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643Y1 -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 Google Patents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643Y1
KR200422643Y1 KR2020060005009U KR20060005009U KR200422643Y1 KR 200422643 Y1 KR200422643 Y1 KR 200422643Y1 KR 2020060005009 U KR2020060005009 U KR 2020060005009U KR 20060005009 U KR20060005009 U KR 20060005009U KR 200422643 Y1 KR200422643 Y1 KR 200422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quarium
aquatic organisms
lamp
artificial aqu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규
Original Assignee
가나아크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아크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나아크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5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6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6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3/00Toy boats; Floating toys; Other aquatic toy devices
    • A63H23/08Cartesian or other d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수족관 내부에 설치된 펌프로 부터 토출되는 압력에 의해 형성되는 수류(水流)를 따라 인조 수중생물체가 바닷속 생물체의 움직임과 유사하게 움직여 실내에서 바닷속 생물체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는, 고정편이 내부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제1몸체와,
고정편에 고정되고 내부공간 크기에 따라 비중이 조절되는 공기층이 형성된 부유체와,
부유체에 고정되고 제1촉수가 형성된 제2몸체와,
제2몸체에 고정되며, 제1촉수보다 길이가 짧은 제2촉수가 형성된 제3몸체를 포함하고,
본 고안에 의한 관상용 수족관은, 인조 수중생물체가 내부의 수류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되는 제1공간부와, 제1공간부와 분할 형성되고 에어펌프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수중에 기포를 형성하는 제2공간부가 형성되고, 투명한 전면 커버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 내부 하측에 장착되고, 본체 상방향으로 액체를 토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판과,
바닥판 하방으로 본체에 장착되고, 배출구를 통하여 액체를 토출시켜 본체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펌프와,
본체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안착되고, 인조 수중생물체를 조사하는 램프가 바닥면에 설치된 뚜껑을 포함한다.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수족관, 조명, 펌프

Description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artificial underwater living thing of decoration and aquarium}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조 수중생물체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관상용 수족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족관에 수용된 인조 수중생물체의 이동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수족관 지지수단의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수족관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수족관의 배면판에 인쇄물을 고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수족관의 뚜껑의 저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수족관을 탁상용으로 설치한 도면,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수족관을 벽걸이용으로 설치한 도면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제1몸체 2; 부유체
3; 촉수 4; 제2몸체
5; 인조 수중생물체 6; 수족관
7; 램프 8; 배터리
9; 제어부 10; 전면 커버
11; 본체 13; 배출구
14; 바닥판 15; 펌프
16; 램프 17; 뚜껑
18; 에어 펌프 19; 이음관
20; 결합홈 21; 결합돌기
22; 지지구 23; 배면판
24; 결합공 25; 고정핀
26; 인쇄물 27; 지지판
본 고안은 수족관내 인조 해파리(이하, "인조 수중생물체" 라고 한다)가 수류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실내에서 가상의 바닷속 생물체를 감상(感想)할 수 있도록 한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족관 내부에 설치된 펌프로 부터 토출되는 압력에 의해 형성되는 수류(水流)를 따라 인조 수중생물체가 바닷속 생물체의 움직임과 유사하게 움직여 실내에서 바닷속 생물체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용 수족관은 투명한 유리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본체를 형성하고, 본체 내부에 물고기, 열대어 등의 수중 생물체가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모래, 수초 등을 제공한다.
이때, 수중생물체에 주기적으로 먹이를 공급하고 수중생물체로 부터 배출되는 배설물 등으로 인해 혼탁해지는 수족관 내부를 자주 청소를 해야되고, 열대어에 요구되는 수온 등의 환경요인을 유지하기가 힘들어 열대어 수명이 단축된다.
