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412Y1 - 차량용 안개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412Y1
KR200423412Y1 KR2020060012782U KR20060012782U KR200423412Y1 KR 200423412 Y1 KR200423412 Y1 KR 200423412Y1 KR 2020060012782 U KR2020060012782 U KR 2020060012782U KR 20060012782 U KR20060012782 U KR 20060012782U KR 200423412 Y1 KR200423412 Y1 KR 200423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ed lamp
fog
led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2020060012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4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용 안개등은 반원형상의 오목한 반사체와; 반사체의 내부 대략 중앙에 위치되어 장착된 고정부와; 고정부에 장착된 엘이디(Led)램프를 구비하며, 엘이디램프는 고정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엘이디램프와 고정부의 측면에 장착되는 제2엘이디램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차량용 안개등은 엘이디램프를 적용하기 때문에 저발열, 절전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엘이디램프, 안개등, 고정부

Description

차량용 안개등{Lamp for automobile}
도 1은 종래의 안개등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에 장착된 엘이디램프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에 장착된 엘이디램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안개등 110...반사체
112...통공 120...고정부
121...엘이디고정단 123...지지플레이트
125...아웃리드와이어 127...다이오드
129...캡 130...엘이디램프
132...제1엘이디램프 134...제2엘이디램프
140...베이스 141...고정플레이트
본 고안은 차량용 안개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눈비가 오거나, 안개가 끼는 등 악천후에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장착된 보조램프로서의 차량용 안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개등은 옐로 타입과 클리어타입(백색)의 두가지가 있다. 전조등(헤드램프)보다 가까운 곳을 비추며, 투과성이 높고 빛의 조사 각도가 넓어 가까이 있는 맞은편 차량이나 보행자의 존재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안개등에 사용되는 할로겐램프 안개등으로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안개등(1)은 반원형상의 오목한 반사체(10)와 상기 반사체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통공(15)과, 상기 반사체(10)의 내부 대략 중앙에 위치되어 장착된 할로겐램프(20)와 상기 할로겐램프(20)가 장착된 베이스(40)와 할로겐 램프(20)를 고정해 주는 고정플레이트(41)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안개등은 할로겐 램프로 구성되어 소비전력이 높고 비교적 높은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장시간 가동하는 경우 발열에 의한 화재나 누전 등 할로겐 램프의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어 엘이디(Led)램프를 적용한 안개등이 개발 중에 있다.
종래의 엘이디램프를 적용한 안개등은 pcb평판 전면부의 한 부분 또는 pcb평판 다수의 행과 열로 엘이디칩을 적용한다. 그리고 하우징 반사경과 일체형으로 구비되어있어 즉, 할로겐램프안개등이 설치되지 않고 상기 엘이디램프가 설치될 수 있는 부품이 장착된 특정차량에 적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할로겐 램프가 장착된 안개등과 호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엘이디램프안개등은 그 밝기가 어두워 안개등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기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할로겐램프가 장착된 안개등과 호환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안개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명이 길며 저발열의 안개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엘이디램프를 적용하여도 할로겐램프와 대비하여 그 밝기가 떨어지지 않는 안개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용 안개등은, 반원형상의 오목한 반사체와 상기 반사체의 내부 대략 중앙에 위치되어 장착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된 엘이디(Led)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엘이디램프는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엘이디램프와 상기 고정부의 측면에 장착되는 제2엘이디램프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엘이디램프와 상기 제2엘이디램프의 발광되는 색상이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엘이디램프는 하얀색을 발광하고, 상기 제2엘이디램프는 파란색을 발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는 3단으로 된 엘이디고정단과; 상기 엘이디고정단 하부에 위치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후면에 위치되며 상기 엘이디와 연결되어 램프전원부로 부터 전기를 통하게 하는 아웃리드와이어(out lead wire)와 상기 아웃리드와이어에 장착된 다이오드 및 안개등 베이스에 장착된 고정플레이트와 결합될 캡을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반사체는 플라스틱 수지재료로 제조되고 그 내부에 크롬도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개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장착된 엘이디램프를 도시한 정면이고도, 도 4는 도 2에 장착된 엘이디램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안개등(100)은 반사체(110)와, 고정부(120)를 구비하며, 제 1 엘이디램프(132) 및 제 2 엘이디램프(134)인 엘이디램프(130)를 구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안개등(100)은 반원형상의 오목한 반사체(110)를 구비한다. 여기서 반사체(110)는 오목무늬 또는 볼록무늬일 수 있다. 상기 엘이디램프(130)의 발광으로 반사체가 빛을 반사할 경우 상기 오목무늬 또는 볼록무늬에 의해 빛의 반사가 민무늬보다 잘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체(110)의 내부 대략 중앙에 위치되어 장착된 고정부(120)는 종래의 엘이디램프가 일렬로 행과 열로 길게 장착되어 기존의 할로겐램프의 안개등에 장착하기 위해 기존할로겐램프 안개등을 제거하고 종래의 엘이디램프가 장착된 안개등을 새로 자동차에 장착했던 것과 달리,
