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067Y1 - 장어잡이용 통발 - Google Patents

장어잡이용 통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067Y1
KR200424067Y1 KR2020060015061U KR20060015061U KR200424067Y1 KR 200424067 Y1 KR200424067 Y1 KR 200424067Y1 KR 2020060015061 U KR2020060015061 U KR 2020060015061U KR 20060015061 U KR20060015061 U KR 20060015061U KR 200424067 Y1 KR200424067 Y1 KR 2004240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main body
hook
stepped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주
Original Assignee
조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주 filed Critical 조영주
Priority to KR2020060015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0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0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0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어잡이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리줄탈착구와 통발본체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통발본체에는 상단에 삽입공이 형성된 입구부가 형성되고 고리줄탈착구에는 삽입공보다 직경이 큰 단턱이 형성된 보강체가 설치되어 단턱이 삽입공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통발본체의 제조 또한 용이하고, 결합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져 통발본체와 고리줄탈착구의 연결부분이 손상되어 부러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한 장어잡이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삽입공이 뚫린 입구부가 상부에 형성된 통발본체와; 고릿줄에 체결되는 걸고리부와, 걸고리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탈착구본체부와, 탈착구본체부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게 핀으로 체결된 탈착구결합부와 상기 탈착구결합부의 하측에 입구부의 내측에 면접되는 형상을 가진 통발본체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보강체로 구성된 고리줄탈착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장어잡이용 통발에 있어서, 상기 통발본체결합부의 하부외표면에 단입부가 일정길이만큼 단설되어 단턱이 형성됨으로써, 통발본체의 입구부가 상기 단입부에 끼워져 단턱에 계지된 장어잡이용 통발이 제공된다.
통발, 고리줄탈착구, 장어, 보강체, 결합통발본체결합부, 결합돌기

Description

장어잡이용 통발{A fish trap}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고리줄탈착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고리줄탈착구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고리줄탈착구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통발본체 2 : 고리줄탈착구
3 : 걸고리부 4 : 탈착구본체부
5 : 스프링 6 : 핀
7 : 보강체 8 : 탈착구결합부
9 : 통발본체결합부 10 : 삽입공
11 : 입구부 12 : 단턱
13 : 단입부
본 고안은 장어잡이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리줄탈착구와 통발본체의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통발본체에는 상단에 삽입공이 형성된 입구부가 형성되고 고리줄탈착구에는 삽입공보다 직경이 큰 단턱이 형성된 보강체가 설치되어 단턱이 삽입공에 체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통발본체의 제조 또한 용이하고, 결합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져 통발본체와 고리줄탈착구의 연결부분이 손상되어 부러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한 장어잡이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장어잡이 조업은 장어 통발선 등의 조업용 메인로프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통발을 연결하여 행하는데, 통발은 메인로프에 빈번히 착탈되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통발은 통발본체와, 메인로프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통발본체에 결합된 고리줄탈착구로 구성된다. 따라서 고리줄탈착구는 통발본체에 교체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결합된 고리줄탈착구가 메인로프에 체결되어 조업에 이용되고, 통발의 회수시에는 고리줄탈착구를 메인로프에서 탈거하여 행하게 된다.
고리줄탈착구는 고리줄에 체결되는 걸고리부와, 걸고리부에 일체로 형성된 탈착구본체부와, 고리줄탈착구본체와 핀으로 체결된 통발본체결합부형의 보강체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체가 통발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입구부에 체결되는 구조이다.
즉, 고리줄탈착구의 보강체의 외주면에 결합홈이 빙둘러 형성되고, 입구부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의 테두리 가장자리에 돌조가 빙 둘러 형성되어, 삽입공의 테두리에 형성된 돌조가 고리줄탈착구의 보강체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로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삽입공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돌조가 결합홈에 체결된 힘에 의하여 통발본체와 고리줄탈착구가 체결되었는데, 이는 해저면에서의 조업과, 파도 및 인양과 투여 등의 가혹한 조건에서 돌조가 파손되기 쉬워 결국 통발본체가 유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많은 재산상의 손실이 초래되었다.
