine dust to flow into the lower settling chamber 55d, but once it is introduced, it is difficult to flow out from the lower settling chamber 55d.

간격유지부재는 칸막이(70)가 배수로(50)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거리 떨어져 있도록 배수로(50)의 바닥과 칸막이(7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다수 개의 받침다리(80a)로 구성된다.The space maintaining member is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50 and the partition 70 so that the partition 70 is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50,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legs 80a. do.

여기에서 받침다리(80a)는 칸막이(70)의 아랫면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연결, 칸막이(70)를 떠받침으로써 칸막이(70)가 배수로(50)의 바닥과 뚜껑(6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가장자리의 양측(전후)에 각각 2개씩 배치될 수도 있고, 가장자리의 사방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받침다리(80a)의 배치구조는 칸막이(70)를 안정감 있게 떠받칠 수 있는 범위 이내에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Here, the support leg (80a) is connected in the form perpendicular to the bottom edge of the partition 70, the partition 70 by holding the partition 70 is located between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50 and the lid (60). As shown in the drawing, two pieces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front and rear) of the edges as shown in the drawings, or may be arranged on all sides of the edges. Of course,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upport leg (80a) can be changed as much as possible within the range that can hold the partition 70 stably.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사용상태, 즉 집진과정을 나타내는 부분횡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tunnel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dust collection process. Referring to this,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s as follows.

1. 미세먼지 포집1. Fine dust collection

앞서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이 터널을 주행하게 되면, 차량의 앞쪽은 양압(+)이 되고, 뒤쪽은 음압(-)이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travels through the tunnel, the front of the vehicle becomes positive pressure and the rear of the vehicle becomes negative pressure.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로(50)(이하 도면부호 생략)에서 차량의 뒤쪽으로 위치되어 음압의 영향을 받는 구간(R)은 배수로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빨려나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배수로의 외부공기가 배수로의 내부로 유입되기 쉬운 상태가 되므로 배수로에서 차량의 앞쪽으로 위치되어 양압의 영향을 받는 구간(F)은 배수로의 외부공기가 배수로의 내부로 빨려 들어오게 된다. 이때 터널의 미세먼지는 공기와 함께 배수로의 내부로 유입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section R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in the drainage path 50 (hereinafter, omitted) is affected by sound pressure, and the internal air of the drainage path is sucked to the outside. Since the outside air is likely to flow into the drain, the area (F) that is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in the drain and is affected by the positive pressure is sucked into the drain of the drain. At this time, the fine dust in the tunnel is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path together with the air.

다음 뚜껑(60)의 유입구(65)를 통하여 배수로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이 뚜껑(60)의 유입구(65)에 의한 저항으로 1차 감속되어 상부침강실(55u)에 도달하고, 이후 계속 하강함으로써 칸막이(70)의 유입구(75)를 통하여 하부침강실(55d)에 도달한다. 이때 하부침강실(55d)에 도달된 공기는 칸막이(70)의 유입구(75)에 의한 저항으로 2차 감속되어 속도가 급격하게 저하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drainage channel through the inlet 65 of the lid 60 is then first decelerated by the resistance by the inlet 65 of the lid 60 to reach the upper settling chamber 55u, and then continues. By lowering, the lower settling chamber 55d is reached through the inlet 75 of the partition 70. At this time, the air reaching the lower settling chamber (55d) is secondly decelerated by the resistance by the inlet (75) of the partition 70, the speed is sharply lowered.

이와 같은 과정에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는 중력의 영향을 받아 침강, 하부침강실(55d)에 포집되고, 공기의 속도가 감속된 까닭에 포집된 미세먼지는 비산되지 않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is collected in the sedimentation, lower settling chamber 55d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y, and the collected fine dust is not scattered because the speed of the air is reduced.

2. 포집된 미세먼지의 처리2. Treatment of collected fine dust

배수로(50)에 포집된 미세먼지는 평상시에 배수로(5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쓸려 배수관(도 1의 도면부호 40)으로 유입, 물과 함께 배출된다.The fine dust collected in the drainage passage 50 is normally swept by the water flowing into the drainage passage 50 and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pipe (40 in FIG. 1) and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water.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tunnel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tunnel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그 작용은 동일한 것에 대하여 간격유지부재만이 다소 상이하다. 즉 제2실시예의 간격유지부재는 칸막이(70)가 뚜껑(60)에 매달려 있도록 함으로써 칸막이(70)가 배수로(50)의 바닥과 뚜껑(60) 사 이에 위치되게 하는 것으로서, 다수 개의 후크로드(80b)로 구성된다.In the dust collector for the tunne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and FIG. 7, only the spacing member is slightly different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its operation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 That is, the space keeping memb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o allow the partition 70 to be suspended from the lid 60 so that the partition 70 is located between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50 and the lid 60, and a plurality of hook rods ( 80b).

