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746Y1 - Terminal box - Google Patents

Terminal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746Y1
KR200423746Y1 KR2020060013333U KR20060013333U KR200423746Y1 KR 200423746 Y1 KR200423746 Y1 KR 200423746Y1 KR 2020060013333 U KR2020060013333 U KR 2020060013333U KR 20060013333 U KR20060013333 U KR 20060013333U KR 200423746 Y1 KR200423746 Y1 KR 200423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crete
terminal box
box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3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광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광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광통신
Priority to KR2020060013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74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74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02G3/085Inlets including knock-out or tear-out s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는 전화 단자함, 배전함, 배전반, 전기 분전함, TV 증폭기함, 소화전함 등의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단자함은 바닥면과, 케이블 삽입을 위해 록아웃되는 세그먼트들이 형성된 측면들을 갖으며 일면이 개방된 다면체의 상자형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면 일면을 밀폐하기 위한 커버; 및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개방면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일단은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에 지지되면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기 바닥면이 오목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봉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box of a telephone terminal box, a distribution box, a distribution board, an electrical distribution box, a TV amplifier box, a fire hydrant box, etc. installed on a wall of a building, and the terminal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ttom surface and segments locked out for cable insertion. A box-shaped case of a polyhedron having formed sides and having one side opened; A cover for sealing one open surface of the case; And a support rod positioned to face the open surface of the cas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the one end being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and the other end being supported by the cover while preventing the bottom surface from being concavely deformed by concrete pouring. It includes.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 과정 및 콘크리트 양생과정에서의 케이스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se deformation in the concrete pouring process and concrete curing process.

단자함, 케이스, 고정부재, 브래킷 Terminal box, case, fixing member, bracket

Description

단자함{TERMINAL BOX}Terminal box {TERMINAL BOX}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측면도이다. 2 is a side view of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A 선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도 4A 및 도 4B는 콘크리트 커푸집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4A and 4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stalled in the concrete formwork.

도 5A 및 도 5B는 지지봉이 설치되지 않은 케이스와 지지봉이 설치된 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5A and 5B are views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support rod is not installed and a case in which a support rod is installed.

도 6은 케이스 바닥면에 지지봉이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ar is fixed to the case bottom surface.

도 7은 변형된 케이스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case fixing member.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케이스110: case

120, 120' : 케이스 고정부재120, 120 ': case fixing member

122, 122' : 브래킷122, 122 ': bracket

140 : 지지봉140: support rod

150 : 커버 150: cover

본 고안은 건물의 벽면에 매입되는 전화 단자함, 배전함, 배전반, 전기 분전함, TV 증폭기함, 소화전함 등의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box of a telephone terminal box, a distribution box, a distribution board, an electrical distribution box, a TV amplifier box, a fire hydrant box, etc. embedded in a wall of a building.

일반적으로 모든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많은 단자함들이 벽면내부로 매설된다. 특히, 아파트의 경우에는 모든 세대마다 단자함들이 설치된다. In general, many terminal boxes are buried inside walls when all buildings are constructed. In particular, in apartments, terminal boxes are installed in every household.

기존의 단자함은 케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지는데, 케이스는 일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벽면에 매설된다. 커버는 케이스에 장착되는 통신기기(전화단자, TV 증폭기, 데이터용 허브 및 TV 분배기등)의 보호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케이스 전면에 설치된다. Conventional terminal box is composed of a case and a cover, the case is buried in the wall in the form of an open box on one side. The cover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ase in order to enhance the appearance or protection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telephone terminal, TV amplifier, data hub and TV distributor, etc.) mounted on the case.