그리고 통발본체의 돌조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통발본체의 성형이 까다롭고, 불량이 많이 발생하여 검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에서 통발의 유실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결합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돌조가 약간만 결합홈에서 이탈되면, 순식간에 통발본체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조업환경상 돌조의 손상이 많아서 그 체결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발본체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공에 돌조를 형성시키지 않고 매끈한 통발본체결합부의 형상으로 하여 통발본체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작업환경에서 오는 충격이나 마모 등에 의해 고리줄탈착구와의 체결에 필요한 요소의 손상이 없도록 하며, 고리줄탈착구는 통발본체에 형성된 삽입공에 체결되도록 삽입공의 직경보다 큰 최대직경을 가 진 단턱을 형성시킴으로써, 체결과 탈거를 용이하게 하면서 통발의 유실을 방지하는 장어잡이용 통발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장어잡이용 통발은 통발본체(1)와 고리줄탈착구(2)로 구성되고, 통발본체(1)와 고리줄탈착구(2)의 결합구조에 큰 특징을 가진다.
상기의 고리줄탈착구(2)는 고릿줄에 체결되는 걸고리부(3)와, 상기 걸고리부(3)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탈착구본체부(4)와, 상기 탈착구본체부(4)에 삽입된 스프링(5)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탈착구본체부(4)의 하부에 핀(6)으로 체결되는 보강체(7)로 구성된다. 여기서 보강체(7)는 탈착구본체부(4)에 결합되는 탈착구결합부(8)와, 상기 탈착구결합부(8)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통발본체결합부(9)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삽입공(10)이 뚫린 입구부(11)가 상부에 형성된 통발본체(1)와; 고릿줄에 체결되는 걸고리부(3)와, 걸고리부(3)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탈착구본체부(4)와, 탈착구본체부(4)에 스프링(5)에 의해 탄성지지되게 핀(6)으로 체결된 탈착구결합부(8)와 상기 탈착구결합부(8)의 하측에 입구부(11)의 내측에 면접되는 형상을 가진 통발본체결합부(9)가 일체로 형성된 보강체(7)로 구성된 고리줄탈착구(2);를 포함하여 구성된 장어잡이용 통발에 있어서, 상기 통발본체결합 부(9)의 하부외표면에 단입부(13)가 일정길이만큼 단설되어 단턱(12)이 형성되어, 통발본체(1)의 입구부(11)가 상기 단입부(13)에 끼워져 단턱(12)에 계지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를 가진다.
상기의 단턱(12)은 통발본체결합부(9)의 상부외표면에 연속적으로 빙둘러 형성된 실시예이고, 이와 달리 다른 실시예는 단턱(12)이 불연속적으로 단속되게 형성되게 실시할 수도 있다. 즉, 단턱(12)은 통발본체결합부(9)의 상부외표면에 돌기의 형상으로 다수개 형성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통발본체결합부(9)의 상부에 형성된 직관형상의 탈착구결합부(8)의 일단이 단턱(12)을 형성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즉, 단입부(13)는 탈착구결합부(8)와의 연결부까지 단설되어 형성됨으로써, 탈착구결합부(8)의 하단부가 단턱(12)이 되게 형성된 실시예이다.
그리고 이 경우 탈착구결합부(8)의 외경이 삽입공(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탈착구결합부(8)가 삽입공(10)에 억지끼움된 후 돌출되어 견고히 체결된다.
상기의 모든 실시예에서 단입부(13)와 접하는 단턱(12)의 경계면은 수평면으로 되어 있어, 삽입공(10)의 단부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제3실시예는 단턱(12)이 통발본체결합부(9)의 상부에 빙 둘러서 연속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예이고, 제2실시예는 단턱(12)이 통발본체결합부(9)의 상부에 빙 둘러서 형성되되 돌기의 형상을 가진 다수개로 이루어진 예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도 1과 도 2에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3과 도 4에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는 고리줄탈착구(2)의 보강체(7)에 빙 둘러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단턱(12)에 특징이 있고, 제2실시예에서는 고리줄탈착구(2)의 보강체(7)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돌기 형상의 단턱(12)에 특징이 있으며, 제2실시예는 탈착구결합부(8)의 하측단부가 단턱(12)을 이룸에 특징이 있다.