여기에서 후크로드(80b)는 칸막이(70)의 윗면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로 연결되는 바, 상단에는 후크부(82)가 형성되어 뚜껑(60)의 유입구(65)를 구성하는 단위구멍에 각각 걸리며, 도면에서와 같이 가장자리의 양측(전후)에 각각 2개씩 배치될 수도 있고, 가장자리의 사방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후크로드(80b)의 배치구조는 칸막이(70)가 안정감 있게 매달려 있을 수만 있다면 그 범위 이내에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hook rod 80b is connected in a form perpendicular to the top edge of the partition 70, and a hook portion 82 i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to a unit hole constituting the inlet 65 of the lid 60. Each may be arranged,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wo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front and rear) of the edge, or may be arranged on each side of the edge. Of course, the arrangement of the hook rod (80b) can be changed any number within the range as long as the partition (70) can be securely suspended.

도 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종단면이 보이도록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unnel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a cut state so that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tunnel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state of a dust collector for a tunne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널용 집진장치는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그 작용은 동일한 것에 대하여 간격유지부재 및 칸막이(70)의 구성만이 다소 상이하다.As shown in FIGS. 8 to 10, the dust collecting device for the tunne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acing member and the other structure and its operation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partition 70 is somewhat different.

먼저 제3실시예의 간격유지부재에 관하여 살펴보면, 칸막이(70)가 뚜껑(60)에 매달려 있도록 뚜껑(60)과 칸막이(70)를 연결함으로써 칸막이(70)가 배수로(50)의 바닥과 뚜껑(6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수직판(80c)으로 구성되는 바, 칸막이(70)가 배수로(50)의 바닥과 뚜껑(60) 사이에 위치된 때 배수로(50)의 측벽에 각 각 맞닿게 되는 좌측 수직판(80L) 및 우측 수직판(80R)으로 구성된다.First, referring to the space keeping member of the third embodiment, by connecting the lid 60 and the partition 70 so that the partition 70 is suspended from the lid 60, the partition 70 is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50 and the lid ( Consisting of a vertical plate (80c)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60, the partition (70) abuts the side wall of the drainage passage 50, respectively, when located between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50 and the lid (60) It consists of a left vertical board 80L and a right vertical board 80R.

여기에서 좌측 수직판(80L) 및 우측 수직판(80R)은 칸막이(70)의 좌측 및 우측 끝 부분을 뚜껑(60)의 아랫면에 각각 연결시킨다. 또 좌측 수직판(80L) 및 우측 수직판(80R)은 배수로(50)의 측벽과 마주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부(84)가 각각 하나 이상씩 형성되고, 이 돌출부(84)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고 재료를 절감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보강구멍(86)이 각각 형성된다.Here, the left vertical plate 80L and the right vertical plate 80R connect left and right ends of the partition 7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id 6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left vertical plate 80L and the right vertical plate 80R are each formed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8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 surface facing the side wall of the drainage passage 50, and the protrusion 84 is not formed. A plurality of reinforcing holes 86 are formed respectively to reinforce structural strength and to save material in the unworked portion.

다음 제3실시예의 칸막이(70)에 관하여 살펴보면, 칸막이(70)가 배수로(50)의 바닥과 뚜껑(60) 사이에 위치된 때 좌측 수직판(80L) 및 우측 수직판(80R)이 돌출부(84)에 의하여 오므라드는 것이 가능하도록 좌측 끝이 좌측 수직판(80L)에 연결된 좌측 칸막이(70L)와 우측 끝이 우측 수직판(80R)에 연결된 우측 칸막이(70R)로 양분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partition 70 of the third embodiment, when the partition 70 is located between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50 and the lid 60, the left vertical plate 80L and the right vertical plate 80R are protrusions ( 84, the left end is divided into 70 L of left partitions connected to the left vertical plate 80L and the right partition 70R connected to the right vertical plate 80R so as to be able to be retracted.

