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696Y1 - 직접대역확산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직접대역확산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696Y1
KR200423696Y1 KR2020060010006U KR20060010006U KR200423696Y1 KR 200423696 Y1 KR200423696 Y1 KR 200423696Y1 KR 2020060010006 U KR2020060010006 U KR 2020060010006U KR 20060010006 U KR20060010006 U KR 20060010006U KR 200423696 Y1 KR200423696 Y1 KR 200423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ntrol command
power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기
박양하
손강호
김찬용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2020060010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6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6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15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으로 전력장치의 수/배전 상태를 감시와 제어하는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입력되는 전기를 수전 받아 외부로 공급하는 수/배전부의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송신하는 제1기기와, 상기 제1기기로부터 상기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2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기기는 제어명령신호를 상기 제1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1기기는 상기 제2기기로부터 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배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1기기 및 제2기기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으로 무선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이다.
본 고안은 통신선의 포설 등에 따른 전력장치 설치의 어려움과 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감시시스템의 신호의 간섭 및 혼선 등의 문제를 해결하며, 비화성, 채널간 간섭 및 페이딩 특성이 우수한 직접대역확산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전력감시제어장치간의 신호의 간섭을 배제하고 안정적으로 전력장치를 감시하고 제어 할 수 있는 선택도가 양호한 멀티 패스 무선 채널을 실현한 무선 전력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직접대역확산통신, 확산코드, 의사잡음코드(PN코드), 확산변조, 역확산변조, FSK방식

Description

직접대역확산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The wireless monitoring and control equipments for low power system using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도 1은 종래 기술 1의 수배전설비의 유선전력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 2(특허출원 제10-2005-0012669호)의 무선 전력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일반적인 대역확산 통신 방식의 예를 도시하고,
도 4는 일반적인 확산코드에 의한 통신방법의 예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무선 송/수신부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무선 송/수신부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8a 또는 도 8b은 의사잡음코드(PN코드) 발생기 및 연결방법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본 고안은 무선으로 전력장치의 수/배전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수/배전 설비의 제어장치는 수/배전 설비를 통해 배전되는 전기의 전압, 전류, 누설전류 등을 검출하고 변압기의 온도, 개폐기의 개폐여부 등을 검출하여 수/배전설비 동작의 이상여부를 감시하며, 수/배전설비의 안전점검시 및 수/배전설비의 사고발생이나 이상동작 발생시에 수/배전설비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수/배전설비 감시제어장치의 경우, 수/배전설비의 안전점검시에 공급전력을 차단한 상태에서만 수행 가능하고, 작업수행시 검사원이 수/배전반의 전류, 전압, 변압기온도변화, 결상 등을 점검하여야 하므로 점검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으며, 점검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수/배전설비를 원격으로 감시하고 제어하는 종래기술 가운데 통신모뎀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수/배전설비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의 수/배전설비를 유선상으로 원격감시제어하는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종래 기술1의 수/배전설비의 유선 전력제어장치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신호검출부(10)는 수/배전설비의 전압, 전류, 누설전류, 온도 등의 정보를 검출하여 A/D변환부(11)로 출력한다. 상기 신호검출부(10)와 연결되어 있는 A/D변환부(11)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12) 로 출력한다. 상기 A/D변환부(11)와 연결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12)는 A/D변환부(11)로부터 입력되는 전압, 전류, 누설전류, 온도, 배터리, 역률, 접점, 시간 등의 정보에 대한 신호 값을 기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이상상태 발생시에 에러발생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2)와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13)는 상기 기설정된 수/배전설비의 각종 기준 신호값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중앙처리장치(12)로 출력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2)와 연결되어 있는 모뎀(14)은 중앙처리장치(12)로부터 출력되는 에러발생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한다. 원격지에 설치된 수/배전설비 감시제어용 단말장치(15)는 모뎀(16)을 내장하고 있어 모뎀(14)으로부터 출력되는 에러발생신호를 입력 및 복조하여 컴퓨터(17)로 출력하고 컴퓨터(17)는 상기 수/배전설비의 이상상태를 분석 및 표시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유선망을 이용한 수/배전설비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은 새로운 유선망의 포설 등에 따른 전력장치의 설치의 어려움과 종래에 설치된 구조물들을 회피하여 유선망을 구성하여야 하고 이에 따른 과다한 설치비용의 문제점 등이 있었다.