우선, 제1실시예에 따르면, 통발본체(1)의 상단에는 경사진 입구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입구부(11)의 꼭지점 부분은 절취되어 삽입공(10)이 형성된 구조이다. 삽입공(10)은 별다른 구조를 가지지 않는 매끈한 형상에 특징이 있는데, 종래의 경우는 삽입공(10)의 둘레를 따라 돌조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돌조를 형성시키지 않고 매끈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통발본체(1)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조업시의 충격 등에 의해 고리줄탈착구(2)와의 결합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리고 고리줄탈착구(2)의 보강체(7)에는 통발본체(1)의 입구부(11)의 내측에서 면접촉 되면서 결합되는 통발본체결합부(9)가 형성되고, 상기 통발본체결합부(9)의 상측에 입구부(11)에 형성된 삽입공(10)의 직경보다 큰 최대직경을 가진 단턱(12)이 단입부(13)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고리줄탈착구(2)가 통발본체(1)의 삽입공(10)으로 넣어 끼워질 때 단턱(12)이 삽입공(10)에 억지 끼움되고, 일정거리 더 끼우게 되면 단턱(12)이 통발본체(1)의 삽입공(10)의 테두리를 넘어 걸리게 된다. 이 때 통발본체(1)의 입구부(11)와 통발본체결합부(9)에 형성된 단입부(13)가 일체로 면접촉으로 접합되고, 단턱(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발본체(1)의 삽입공(10)의 테두리에 걸려 견고히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단턱(12)의 삽입공(10)의 테두리와 접촉되는 부분의 면은 수평으로 되어 있어, 고리줄탈착구(2)가 아래로 빠지지 않는 견고함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입구부(11)와 통발본체결합부(9)에 형성된 단입부(13)의 면접촉에 의한 결합과, 삽입공(10)에 억지끼움된 후 테두리에 걸려 결합된 단턱(12)에 의하여 결합력이 견고해지게 된다. 따라서 열악한 조업 환경에서의 온갖 충격에도 통발이 유실되지 않고, 결합력이 넓은 면에 걸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충격으로도 결합부가 부서지는 문제점이 해소되게 된다.
제2실시예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줄탈착구(2)의 보강체(7)에 형성된 통발본체결합부(9)의 표면에 단입부(13)가 단설되되 다수개의 단턱(12)이 돌기형상으로 여러개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다수개의 단턱(12)은 제1실시예에서의 연속적인 단턱(12)의 역할을 하게 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삽입공(10)의 테두리와 접촉되는 단턱(12)의 부분의 면은 수평으로 되어 있어, 고리줄탈착구(2)가 아래로 빠지지 않는 견고함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는 다수개의 단턱(12)에 의해 형성되는 외경이 통발본체(1)의 삽입공(10)의 직경보다 크므로, 삽입시 역시 억지끼움이 되고, 억지끼움 후에는 단턱(12)이 삽입공(10)에 걸리게 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통발본체결합부(9)에 형성된 단입부(13)는 입구부(11)와 면접촉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져, 제1실시예와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제3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체(7)의 통발본체결합부(9)의 상 부에 수직으로 입설된 직관형태의 탈착구결합부(8)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즉, 통발본체결합부(9)의 단입부(13)가 통발본체결합부(9)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탈착구결합부(8)의 하단부에까지 형성되어, 탈착구결합부(8)의 하단부가 단턱(12)이 된 경우로서, 탈착구결합부(8)의 외경은 통발본체(1)의 삽입공(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탈착구결합부(8)와 통발본체결합부(9)의 연결부는 오목한 요입홈이 빙둘러 형성된 구조가 된다.
