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436B1 - 누운 상태에서 환자로 하여금 근육운동을 보조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 - Google Patents

누운 상태에서 환자로 하여금 근육운동을 보조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436B1
KR101748436B1 KR1020160006805A KR20160006805A KR101748436B1 KR 101748436 B1 KR101748436 B1 KR 101748436B1 KR 1020160006805 A KR1020160006805 A KR 1020160006805A KR 20160006805 A KR20160006805 A KR 20160006805A KR 101748436 B1 KR101748436 B1 KR 101748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string
supporting frame
block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원
Original Assignee
박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원 filed Critical 박지원
Priority to KR102016000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환자 운동용 베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베개커버(10); 상기 베개커버에 삽입되는 탄성있는 부재의 베개쿠션(20); 상기 베개커버에 삽입되며, 상기 베개쿠션의 하부에 위치하는 평면의 격자형상의 부재인 스트링지지프레임(30); 및 탄성있는 스트링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의 외곽면에 연결되는 탄성스트링(42) 및 상기 탄성스트링의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형상의 부재인 지지손잡이(44)를 포함하는 스트레칭부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적은 비용과 간단하게 병상의 환자들이 누워있는 상태에서 팔다리 근육운동이 가능함에 따라 장시간 누워있음으로 인해 발생되는 2차질환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누운 상태에서 환자로 하여금 근육운동을 보조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Pillow for assisting a patient in bed to exercise his muscle}
본 발명은 환자의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시간 병상에 누워 있을 수 밖에 없는 환자로 하여금 누운 상태에서 팔다리 운동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병상에서의 근육약화를 방지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장시간 병상에 있어야 하는 환자는 근육을 사용하지 않게 됨으로 인한 2차적 질병에 노출되기 쉽다. 특히 재활을 위한 운동은 환자가 어느정도 자립이 가능한 정도가 되어야 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시간 병상에 누운 환자는 더욱 근육 약화가 심화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최근 노령화로 인해 요양원등에서 환자가 아니더라도 장시간 병상에 누운상태로 지내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서, 누운 상태로 팔다리 근육을 강화할 수 있다면 이는 2차적 질병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환자 운동 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20-2000-0031040 에 기재된 이 출원은 병상의 침대에 기계적인 장치를 도입하여, 신체가 부자유스러운 환자의 근육 운동을 강화하기 위한 각종 기계적 구조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첫째 환자가 사용하는 침대에 기계적으로 부착되어 있어 집에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할 뿐 아니라, 둘째 각종 기계적 부품들로 구성된 복잡하고 거대한 장치여서 제조어려움 및 고가의 제조단가를 환자가 부담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했다. 또한 셋째 비교적 신체 부자유스러움의 강도가 약한 환자는 이러한 중장비를 이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복잡하고 큰 장치가 오히려 번거롭고 오히려 불편하여 적합하지 않은 환자의 경우도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 노령요양인 등 신체가 부자연스러운 사람들이 보다 편하고 간단하게 용이하게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근육약화를 방지하는 운동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누운상태에서 환자로하여금 근육운동을 보조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100)에 있어서, 베개커버(10); 상기 베개커버에 삽입되는 탄성있는 부재의 베개쿠션(20); 상기 베개커버에 삽입되며, 상기 베개쿠션의 하부에 위치하는 평면의 격자형상의 부재인 스트링지지프레임(30); 및 탄성있는 스트링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의 외곽면에 연결되는 탄성스트링(42) 및 상기 탄성스트링의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형상의 부재인 지지손잡이(44)를 포함하는 스트레칭부재(40)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30)은, 2개이상의 바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베개쿠션의 하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지지바(32); 2개이상의 바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가로바와 수직교체하여 연장된 세로지지바(34); 및 외측면에 고리형상의 고정걸이(37)가 형성된 블록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가로지지바와 세로지지바의 교차점(33)중에서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의 외곽면에 위치하는 교차점에 형성된 고정걸이홀더블록(36)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걸이홀더블록(36)의 고정걸이(37)에는 상기 탄성스트링(42)의 일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베개 하단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부(52)를 구비하는 견착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곡면부의 외측 중앙부는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에 연결되기 위한 나사형상의 견착부연결부(5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교차점중에 상기 곡면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교차점에는 블록형상의 부재로서 내측방향에 나사면(381)이 형성된 견착부연결블록(38)이 형성되고,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견착부연결부(54)가 상기 견착부연결블록(38)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견착부가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견착부(50)는, 상기 곡면부의 내측면은 인체의 어깨에 대응되는 곡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걸이홀더블록(36)에는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3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블록내측나사면(36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걸이(37)는 상기 고정걸이홀더블록(36)과 분리형성되는 분리형고정걸이부재(60)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내측나사면(361)에 나사결합하는 블록결합나사면(62) 및 고리형상의 스트링고정고리(6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워서 생활할 수 밖에 없는 환자등이 보다 용이하고 적은 비용으로 팔다리 근육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병상생활에 의한 2차 질환이 ㅇ예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링지지프레임이 기존의 베개에 용이하게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폭넓은 환자 운동용 베개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견착부에 의해 보다 견고한 지지가 된 상태의 환자의 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견착부연결블록에 의해 보다 견고한 지지가 강화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리형고정걸이부재에 의해 보다 간단하게 스트래칭부재의 탈착이 가능할 뿐아니라 지지력도 더욱 견고해진다.