도2는 종래 기술(특허출원 제10-2005-0012669호)의 무선 전력제어장치이다.
종래 기술의 무선전력제어장치는 수/배전부(20)에 연결되어 수/배전부(20)내의 각종 전력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신호검출부(21)와 신호검출부(21)에 연결되어 있어 신호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변조하여 무선단말부(23)로 무선송신하고 무선단말부(23)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신호를 복조하고 이에 근거하여 수/배전부(20)의 동작을 제어하는 무선전력제어부(22)와 무 선전력제어부(22)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원격지에서 수신받아 수/배전부(20)의 전력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입력 신호에 따라 제어명령신호를 상기 무선전력제어부(22)로 무선송신하는 무선단말부(23)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 전력제어장치는 통신상의 보안을 위하여 인증된 무선단말부와 동일하게 부여된 고유코드를 사용하여 무선 단말부에서 제어명령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할 때, 무선전력제어부와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코드를 헤더신호에 삽입하여 송신하고, 무선수신부는 이를 수신하여 헤더코드에 삽입된 고유코드와 기설정된 고유코드가 동일할 경우에만 복조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무선 전력제어장치의 경우, 초음파변조 또는 라디오파변조를 사용하므로 인접한 무선 송신장치에 의해 간섭 및 혼선이 발생할 수 있고, 복수의 전력장치의 제어가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제한적인 고유코드를 사용하므로 고유코드의 유출시 외부침입자로부터의 보안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통신선의 포설 등에 따른 전력장치 설치의 어려움과 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감시시스템의 신호의 간섭, 혼선 등의 문제를 해결하며, 외부침입자로부터의 보안성이 뛰어난 코드를 사용하여 비화성을 높이는 멀티 패스 무선 채널을 실현한 무선 전력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입력되는 전기를 수전 받아 외부로 공급하는 수/배전부의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송신하는 제1기기와, 상기 제1기기로부터 상기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2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기기는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명령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기기는 상기 제2기기로부터 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배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1기기 및 제2기기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으로 무선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기기는 상기 수/배전부의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확산변조하여 상기 제2기기로 송신하는 제1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제2기기로부터 확산변조된 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역확산변조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확산변조된 제어명령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수/배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제2기기는 상기 제1기기로부터 상기 확산변조된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수신하고 역확산변조하여 중앙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역확산변조된 전력상태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이를 근거로 상기 제어명령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무선 송/수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2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제어명령신호를 확산변조하여 상기 제1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무선 송/수신부는, 제1 의사잡음코드(PN코드) 발생부에서 의사잡음코드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배전부의 전력상태 정보신호에 상기 의사잡음코드를 곱하여 확산변조하고 디지털 변조하여 송신하며, 수신되는 확산변조된 제어명령신호를 디지털 복조하고 상기 제2무선 송/수신부의 제2 의사잡음코드 발생부에서 발생시키는 의사잡음코드와 동일한 의사잡음코드를 곱하여 역확산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제2 무선 송/수신부는, 수신되는 상기 확산변조된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디지털 복조하고 상기 제1무선 송/수신부의 제1 의사잡음코드 발생부에서 발생시키는 의사잡음코드와 동일한 의사잡음코드를 곱하여 역확산변조하여 상기 중앙제어부로 출력하며, 제2 의사잡음코드 발생부에서 의사잡음코드를 발생시키고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의 제어명령신호에 상기 의사잡음코드를 곱하여 확산변조하고 디지털 변조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이다.
나아가서, 본 고안의 제1 무선 송/수신부 및 제2 무선 송/수신부는 FSK방식으로 디지털 변조/복조하여 송/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무선 송/수신부 및 제2 무선 송/수신부의 반송파 신호는 424MHz대역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무선 송/수신부 및 제2 무선 송/수신부는 FSK방식으로 디지털 변조/복조하여 424MHz대역의 반송파 신호를 곱하여 송/수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장치가 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직접대역확산 통신방식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해 도3 및 도4에서 일반적인 직접대역확산 통신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반적인 대역확산 통신 방식의 예를 도시한다.
