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952B1 - Outlet unit of reclaimed type - Google Patents

Outlet unit of reclaimed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952B1
KR101511952B1 KR20130101640A KR20130101640A KR101511952B1 KR 101511952 B1 KR101511952 B1 KR 101511952B1 KR 20130101640 A KR20130101640 A KR 20130101640A KR 20130101640 A KR20130101640 A KR 20130101640A KR 101511952 B1 KR101511952 B1 KR 10151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ain body
communication terminal
coupling hole
bl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4583A (en
Inventor
이종호
이병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이에스신동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이에스신동아(주) filed Critical 파나소닉이에스신동아(주)
Priority to KR2013010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952B1/en
Publication of KR2015002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5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추가 모듈 증설시 본체(몸체)를 벽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시공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바닥 또는 벽면에 매설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전기콘센트 모듈과, 상기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는 통신단자 모듈을 포함하는 매립형 콘센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전기콘센트 모듈이 탈부착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다수개의 통신단자 모듈이 탈부착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2결합공에 탈부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랭크 모듈이 구비되어 통신단자 증설시 상기 블랭크 모듈은 소정 규격의 통신단자 모듈과 교체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결합공에 탈부착 가능한 블랭크 모듈이 구비되어 있어 추가 모듈 증설시 본체를 벽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블랭크 모듈을 쉽게 제거하여 추가 모듈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ug-in receptacle unit which is easy to expand and replace a module, and can complete construction without detaching a main body (body) from a wall when an additional modul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embedded in a floor or a wall surface of a structure; an electrical outlet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flush-type receptacle unit including a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 first coupling hole through which the electrical outlet modul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a second coupling hol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s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t least one The blank module is replaced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of a predetermined standard when a communication terminal is ad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ank modul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main body, the blank module can be easily removed without removing the main body from the wall during the extension of the additional module, .

Description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OUTLET UNIT OF RECLAIMED TYPE}OUTLET UNIT OF RECLAIMED TYPE < RTI ID = 0.0 >

본 발명은 매립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기본적인 전원콘센트 모듈을 제외한 여러 종류의 모듈을 용이하게 확장 및 교체할 수 있는 구조의 매립형 콘센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sh-type socket-out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ush-type socket-outlet uni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asily expanding and replacing various kinds of modules except a basic power outlet module.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벽면에는 스위치 또는 전원 콘센트를 설치하기 위한 콘센트 박스를 콘크리트 타설 작업 전에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벽면에 밀착시킨 후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영생시켜 콘크리트 벽면에 매설되도록 작업하고 있으며, 양생 후 콘센트 박스의 전면에 콘크리트 벽체의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Generally, on the wall of reinforced concrete, an outlet box for installing a switch or a power outlet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ncrete formwork before the concrete pouring work, and then the cement mortar is injected and immersed in the concrete wall to be buried in the concrete wall. To the surface of the concrete wall.

사무실이나 공동주택 등의 가정에서 사용되는 플러그를 꼭지 위한 콘센트는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에 설치된 콘센트 박스를 먼저 가설한 뒤 거푸집을 포함한 콘센트 박스 전체를 콘크리트로 양생하여 시공하며, 이후 콘센트를 콘센트 박스 내에 넣어 조립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전원플러그, 통신단자용 잭, 인터넷 네트워크 잭 등의 콘센트로 사용되며, 건물의 천장 내 배선용 리셉터클(이동식 콘센트) 등의 전원공급원이 된다.In an outlet for a plug used in a home such as an office or a residential house, the outlet box installed in the form is installed before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building, and the entire outlet box including the form is cured with concrete. It can be used as an outlet for various kinds of power plugs, jacks for communication terminals, internet network jacks, etc., and becomes a power supply source for wiring receptacles (mobile receptacles) i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이러한 통신용 및 인터넷용 접속잭, 전원공급용 단자 등의 콘센트(고정식) 등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단자함, 외함, 전선관, 시스템 박스, 콘센트 박스 등의 내부에 형성된 콘센트에 플러그, 잭 등을 접속하여 전원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크게 분류해 보면 벽 매설형 콘센트 박스(단자함, 외함, 전선관, 콘센트 박스 Outlet box for wall)와, 바닥 배선용 콘센트 박스(전선관, 시스템 박스 등 System box of a floor covered type)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In order to install such an outlet (fixed type) such as a connection jack for communication and internet, a power supply terminal, etc., a plug or a jack is connected to an outlet formed in the terminal box, the enclosure, the conduit, the system box, Two types of wall-mounted outlet box (terminal box, enclosure, conduit box, outlet box for wall) and outlet box for floor wiring (conduit, system box, etc.) Respectively.