이를 감안하여, 수족관 내부의 수류를 따라 인조 수중생물체가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한 관상용 수족관이 사용되고 있으나, 수족관 내부에 수류를 강제적으로 형성하는 펌프로부터의 수압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성능 저하로 인해 조금씩 떨어지므로 인조 수중생물체의 상승 높이가 낮아져 펌프를 새것으로 교체하는 경우 유지비용이 증가되고, 인조 수중생물체의 상승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인조 해파리 등을 수용하는 수족관에 산소 및 먹이 공급 이 불필요하여 배설물 등의 이물질이 배출되지않아 관리가 용이하고,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펌프로부터의 토출압력이 감소되는 경우에도 인조 수중생물체가 초기의 상승높이를 유지하고 작은 수류에도 인조 수중생물체가 민감하게 유동되며, 뚜껑 또는 부유체에 장착된 램프(일예로서, LED가 사용됨)의 발광에 의해 인조 수중생물체를 장기간동안 싫증내지않고 감상할 수 있는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인조 수중생물체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이의 조립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관상용 수족관을 벽걸이용 또는 탁상용으로 설치하여 한정된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하고, 수족관을 취침등 또는 가습기 대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편이 내부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제1몸체와,
고정편에 고정되고 내부공간 크기에 따라 비중이 조절되는 공기층이 형성된 부유체와,
부유체에 고정되고 제1촉수가 형성된 제2몸체와,
제2몸체에 고정되며, 제1촉수보다 길이가 짧은 제2촉수가 형성된 제3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부유성 인조 수중생물체를 형성하고,
인조 수중생물체가 수족관내의 수류를 따라 실제 수중생물체 움직임과 유사하게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조 수중생물체가 내부의 수류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되는 제1공간부와, 제1공간부와 분할 형성되고 에어펌프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수중에 기포를 형성하는 제2공간부가 형성되고, 투명한 전면 커버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 내부 하측에 장착되고, 본체 상방향으로 액체를 토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판과,
바닥판 하방으로 본체에 장착되고, 배출구를 통하여 액체를 토출시켜 본체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펌프와,
본체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안착되고, 인조 수중생물체를 조사하는 램프가 바닥면에 설치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수족관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부유체는, 부유체 내측면에 장착되어 발광되는 램프와, 부유체에 내장되고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램프에 공급하여 램프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인조 수중생물체의 비중은 1.0∼1.3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부유체의 공기층 내측면에 설치되고 수광시 발광되는 형광물체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본체는, 수족관을 탁상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본체 바닥면 좌우측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한 쌍의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체는, 수족관을 벽걸이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본체의 배면판에 형성되고, 피고정면에 고정된 고정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램프는 적색 LED 및 청색 LED로 이루어져 배치되고, 릴레이와 연결되어 릴레이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적색, 청색 및 핑크색으로 점등된다.
전술한 본체는 원형, 사각형, 마름모형, 다각형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본체는, 본체의 배면판 외측면에 인쇄물을 부착하여 본체 전면에서 인쇄물을 관측할 수 있도록 배면판이 투명체로 형성되고, 인쇄물 이면에서 인쇄물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본체는, 관상용 수족관을 취침용 조명등(照明燈) 대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의 전면 커버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취침용 램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는, 복수의 고정편(1a)이 내부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제1몸체(1)와,
고정편(1a)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공간 크기에 따라 비중이 조절되는 공기층(2a)이 형성된 부유체(2)와,
부유체(2)의 걸림턱(2b)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촉수(3)가 형성된 제2몸체(4)와,
제2몸체(4)의 걸림홈(4a)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제1촉수(3)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제1촉수(3) 외측으로 위치하는 제2촉수(30)가 형성된 제3몸체(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전술한 인조 수중생물체(5)는 실리콘 고무재 또는 실리콘 수지재로서 형성되고, 그 형상은 바닷속에서 생활하는 오징어, 말미잘, 문어, 해마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실시되며, 그 사이즈 및 제작에 대한 설명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에 실질적으로 속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부유체(2)는, 부유체(2) 내측면에 장착되어 발광되는 램프(7)와, 부유체(2)에 내장되고 램프(7)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8)와, 배터리(8)로부터의 전원을 램프(7)에 공급하여 램프(7)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9)(일예로서, PCB를 말함)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인조 수중생물체(5)의 비중은 1.0∼1.3으로 형성된다. 즉 인조 수중생물체(5)의 중량이 너무 가벼워 관상용 수족관(6) 밑으로 가라않지않고 주로 수면위쪽으로만 부유되거나, 이와 반대로 인조 수중생물체(5)의 중량이 너무 무거워 수면쪽으로 부유되지않고 주로 관상용 수족관(6) 밑으로 가라않아 발생되는 불균형을 잃지않으면 족하다.