따라서 제3실시예는 칸막이(70)를 배수로(50)의 바닥과 뚜껑(60) 사이에 위치시키면, 좌측 수직판(80L) 및 우측 수직판(80R)은 배수로(50)의 측벽과 각각 맞닿게 되고, 아울러 이 과정에서 돌출부(84)에 의하여 오므라들게 된다. 이는 설명한 바와 같이 칸막이(70)가 좌측 칸막이(70L)와 우측 칸막이(70R)로 나누어진 것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바, 이로써 좌측 수직판(80L) 및 우측 수직판(80R)은 배수로(50)의 측벽에 각각 밀착된다.Therefore, in the third embodiment, when the partition 70 is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50 and the lid 60, the left vertical plate 80L and the right vertical plate 80R fit with the side walls of the drainage passage 50, respectively. It also comes in contact with, and in this process is retracted by the protrusion (84).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partition 70 is divided into the left partition 70L and the right partition 70R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left vertical plate 80L and the right vertical plate 80R are separated from the drainage passage 50. It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side wall.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 명세서 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U자형 배수로의 내부와 외부 간의 압력차에 의하여 터널의 미세먼지가 공기와 함께 배수로의 내부로 유입될 때 뚜껑 및 칸막이의 저항으로 그 유속이 급격히 저하되어 비산됨이 없이 배수로의 내부에 포집되므로 미세먼지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터널 대기환경을 쾌적하도록 조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ne dust in the tunnel is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path with air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U-shaped drainage path, the flow rate is sharply lowered and scattered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lid and the partition. Without being trapped inside the drainage pat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ffusion of fine dust, and further, it is possible to create a comfortable tunnel atmosphere environment.

아울러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미세먼지를 자연적 방식으로 포집하는 것이므로 인력이 불필요하고, 에너지 소비가 전혀 없으며, 유지 및 관리 측면에서 매우 경제적인 장치라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the fine dust in a natural way,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power is unnecessary, there is no energy consumption, very economical in terms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Claims (10)

터널의 U자형 배수로(50)에 덮여지고, 미세먼지가 상기 배수로(5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망상의 유입구(65)가 형성된 뚜껑(60)과;A lid 60 covered with the U-shaped drainage passage 50 of the tunnel and having a reticulated inlet 65 so that fine dust flows into the drainage passage 50; 상기 배수로(50)의 내부가 상하로 구획되어 위쪽에 상부 침강실(55u)이 형성되고 아래쪽에 하부 침강실(55d)이 형성되도록 상기 배수로(50)의 바닥과 뚜껑(60) 사이에 위치되며, 미세먼지가 상기 하부 침강실(55d)로 유입되도록 망상의 유입구(75)가 형성된 칸막이(70)와;The interior of the drainage passage 50 is divided up and down is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and the lid 60 of the drainage passage 50 so that the upper settling chamber (55u) is formed 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ettling chamber (55d) is formed at the bottom. A partition 70 formed with a network inlet 75 so that fine dust flows into the lower settling chamber 55d; 상기 칸막이(70)가 상기 배수로(50)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거리 떨어져 있도록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집진장치.Dust collecting device for a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tion 70 is composed of a gap holding member for maintaining a distance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칸막이(70)의 유입구(75)를 구성하는 단위구멍은 상기 뚜껑(60)의 유입구(65)를 구성하는 단위구멍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더 촘촘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집진장치.Dust collecting device for a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hole constituting the inlet (75) of the partition (70) is smaller and more compact than the unit hole constituting the inlet (65) of the lid (60).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칸막이(70)의 유입구(75)를 구성하는 단위구멍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안쪽둘레가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집진장치.Dust collecting device for a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hole constituting the inlet (75) of the partition (70) is formed long up and down, the inner circumferenc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뚜껑(60)의 유입구(65)를 구성하는 단위구멍은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슬롯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집진장치.The unit hole constituting the inlet (65) of the lid (60) is a tunnel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ng slot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nnel.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칸막이(70)의 아랫면 가장자리에 세워진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칸막이(70)를 받치는 다수 개의 받침다리(80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집진장치.The gap maintain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bottom edge of the partition (70) in the form of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upport legs (80a) supporting the partition (7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칸막이(70)의 윗면 가장자리에 세워진 형태로 연결되고 상단에 후크부(82)가 형성되어 상기 뚜껑(60)에 매달려 있도록 상기 후크부(82)가 상기 뚜껑(60)의 단위구멍에 걸리는 다수 개의 후크로드(8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집진장치.The gap retain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upper edge of the partition 70 in the form of a stand and the hook portion 82 is formed at the top so that the hook portion 82 is suspended from the lid 60 of the lid 60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hook rods (80b) caught in the unit hol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칸막이(70)가 상기 뚜껑(60)에 매달려 있도록 상기 뚜껑(60)과 칸막이(70)를 연결하는 수직판(80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집진장치.The gap maintaining member is a tunnel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vertical plate (80c) connecting the lid (60) and the partition (70) so that the partition (70) hanging on the lid (60).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수직판(80c)은 상기 칸막이(70)의 좌측 및 우측 끝을 상기 뚜껑(60)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칸막이(70)가 상기 배수로(50)의 바닥과 뚜껑(60) 사이에 위치된 때 상기 배수로(50)의 측벽에 각각 맞닿게 되는 좌측 수직판(80L) 및 우측 수직판(80R)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집진장치.The vertical plate 80c connects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artition 70 with the lid 60, respectively, so that the partition 70 is located between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 50 and the lid 60.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left vertical plate (80L) and the right vertical plate (80R)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drain passage (50), respectively.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좌측 수직판(80L) 및 우측 수직판(80R)은 상기 배수로(50)의 측벽과 마주하는 면에 돌출부(84)가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고,The left vertical plate 80L and the right vertical plate 80R are each formed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84 on a surface facing the side wall of the drainage passage 50, 상기 칸막이(70)는 상기 배수로(50)의 바닥과 뚜껑(60) 사이에 위치된 때 상 기 좌측 수직판(80L)과 우측 수직판(80R)이 상기 돌출부(84)에 의하여 오므라들도록 좌측 끝이 상기 좌측 수직판(80L)에 연결된 좌측 칸막이(70L) 및 우측 끝이 상기 우측 수직판(80R)에 연결된 우측 칸막이(70R)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집진장치.When the partition 70 is located between the bottom of the drainage passageway 50 and the lid 60, the left end of the left vertical plate 80L and the right vertical plate 80R are lifted by the protrusion 84. Dust collecting device for a tunnel,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partition (70L) connected to the left vertical plate (80L) and the right end is divided into a right partition (70R) connected to the right vertical plate (80R).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좌측 수직판(80L) 및 우측 수직판(80R)은 다수 개의 보강구멍(86)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용 집진장치.The left vertical plate (80L) and the right vertical plate (80R) is a tunnel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einforcing holes (86) are each formed.
KR2020060015721U 2006-06-12 2006-06-12 Dust collector for tunnel KR20042475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721U KR200424756Y1 (en) 2006-06-12 2006-06-12 Dust collector for tu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721U KR200424756Y1 (en) 2006-06-12 2006-06-12 Dust collector for tun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756Y1 true KR200424756Y1 (en) 2006-08-28

