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270Y1 -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 Google Patents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270Y1
KR200424270Y1 KR2020060014372U KR20060014372U KR200424270Y1 KR 200424270 Y1 KR200424270 Y1 KR 200424270Y1 KR 2020060014372 U KR2020060014372 U KR 2020060014372U KR 20060014372 U KR20060014372 U KR 20060014372U KR 200424270 Y1 KR200424270 Y1 KR 200424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ngth
supporting
stretch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수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60014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270Y1/ko
Priority to US11/807,066 priority patent/US2007028760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44Hip
    • A61H2001/0248Hip by separating the legs later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rosthe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관절 내전근의 경직이 있거나 관절구축이 있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스트레칭을 실시함과 동시에 별도 인력의 도움 없이도 스트레칭 상태를 유지하여 치료 및 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스트레칭 장치이다. 본 고안은 양 다리의 내측을 지지하는 한쌍의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일정각도로 다리를 스트레칭함과 동시에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이 연결되어 연결부재를 받침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한다.
고관절, 내전근, 경직, 스트레칭, 받침부재

Description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Apparatus for Hip Adductor Stretching}
도 1은 본 고안의 스트레칭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결부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스트레칭 장치 중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스트레칭 장치 중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스트레칭 장치 중 지지부재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스트레칭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스트레칭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받침부재 20: 연결부
30: 연결부재 50: 턴버클
23: 제1 지지부 35: 제2 지지부
본 고안은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관절 내전근의 경 직이 있거나 관절구축이 있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스트레칭을 실시함과 동시에 별도 인력의 도움 없이도 스트레칭 상태를 유지하여 치료 및 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스트레칭 장치이다.
뇌성마비, 척수손상 등에서는 근육의 경직 또는 관절구축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 치료사가 손으로 관절을 스트레칭하고 이 상태를 유지하여 치료하고 있다. 특히, 고관절의 내전근을 스트레칭하기 위하여 도 7에서와 같은 자세로 환자를 스트레칭시키는 치료가 시행된다.
고관절 내전근은 허벅지 내측의 근육 중 하나로써, 이 근육의 경직시 보행이 불편해지고 정상적인 보행을 하지 못하는 원인이 된다. 도 7에서와 같이, 고관절 내전근, 즉 허벅지 내측의 근육을 치료하기 위하여 치료사가 양쪽에서(또는 한쪽에서) 다리를 편상태로 벌리도록 잡아당기고, 그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시키도록 하여 근육의 경직 또는 관절구축을 풀어주는 치료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치료방식은 치료사가 환자의 치료시간 동안 시행해야 하는 치료방법으로, 육체적으로 힘들뿐 아니라 인력의 투입이 필요하여 치료단가를 높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트레칭의 정도(시간, 근육신장량 등)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어 치료를 객관화하기 힘든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관절 내전근의 스트레칭 치료시 인력을 계속 투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트레칭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스트레칭 시간, 양 등의 치료데이터를 객관화하여 관리할 수 있고 정량화된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치료사의 지속적인 인력투입이 불필요하여 육체적 부담 및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양 다리의 내측을 지지하는 한쌍의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일정각도로 다리를 스트레칭함과 동시에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이 연결되어 연결부재를 받침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부재는 다리의 복사뼈부터 허벅지 내측까지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다른 받침부재를 향해 돌출되고 내측에 구형의 공간이 형성된 제1 지지부 및 일측 끝단이 상기 지지부의 내측공간에 삽입되도록 구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내측에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다른 받침부재를 향해 소정길이 돌출된 한쌍의 지지벽 및 상기 지지벽을 연결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 끝단이 절곡된 고리로 형성되어, 상기 고리가 상기 지지바에 걸리는 것에 의해 상 기 연결부재가 상기 받침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의 고리는 실질적으로 폐곡선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바를 고리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연결부재를 받침부재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상하로 각각 2개이상 서로 수평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중간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받침부재에 연결후 길이를 조절하여 스트레칭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부는 내측에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턴버클이며, 상기 연결부재는 2개로 분할되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지 않은 끝단에 각각 상기 턴버클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턴버클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는 양측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내측은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는 길이조절관이며, 상기 연결부재는 2개로 분할되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지 않은 끝단에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돌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구가 상기 길이조절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스트레칭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는 받침부재(11)와, 연결부재(30), 받침부재와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20)를 포함한다.