송신데이터가 도 3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어떤 대역폭을 가지는 신호(31)라면, 원래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갖는 코드(확산코드)(32)를 곱하여 원래 송신 데이터의 대역폭이 확산코드에 의해 확산신호의 대역폭만큼 넓어진다(33). 이 과정을 '확산(Spreading)'이라 하는데 이때 송신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는 일정하므로 데이터에 해당하는 크기는 넓어진 대역폭만큼 반비례하여 작아진다. 이렇게 신호를 전송할 때 대역폭이 넓어졌다고 해서 이러한 기술을 대역확산(Spreading-Spectrum)기술이라 한다. 수신측에서는 받은 확산신호(33)에 다시 동일한 확산코드(32)를 곱해서 원래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주파수 영역에서 보면, 확산신호의 대역폭이 다시 원래 데이터 신호의 대역폭(34)으로 줄어들었는데, 이를 역확산(Despreading)이라 한다. 물론 여기서도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가 일정하기 때문에 신호의 크기도 줄어든 대역폭만큼 다시 커져서, 다른 신호로부터 분리하여 데이터를 복구할 수가 있게 된다.
도 4는 일반적인 확산코드에 의한 통신방법의 예를 도시한다.
송신데이터(41)에 확산코드(42)를 곱해준다 이렇게 곱해진 원래의 송신데이 터는 훨씬 속도가 높은 확산코드와 같은 속도의 확산신호(43)와 같이 된다. 이 확산신호를 전자파에 실어서 송신을 하고, 수신쪽에서는 이 확산신호(43)에 다시 송신쪽에서 사용한 동일한 확산코드(44)를 곱해주면 원래 송신하고자 했던 데이터와 동일한 수신 데이터(45)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확산코드를 데이터에 직접 곱하여 확산 신호를 얻는 방법을 직접확산방식이라하며 확산코드로 의사잡음코드(PN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직접대역확산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채널의 간섭 및 혼선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보다 안정성 있고 효율적인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장치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기(100)는 수/배전부(200), 제어부(300) 및 제1무선 송/수신부(400)로 구성되고, 제2기기(500)는 제2무선 송/수신부(600) 및 중앙제어부(700)로 구성된다.
수/배전부(200)는 계전기(210) 및 차단기(220)를 포함하며 입력되는 전기를 수전 받아 이를 가공하여 외부로 공급하고, 제어부(300)에서 수/배전부(200)의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검출하고 분석한 후 상기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A/D변환하여 제1무선 송/수신부(400)로 출력한다.
제1무선 송/수신부(400)는 직접대역확산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확산변조하여 무선 송신한다.
제2무선 송/수신부(600)에서 상기 확산변조된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역확산변조하여 중앙제어부(700)로 출력을 하고, 중앙제어부(700)는 상기 역확산변조된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처리하여 전력계통도(710) 또는 주변기기(730)로 출력을 한다.
또한, 중앙제어부(700)는 주변장치(730)로부터 수/배전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고 처리하여 제어명령신호로 제2무선 송/수신부(600)로 출력을 하고, 제2무선 송/수신부(600)는 직접대역확산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명령신호를 확산변조하여 무선 송신한다.
제1무선 송/수신부(400)에서 상기 확산변조된 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역확산변조하여 제어부(300)로 출력을 하고, 제어부(300)에서 상기 역확산변조된 제어명령신호에 근거하여 수/배전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무선 송/수신부(400) 및 제2무선 송/수신부(600)는 위에서 상술한 대역확산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신호들을 확산변조하여 송신하고 역확산변조하여 수신하므로 기존의 무선 전력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들의 초음파변조 또는 라디오변조 방식 이용으로 인한 간섭 및 혼선 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무선 송/수신부 및 제2무선 송/수신부 직접대역확산 통신방식의 실시예를 도6 또는 도7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무선 송/수신부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무선 송/수신부(400)가 수/배전부(200)의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제어부(300)로부터 수/배전부(200)의 전력상태 정보신호가 입력되면 확산변조기(410)에서 상기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확산변조 하고 디지털 변조기(430)에서 변조를 하여 반송파 신호(440)에 실어 최대 출력을 위해 정합장치(450)에서 임피던스 정합 후 상기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확산변조하는 경우, 직접대역확산 방식으로 제1 의사잡음코드(PN코드)발생부(420)에서 생성된 의사잡음코드를 곱하여 확산변조 할 수 있다.
