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304Y1 -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304Y1
KR200424304Y1 KR2020060015282U KR20060015282U KR200424304Y1 KR 200424304 Y1 KR200424304 Y1 KR 200424304Y1 KR 2020060015282 U KR2020060015282 U KR 2020060015282U KR 20060015282 U KR20060015282 U KR 20060015282U KR 200424304 Y1 KR200424304 Y1 KR 200424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ming
light
light source
gun
comple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경
Original Assignee
박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래경 filed Critical 박래경
Priority to KR2020060015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3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3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6Rearsights
    • F41G1/12Rearsights with line or mark other than no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6Rearsights
    • F41G1/16Adjusting mechanisms therefor; Mounting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부를 구비하여, 신속하게 조준선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총기 후방 상단면에 밀착 결합되는 바형 거치프레임(11)과; 상기 거치프레임(11)의 후방 상면에 전·후방단부가 각각 좌·우 왕복 이동 및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총기의 길이 방향으로 주조준공(H)이 관통 형성된 조준관(12)과; 상기 주조준공(H) 내주면 하단부에 총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되며, 전방 하단 내부에 광원(13A)이 장착되고, 광원(13A)의 빛을 후방 상단부까지 유도하기 위한 부조준공(H')이 구비된 판상의 조준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LED 등의 광원과 부조준공의 출구측 홀, 사격자의 시선이 일치 되었을때에만, 광원(빛)을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과정이 기존 총기에서의 조준선 정렬에 해당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격자는 광원의 빛이 인지되고 있는 상황(조준선 정렬 완료)에서 표적 중앙에 그 빛을 위치(즉,정조준 완료) 함으로써 일련의 조준 과정을 마칠 수 있다.
총기, 조준선 정렬, 정조준, 가늠자, 가늠쇠

Description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Apparatus for Rapid Alignment of Gun}
도 1은 종래의 총기류에서 조준선 정렬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장치에 광 조절 유니트가 부가된 것을 나타내는 측 단면도.
도 4는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를 전면 및 배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5는 부조준공에 광이 전달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가 장착된 총기로써 목표물을 정조준 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총기거치 프레임 11a, b, c, d : 제1, 2, 3, 4 결합돌출부
12 : 조준관 12a, b : 제5, 6 결합돌출부
13 : 조준판 13A : 광원 13B : 광 통과 부재
15 : 상하 영점조절나사 16 : 좌우 영점조절나사 17 : 총기 결합나사
B : 건전지 함 D : 공구홈 E : 개인별 시도조절볼륨
H : 주 조준공 H' : 부 조준공 L : 렌즈
S : 광센서
본 고안은 조준선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광체와 발광체에서 발생하는 광(光)이 통과하는 조준판을 구비하는 조준관을 포함하고, LED 등의 광원과 부조준공의 출구측 홀과 사격자의 시선이 일치 되었을때만 빛을 인지 할 수 있어, 조준선 정렬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완료하게 되어 짧은 시간 내에 정확하게 사격할 수 있도록 한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용으로 사용하는 소총, K-2 M-16 등과 같은 개인화기, 혹은 기관총 등 혹은 레져 및 스포츠 등에 사용되는 각종 총기류는, 손에 거머쥐고서 손가락으로 노리개를 당겨서 격발시킴으로써 공이가 탄환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상기 탄환내에 들어있는 작약이 폭발하면서 총열을 따라 직진성을 확보하여 전방의 목표물을 향하여 발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총기류 중에서 K-2, M-16등과 같은 개인화기는 특히 어깨에 견착한 상태에서 목표물을 조준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개인화기류에는 목표물에의 명중률을 높이기 위하여 총열의 전방 상측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늠쇠가 구비되고, 총기사용자의 눈 가까운 쪽에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의 가늠자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개인화기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우선 조준선 정렬을 실시한 다 음, 조준선 정렬이 완료된 총기의 가늠쇠를 이용하여 목표물을 조준하는 정조준을 한 다음 격발을 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총기류에서 조준선 정렬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조준선 정렬이라 함은 총열(4)의 후방 상단부에 구비되는 가늠자(1)의 중앙에 형성된 가늠자 구멍(2)의 중앙에 가상의 수직 수평선을 긋고, 그 교차점에 총열(4)의 전방 상단부에 구비되는 가늠쇠(3)의 선단을 올려놓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정조준이라 함은, 상기와 같이 조준선 정렬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격의 대상이 되는 표적의 정 중앙을 상기 