Family

ID=41773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721U KR200424756Y1 (en) 2006-06-12 2006-06-12 Dust collector for tun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75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643B1 (en) 2006-08-08 2007-02-26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Apparatus for collecting dust for ro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643B1 (en) 2006-08-08 2007-02-26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Apparatus for collecting dust for ro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31749A (en) Cleaning device for tunnel dust and exhaust gas
CN107630503A (en) A kind of floating device for dragging dregs
CN209011273U (en) A kind of buried rainwater-collecting reclaiming system
CN204607764U (en) Buried efficient early-stage rainwater treatment unit
KR20160032944A (en) Transparent sound-proof wall for removing dust and noise by air stream guiding and water spray cleaning, and remov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424756Y1 (en) Dust collector for tunnel
CN106837405A (en) A kind of underground mine returnairshaft dirt wind demisting dust falling system
CN214990321U (en) Sponge urban water storage slow release module
CN106759797B (en) A kind of sunk type greenery patches rain processing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209323643U (en) A kind of sponge-type rain penetration discharge structure
CN208309681U (en) A kind of overpass rainwater-collecting reutilization system
CN107489096B (en) A kind of quick collection system of urban elevated road rainwat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07642143B (en) A kind of formula that falls into access city deep layer drainage system becomes a mandarin silo system
CN215253321U (en) Drainage system of underpass tunnel
JP2012241427A (en) Siphon structure
CN213358194U (en) Permeable pavement structure
KR20090008698A (en) Multipurpose bucket
CN212535681U (en) Public rail co-building tunnel
KR20050052851A (en) Cleaning apparatus in tunnel
CN208137013U (en) A kind of reservoir filtering water guiding system
CN207672364U (en) Water on urban streets tapping equipment
CN206887797U (en) Multifunctional road rhone
CN201995410U (en) Rail-type stereoscopic green plant micro-irrigation system
CN112081616A (en) Organized natural ventilation road tunnel
CN110206130A (en) A kind of integrated sewage water pump sump and deodoriz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