단자함은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를 시공할 때 콘크리트 타설 이전 공정으로 단자함의 위치를 선정하여 단자함을 벽체내의 철근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콘크리트의 유동성에 의해 철근이 움직여 단자함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단자함이 콘크리트 내에 묻히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특히,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단자함 케이스의 바닥면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러한 케이스의 변형은 통신기기들 장착을 곤란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The terminal box is used to fix the terminal box to the reinforcing bars in the wall by select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box before the concrete placement process when constructing the walls of the concrete building. However, when the concrete is placed, the rebar is moved by the fluidity of the concrete and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box is changed, so that the terminal box is buried or inclined in the concrete. In particular, when the concrete is cured, a cas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box case is concave inwardly occurs, and the deformation of the case causes a difficulty in mounting communication devices.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건물의 벽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거푸집에 안정적으 로 원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box that can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ca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type of terminal box that can be stably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concrete build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box that can be installed in a concrete formwork stably in a desired posi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단자함은 바닥면과, 케이블 삽입을 위해 록아웃되는 세그먼트들이 형성된 측면들을 갖으며 일면이 개방된 다면체의 상자형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면 일면을 밀폐하기 위한 커버; 및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개방면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일단은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에 지지되면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기 바닥면이 오목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봉을 포함한다.The terminal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bottom-sided, box-shaped case of a polyhedron having one side is open and having sides formed with segments that are locked out for cable insertion; A cover for sealing one open surface of the case; And a support rod positioned to face the open surface of the cas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the one end being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and the other end being supported by the cover while preventing the bottom surface from being concavely deformed by concrete pouring. It includes.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거푸집에 지지되도록 일단이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측면들에 고정되는 케이스 고정부재들을 더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is further supported by the concrete formwork for forming the concrete wall, one end is further supported by the concrete formwork and the other end further comprises a case fixing member fixed to the sides of the case.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는 타단에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브래킷; 및 상기 브라켓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으며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형 블럭을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fixing member has a bracket having a fixing part fixed to the concrete formwork at the other end; And a detachable block having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one end of the bracket is inserted and detachably installed at a side of the case.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스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들에 끼워지도록 포크 형상의 삽입부와,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세그먼크들 사이에 제공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fixing member includes a fork-shaped insertion portion and a bracket having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concrete formwork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formed on the side of the case, the insertion groove is It is provided between the segments.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For examp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ar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denoted together for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본 고안은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벽면의 설치 위치에 정확하게 그리고 변형 없이 설치할 수 있는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단자함은 케이스 바닥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봉과 케이스를 콘크리트 거푸집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는 케이스 고정부재를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eformation of the case, and provides a terminal box that can be installed accurately and without deformation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crete wall surface,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terminal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rod and the case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case bottom surface Has a case fixing member that can support the concrete from the formwork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A 선 단면도이다.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the terminal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단자함은 단자함(100)은 케이스(110)와 케이스 고정부재(120)들, 지지봉(140) 그리고 커버(150)로 이루어진다. 1 to 3, the terminal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box 100 is composed of a case 110 and the case fixing members 120, the support rod 140 and the cover 150.

케이스(110)는 건축물의 벽면을 형성하는 철근(210)에 설치된다. 철근(210)에 설치된 케이스(110)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 미장 작업에 의해 벽면에 매설된다. The case 110 is installed in the rebar 210 forming the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The case 110 installed in the rebar 210 is embedded in the wall by concrete pouring work, plastering work.

케이스(110)는 ABS 또는 PVC 재질과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10)는 전화단자, TV 증 폭기, 데이터용 허브 및 TV 분배기등과 같은 통신기기(미도시됨)들이 장착되는 바닥면(112)과, 측면들(114)을 갖는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바닥면에는 별도의 속판이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의 측면들(114)에는 세그먼트(segment;118)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세그먼트(130)는 필요시 타격을 가하면 쉽게 떨어져 나갈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측면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세그먼트(118)의 가장자리는 타격시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세그먼트(118)가 떨어져 나간 곳에는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케이블 삽입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측면(114)에는 케이스(110)를 보다 튼튼하게 매설시키기 위한 철근이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119)가 형성된다.The case 110 is preferably molded and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ABS or PVC material, and is formed in a box shape with one surface open. The case 110 has a bottom surface 112 and side surfaces 114 on which communication devices (not shown), such as a telephone terminal, a TV amplifier, a data hub and a TV distributor, are mounted.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plate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 plurality of segments 118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114 of the case. The segment 130 is preferably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side thickness of the case 110 so that it can easily fall off when hitting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edge of the segment 118 may be formed with an incision so that it can easily fall off when hitting. Where the segment 118 is separated so that the cable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cable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addition, a hook 119 is formed at the side surface 114 of the case 110 to which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to fix the case 110 more firmly.