받침부재(11)는 환자의 다리 내측을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다리 내측과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받침부재는 다리와 접촉하는 부분에 완충재를 넣어 환자가 접촉면으로부터 느끼는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할 수 있다. 받침부재(11)는 가벼우면서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금속재 또는 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연결부재(30)는 도 1에서와 같이 양측의 받침부재(11)를 연결하는 바 형상의 부재이다. 연결부재(30)의 단면은 원형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연결부재(30)는 받침부재(11)들 간의 거리를 이격시켜 양 다리를 벌리고 나서 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30)는 도 1에서와 같은 경우 다양한 길이로 미리 준비되어 있어서, 환자의 다리벌림의 정도에 따라 그 벌어진 길이에 맞는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연결부재는 도 1에서와 같이 2개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부의 연결부재(31)는 하부의 연결부재(30) 보다 길이가 작다. 이는 환자의 하지가 벌려진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다리의 힘, 즉 받침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의 끝단에 걸리는 힘이 어느 하나의 부재로 치우치지 않고 균등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결부(20)는 받침부재(11)에 형성되며, 연결부재(30)를 받침부재에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의 연결부의 구조가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연결부(20)는 받침부재(11)에 형성되는 제1 지지부(23)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23)는 다른 받침부재(11)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내부에 구 형의 공간이 형성된다. 제1 지지부(23)는 받침부재(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며, 그 외관은 원통형 또는 다각기둥형 등 여러 가지가 가능하다.
연결부(20)는 또한 제1 지지부(23)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35)를 포함한다. 제2 지지부(35)는 일측 끝단이 구형의 볼 조인트(25)가 형성된다. 제2 지지부(35)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제1 지지부(23)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볼 조인트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지지부(23)에는 제2 지지부(35)의 구형 끝단부가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끼워넣는 커버(27)가 결합된다.
제2 지지부(35)의 볼 조인트(25)는 직경이 볼의 직경보다 작은 바를 통해 다른 받침부재 쪽으로 신장되고, 제2 지지부(35)의 타측은 소정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연결부재(30)가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20)를 구성함으로써 받침부재(11)들의 간격이 벌어져서 연결부재(30)와의 결합각도가 변경되더라도, 연결부재(30)를 연결하여 받침부재들을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받침부재(11)들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즉 환자의 다리가 벌어짐에 따라 연결부재의 길이만 긴 것으로 조정하여 연결하게 되면 다리가 벌어진 상태(고관절 내전근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스트레칭 치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연결부재는 적어도 2개를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리를 벌림에 따라 내측으로 가해지는 힘을 연결부재 하나를 통해 지지하는 것은 부재의 파손 등의 우려가 있고, 환자의 다리에 가해지는 반력이 심한 통증으로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는 받침부재들의 각도 및 그 사이의 길이를 고 려하여 서로 다른 길이의 연결부재(30,31)를 사용하여 받는 힘을 균등하게 나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 연결부(20)는 반대편 받침부재에 있는 연결부와 서로 수평한 위치에 형성된다. 즉, 연결부재들이 서로 수평하게 연결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힘을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는 위치가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연결부를 상세도시함과 동시에 턴버클을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서, 연결부(47)는 지지벽(46) 및 지지벽을 연결하는 지지바(45)를 포함한다. 지지벽(46)은 받침부재(11)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다른 받침부재를 향해 소정길이 돌출된 형태로써, 한쌍의 지지벽이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지지벽들 사이의 공간은 연결부재(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비워진 공간이 되도록 한다. 지지바(45)는 한쌍의 지지벽(46)들을 연결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40)의 끝단은 절곡된 고리(42)로 형성된다. 고리는 도 4에서와 같이 원형의 핀 삽입공간을 이루도록 거의 폐곡선을 이루며 구부러져 있는 것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고리의 삽입은 지지바(45)를 일단 제거하고 고리를 제 위치에 놓고 지지바(45)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지지바가 핀과 같은 역할을 한다. 연결부재는 환자의 다리에 의해 받침부재가 내측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는데, 이때 고리는 지지바에 의해 지지되어 힘을 전달받게 되며, 지지바의 단면을 받는 하중을 고려하여 충분히 두껍게 형성할 수 있 다.