가늠쇠(3)의 선단에 올려놓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해당 목표물을 향하여 사격을 실시하여 목표물을 명중시키려 한다면, 항시 조준선 정렬과 정조준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들 2개의 과정 중에서도 조준선 정렬이 정확한 사격에 따른 목표물의 명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며, 또한, 사격하는 개개인의 총기류의 영점이 각각 다르게 되는 주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즉, 총렬(4)의 축선과 목표물(5)과 가늠쇠(3)의 선단과 사격자의 시선을 일치 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조준선 정렬인 바, 상기와 같이 동일 축선 상에 이들을 일치시키지 못하게 된다면, 아무리 상기 가늠쇠(3)의 선단에 사격의 대상이 되는 표적의 정중앙을 올려놓는다 하더라도, 사격 후의 총기의 총구에서 발사되는 탄환은 목표물을 명중시킬 수 없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가늠자 구멍내에 실상이 아닌 가상의 수직수평 선을 그어야 하고, 상기 가상의 수직수평선의 교차점과 가늠쇠의 상단을 일치시켜야 함으로써, 조준선 정렬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개개인 간의 차이에 의하여 총기 영점이 달라지는 상황이 재연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조준선 정렬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없어서 급격 사격을 할 수밖에 없으므로, 목표물에 대한 사격 명중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있어서는, 특히 야간 사격시에 있어서 가늠자 또는 가늠쇠 모두 어두운 상태이므로, 상기 가늠쇠를 이용하여 해당 목표물로 향하도록 조준할 수 없어서, 야간 사격 목표 명중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조준선 정렬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함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정확하게 사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LED 등의 광원과 부조준공의 출구측 홀과 사격자의 시선이 일치 되었을때만 광원에 의해 조준선 정렬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토록 함으로써, 조준선 정렬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완료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고안의 구성에 대한 설명에 앞서 용어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이하에서 "전방"은 총구측을, "후방"은 개머리판측을 가르키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는, 총기 후방 상단면에 밀착 결합되는 바(Bar)형 거치프레임과; 상기 거치프레임의 후방 상면에 전·후방단부가 각각 좌·우 왕복 이동 및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총기의 길이 방향으로 주조준공이 관통 형성된 조준관과; 상기 주조준공 내주면 하단부에 총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되며, 전방 하단 내부에 광원이 장착되고, 광원의 빛을 후방 상단부까지 유도하기 위한 부조준공이 구비된 판(plate)상의 조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는, LED 등의 광원과 부조
준공의 출구측 홀과 사격자의 시선을 일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총기에 접촉되어 나사 결합 되며, 상기 접촉되는 면의 이면 상측에 제1, 제2 제3, 제4 결합돌출부(11a, 11b, 11c, 11d)를 갖는 총기 거치프레임(11)과; 일측에는 상기 제3, 제4 결합돌출부(11c, 11d)에 나사 결합되는 제5, 제6 결합돌출부(12a, 12b)를 구비하고, 내측에는 광원(13A)로부터 빛이 유도되는 조준판(13)을 갖는 조준관(12)과; 상기 제1 결합돌출부(11a)와 제3 결합돌출부(12a)가 중첩되며, 동일한 중심선을 갖는 이들의 관통 홀을 동시에 관통하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결합돌출 부(11a)와 제3 결합돌출부(12a)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좌우 영점조절나사(16)와; 상기 제2 결합돌출부(11b)와 제4 결합돌출부(12b)가 대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양 대향면 상에서 동일한 중심선을 갖는 이들의 관통 홀을 동시에 관통하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2 결합돌출부(11b)와 제4 결합돌출부(12b)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상하 영점조절나사(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에 광조절 유니트가 부가된 것을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준판(13) 하단부와 조준관(12) 사이에 광 조절 유니트(14)가 부가적으로 개재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조준판(13) 하단부와 조준관(12) 사이에, 주변의 빛을 모아서 표적 주변으로부터 오는 빛만을 집중적으로 모으도록 하는 렌즈(L)와, 상기 모아진 빛 즉, 표적 주변의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S)와, 상기 센서(S)에 의해 감지된 빛의 세기에 따라 상기 광원(13A)의 밝기를 비례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사격을 하는 당시의 주변의 빛의 밝기에 따라서 목표물을 조준하되, 상기 부조준공(H')을 통하여 발광하는 상기 광원(13A)의 빛과 그 방향을 일치하여야 하는데, 만약 표적 주변이 너무 어두운 때에 상기 광원(13A)의 빛의 세기가 너무 밝게 되면, 표적을 분간하기가 곤란하게 되므로 광원(13A)의 빛의 세기를 낮추어야 하고, 반대로 표적 주변이 환한 경우에는 동시에 상기 광 원(13A)의 빛의 세기가 밝혀 광원을 식별하기가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주변의 빛의 밝기에 따라서 상기 광원(13A)의 빛의 세기를 제어할 필요가 생기는바, 상기 렌즈(L)는 표적 주변으로부터의 빛만을 모으는 역활을 하며, 상기 모아진 빛의 세기를 센서(S)가 감지하는데,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서 제어부(미도시)가 이를 판단하여, 실험적으로 사격에 적합한 빛의 세기를 비례적으로 확정하여 설정한 적정의 빛이 상기 광원(13A)으로부터 출력되게 한다.