케이스 고정부재(120)는 케이스(110)가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거푸집(200;도 4a에 도시됨)에 보다 튼튼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케이스(110)의 위치 틀어짐 및 콘크리트 속으로 매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스 고정부재(120)는 케이스(110)가 콘크리트 거푸집(200;도 4a에 도시됨)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브래킷(122)과 분리형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The case fixing member 120 allows the case 110 to be more firmly fixed to the concrete formwork 200 (shown in FIG. 4A) for forming the concrete wall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ase 110 may be generated in the concrete pouring process. This is to prevent twisting and burial into concrete. The case fixing member 120 includes a bracket 122 and a detachable block so that the case 110 can be stably support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concrete formwork 200 (shown in FIG. 4A).

브래킷(122)은 하단부분이 꺾여진 " ┓"자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진다. 브래킷(122)은 콘크리트 거푸집(200)에 체결부재(볼트나 못)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124a)를 갖으며, 브래킷(122)의 상단부(124b)는 분리형 블록(126)의 삽입홈(128)에 삽입된다. 브래킷(122)은 앞에서 언급한 판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브래킷은 케이스를 콘크리트 거푸집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탱해줄 수 있는 구조라면 막대, 핀, 블록 등의 다양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 Bracket 122 is made of a plate of the "┓" shape is bent bottom portion. The bracket 122 has a fixing part 124a fixed to the concrete formwork 200 by a fastening member (bolt or nail), and the upper end part 124b of the bracket 122 is an insertion groove of the detachable block 126 ( 128). The bracket 122 may have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plate shape mentioned above. For example, the bracket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rods, pins, blocks, and the like as long as the bracket can stably support the case from the concrete formwork.

분리형 블록(126)은 나사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케이스(110)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분리형 블록(126)의 삽입홈(128)은 밑에서 위쪽으로 브래킷(122)이 삽입될 수 있는 슬롯형태로 이루어진다. 분리형 블록(126)은 3개의 나사에 의해 케이스(110) 측면에 설치되며, 그 장착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detachable block 126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ase 110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screws. The insertion groove 128 of the detachable block 126 has a slot shape in which the bracket 122 can be inserted from the bottom upward. The detachable block 126 is installed at the side of the case 110 by three screws, and the mounting position thereof may be variously changed.

도 4A 및 도 4B에는 케이스 고정부재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케이스에 설치된 예를 보여준다. 도면에서와 같이, 케이스 고정부재(120)는 분리형 블록(126)의 장착 위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주변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콘크리트 벽체에는 케이블들이 지나가는 다수의 관들과 철근(210)들이 매설되게 되며, 일부의 관들은 케이스(110)의 케이블 삽입홀에 연결되기 때문에 케이스 고정부재(120)가 케이스(110)에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구조에 비해 케이스(110) 장착 작업이 상대적으로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장착하고자 하는 주변 환경에 따라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서 호환성이 매우 뛰어나다. 4A and 4B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case fix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cas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case fixing member 120 may be selec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install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removable block 126. For example, the concrete wall is embedded with a plurality of pipes and reinforcing bars 210 through which the cables pass, and some of the pipes are connected to the cable insertion hole of the case 110, so that the case fixing member 120 is integrated into the case 110. Compared with the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case 110, the mounting work is relatively convenient and the position thereof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be mounted, and thus the compatibility is very excellent.