전술한 부유체(2)의 공기층(2a) 내측면에 설치되고, 램프로부터의 수광(受光)시 발광(發光)되는 형광물체(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관상용 수족관은, 인조 수중생물체(5)가 내부의 수류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액체(일예로서, 일반적인 수돗물이 사용됨)를 수용하는 제1공간부(32)와, 제1공간부(32)와 분할 형성되고 에어펌프(18)로 부터 이음관(19)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으로 수중에 기포를 형성하는 제2공간부(33)가 형성되고, 투명한 전면 커버(10)가 형성되며, 원형 사각형 마름모형 및 다각형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본체(11)(일예로서, 강화유리재, 합성수지재, 금속재, 아크릴재 등이 사용될 수 있음)와,
본체(11) 내부 하측에 장착되고, 본체(11) 상방향으로 액체를 토출시키도록 중앙에 형성되는 배출구(13)가 형성된 바닥판(14)과,
바닥판(14) 하방으로 본체(11)에 장착되고, 배출구(13)를 통하여 토출시켜 본체(11) 내부에 수류(水流)를 형성하는 펌프(15)와,
본체(11)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안착되고, 인조 수중생물체(5)를 조사(照射)하는 다수의 램프(16)가 바닥면에 설치된 뚜껑(17)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11)는, 수족관(6)을 탁상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본체(11) 바닥면 좌우측에 형성되는 결합홈(20)과, 결합홈(20)에 대응되는 형상의 한 쌍의 결합돌기(21)를 포함하여 본체(11)를 지지하는 지지구(22)를 더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11)는, 수족관(6)을 벽걸이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본체(11)의 배면판(13)에 형성되고, 피고정면(일예로서, 건물의 실내 벽면 등을 말함)에 고정된 고정핀(2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24)을 더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뚜껑(17) 바닥면에 설치되는 램프(16)는 적색 LED(16a) 및 청색 LED(16b)로 이루어져 배치되고, 릴레이(미도시됨)와 연결되어 릴레이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적색, 청색 및 핑크색으로 점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11)는, 본체(11)의 배면판(23) 외측면에 사진 또는 그림(일예로서, 바닷속을 나타내는 사진 등을 말함) 등을 포함하는 인쇄물(26)을 부착하여 본체(11) 전면에서 인쇄물(26)을 관측할 수 있도록 배면판(23)이 투명체로 형성되고, 인쇄물(26) 이면에서 인쇄물(26)을 지지하는 지지판(27)을 더 포함한다.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11)는, 관상용 수족관(6)을 취침등 대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11)의 전면 커버(10)의 가장자리에 장착 되는 취침용 램프(28)를 더 포함한다. 이때 취침용 램프(28)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7a는 뚜껑(17) 내측면에 장착된 적색 LED(16a) 및 청색 LED(16b)로 이루어진 램프(16) 점등을 제어하는 스위치로서, 사용자에 의한 1번째 조작(터치)시 청색LED(16b)가 점등되고, 2번째 조작시 적색LED(16a)가 점등되며, 3번째 조작시 청색LED(16b)와 적색LED(16a)가 동시에 점등되어 핑크색을 나타내며, 4번째 조작시 약 6초 ∼ 10초간격으로 반복하여 청색 → 핑크색 → 적색 → 핑크색 → 청색을 반복하여 점등되며, 5번째 조작시 램프(16)의 전원을 오프(off)시킨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수족관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11) 내부에 수돗물을 채운후 본체(11)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 펌프(15)에 전원을 인가시켜 구동함에 따라, 본체(11)와 바닥판(14)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펌프(15)쪽으로 흡입되고, 펌프(15)로 부터 토출되는 토출수는 바닥판(14)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13)를 통과하여 본체(11) 상부로 토출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본체(11) 내부에 투입되는 3 내지 5마리 정도의 인조 수중생물체(5)는 본체(11) 내부에 형성되는 수류를 따라 본체(11)의 밑에서 윗쪽방향으로 이동한 후, 인조 수중생물체(5)는 자중(비중이 1.0∼1.3을 가짐)에 의해 윗에 서 아래쪽방향으로 내려오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때, 전술한 펌프(15)를 장기간동안 사용함에 따라 이의 성능이 떨어져 인조 수중생물체(5)의 상방향으로 움직임이 낮아지는 경우 인조 수중생물체(5)의 비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부유체(2)의 공기층(2a) 공간 크기를 축소하는 경우 인조 수중생물체(5)의 비중이 작아지고, 이와 반면에 공기층(2a) 공간 크기를 확대하는 경우 인조 수중생물체(5)의 비중을 키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15) 구동으로 인해 본체(11) 내부에 형성되는 수류를 따라 인조 수중생물체(5)가 수족관(6)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유동될 경우, 반구형으로 형성된 제1몸체(1)에 고정된 제2몸체(4)의 제1촉수(3)와 제3몸체(31)의 제2촉수(30)가 자연스럽게 움직인다. 