고리(42)는 바람직하게는 두 번 절곡된 ㄷ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고리가 상기 지지바(45)에 걸리는 것에 의해 받침부재(11)와 연결부재(4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받침부재(11)는 환자의 다리에 의해 내측(다리가 일자로 펴진상태)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며, 연결부재(40)는 이와 같이 내측으로 이동하려는 받침부재를 원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도록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지바(45)에 걸린 고리(42)형상으로 연결부재(40)를 연결한 후에, 스트레칭 치료시에는 받침부재의 지지벽(46) 내측의 벽이 연결부재(40)의 끝단에 접촉하게 되고, 지지바(45)는 연결부재에 힘을 가하지 않게 된다. 이때 연결부재(40)의 끝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연결부재의 고리(42)의 길이는 지지벽(46)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벽의 길이보다 연결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고리(42)의 길이가 작게 되면 지지벽의 내측벽이 연결부재의 끝단과 접촉하면서 지지바에 걸려있는 고리의 끝단이 지지바를 벗어나서 이탈되기 때문으로, 고리가 지지벽의 내측에 접촉하더라도 고리의 끝단이 지지바(45)를 벗어나지 않게 되면 이탈의 우려가 없을 뿐 아니라 연결부재에 의해 받침부재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의 끝단, 즉 고리의 형상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밀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절곡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의 연결부재(40)에 길이조절부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연결부재(40)는 2개로 분할되어 있으며, 연결부(47)에 연결되지 않은 끝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산(48,49)은 양쪽의 연결부재(4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며, 이 나사산은 턴버클(50)에 삽입된다. 턴버클(50)은 내부에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턴버클을 회전시켜 나사산에 연결된 연결부재들을 잡아당겨 두부재간의 길이를 줄어들도록 하거나, 반대로 늘리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도 5는 도 2의 연결부재(30)에 길이조절부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연결부재는 2개 부재로 분할되어 있으며, 연결부에 연결되지 않은 끝단측에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돌출구(63)가 부착되고, 돌출구(63)를 외측을 탄성적으로 밀어내는 내부 스프링(67)이 연결부재의 내부에 장착된다. 또한 길이조절부는 내측에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는 길이조절관(60)이 된다. 길이조절관(60)에는 연결부재의 돌출구(63)에 대응하도록 관통구멍(64)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돌출구(63)를 눌러 적당한 위치의 관통구멍(64)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 및 도 5를 통해 길이조절하는 방식을 예시하였으나, 길이조절 방식은 여러 가능한 다른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스트레칭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는 뇌성마비, 뇌졸중 등으로 인하여 근육?? 경직 또는 관절구축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칭 치료를 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환자의 다리를 일정 각도로 벌린 상태에서 스트레칭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일정각도를 그대로 일 정시간 동안 유지해야 하며, 이때 종래의 경우 치료사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도 6에서와 같이 환자의 다리를 일정각도로 벌린 상태에서 받침부재(11)를 환자의 다리에 접촉시키고, 받침부재 사이를 연결부재(40)를 통해 서로 연결시켜 다리가 벌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환자의 근육 경직 또는 관절구축의 정도에 따라 다리의 벌려지는 각도가 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재(40,41)의 길이가 변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연결부재 자체가 길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있어 자체적으로 길이 변경이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길이가 서로 다른 연결부재들을 구비하고 있다가 이를 적절한 길이로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고관절 내전근의 스트레칭을 위해서 환자의 무릎이 펴진 상태로 스트레칭을 실시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받침부재는 다리에 충분한 길이로 접촉할 수 있어야 하고, 받침부재의 끝단이 다리의 복사뼈 바로 위부터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부재의 다른 끝단은 허벅지에 접촉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다리의 복사뼈에 의해 받침부재가 쉽게 다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재의 고정을 위하여 받침부재에 벨크로 테잎을 부착하여 환자의 다리를 감싸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벨크로 테잎을 사용하는 경우 받침부재는 다양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복사뼈부터 허벅지까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고관절 내전근의 스트레칭 치료시 인력을 계속 투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트레칭 치료가 가능하도록 환자의 다리를 벌린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도록 하여, 인력의 활용도를 높이고, 치료시간 및 치료비의 절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환자의 고관절 내전근 신장의 정도를 연결부재의 길이를 통해 정확하게 환산하여 측량할 수 있어, 환자의 단계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단순하면서 간단한 구조적인 스트레칭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쉽게 사용이 가능하고, 제작에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9)