할로겐램프만을 제거하고 본 고안에 따른 엘이디램프가 장착된 고정부로 인하여 기존의 자동차에 할로겐램프를 엘이디램프로 교체하는 작업이 용이하며, 엘이디램프이외의 부재를 교체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엘이디램프 광원만 교체하여 별도의 배선 교체, 안개등 하우징의 개조작업 등의 작업 없이 할로겐램프교체작업과 동일한 방법으로 교환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안개등 베이스는 pk22s, p20d, p22d, pg13, pgg13, pgj19-1, py20d, pgj19-2, pz20d와 같은 규격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120)는 3단으로 된 엘이디고정단(121)과, 상기 엘이디고정단(121) 하부에 위치된 지지플레이트(123)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23) 후면에 위치되며 상기 엘이디램프(130)와 연결되어 램프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기를 통하게 하는 아웃리드와이어(out lead wire; 125)와, 상기 아웃리드와이어(125)에 장착된 다이오드(127); 및 안개등 베이스(140)에 장착된 고정플레이트(141)와 결합될 캡(129)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고정단(121)의 측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투명 아크릴 재질로된 아크릴몸체(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상기 3단의 엘이디고정단(121)을 지지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안개등(100)은 상기 고정부(120)에 장착된 엘이디(Led; 130)램프를 구비하는데, 종래의 안개등은 수명이 짧은 할로겐램프를 장착하여 자동차의 수명이 다하여 작동이 멈추기 전에 램프를 자주 교체하여야 했던 것과 달리, 엘이디 램프(130)는 5000시간 이상의 장 수명으로 램프를 교체하는 번거로움이나 자원 낭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상기 엘이디램프(130)는 상기 고정부(12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엘이디램프(132)와 상기 고정부(120)의 측면에 장착되는 제2엘이디램프(134)를 구비한다. 상기 제1엘이디램프(132) 및 제2엘이디램프(134)는 상측 등의 일측면 부위만 구비된 기존의 안개등과 달리 상측 및 측면에도 램프가 구비되어 상기 반사체(110)로 반사되는 상측부의 발광뿐만 아니라 측면의 발광까지 발생하여 안개등(100)의 조명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즉, 할로겐램프와 대비하여 엘이디램프의 발광효율이 적은 문제점을 제2엘이디램프로 발광부위를 넓혀 조명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엘이디램프(132)와 상기 제2엘이디램프(134)의 발광되는 색상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상기 제1엘이디램프(132)는 하얀색을 발광하고, 상기 제2엘이디램프(134)는 파란색을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엘이디램프(132)와 상기 제2엘이디램프(134)의 전기적 연결방법은 기존의 방법을 적용하여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엘이디램프와 제2엘이디램프의 발광되는 색은 제1엘이디램프는 파란색을 발광하고, 제2엘이디램프가 하얀색을 발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물체 색의 보임은 주변 환경 밝기의 정도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데, 밝은 곳에서의 비시감도곡선상 최대시감도(視感度)와 어두운 곳에서의 최대시감도가 다르다.
이것은 우리 눈의 망막에 밝은 곳에서 작용하는 시세포(추상체)와 어두운 곳에서 작용하는 시세포(간상체)의 2가지가 있어서 환경의 밝기에 따라 서로 기능을 분담하여 작용하는 영역을 바꾸기 때문이다.
낮에는 555nm(황색)부근의 감도가 최대이나 저녁 무렵이면 500nm(녹황색)부근으로 최대감도가 옮겨져, 푸른색 계통의 제2엘이디는 안개가 끼거나 야간에 시야를 확보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이렇듯 제2엘이디램프가 파란색을 띄우면 어두운 곳에서 상대적으로 잘 보이게 되며 짧은 파장 쪽의 시감도를 전체적으로 상승시켜 가시도가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상기 반사체(110)는 플라스틱 수지재료로 제조되고 반사되는 부위인 안개등 내측이 크롬도금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반사체(110)는 크롬도금으로 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을 반사함은 물론이고,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져 반사체(110)의 무게는 경량화되어 전체적인 안개등의 무게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며, 플라스틱 수지는 그 제조비가 적어 비용경감도 할 수 있다.
크롬도금이 된 상기 반사체는 종래의 할로겐램프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 유리구 표면 온도가 350℃~450℃ 정도의 고열에 의한 복사작용에 의해 강한 자외파장광선과 더불어 반사경면 내부의 크롬 도금층을 퇴색시켜 빛의 간접반사 효과를 떨어뜨리지만, 본 고안의 엘이디램프를 적용한 경우는 그 복사열이 작아 도금층의 퇴색 등의 문제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할로겐 램프 장착용 안개등의 경우 안개등의 작동 중 발열되는 램프의 복사열을 바깥으로 배출시키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할로겐 램프의 발열과 대비하여 본 고안의 엘이디 램프는 발열량이 적어 종래의 발열배출을 위한 통공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안개등 램프 내부로 들어가는 먼지 양이 줄어듦으로써 안개등 내부에 적층되는 먼지 등으로 인해 안개등 렌즈의 시야를 가리거나 반사체의 반사효율을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 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안개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엘이디램프 광원만 교체하여 별도의 배선 교체, 안개등 하우징의 개조작업 등의 부품교체 없이 할로겐램프교체작업과 동일한 방법으로 교환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수명이 짧은 할로겐램프는 자동차의 수명이 다하여 작동이 멈추기 전에 램프를 자주 교체하여야 했던 것과 달리, 엘이디 램프는 장 수명으로 램프를 교체하는 번거로움이나 자원 낭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측에만 구비된 기존 안개등과 달리 상측 및 측면에도 램프가 구비되어 반사체로 반사되는 상측부의 발광뿐만 아니라 측면의 발광까지 발생하여 안개등의 조명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넷째, 크롬도금이 된 반사체는 종래의 할로겐램프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경우 유리구 표면 온도가 350℃~450℃ 정도의 고열에 의한 복사작용에 의해 강한 자외파장광선과 더불어 반사경면 내부의 크롬 도금층을 퇴색시켜 빛의 간접반사 효과를 떨어뜨리지만, 본 고안의 엘이디램프를 적용한 경우는 그 복사열이 작아 도금층의 퇴색 등의 문제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부수적으로, 종래의 할로겐 램프 장착용 안개등의 경우 안개등의 작동 중 발열되는 램프의 복사열을 바깥으로 배출시키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할로겐 램프의 발열과 대비하여 본 고안의 엘이디 램프는 발열량이 적어 종래의 발열배 출을 위한 통공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안개등 램프 내부로 들어가는 먼지 등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Claims (5)