따라서 실내에서 바닷속에 살아 있는 가상의 수중생물체 움직이는 광경을 감상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11)의 전면 커버(10)와 배면판(23)이 투명체로 형성되고 배면판(23) 외측면에 인쇄물(26)이 고정됨에 따라, 실내에서 가상의 인조 수중생물체(5)를 감상시 마치 바닷속에 있는 것처럼 생각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 내부에 형성되는 수류를 따라 가상의 인조 수중생물체(5)가 이동될 경우, 뚜껑(17) 바닥면에 형성되고 적색 LED(16a) 및 청색 LED(16b)로 이루어지며 릴레이(미도시됨)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적색, 청색 및 핑크색으로 소정시간 점등(일예로서, 6초 ∼ 10초 동안 점등됨을 말함)되는 램프(16)로 부터 발광되는 불빛에 의해 인조 수중생물체(5)를 조사하므로 수족관의 전시 및 관상용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관상용 수족관은 탁상용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체(11) 바닥면 좌우측에 형성된 T자형 결합홈(20)에 이와 대응되도록 지지구(22)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21)를 끼워맞추는 경우, 관상용 수족관(6)을 지지구(22)에 의해 넘어지지않게 안정된 상태로 지탱하므로 사무실 또는 가정용 테이블 등위에 올려놓아 사용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관상용 수족관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건물의 벽면 등에 설치된 고정핀(25)에 대해 본체(11)의 배면판(13)에 관통형성된 결합공(24)을 끼워맞추어 관상용 수족관(6)을 벽면에 고정한다. 이로 인해 공간이 협소한 작은 규모의 영업용 식당 등의 벽면에 관상용 수족관(6)을 설치하므로 작은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11)의 제1공간부(32) 후방으로 분할형성된 제2공간부(33)에 형성되는 기포에 의해 관상용 수족관(6)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본체(11) 상부에 장착된 에어 펌프(18)로 부터 토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제2공간부(33)에 소정높이로 채워진 물속에 기포를 형성함에 따라, 관상용 수족관(6)을 전방에서 관측할 경우 인조 수중생물체(5)가 수용된 제1공간부(32)에 기포가 형성되므로 관상용 수족관(6) 내부의 인조 수중생물체(5)가 실제로 살아있는 것처럼 보여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수족관에 인조 해파리 등을 수용하므로 먹이 공급이 불필요하여 배설물 등의 이물질이 배출되지않아 관리가 용이하고, 수족관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부대설비등이 불필요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인조 수중생물체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이의 조립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 향상으로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인조 수중생물체의 비중이 조절되므로 펌프로부터의 수압이 감소되는 경우에도 인조 수중생물체가 초기의 상승높이를 유지하고 작은 수류에도 인조 수중생물체가 민감하게 유동되며, 뚜껑 또는 부유체에 장착된 램프(LED)의 발광에 의해 인조 생물체를 장기간 동안 싫증내지않고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수족관을 벽걸이용 또는 탁상용으로 설치하여 한정된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하고, 수족관을 취침등 또는 가습기 대용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고정편이 내부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제1몸체;
    상기 고정편에 고정되고 내부공간 크기에 따라 비중이 조절되는 공기층이 형성된 부유체;
    상기 부유체에 고정되고 제1촉수가 형성된 제2몸체; 및
    상기 제2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촉수보다 길이가 짧은 제2촉수가 형성된 제3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부유성 인조 수중생물체를 형성하고,
    상기 인조 수중생물체가 수족관내의 수류를 따라 실제 수중생물체 움직임과 유사하게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상기 부유체 내측면에 장착되어 발광되는 램프와, 상기 부유체에 내장되고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램프에 공급하여 램프 발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조 수중생물체의 비중은 1.0∼1.3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의 공기층 내측면에 설치되고, 수광시 발광되는 형광물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5.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인조 수중생물체가 내부의 수류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되는 제1공간부와, 제1공간부와 분할 형성되고 에어펌프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수중에 기포를 형성하는 제2공간부가 형성되고, 투명한 전면 커버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 하측에 장착되고, 본체 상방향으로 액체를 토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 하방으로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액체를 토출시켜 본체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펌프;