또한, 개인마다 시각 편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미세 조정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와같이 미세조정을 위한 개인별 시도조절볼륨(E)을 좌, 우로 회전시키어, 상기 광원(13A)으로부터 적정한 빛의 세기를 미세 조정하면 된다.
도 4는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를 전면 및 배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는, 상기 바형 거치프레임(11)과 조준관(12) 사이에 상기 조준관(12)을 각각 좌·우 왕복 이동하도록 조정하는 좌우 영점조절나사(16)와 상·하 왕복 이동하도록 조정하는 상하 영점조절나사(15)를 구비하며, 렌즈(L)는 상기 조준관(12)의 전방 하단부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준관(12)의 후방 하단부에는 개인별 시도조절볼륨(E) 및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를 내부에 포함하는 건전지함(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부조준공에 광이 전달되는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상기 조준관(12)의 주조준공(H) 내주면 하단부에는 총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되며, 전방 하단 내부에 광원(13A)이 장착 되고, 광원(13A)의 빛을 후방 상단부까지 유도하기 위한 부조준공(H')이 구비된 판상의 조준판(13)을 형성하는데, 상기 광원(13A)에서 출력된 빛은 유리섬유와 같은 광 통과 부재(13B)를 경유하여, 상기 부조준공(H')을 통과하여 사격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된다.
LED 등의 광원과 부조준공의 출구측 홀과 사격자의 시선이 일치 되었을때만 광원에 의해 조준선 정렬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토록 함으로써, 조준선 정렬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 진다.
도 6은 본 고안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가 장착된 총기로써 목표물을 정조준 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조준선 정렬이 완료된 총기류로써, 목표물을 정조준을 하기 위하여서는, 총열(4)의 후방 상단부에 구비되는 가늠자(1)의 중앙에 형성된 가늠자 구멍(2)의 중앙에 가상의 수직 수평선을 긋고, 그 교차점에 총열(4)의 전방 상단부에 구비되는 가늠쇠(3)의 선단을 올려놓은 상태와 동일한 상황으로 간주 되는, 본 고안에 따른 조준선 정렬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격의 표적이 되는 목표물(5)의 정 중앙을 상기 조준관(12) 내의 부조준공(H')에 올려놓음으로써, 마치 상기 가늠쇠(3)의 선단에 올려놓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는, 상기 조준관(12)내의 상기 광원(13A)로부터 발생하는 광(光)이 상기 광(光) 통과 부재(13B)에 의하여 환하게 빛남으로써, 목표물(5)의 정중앙을 상기 광(光) 통과 부재(13B)에 올려놓는 것이 용이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특히 야간 사격에 있어서 빛(光)을 발하는 상기 조준관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조준관이 해당 목표물로 정확하게 향하도록 조준할 수 있어서, 야간 사격 목표 명중률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조준선 정렬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함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정확하게 사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특히 야간 사격시에 있어서, 빛(光)을 발하는 상기 조준관을 이용하되, 상기 조준관이 해당 목표물을 향하도록 조준할 수 있어서, 야간 사격 목표 명중률이 제고 되도록 하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총기 후방 상단면에 밀착 결합되는 바형 거치프레임(11)과;
    상기 거치프레임(11)의 후방 상면에 전·후방단부가 각각 좌·우 왕복 이동 및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총기의 길이 방향으로 주조준공(H)이 관통 형성된 조준관(12)과;
    상기 주조준공(H) 내주면 하단부에 총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되며, 전방 하단 내부에 광원(13A)이 장착되고, 광원(13A)의 빛을 후방 상단부까지 유도하기 위한 부조준공(H')이 구비된 판상의 조준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조준공(H') 내부에는 광 전달부재(13B)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판(13) 하단부와 조준관(12) 사이에는 광 조절 유니트(14)가 부가적으로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절 유니트(14)는, 표적 주변의 빛만을 모으는 렌즈(L)와; 상기 모아진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S)와;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빛의 세기에 따라 상기 광원(13A)의 밝기가 비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