도 1 은 종래의 환자 운동 장치의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운동용 베개(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작동 방법 및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운동용 베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4 의 실시예의 견착부(50)의 상세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실시예의 작동 방법 및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운동용 베개의 고정걸이(37)와 고정걸이홀더블록(36)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환자로 통칭되는 사람은 병상의 환자, 노인, 정상인이지만 일부 신체가 부자연스럽거나 일부 근력을 강화할 의도가 있는 사람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 반하지 않는 한에서 신체의 운동을 보조하는 효과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은 모두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운동용 베개(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환자 운동용 베개(100)는 베개커버(10), 베개쿠션(20), 스트링지지프레임(30) 및 스트레칭부재(40)를 포함한다
베개커버(10)는 직물로 형성된 종래의 베개커버를 나타낸다.
베개쿠션(20)은 상기 베개커버에 삽입되는 탄성있는 부재로서, 하기의 스트링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다.
스트링지지프레임(30)는 격자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베개커버에 삽입되며, 상기 베개쿠션의 하부에 위치한다.
스트레칭부재(40)는 탄성있는 스트링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의 외곽면에 연결되는 탄성스트링(42) 및 상기 탄성스트링의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형상의 부재인 지지손잡이(44)를 포함한다.
스트링지지프레임(30)은 가로지지바(32), 세로지지바(34) 및 고정걸이홀더블록(36)을 포함한다.
가로지지바(32)는 2개이상의 바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베개쿠션의 하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된다.
세로지지바(34)는 2개이상의 바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가로바와 수직교체하여 연장된다.
고정걸이홀더블록(36)은 외측면에 고리형상의 고정걸이(37)가 형성된 블록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가로지지바와 세로지지바의 교차점(33)중에서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의 외곽면에 위치하는 교차점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걸이홀더블록(36)의 고정걸이(37)에는 상기 탄성스트링(42)의 일단이 연결된다. 즉 스트레칭부재(40)가 고정걸이홀더블록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베개에 연결된 스트레칭부재를 잡고 운동할 수 있다.
가로지지바(32)와 세로지지바(34)가 교차하는 위치의 교차점은 스트링지지프레임의 외곽에 존재하는 교차점(33a,33b,33c) 및 내부에 존재하는 교차점(33d)로 나뉘며, 이중에서 외곽에 존재하는 교차점에만 아래의 고정걸이홀더블록이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의 교차점에도 블록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력상승을 위함이다.
또한 고정걸이홀더블록에 고정걸이(37)의 연장방향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자의 운동방향 즉 스트레칭부재의 탄성스트링이 확장되는 방향에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가로지지바와 세로지지바가 교차하는 외곽중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걸이는 사용자가 상부로 확장하는 운동을 하는 경향이 강한 것을 반영하여 상부로 돌출 및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개커버의 고정걸이홀더블록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고정걸이가 외부로 돌출가능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개커버는 투과가능한 형태의 직물 예를 들면 망사형일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는 별도의 구멍이 형성될 필요는 없다.
도 3 은 본 발명의 작동 방법 및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통상의 사용방법과 같이 베개(100)의 상부에 사용자의 머리를 두고 눕는다. 다음에 사용자는 손으로 스트레칭부재(40)의 지지손잡이(44)를 손 혹은 발로 잡고 이를 원하는 방향(D1,D2,D3)으로 당김으로써 스트레칭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레칭부재(40)를 스트링지지프레임(30)의 상부외곽에 있는 고정걸이홀더블록에 연결하고 팔로 지지손잡이를 잡은후 팔을 몸의 상부로 당기는 운동을 할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스트레칭부재(40)를 스트링지지프레임(30)의 하부외곽에 있는 고정걸이홀더블록에 연결하고 발을 지지손잡이에 끼운 후 발을 몸의 하부로 당기는 운동을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스트레칭부재(40)의 탄성스트링(42)을 원하는 위치의 고정걸이 홀더블록에 묶거나 고정시키고 탄성스트링(42)의 길이를 원하는 길이만큼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스트링지지프레임의 구성에 의해 발현된다. 사용자가 베개에 부착된 스트레칭부재를 당기면 당기는 힘에 대한 반발력때문에 사용자의 머리에 탄성의 반대방향으로 힘(W2)이 발생한다. 특히 베개는 무게가 가볍고 견고한 물체가 아니므로 사용자의 머리가 들석이거나 심하게는 상체가 들석이는등 사용자인 환자의 몸이 불편하여 스트레칭을 하기에 적당하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스트링지지프레임을 추가로 설치하고 베개쿠션이 아닌 스트링지지프레임에 스트레칭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스트레칭운동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의 머리의 하중 W1 이 베개쿠션에 비해 단단한 스트링지지프레임에 연결되게 함으로써 스트레칭부재의 반발력(탄성)에 의한 힘이 사용자의 몸에 전달되는것을 최소화시킨다. 다시말하면, 격자형상의 바가 머리하중을 받아 견고한 지지력으로 스트레칭부재의 반발력을 견딜 수 있다.