제1무선 송/수신부(400)가 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제1무선 송/수신부(400)는 상기 확산변조된 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최대출력을 위해 임피던스 정합장치(450)를 거치고 디지털 복조기(460)에서 복조하여 반송파 신호(440)를 제거한 후 역확산기(490)에서 역확산변조를 하여 추출된 상기 제어명령신호를 제어부(300)로 출력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산변조된 제어명령신호를 역확산변조하는 경우, 동기제어(470)에 의해 제2무선 송/수신부(600)의 의사잡음코드와 동일한 의사잡음코드를 곱하여 역확산변조를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무선 송/수신부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무선 송/수신부(600)가 확산변조된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제2무선 송/수신부(600)는 상기 확산변조된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임피던스 정합장치(610)를 거친 후 디지털 복조기(620)에서 복조하고 역확산 기(660)에서 역확산변조를 하여 추출된 상기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중앙제어부(700)로 출력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산변조된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역확산변조하는 경우, 동기제어(640)에 의해 제1무선 송/수신부(400)의 의사잡음코드와 동일한 의사잡음코드를 곱하여 역확산변조를 할 수 있다.
제2무선 송/수신부(600)가 상기 제어명령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중앙제어부(700)로부터 제어명령신호가 입력되면 확산변조기(670)에서 확산변조를 하고 디지털 변조기(690)에서 변조를 하여 반송파 신호(630)에 실어 최대 출력을 위해 정합장치(610)에서 임피던스 정합 후 상기 제어명령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명령신호를 확산변조하는 경우, 직접대역확산 방식으로 제2 의사잡음코드발생부(680)에서 생성된 의사잡음코드를 곱하여 확산변조 할 수 있다.
도 8a 또는 도 8b는 의사잡음코드(PN코드) 발생기 및 연결방법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8a는 의사잡음코드발생기의 단수가 4인 경우로 PN부호 주기는 15이고 탭위치가 (1,4)인 실시예로 PN부호와 클럭간의 변조회로(810), 변조된 PN신호의 역변환기(820)와 PN발생기(830,840,850,860)를 일례로 도시한다.
도 8b는 PN코드 길이에 따른 PN코드 발생기의 다양한 부호길이 및 그에 따른 연결방법들을 나타낸다.
여기서, PN코드의 생성은 선형 피드백을 사용하여 순서화된 2진 비트열을 생 성하는 회로 클록의 주기에 맞추어 여러 개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내용이 하나씩 시프트되고 동시에 출력값과 시프트 레지스터의 배타적 논리 연산값이 시프트 레지스터의 입력으로 인가되는 feedback shift register를 사용한다.
제1무선 송/수신부(400) 및 제2무선 송/수신부(600)는 상기의 의사잡음코드(PN 코드)를 사용하여 직접대역확산통신을 하므로, 비화성을 향상시키고 멀티 패스 무선 채널을 실현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무선 송/수신부(400) 및 제2무선 송/수신부(600)의 디지털 변조기(430,690) 및 복조기(460,620)는 FSK 방식을 사용하여 변조 또는 복조 할 수 있다.