KR2020060015282U 2006-06-08 2006-06-08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 KR200424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282U KR200424304Y1 (ko) 2006-06-08 2006-06-08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282U KR200424304Y1 (ko) 2006-06-08 2006-06-08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304Y1 true KR200424304Y1 (ko) 2006-08-17

Family

ID=4177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282U KR200424304Y1 (ko) 2006-06-08 2006-06-08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30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134B1 (ko) 2006-09-07 2013-10-08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총열 영점 조정기구
KR101375457B1 (ko) 2012-09-27 2014-03-17 정보선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KR101375373B1 (ko) 2012-10-22 2014-03-17 정보선 도트사이트 장착용 권총 슬라이드
KR101394738B1 (ko) 2012-10-09 2014-05-15 정보선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KR20190071420A (ko) 2017-12-14 2019-06-24 박광원 총기의 조준선 정렬 장치
KR20190076085A (ko) * 2017-12-21 2019-07-02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권총용 조준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134B1 (ko) 2006-09-07 2013-10-08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총열 영점 조정기구
KR101375457B1 (ko) 2012-09-27 2014-03-17 정보선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KR101394738B1 (ko) 2012-10-09 2014-05-15 정보선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KR101375373B1 (ko) 2012-10-22 2014-03-17 정보선 도트사이트 장착용 권총 슬라이드
KR20190071420A (ko) 2017-12-14 2019-06-24 박광원 총기의 조준선 정렬 장치
KR20190076085A (ko) * 2017-12-21 2019-07-02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권총용 조준기
KR101999682B1 (ko) * 2017-12-21 2019-07-16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권총용 조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1416B2 (en) Modular sighting assembly and method
US11402175B2 (en) Optical system with cant indication
US97595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igning a point of aim with a point of impact for a projectile device
US8793920B2 (en) Gunsight with visual range indication
US7296358B1 (en) Digital vertical level indicator for improving the aim of projectile launching devices
KR200424304Y1 (ko) 총기용 신속 조준선 정렬 장치
US6406298B1 (en) Low cost laser small arms transmitter and method of aligning the same
US9062933B1 (en) Tactical illuminator system
US20060162225A1 (en) Laser gunsight system for a firearm handgrip
US97330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igning a point of aim with a point of impact for a projectile device
US20080276473A1 (en) Method of projecting zero-convergence aiming beam on a target and zero-convergence laser aiming system
US97462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arget engagement
US10337832B1 (en) Illumination system for weapon optics
US10655937B2 (en) Sight for firearm
US8443542B1 (en) Firing pin sighting system
KR20020027339A (ko) 휴대 화기
US5933972A (en) Sight for firearms
US20040137411A1 (en) Marksmanship training aid
US11768057B2 (en) Embedded cant indicator for rifles
KR100409211B1 (ko) 유탄 발사기 레이저 교전훈련장비
US11047647B2 (en) Firearm and method for improving accuracy
KR200370503Y1 (ko) 탈착식 레이저 조준장치
US20140250758A1 (en) Firearm sight and method for occluding vision of shooter&#39;s non-aiming eye
KR102277720B1 (ko) 영점조절이 가능한 착탈식 권총 레이저 조준기
CA2587709A1 (en) Method of projecting zero-convergence aiming beam on a target and zero-convergence laser aim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