    상기 본체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인조 수중생물체를 조사하는 램프가 바닥면에 설치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수족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수족관을 탁상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상 기 본체 바닥면 좌우측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결합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한 쌍의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수족관.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수족관을 벽걸이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본체의 배면판에 형성되고, 피고정면에 고정된 고정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수족관.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적색 LED 및 청색 LED로 이루어져 배치되고, 릴레이와 연결되어 릴레이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적색, 청색 및 핑크색으로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수족관.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형, 사각형, 마름모형, 다각형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수족관.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판 외측면에 인쇄물을 부착하여 본체 전면에서 인쇄물을 관측할 수 있도록 상기 배면판이 투명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물 이면에서 인쇄물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수족관.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관상용 수족관을 취침용 조명등 대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의 전면 커버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취침용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용 수족관.
KR2020060005009U 2006-02-23 2006-02-23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KR200422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009U KR200422643Y1 (ko) 2006-02-23 2006-02-23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009U KR200422643Y1 (ko) 2006-02-23 2006-02-23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779A Division KR20070084682A (ko) 2006-02-21 2006-02-21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643Y1 true KR200422643Y1 (ko) 2006-07-31

Family

ID=4177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009U KR200422643Y1 (ko) 2006-02-23 2006-02-23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6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3298B2 (en) Aquarium with airlift-generated rotating water flow, methods of use and kits therefor
US7544290B2 (en) Aquarium
KR200447272Y1 (ko)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수족관
US20090199779A1 (en) Lighted aquarium
KR100694421B1 (ko) 수족관의 제어 방법
KR200422643Y1 (ko)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JP2003169566A (ja) 水槽用の照明装置および照明付き水槽
JPH10162609A (ja) 水槽用照明装置
KR20070084682A (ko) 관상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KR100828629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KR200386972Y1 (ko) 장식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JP2005317513A (ja) 水中照明具
JP2012187079A (ja) 観賞魚用水槽
KR100922767B1 (ko) 수족관용 조명 제어방법
KR200426192Y1 (ko) 수족관용 발광다이오드 바
CN206112543U (zh) 养殖装饰灯具
JP4954817B2 (ja) 装飾テーブル
KR102340375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조명화분 받침대
CN2920128Y (zh) 具有液体金葱灯动态效果的调味罐
CN105766760A (zh) 壁挂式水族箱
CN216533341U (zh) 一种风暴水族灯
KR200330264Y1 (ko) 장식용 수족관
KR200438158Y1 (ko) 리모콘 수족관용 조명장치
KR101265024B1 (ko) 버블유영체가 구비된 장식 조명기구
JP2013252076A (ja) 照明部付水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