  1. 양 다리의 내측을 지지하는 한쌍의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일정각도로 다리를 스트레칭함과 동시에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끝단이 연결되어 연결부재를 받침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다리의 복사뼈부터 허벅지 내측까지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다른 받침부재를 향해 돌출되고 내측에 구형의 공간이 형성된 제1 지지부 및 일측 끝단이 상기 지지부의 내측공간에 삽입되도록 구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내측에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다른 받침부재를 향해 소정길이 돌출된 한쌍의 지지벽 및 상기 지지벽을 연결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그 끝단이 절곡된 고리로 형성되어, 상기 고리가 상기 지지바에 걸리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받침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고리는 실질적으로 폐곡선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바를 고리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연결부재를 받침부재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하로 각각 2개이상 서로 수평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중간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부를 포함하여 받침부재에 연결후 길이를 조절하여 스트레칭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내측에 서로 다른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턴버클이며,
    상기 연결부재는 2개로 분할되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지 않은 끝단에 각각 상기 턴버클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턴버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양측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내측은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있는 길이조절관이며,
    상기 연결부재는 2개로 분할되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지 않은 끝단에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돌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구가 상기 길이조절관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KR2020060014372U 2006-05-29 2006-05-29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KR200424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372U KR200424270Y1 (ko) 2006-05-29 2006-05-29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US11/807,066 US20070287604A1 (en) 2006-05-29 2007-05-25 Apparatus for stretching hip addu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372U KR200424270Y1 (ko) 2006-05-29 2006-05-29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270Y1 true KR200424270Y1 (ko) 2006-08-17

Family

ID=3882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372U KR200424270Y1 (ko) 2006-05-29 2006-05-29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287604A1 (ko)
KR (1) KR2004242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162A (ko) * 2017-08-28 2019-03-08 오석환 보간 조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7584D0 (en) * 2008-04-25 2008-06-04 Stephenson Ron Lara limb mobiliser and exerciser
DE202012002278U1 (de) * 2012-03-08 2012-06-26 Friedemann Lotsch Gerät für die Kryolipolyse
AU2017435118A1 (en) * 2017-10-06 2020-04-09 3Rd Wheel Productions Pty Ltd Massag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11471358B1 (en) * 2020-09-29 2022-10-18 Meena McCullough Fascia activation and train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2920A (en) * 1945-12-22 1949-12-27 Koster Grace Vivien Device in aid of spastics
US2815021A (en) * 1953-09-17 1957-12-03 Freeman Ann Post-operative redintegration in femur prosthesis cases
US5026049A (en) * 1990-08-15 1991-06-25 Goodman John F Leg stretching apparatus
US5137504A (en) * 1991-06-03 1992-08-11 Mangini Vincent W Stretching machine
US6254561B1 (en) * 1998-08-11 2001-07-03 Diversified Marketing Associ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patient for radiation therapy
US20080149116A1 (en) * 2006-12-22 2008-06-26 Leg-Abduct Llc Apparatus for leg abdu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162A (ko) * 2017-08-28 2019-03-08 오석환 보간 조절기
KR101999627B1 (ko) 2017-08-28 2019-07-12 오석환 보간 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87604A1 (en)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4270Y1 (ko) 고관절 내전근 스트레칭 장치
AU20172588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nee joint flexibility rehabilitation
WO2005027724A3 (en) Combination bone fixation/immobilization apparatus
CN212166103U (zh) 一种膝关节康复辅助装置
US20160030222A1 (en) Ankle-Foot Flexion Device
CN207898567U (zh) 一种下肢良肢位支撑架
JP5124723B2 (ja) 運動器具
KR101748436B1 (ko) 누운 상태에서 환자로 하여금 근육운동을 보조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
US11730656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ower limb contractures
CN211097339U (zh) 一种下肢训练装置
CN210612308U (zh) 一种骨科用髌骨牵引屈膝矫正装置
CN209033067U (zh) 一种膝关节复健装置
CN214968566U (zh) 下肢功能锻炼带
CN211023336U (zh) 一种足下垂康复训练装置
CN209645363U (zh) 一种腿部骨折病人康复辅助训练器
CN208989296U (zh) 足踝固定以及踝关节屈伸功能锻炼支具
CN216295138U (zh) 膝关节活动度训练器
CN209033034U (zh) 一种胫内髓内钉手术用腿部托架装置
CN216258156U (zh) 一种下肢康复训练器
CN203169373U (zh) 一种膝关节矫形器
CN215310029U (zh) 一种膝关节置换术后辅助康复运动装置
CN209713310U (zh) 一种胫腓骨下段累及踝关节外固定架
KR200304778Y1 (ko) 뼈 신장용 교정장치
CN209122557U (zh) 预防足下垂锻炼装置
CN209137879U (zh) 一种骨科用手指康复锻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