특히 격자형상의 교차점에는 블록이 형성되어 있어 그 지지하중이 더욱 증가한다.
또한 본발명의 스트링지지프레임은 기존의 베개에 장착가능한 구조이면서큰 부피와 무게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적응성도 뛰어나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운동용 베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는 도 4 의 실시예의 견착부(50)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운동용 베개(100)는 견착부(5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견착부(50)는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베개 하단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부(52)를 구비한다. 곡면부는 상기 베개의 하부로 만입된 형상으로 이 곡면부의 내측면은 인체의 어깨에 대응하는 곡률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어깨가 곡면부에 안착되어 사용자의 하중이 보다 더욱 용이하게 스트링지지프레임에 전달되어 보다 안정적인 운동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견착부(50)는 상기 곡면부의 외측 중앙부는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에 연결되기 위한 나사형상의 견착부연결부(5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교차점중에 상기 곡면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교차점에는 블록형상의 부재로서 내측방향에 나사면(381)이 형성된 견착부연결블록(38)이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견착부연결부(54)는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견착부연결블록(38)에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견착부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6 은 도 4 의 실시예의 작동 방법 및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사용자가 팔이나 특히 발로 스트레칭부재(40)를 아래도 당기는 운동(D2)를 하는 경우 사용자의 하중 W1 보다 더 큰 힘 W2이 발생하면 베개는 올바르게 지지되지 않아서 W3 방향으로 움직일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하중에 추가하여 견착부(50)가 사용자의 어깨에 만입고정되게 함으로써, 아래로 당기는 힘에 대해 받지는 지지력을 발생하게 하여 이를 보완하였다.
특히 곡면부가 어깨를 감쌈으로써 발생하는 지지력이 사용자의 상체(B)가 들썩이는 힘에 대항할수 있기 때문에 보다 올바른 스트레칭운동이 가능하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운동용 베개의 고정걸이(37)와 고정걸이홀더블록( 36)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정걸이(37)가 고정걸이홀더블록(36)으로부터 분리된 별도의 부재(60)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걸이홀더블록(36)에는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3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블록내측나사면(36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고정걸이(37)는 고리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고정걸이홀더블록(36)과 분리형성되는 분리형고정걸이부재(60)로 형성되며, 이 분리형고정걸이부재(60)는 외측에 나사면형상의 블록결합나사면(62)이 형성되고 고리형상의 스트링고정고리(64)가 형성되어 있다.