  1. 반원형상의 오목한 반사체와;
    상기 반사체의 내부 대략 중앙에 위치되어 장착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된 엘이디(Led)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엘이디램프는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엘이디램프와 상기 고정부의 측면에 장착되는 제2엘이디램프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개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엘이디램프와 상기 제2엘이디램프의 발광되는 색상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개등.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엘이디램프는 하얀색을 발광하고, 상기 제2엘이디램프는 파란색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개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3단으로 된 엘이디고정단과;
    상기 엘이디고정단 하부에 위치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후면에 위치되며 상기 엘이디램프와 연결되어 램프전원부로 부터 전기를 통하게 하는 아웃리드와이어(out lead wire)와;
    상기 아웃리드와이어에 장착된 다이오드; 및
    안개등 베이스에 장착된 고정플레이트와 결합될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개등.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체는
    플라스틱 수지재료로 제조되고 그 내부에 크롬도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개등.
KR2020060012782U 2006-05-12 2006-05-12 차량용 안개등 KR200423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782U KR200423412Y1 (ko) 2006-05-12 2006-05-12 차량용 안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782U KR200423412Y1 (ko) 2006-05-12 2006-05-12 차량용 안개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117A Division KR100777779B1 (ko) 2006-05-12 2006-05-12 차량용 안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412Y1 true KR200423412Y1 (ko) 2006-08-07

Family

ID=4177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782U KR200423412Y1 (ko) 2006-05-12 2006-05-12 차량용 안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4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8984B2 (en) LED headlamp array
KR101310746B1 (ko) 차량용 등구
CN1734160B (zh) 车辆用标识灯
CN101984284A (zh) 反射式led格栅灯
KR100765995B1 (ko) 발광다이오드 광원 헤드 램프
JP2012033413A (ja) 車両用灯具
CN202747201U (zh) 一种采用led为光源的多功能汽车尾灯
CN102720961A (zh) 一种全空间发光的led蜡烛灯
KR100860401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자동차용 후미등
AU2010292996A1 (en) An electric lighting device
KR100777779B1 (ko) 차량용 안개등
CN210601433U (zh) 可调色温的交通工具照明灯具
CN209839962U (zh) 一种车灯及汽车
CN201858574U (zh) 反射式led格栅灯
KR200423412Y1 (ko) 차량용 안개등
TWM587725U (zh) 照明結構
CN201764372U (zh) 一种低功率贴片式led交通信号灯发光装置
CN201297551Y (zh) 机动车转向灯
CN210532285U (zh) 便于散热的汽车前大灯
CN201255341Y (zh) 机动车尾灯
WO2011116635A1 (zh) 一种led灯发光单元及所形成的汽车、摩托车led前照灯
CN102261591A (zh) 逆向发光的led灯
KR20110000897A (ko) 엘이디 조명등
CN216346023U (zh) 一种照明灯及照明系统
KR101361261B1 (ko) 엘이디용 렌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