그리고 통발본체(1)의 삽입공(10)의 가장자리는 매끈한 그대로의 형상이거나 도 5와 같이 약간 상부로 돌출된 직관의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탈착구결합부(8)가 삽입공(10)으로 통과하게 되면, 삽입공(10)의 테두리부분이 탈착구결합부(8)와 통발본체결합부(9)의 연결부에 형성된 요입홈에 안착되고, 통발본체(1)의 입구부(11)는 통발본체결합부(9)에 형성된 단입부(13)에 면접촉되게 안착되어 결합되는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통발본체(1)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공(10)에 돌조를 형성시키지 않은 입구부(11)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통발본체(1)의 제조가 용이하고, 작업환경에서 오는 충격이나 마모 등에 의해 고리줄탈착구(2)와의 체결에 필요한 요소의 손상이 없게 되며, 고리줄탈착구(2)는 통발본체(1)에 형성된 삽입공(10)에 억지 끼움되어 체결되도록 삽입공(10)의 직경보다 큰 단턱(12)이 형성됨으로써, 체결과 탈거가 용이하면서도 통발의 유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삽입공(10)이 뚫린 입구부(11)가 상부에 형성된 통발본체(1)와; 고릿줄에 체결되는 걸고리부(3)와, 걸고리부(3)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탈착구본체부(4)와, 탈착구본체부(4)에 스프링(5)에 의해 탄성지지되게 핀(6)으로 체결된 탈착구결합부(8)와 상기 탈착구결합부(8)의 하측에 입구부(11)의 내측에 면접되는 형상을 가진 통발본체결합부(9)가 일체로 형성된 보강체(7)로 구성된 고리줄탈착구(2);를 포함하여 구성된 장어잡이용 통발에 있어서, 상기 통발본체결합부(9)의 하부외표면에 단입부(13)가 일정길이만큼 단설되어 단턱(12)이 형성됨으로써, 통발본체(1)의 입구부(11)가 상기 단입부(13)에 끼워져 단턱(12)에 계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어잡이용 통발.
  2. 제 1항에 있어서, 단턱(12)은 통발본체결합부(9)의 상부외표면에 연속적으로 빙둘러 형성된 장어잡이용 통발.
  3. 제 1항에 있어서, 단턱(12)은 통발본체결합부(9)의 상부외표면에 돌기의 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장어잡이용 통발.
  4. 제 1항에 있어서, 단입부(13)는 탈착구결합부(8)와의 연결부까지 단설되어 형성됨으로써, 탈착구결합부(8)의 하단부가 단턱(12)이 되게 형성된 장어잡이용 통 발.
KR2020060015061U 2006-06-05 2006-06-05 장어잡이용 통발 KR2004240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061U KR200424067Y1 (ko) 2006-06-05 2006-06-05 장어잡이용 통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061U KR200424067Y1 (ko) 2006-06-05 2006-06-05 장어잡이용 통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067Y1 true KR200424067Y1 (ko) 2006-08-14

Family

ID=4177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061U KR200424067Y1 (ko) 2006-06-05 2006-06-05 장어잡이용 통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0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9246B1 (en) Fishhook
KR101174257B1 (ko) 그레이팅 패널의 고정구 및 그것이 설치된 고정구조
JPS589632A (ja) 甲殻類捕獲「わな」
KR101587801B1 (ko) 꽃게 및 낙지잡이 통발
KR200424067Y1 (ko) 장어잡이용 통발
CN104145064A (zh) 排水链系统和清洗链条的方法
KR101059518B1 (ko)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KR101414139B1 (ko) 멀티 롤러를 구비하는 스냅링
KR101068739B1 (ko) 낚시용 찌고무
KR20210000696U (ko) 도래와 바늘이 일체로 몰딩 성형된 갈치낚시 전용 바늘체
KR100516234B1 (ko) 어류포획기
JP3703340B2 (ja) 漁業用器具着脱器及び方法
KR200274656Y1 (ko) 고리줄 탈착구
KR200253339Y1 (ko) 통발 연결장치
KR200476951Y1 (ko) 통발연결구
JP2519648B2 (ja) 固定浮子及び浮子止ゴムの構造
KR101206325B1 (ko) 중자를 이용한 주조공법을 통해 이탈방지장치를 구성하는 테이퍼 맨홀커버
KR19980068507U (ko) 장어통발용 안내구
KR101397465B1 (ko) 통발
KR200270690Y1 (ko) 통발의 고리줄 탈착장치의 통발목 결합기구
JP3044273U (ja) ペットケージ
US7281349B1 (en) Stake assembly for animal traps
KR200428952Y1 (ko) 통발용 고리줄 탈착구
KR20090025787A (ko) 어류 포획기
CN216627167U (zh) 一种蟹笼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