분리형고정걸이부재(60)의 블록결합나사면(62)과 고정걸이홀더블록(36)의 블록내측나사면(361)의 나사결합에 의해, 스트래칭부재(40)는 스트링지지프레임(30)에 고정결합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분리형고정걸이부재(60)가 분리가능하므로, 고정걸이홀더블록(36)중에서 스트래칭부재(40)가 연결되지 않는 고정걸이홀더블록은 고정걸이(37)가 별도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매끈하고 특히 사용자의 인체에 간섭이 없어서 사용자가 보다 좋은 착용감으로 베개 사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하면, 스트래칭부재의 탄성스트링을 고정걸이에 묶고 푸는 작업이 없이 사용자는 분리형고정걸이부재를 체결 및 분리하면되기 때문에 사용동작이 보다 간단해져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베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베개(100) 베개커버(10)
베개쿠션(20) 스트링지지프레임(30)
스트레칭부재(40) 가로지지바(32)
세로지지바(34) 고정걸이(37)
교차점(33) 고정걸이홀더블록(36)
탄성스트링(42) 지지손잡이(44)
견착부(50) 곡면부(52)
견착부연결부(54) 나사면(381)
견착부연결블록(38) 분리형고정걸이부재(60)
블록결합나사면(62) 스트링고정고리(64)

Claims (6)

  1. 삭제
  2. 누운상태에서 환자로하여금 근육운동을 보조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100)에 있어서,
    베개커버(10);
    상기 베개커버에 삽입되는 탄성있는 부재의 베개쿠션(20);
    상기 베개커버에 삽입되며, 상기 베개쿠션의 하부에 위치하는 평면의 격자형상의 부재인 스트링지지프레임(30); 및
    탄성있는 스트링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의 외곽면에 연결되는 탄성스트링(42) 및 상기 탄성스트링의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형상의 부재인 지지손잡이(44)를 포함하는 스트레칭부재(40) 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30)은,
    2개이상의 바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베개쿠션의 하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지지바(32);
    2개이상의 바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가로지지바와 수직교체하여 연장된 세로지지바(34); 및
    외측면에 고리형상의 고정걸이(37)가 형성된 블록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가로지지바와 세로지지바의 교차점(33)중에서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의 외곽면에 위치하는 교차점에 형성된 고정걸이홀더블록(36)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걸이홀더블록(36)의 고정걸이(37)에는 상기 탄성스트링(42)의 일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베개 하단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곡면부(52)를 구비하는 견착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의 외측 중앙부는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에 연결되기 위한 나사형상의 견착부연결부(5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교차점중에 상기 곡면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교차점에는 블록형상의 부재로서 내측방향에 나사면(381)이 형성된 견착부연결블록(38)이 형성되고,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견착부연결부(54)가 상기 견착부연결블록(38)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견착부가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견착부(50)는, 상기 곡면부의 내측면은 인체의 어깨에 대응되는 곡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걸이홀더블록(36)에는 상기 스트링지지프레임(3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블록내측나사 면(36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걸이(37)는 상기 고정걸이홀더블록(36)과 분리형성되는 분리형고정걸이부재(60)로 형성되어, 상기 블록내측나사면(361)에 나사결합하는 블록결합나사면(62) 및 고리형상의 스트링고정고리(6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
KR1020160006805A 2016-01-20 2016-01-20 누운 상태에서 환자로 하여금 근육운동을 보조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 KR101748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805A KR101748436B1 (ko) 2016-01-20 2016-01-20 누운 상태에서 환자로 하여금 근육운동을 보조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805A KR101748436B1 (ko) 2016-01-20 2016-01-20 누운 상태에서 환자로 하여금 근육운동을 보조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436B1 true KR101748436B1 (ko) 2017-06-16

Family

ID=5927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805A KR101748436B1 (ko) 2016-01-20 2016-01-20 누운 상태에서 환자로 하여금 근육운동을 보조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4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380B1 (ko) 2019-04-30 2019-11-07 백성윤 운동 기구
CN110448871A (zh) * 2019-07-27 2019-11-15 江苏省人民医院(南京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可移动术后起床训练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207B1 (ko) * 2009-03-18 2010-01-06 홍성권 통풍베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207B1 (ko) * 2009-03-18 2010-01-06 홍성권 통풍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380B1 (ko) 2019-04-30 2019-11-07 백성윤 운동 기구
CN110448871A (zh) * 2019-07-27 2019-11-15 江苏省人民医院(南京医科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可移动术后起床训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436B1 (ko) 누운 상태에서 환자로 하여금 근육운동을 보조하는 환자 운동용 베개
KR102054767B1 (ko) 운동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건강침대 시스템
KR20150072695A (ko) 마사지배드에 장착하는 포터블 필라테스 기구
KR101315367B1 (ko) 윗몸일으키기 운동 기구
WO2023153497A1 (ja) 姿勢矯正器具
CN208229305U (zh) 一种多功能医疗康复锻炼器
JP2002065892A (ja) ベッド付設用の運動具
CN211635061U (zh) 一种脊椎术后床上康复锻炼装置
KR200461887Y1 (ko) 다목적 복합운동기구
CN211097339U (zh) 一种下肢训练装置
KR100953220B1 (ko) 건강 증진 및 키 성장 촉진 운동기구
CN211611455U (zh) 一种卧床患者手部肌力训练器
CN103655121B (zh) 家用人体减压健身吊钩
CN208340014U (zh) 一种下肢康复装置
KR100942618B1 (ko) 재활 운동기구
JP3157654U (ja) トレーニング用足具及びトレーニング器具
CN215274115U (zh) 一种复健用护理床
CN215841460U (zh) 一种多功能床上锻炼及起床牵引绳
CN211834920U (zh) 一种多功能重症护理悬吊装置
CN217908209U (zh) 一种可以辅助康复训练的护理床
CN211836056U (zh) 一种运动防护与康复治疗多功能平台
KR960000682Y1 (ko) 운동구겸용 침대
CN203609627U (zh) 家用人体减压健身吊钩
CN213666552U (zh) 一种自助康复装置
CN102824727A (zh) 一种多功能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