전자는 콘크리트 시공 전에 건물의 벽면에 매설되는 것이고, 후자는 건물 바닥에 매설되는 것이며, 전·후자 공통적으로 거푸집에 안착되는 외함구조의 콘센트 박스를 갖고 그 내부에 단자공, 잭 삽입공 등이 형성된 콘센트를 형성하는 점에서 유사하며, 사무실 바닥에 설치되므로 수시로 책상, 의자 등에 의하여 사용자들이 밟아도 파손되지 않는 견고하고 완벽한 안정성이 마련된 커버 구조를 가져야 하나, 공동주택의 경우 실내에서 가전제품의 플러그, 인터넷 접속용 잭, 공동 안테나선 등을 사용하기 위한 콘센트만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감전 위험을 방지하는 안전 커버를 마련하는 점에서 건물의 벽 설치용과 바닥 설치용으로 구분된다.The former is embedded in the wall of the building before concrete construction, the latter is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building, and the outlet box having an enclosure structure that is seated on the former and the latter in common, and a terminal hole and a jack insertion hole Since it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office, it is required to have a cover structure provided with firm and perfect stability that is not damaged even when users step on the desk, chair, etc. at times. In the case of the apartment house, Since it is exposed only the outlet for using the connecting jack, the common antenna wire, etc., it is divided into the wall installation for the building and the floor installation for providing a safety cover for preventing the risk of electric shock.

상술한 콘센트 박스의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2933호 '벽체 매입형 아웃렛'이 공지된 바 있다.In the conventional art of the above-mentioned outlet box,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2933 entitled " Wall-mounted type outlet " has been known.

상기한 종래의 벽체 매입형 아웃렛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벽체에 설치되는 매입 박스에 하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몸체 홈(15) 내에 적어도 전기 콘센트 어셈블리(17) 및 TV 연결단자(19)를 가지며 상부의 일측 끝단 양측 모서리에 회전홈(25) 및 안착홈(27)을 갖는 회전브래킷(23)이 형성된 몸체(13)와, 상기 회전브래킷(23)에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외주에 측면을 가지며 상기 측면에 상기 몸체(13)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전기 콘센트 어셈블리(17) 및 TV 연결단자(19)에 연결되는 전원연결코드 및 TV신호 연결코드를 상기 몸체(13)의 외부로 인출하는 전선 인출구(33)가 형성된 몸체 덮개(29)를 포함한다.1, a lower portion is inserted into an embedding box provided on a building wall and is coupled to at least an electrical outlet assembly 17 and a TV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And a rotary bracket 23 having a rotary groove 25 and a receiving groove 27 formed at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upper end of the rotary bracket 23, A power connection cord and a TV signal connection cord, which ar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outlet assembly 17 and the TV connection terminal 19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13 is covere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3, And a body cover 29 on which a wire drawing-out port 33 for drawing out is formed.

이에 따른 종래의 벽체 매입형 아웃렛은, 연결코드와 무관하게 몸체 덮개(29)를 열거나 닫을 수 있으므로 수리 또는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전선 인출구(33)가 몸체 덮개(29)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body cover 29 can be opened or closed irrespective of the connection cord, it is easy to repair or maintain, and the wire outlet 33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cover 29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벽체 매입형 아웃렛은 TV 연결단자(19)와 통신단자(21)가 몸체(13)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차후 추가 모듈 증설시 몸체(13)를 벽체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TV connection terminal 19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21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body 13, the conventional wall-hung type outlet is required to completely separate the body 13 from the wall at the time of additional additional module addition .

또한, 통상 콘센트 박스나 아웃렛 시공시 전기와 통신의 경우 설치공사 부분이 나누어져 있으나 전기 콘센트와 통신단자가 몸체(1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콘센트 박스나 아웃렛의 몸체(13)가 벽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기시공과 통신시공을 동시에 진행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electrical outlet and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an outlet box or an outlet, the installation work is divided. However, since the electrical outlet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body 13,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ic construction and the communication construction must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in a separated state.