이처럼, 본 고안의 단자함은 케이스 고정부재를 케이스에 일체형으로 제작하지 않고 착탈 가능한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만큼의 세그먼트들을 케이스 측면들에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위치의 세그먼트를 제거한 후 케이블 삽입홀들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케이스 고정부재로 인한 위치 선정에 따른 제약이 발생되지 않는다. As such, the terminal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a detachable structure without making the case fixing member integrally with the case, so that not only the segments required by the user can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case, but also the segment of the desired position can be formed. After removal, there are no restrictions due to the position selection due to the case fixing member.

도 7은 변형된 케이스 고정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case fixing member.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고정부재(120')는 브래킷(122')으로만 이루어진다. 브래킷(122')은 콘크리트 거푸집(200)에 고정되는 고정부(123a)와, 케이스(110)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11)들에 끼워지는 삽입부(123b)를 갖는다. 삽입부(123b)는 2개의 가지(prong;123c)를 갖는 포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브래킷(122')의 삽입부(123b)가 삽입되는 삽입홈(111)들은 세그먼트(118)들 사이에 제공된다. 즉, 이러한 포크 형상의 삽입부(123b)를 갖는 브래킷(122')은 세그먼트(118)들을 가로막지 않고 케이스(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 장착 위치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케이스 고정부재(120')는 앞에서 언급한 케이스 고정부재(120)보다 설치 작업이 간단하다.As shown in FIG. 7, the case fixing member 120 ′ is formed only of the bracket 122 ′. The bracket 122 ′ has a fixing part 123a fixed to the concrete formwork 200 and an insertion part 123b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111 formed on the side of the case 110. The insertion portion 123b has a fork shape having two prongs 123c. Insertion grooves 111 into which the insertion portion 123b of the bracket 122 'is inserted are provided between the segments 118. That is, the bracket 122 ′ having the fork-shaped insert 123b may be mounted to the case 110 without blocking the segments 118, and the mounting position thereof may be changed. The case fixing member 120 'of this structure is simpler to install than the case fixing member 120 mentioned above.

도 5A 및 도 5B는 지지봉이 설치되지 않은 케이스와 지지봉이 설치된 케이스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5A and 5B are views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support rod is not installed and a case in which a support rod is installed.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40)은 케이스(110)의 바닥면(112)으로부터 케이스(110)의 개방면을 향하도록 위치되며, 일단은 바닥면(112)에 2개의 나사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커버(150)에 지지된다. 지지봉(140)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서 바닥면(112)이 안쪽으로 오목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지지봉(140)은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난 이후에 제거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봉(140)이 나사에 의해 케이스 바닥면(112)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6에서와 같이, 케이스 바닥면(112)에는 홈(112a)을 형성하고 지지봉(140)에는 그 홈(112a)에 끼워지는 돌기(142)를 형성하여 조립하는 구조로 제작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support rod 140 is positioned from the bottom surface 112 of the case 110 toward the open surface of the case 110, one end of which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112. It is fixed by a screw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cover 150. The support rod 140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bottom surface 112 from being concave inward due to the concrete pouring. The support rod 140 is removed after the concrete is cured.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rod 140 is described as being fixed to the case bottom surface 112 by a screw, but as shown in Figure 6, the case bottom surface 112 is formed with a groove (112a) and the support rod 140 It is also possible to fabricate a structure in which the projections 142 fitted into the grooves 112a are formed and assembled.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단자함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box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take various form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abov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o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단자함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 및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의 케이스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case in the concrete placing and concrete curing process.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만큼의 세그먼트들을 케이스 측면들에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위치의 세그먼트를 제거한 후 케이블 삽입홀들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케이스 고정부재로 인한 위치 선정에 따른 제약이 발생되지 않는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form as many segments on the side of the case as the user needs, but also remove the segment of the desired position and use it as cable insertion holes. It doesn't work.

본 고안의 단자함은 케이스가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거푸집에 보다 튼튼하게 고정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케이스의 위치 틀어짐 및 콘크리트 속으로 매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erminal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uried into the concrete and the position of the case that can be generated during the concrete placing process by being more firmly fixed to the concrete formwork for forming the concrete wall.