나아가서, 본 고안은 텔레미터 또는 텔레콘트롤용 400MHz대 특정 소출력 무선기기의 주파수 대역이 적합하므로 424MHz대역의 반송파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응용 가능하며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도면은 고안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뿐,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은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통신선의 포설 등에 따른 전력장치 설치의 어려움과 무선통신을 이용한 전력감시시스템의 신호의 간섭 및 혼선 등의 문제를 해결하며, 비화성, 채널간 간섭 및 페이딩 특성이 우수한 직접대역확산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선택도가 양호한 멀티 패스 무선 채널을 실현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성 있는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를 구현하여 전력계통이 분산되어 있는 대단위 공장에서 공장자동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입력되는 전기를 수전 받아 외부로 공급하는 수/배전부의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송신하는 제1기기와, 상기 제1기기로부터 상기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2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기기는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명령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기기는 상기 제2기기로부터 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배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1기기 및 제2기기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으로 무선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는
    상기 수/배전부의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확산변조하여 상기 제2기기로 송신하는 제1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제2기기로부터 확산변조된 제어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역확산변조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역확산변조된 제어명령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수/배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기는
    상기 제1기기로부터 확산변조된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수신하고 역확산변조하여 중앙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무선 송/수신부와 상기 역확산변조된 전력상태정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이를 근거로 상기 제어명령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2무선 송/수신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2무선 송/수신부는 상기 제어명령신호를 확산변조하여 상기 제1기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무선 송/수신부는, 제1 의사잡음코드(PN코드) 발생부에서 의사잡음코드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배전부의 전력상태 정보신호에 상기 의사잡음코드를 곱하여 확산변조하고 디지털 변조하여 송신하며,
    수신되는 상기 확산변조된 제어명령신호를 디지털 복조하고 상기 제2무선 송/수신부의 제2 의사잡음코드 발생부에서 발생시키는 의사잡음코드와 동일한 의사잡음코드를 곱하여 역확산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 송/수신부는, 수신되는 상기 확산변조된 전력상태 정보신호를 디지털 복조하고 상기 제1무선 송/수신부의 제1 의사잡음코드 발생부에서 발생시키는 의사잡음코드와 동일한 의사잡음코드를 곱하여 역확산변조하여 상기 중앙제어부로 출력하며,
    제2 의사잡음코드 발생부에서 의사잡음코드를 발생시키고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의 제어명령신호에 상기 의사잡음코드를 곱하여 확산변조하고 디지털 변조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 및 제2 무선 송/수신부는 FSK방식으로 디지털 변조 또는 복조하여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 및 제2 무선 송/수신부의 반송파 신호는 424MHz대역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송/수신부 및 제2 무선 송/수신부는 FSK방식으로 424MHz대역의 반송파 신호를 곱하여 디지털 변조 또는 복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대역확산 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장치.
KR2020060010006U 2006-04-14 2006-04-14 직접대역확산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 KR200423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006U KR200423696Y1 (ko) 2006-04-14 2006-04-14 직접대역확산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006U KR200423696Y1 (ko) 2006-04-14 2006-04-14 직접대역확산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696Y1 true KR200423696Y1 (ko) 2006-08-10

Family

ID=4177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006U KR200423696Y1 (ko) 2006-04-14 2006-04-14 직접대역확산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6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3874C (en) Point-to-point communications system particularly for use in a power distribution system
US4804938A (en) Distribution energy management system
US8306090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using frequency hopping
US6218931B1 (en) Home-appliance network with nodes identified by direct-sequence spreading codes
JP5419018B2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システム
HK1061311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es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on electric network
US20020130768A1 (en) Low voltage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s at fundamental working frequency
CN105210302A (zh) 用于在电力网上传输和/或接收信号的方法、设备以及计算机程序
CN102946259B (zh) 基于电力线路的载波通讯系统和载波通讯方法
Poluektov et al. Sensitivity analysis of a PLC-based DSSS anti-islanding system in power distribution grids
KR200423696Y1 (ko) 직접대역확산방식을 이용한 무선 저전력계통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
US20200014211A1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from degrading due to frequency mismatch and loss of synchronization
CN103036594B (zh) 电力线通信系统
CN104539316A (zh) 一种基于plc的通信方法、设备及plc组网系统
JPWO2005109667A1 (ja) 電力線を利用する通信方法
US9246547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data via an electric conductor of a current network
Bali et al. Improved maximum likelihood S-FSK receiver for PLC modem in AMR
Poluektov et al. Designing a power-line-communication-based LoM protection concept with application of software-defined radios
CN105656517B (zh) 一种岛屿信息传输测控系统
JP2013126030A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システム
CN110233642B (zh) 优化覆盖范围的电力载波通讯系统和方法
Wenxing Research on Remot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in Coal Mine.
KR102442418B1 (ko) 삼상 불평형 부하 전류 검출 기능을 겸비한 기준상 측정 시스템
Singh et al.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Power Line Communication For Home Automation
CN106658580B (zh) 一种基于wifi的分布式故障定位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