KRKR 20-035430420-0354304 Y1Y1 KRKR 20-046293320-0462933 Y1Y1

앞선 배경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 모듈 증설시 콘센트 박스의 몸체를 벽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시공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prior art is to provide a flush type receptacle unit which is easy to expand and replace a module so that the installation can be completed without detaching the body of the outlet box from the wall when the additional module is added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단자 부분과 통신단자 부분을 따로 시공하여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ush-type receptacle unit in which a module can be expanded and replaced easily so that an electric terminal portion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portion can be separately installed and work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조물의 바닥 또는 벽면에 매설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전기콘센트 모듈과, 상기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는 통신단자 모듈을 포함하는 매립형 콘센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전기콘센트 모듈이 탈부착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다수개의 통신단자 모듈이 탈부착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2결합공에 탈부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랭크 모듈이 구비되어 통신단자 증설시 상기 블랭크 모듈은 소정 규격의 통신단자 모듈과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object can be achieved by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embedded in a floor or a wall surface of a structure, an electrical outlet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In the receptacle unit, a first coupling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detachably attach the electrical outlet module, and a second coupling hole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s are detachably attached. Wherein at least one blank module is provided, and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the blank module is replaced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of a predetermined standar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결합공 둘레의 인접부 저면에는 걸림후크가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전기콘센트 모듈의 상단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plurality of hooking hook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djoining portion around the first coupling hol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hooking jaw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electrical outlet module And the hook is hooked and fix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단자 모듈 및 상기 블랭크 모듈은, 사각 형태의 블록체와, 상기 블록체의 양측 벽면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후크와, 상기 블록체의 양측 벽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공의 측벽에는, 상기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편이 걸림결합되는 걸림턱이 대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and the blank module have a rectangular block body, a latching hook formed at a lower end of both side walls of the block body, and a latching piece formed at an upper end of both side walls of the block body And a latching protrusion is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second coupling hole so that the latching hook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piece.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단자 및 상기 블랭크 모듈은, 상기 블록체의 중심부를 향해 단차진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lank module further include a stepped step toward a central portion of the block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결합공의 측벽에는, 상기 통신단자 및 상기 블랭크 모듈이 서로 분리 탈부착되도록 하는 구획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a partition protrusion is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second coupling hole so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lank module are detachab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에 의하면, 본체의 결합공에 탈부착 가능한 블랭크 모듈이 구비되어 있어 추가 모듈 증설시 본체를 벽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블랭크 모듈을 쉽게 제거하여 추가 모듈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buried socke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dule can be easily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coupling hole of the main body, the blank module can be easily removed So that the efficiency of operation can be improved.

또한, 블랭크 모듈의 간편한 제거 및 통신단자 모듈로의 교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전기단자 부분과 통신단자 부분을 따로 시공하여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lank module can be easily removed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can be easily replaced, the electric terminal portion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portion can be separately installed and the operation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도1은 종래의 벽체 매입형 아웃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와 측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블랭크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5는 도3의 A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모듈을 본체로부터 탈거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실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all-embedded type outle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a side view, and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flush-type receptacle unit in which modules can be expanded and replaced easi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ush-type receptacle unit in which a module can be easily expanded and repla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lank module of Figure 3,
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of Fig. 3,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ank module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은,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바닥 또는 벽면에 매설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전기콘센트 모듈(400)과, 상기 본체(200)의 타측에 마련되는 통신단자 모듈(6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flush-type socket outle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200 embedded in a floor or a wall surface of a structure, An electrical outlet module 400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60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00.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200)의 일측에는 전기콘센트 모듈(400)이 탈부착되는 제1결합공(220)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200)의 타측에는 다수개의 통신단자 모듈(600)이 탈부착되는 제2결합공(240)이 형성되되, 상기 제2결합공(240)에 탈부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랭크 모듈(700)이 구비되어 통신단자 증설시 상기 블랭크 모듈(700)은 소정 규격의 통신단자 모듈과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콘센트 유닛이 벽면에 매설된 상태에서 블랭크 모듈(700)이 전면에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차후 모듈 확장시 주문에 따라 8P통신모듈과 광단자모듈 등 다양한 통신단자 모듈이 장착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upling hole 2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200 to which the electrical outlet module 400 is detachably attached,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At least one or more blank modules 700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coupling holes 240 to allow the blank module 700 to be installed when a communication terminal is installed, Is replaced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of a predetermined standar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ank module 700 is detachably attachable from the front face in a state where the socket unit is embedded in the wall surface, various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s such as the 8P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optical terminal module are mounted It becomes possible.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제1결합공(220) 둘레의 인접부 저면에는 걸림후크(230)가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전기콘센트 모듈(400)의 상단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의 걸림턱(420)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후크(230)가 걸림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걸림턱(420)과 걸림후크(230)는 상기 전기콘센트 모듈(400)이 상기 제1결합공(220)에 탈부착되는 것을 간편하게 하고, 추후 파손이나 고장 등의 이유로 전기콘센트 모듈(400)을 보수할 때에도 본체(200)로부터 모듈만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a plurality of hooking hooks 230 are protru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vicinity of the first coupling hole 2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locking protrusion 42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n upper end of the locking hook 230 so that the locking hook 230 is locked. The latching jaw 420 and the latching hook 23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implify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electrical outlet module 400 to and from the first coupling hole 220 and allow the electrical outlet module 400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module from the main body 200 and replace it easily.