본 고안의 단자함은 세그먼트들을 가로막지 않고도 케이스를 콘크리트 거푸집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terminal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case to the concrete formwork without blocking the segments.

Claims (4)

콘크리트 벽체에 매입되는 단자함에 있어서:In terminal boxes embedded in concrete walls: 바닥면과, 케이블 삽입을 위해 록아웃되는 세그먼트들이 형성된 측면들을 갖으며 일면이 개방된 다면체의 상자형 케이스; A box-shaped case of a polyhedron having a bottom surface and side surfaces having segments formed with segments locked out for cable insertion; 상기 케이스의 개방면 일면을 밀폐하기 위한 커버; 및A cover for sealing one open surface of the case; And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개방면을 향하도록 위치되고, 일단은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에 지지되면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상기 바닥면이 오목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It is positioned to face the open surface of the cas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one end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cover while the support rod for preventing the bottom surface is concave deformed by concrete pouring A terminal box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가 상기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거푸집에 지지되도록 일단이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측면들에 고정되는 케이스 고정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And a case fixing member having one end supported by the concrete formwork and the other end fixed to side surfaces of the case such that the case is supported by the concrete formwork for forming the concrete wall.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는 The case fixing member 타단에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브래킷; 및A bracket having a fixing part fixed to the concrete formwork at the other end; And 상기 브라켓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으며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형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Termina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tachable block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ase having an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bracke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케이스 고정부재는 The case fixing member 상기 케이스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들에 끼워지도록 포크 형상의 삽입부와,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갖는 브래킷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bracket having a fork-shaped insertion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fixed to the concrete formwork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s formed on the side of the case, 상기 삽입홈은 상기 세그먼크들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The insertion groove is a terminal box,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etween the segment.
KR2020060013333U 2006-05-18 2006-05-18 Terminal box KR20042374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333U KR200423746Y1 (en) 2006-05-18 2006-05-18 Terminal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333U KR200423746Y1 (en) 2006-05-18 2006-05-18 Terminal bo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746Y1 true KR200423746Y1 (en) 2006-08-11

Family

ID=41772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333U KR200423746Y1 (en) 2006-05-18 2006-05-18 Terminal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74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371A (en) * 2018-09-21 2020-03-31 김근태 Household Integrated Distribution Box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371A (en) * 2018-09-21 2020-03-31 김근태 Household Integrated Distribution Box
KR102173649B1 (en) 2018-09-21 2020-11-04 김근태 Household Integrated Distribution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244B1 (en) Terminal box
KR200423745Y1 (en) Terminal box
KR200423746Y1 (en) Terminal box
KR200401184Y1 (en) Terminal box
US6710244B1 (en) Base board system for installing wiring and method therefor
KR20090005872U (en) Terminal box
KR100655132B1 (en) A construction method for laying wall of buiding a concent box
KR20090128076A (en) Terminal box
KR101511952B1 (en) Outlet unit of reclaimed type
KR200334688Y1 (en) bury in ceiling type electric wire box
KR200377095Y1 (en) bury in ceiling type electric wire box for ceilling lamp
KR100910646B1 (en) Terminal box for communication and electricity
KR200207345Y1 (en) Case a terminal box
KR100765384B1 (en) Insert assembly for building cast
JP3574969B2 (en) Buried box device, buried box and bar material for mounting buried box
KR100655141B1 (en) A method for constructing a concent box
JP6209306B2 (en) Reinforcing bar arrangement member an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273535Y1 (en) Electric box for fixing switch and outlet
KR200300947Y1 (en) Junction box for interior wiring
KR200236122Y1 (en) A terminal box
KR200408578Y1 (en) A multimedia terminal box
KR200416250Y1 (en) Joint piece coupling structure of outlet box
KR20090131960A (en) A building material improved construction ability to a building
KR200258011Y1 (en) Terminal box
KR101794616B1 (en) Architectural concrete wall with nail fix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