상기 통신단자 모듈(600) 및 상기 블랭크 모듈(7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본 실시예에서는 블랭크 모듈을 도시함), 사각 형태의 블록체(710)와, 상기 블록체(710)의 양측 벽면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후크(720)와, 상기 블록체(710)의 양측 벽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편(7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공(240)의 측벽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후크(720)와 상기 걸림편(740)이 걸림결합되는 걸림턱(250)이 대응 형성된다. 4,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600 and the blank module 700 include a rectangular block body 710 and a block body 710, And hooking pieces 740 formed at the upper ends of both side walls of the block body 710. The hook 72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both side walls of the block body 710, As shown in FIG. 5, a locking protrusion 250 is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second coupling hole 240 to engage the locking hook 720 with the locking protrusion 740.

상기와 같은 구성의 통신단자 모듈(600) 및 블랭크 모듈(700)은 매설된 콘센트 유닛의 본체(200)를 매설지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전면에서 간단한 도구만으로 상기 통신단자 모듈(600)이나 상기 블랭크 모듈(700)을 쉽게 탈거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단자의 교체 작업이나 확장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통신단자 모듈(600)이나 블랭크 모듈(700)을 탈거하기 위한 도구로는 해당 기술분야의 작업자들이 흔히 사용하는 일자 드라이버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과 제2결합공(240)의 걸림턱(25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극에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쐐기 형태로 끼워 상기 모듈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600 and the blank module 7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mounted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600 or the blank module 700 with a simple tool from the front without detaching the main body 200 of the socket- (700) can be easily removed, so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asily replaced or extended. Here, the tool for remov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600 and the blank module 700 may be a flat screwdriver or the like commonly used by workers in the related art, The module can be easily removed by inserting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into the gap formed between the latching jaws 250 in a wedge shape.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단자 모듈(600) 및 상기 블랭크 모듈(700)은 상기 블록체(710)의 중심부를 향해 단차진 단턱(71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6의 실시도와 같이 엄지손가락 등으로 상기 단턱(712) 부위를 밀어젖히는 것만으로도 상기 통신단자 모듈(600) 및 상기 블랭크 모듈(700)을 제2결합공(240)으로부터 쉽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한다.4,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600 and the blank module 700 further include stepped ends 712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block body 710,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600 and the blank module 70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second coupling hole 240 by pushing the step 712 with a thumb or the lik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

그리고,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제2결합공(240)의 측벽에는 구획돌기(26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획돌기(260)는 도2 내지 도3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상기 통신단자 모듈(600) 및 상기 블랭크 모듈(700)을 탈부착할 때(특히 부착할 때) 인접한 위치의 걸림턱(250)이나 모듈의 간섭 없이 시공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모듈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2결합공(24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5, it is preferable that a partitioning protrusion 260 is further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second coupling hole 240. As shown in FIGS. 2 to 3, the partitioning protrusion 26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600 and the blank module 70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each module can be fitted into the second coupling hole 240 in an aligned state.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에 의하면, 본체(200)의 제2결합공(240)에 탈부착 가능한 블랭크 모듈(700)이 구비되어 있어 추가 모듈 증설시 본체(200)를 벽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블랭크 모듈(700)을 쉽게 제거하여 추가 모듈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랭크 모듈(700)의 간편한 제거 및 통신단자 모듈(600)로의 교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전기단자 부분과 통신단자 부분을 따로 시공하여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buried socke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20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coupling hole 240 of the main body 200 so that the main body 200 The blank module 700 can be easily removed and the additional module can be replaced without separating it from the wall, so that the working efficiency is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blank module 700 can be easily removed and replaced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600,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the work by separately installing the electric terminal portion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portion.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라면 하기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s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ll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200: 본체 220: 제1결합공
230: 걸림후크 240: 제2결합공
250: 걸림턱 260: 구획돌기
400: 전기콘센트 모듈 420: 걸림턱
600: 통신단자 모듈 620: 걸림후크
700: 블랭크 모듈 710: 블록체
712: 단턱 720: 걸림후크
740: 걸림편 900: 덮개
200: main body 220: first engaging hole
230: hooking hook 240: second engaging hole
250: latch jaw 260: block protrusion
400: electrical outlet module 420: latching jaw
600: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620: hooking hook
700: Blank module 710: Block body
712: step 720: hooking hook
740: latching piece 900: cover

Claims (5)

구조물의 바닥 또는 벽면에 매설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전기콘센트 모듈과, 상기 본체의 타측에 마련되는 통신단자 모듈을 포함하는 매립형 콘센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전기콘센트 모듈이 탈부착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다수개의 통신단자 모듈이 탈부착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2결합공에 탈부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랭크 모듈이 구비되어 통신단자 증설시 상기 블랭크 모듈은 소정 규격의 통신단자 모듈과 교체되며,
상기 통신단자 모듈 및 상기 블랭크 모듈은,
중심부를 향해 단차진 단턱이 형성된 블록체와,
상기 블록체의 양측 벽면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후크와,
상기 블록체의 양측 벽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공의 측벽에는, 상기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편이 걸림결합되는 걸림턱이 대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
1. A flush-type socket unit comprising: a main body embedded in a bottom surface or a wall surface of a structure; an electrical outlet modu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 first coupling hole through which the electrical outlet module is detachably attach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t least one or more blank modules detachably mountable to the second coupling hole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blank modul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 / RTI >
Where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module and the blank module comprise:
A block body having a stepped step toward the center,
A locking hook formed at the lower ends of both side walls of the block body,
And engaging pieces formed on upper ends of both side walls of the block body,
And a latching protrusion is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second coupling hole so that the latching hook and the latching piec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공 둘레의 인접부 저면에는 걸림후크가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전기콘센트 모듈의 상단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hooking hooks are protrud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djacent portion around the first coupling hol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electrical outlet modul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fix the locking hoo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공의 측벽에는, 상기 통신단자 및 상기 블랭크 모듈이 서로 분리 탈부착되도록 하는 구획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확장 및 교체가 용이한 매립형 콘센트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wall of the second coupling hole is further formed with a partitioning protrusion for allow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lank module to be detached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KR20130101640A 2013-08-27 2013-08-27 Outlet unit of reclaimed type KR101511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640A KR101511952B1 (en) 2013-08-27 2013-08-27 Outlet unit of reclaimed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640A KR101511952B1 (en) 2013-08-27 2013-08-27 Outlet unit of reclaimed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583A KR20150024583A (en) 2015-03-09
KR101511952B1 true KR101511952B1 (en) 2015-04-14

Family

ID=5302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640A KR101511952B1 (en) 2013-08-27 2013-08-27 Outlet unit of reclaimed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9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71Y1 (en) * 2016-05-02 2017-11-24 (주)쎄턴텔레콤 Assembling multi outlet box
KR102574763B1 (en) * 2023-06-12 2023-09-06 주식회사 파디플 modular adap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9737A (en) 2000-05-12 2001-11-16 Sanwa Denki Kogyo Co Ltd Receptacle panel
KR200445607Y1 (en) 2007-08-08 2009-08-17 아남르그랑 주식회사 Building structure for wiring apparatus of workst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9737A (en) 2000-05-12 2001-11-16 Sanwa Denki Kogyo Co Ltd Receptacle panel
KR200445607Y1 (en) 2007-08-08 2009-08-17 아남르그랑 주식회사 Building structure for wiring apparatus of work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583A (en) 201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9813B1 (en) Smart home electric power connecting system
CA2487750C (en) Flush poke-through fitting
US8759676B1 (en) Electrical box assembly for concrete poured floors
US20050126812A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telephone or other cordless device in a building structure and related methods
KR101511952B1 (en) Outlet unit of reclaimed type
KR101093898B1 (en) ElectricitySwitch box buying a model for a building
KR101509714B1 (en) Prefabricated Cable Duct
US9941679B1 (en) Interlocking floor box with extended locking conduit hubs
US6710244B1 (en) Base board system for installing wiring and method therefor
KR20170088541A (en) Panel Wall-Buried Composite Electric Terminal Box
US20100101818A1 (en) Hybrid electrical cover plate
KR200485071Y1 (en) Assembling multi outlet box
US8802979B2 (en) Tamper-resistant self-contained receptacle
EP1109270A2 (en) Socket-outlet for lighting fixture
CN210201235U (en) Distribution box
WO2018083435A1 (en) Quicwire wiring system
KR20100054495A (en) Wall outlet assembly and wiring device using the same
WO2001031759A1 (en) A method of providing a mounting frame for electrical components, a coupling frame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a concealed electrical installation system for cooperation with the coupling frame
KR20050018914A (en) A power distributer for a street furniture
KR200423752Y1 (en) Wire box for distributing floor
KR200492152Y1 (en) Fixing system for outlet box on building wall
KR101049047B1 (en) Wall buried outlet box
US20080108249A1 (en) Methods and improved apparatus for wall mounted cable ports
EP1250739A1 (en) Plug-in electrical accessories
EP1962399A1 (en) Distribution box for raised fl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