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293Y1 - 초음파가습기의 누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가습기의 누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293Y1
KR200422293Y1 KR2020060010615U KR20060010615U KR200422293Y1 KR 200422293 Y1 KR200422293 Y1 KR 200422293Y1 KR 2020060010615 U KR2020060010615 U KR 2020060010615U KR 20060010615 U KR20060010615 U KR 20060010615U KR 200422293 Y1 KR200422293 Y1 KR 200422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pper edge
water tank
atomiza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 근 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사
Priority to KR2020060010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2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습기 몸체의 수조실과 무화발생실에서 발생되는 수분과 증기가 물로 응축되어 몸체와 덮개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흘러내리게 됨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초음파가습기의 누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초음파가습기는 몸체의 상측 테두리부는 수평상의 평면으로 되었으므로 수조실에서 발생되어 응축되는 수분과 무화발생실에서 발생되어 응축되는 수증기는 몸체와 덮개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흘러내려 외부로 누수케 되었다.
이에 따라 장시간 가습시에는 흘러내린 바닥의 물을 자주 닦아야 하는 되는 번거러운 불편이 따르게 됨은 물론이거니와 가습기를 가구나 침대 머리부위에 놓아 사용시에는 누수되는 물에 의하여 가구나 침대가 젖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타고 내려 넓게 번지는 물에 의하여 가구 서랍 내의 옷이나 침대 매트리스 또는 이불 등이 젖게 되었으며, 젖은 옷이나 이불 또는 기타의 젖은 물건은 햇빛에 건조시켜야 되는 등 많은 불편한 문제가 따르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탱크(3)가 놓여지는 몸체(2)의 수조실(2A)과 무화발생실(2B)을 송수관(5)으로 연결하여 진동자(6)에 의하여 무화시키고
상기의 무화를 송풍기(7)의 송풍에 의하여 덮개(3)의 노즐(8)을 통하여 실내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몸체(2)의 상측 테두리부(2C)에는 테두리 돌편(201)을 형성하되 상측 테두리 부(2C) 전체를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202)으로 형성하여 증발되는 수분과 증기의 응축수가 몸체(2)의 내측으로 흐르게 하여 종래에 외부로 누수되게 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매우 합리적으로 구성한 초음파가습기의 누수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측 테두리부, 경사면, 경사홈

Description

초음파가습기의 누수방지장치{A WATER LEAKAGE PREVENTION OF ULTRASONIC HUMIDIFIER}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시 분리 사시도
도2는 도1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시도
도4는 종래제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습기 2 몸체
2A 수조실 2B 무화발생실
2C 상측 테두리부 201 테두리 돌편
202 경사면 203 경사홈
3 덮개 4 물탱크
5 송수관 6 진동자
7 송풍기 8 노즐
본 고안은 가습기 몸체의 수조실과 무화발생실에서 발생되는 수분과 증기가 물로 응축되어 몸체와 덮개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흘러내리게 됨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초음파가습기의 누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가습기는 물탱크가 놓여 지는 가습기 몸체의 수조실과 진동자의 발진작용에 의하여 무화시키는 무화발생실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덮개를 씌우게 되는바
종래의 초음파가습기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의 상측 테두리부는 수평상의 평면으로 되었으므로 수조실에서 발생되어 응축되는 수분과 무화발생실에서 발생되어 응축되는 수증기는 몸체와 덮개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흘러내려 외부로 누수케 되었다.
이에 따라 장시간 가습시에는 흘러내린 바닥의 물을 자주 닦아야 하는 되는 번거러운 불편이 따르게 됨은 물론이거니와 가습기를 가구나 침대 머리부위에 놓아 사용시에는 누수되는 물에 의하여 가구나 침대가 젖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타고 내려 넓게 번지는 물에 의하여 가구 서랍 내의 옷이나 침대 매트리스 또는 이불 등이 젖게 되었으며, 젖은 옷이나 이불 또는 기타의 젖은 물건은 햇빛에 건조시켜야 되는 등 많은 불편한 문제가 따르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탱크(3)가 놓여지는 몸체(2)의 수조실(2A)과 무화발생실(2B)을 송수관(5)으로 연결하여 진동자(6)에 의하여 무화시키고
상기의 무화를 송풍기(7)의 송풍에 의하여 덮개(3)의 노즐(8)을 통하여 실내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몸체(2)의 상측 테두리부(2C)에는 테두리 돌편(201)을 형성하되 상측 테두리부(2C) 전체를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202)으로 형성하여 증발되는 수분과 증기의 응축수가 몸체(2)의 내측으로 흐르게 하여 종래에 외부로 누수되게 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매우 합리적으로 구성한 초음파가습기의 누수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단면도로서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3)가 놓여 지는 몸체(2)의 수조실(2A)과 무화발생실(2B)을 송수관(5)으로 연결하여 진동자(6)에 의하여 무화시키고
상기의 무화를 송풍기(7)의 송풍에 의하여 덮개(3)의 노즐(8)을 통하여 실내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몸체(2)의 상측 테두리부(2C)에는 테두리 돌편(201)을 형성하되 상기 상측 테두리부(2C) 전체를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202)으로 형성하여 증발되는 물이 내측으로 흘러내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인데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시도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한 상측 테두리부(2C)에 일정한 간격으로 경사홈(203)을 형성한 구조로 구성하여도 좋으며 이렇게 하여도 거의 동일한 누수효율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물탱크(4)가 놓여져 상기의 물탱크(4)에서 유출되는 수조실(2A)의 물은 송수관(5)을 통하여 무화발생실(2B)로 공급되고
수조실(2A)에서 이동된 무화발생실(2B)의 물은 진동자(6)의 발진작용에 의하여 안개와 같은 미세입자 상태의 무화상태로 되어 덮개(3)의 노즐(8)을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작동은 종래의 초음파가습기의 작동과 동일하다.
상기에 있어서 본 고안은 몸체(2)의 상부 테두리부(2C)를 수조실(2A)과 무화발생실(2B)이 있는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202)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수조실(2A)에서 증발되는 수분과 무화발생실(2B)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물로 응축됨과 동시에 경사면(202)을 타고 몸체(2)의 내측 수조실(2A)과 무화발생실(2B)로 유입된다.
상기의 같이 반복되는 수분과 증기의 순환작용에 의하여 몸체(2)와 덮개(3) 사이의 틈새로 물이 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의 작동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한 상부 테두리부(2C)에다 일정한 간격으로 경사홈(203)을 형성할 때에도 물은 경사홈(203)을 따라 내측으로 흐르게 됨으로 거의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면과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한 구성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기존의 평탄한 상부 테두리부(2C)를 경사면(202)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수조실(2A)에서 증발되는 수분과 무화발생실(2B)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의 냉각수는 경사면(202)이나 경사홈(203)을 따라 몸체(2)의 내측으로 흐르게 됨으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종래 몸체(2)와 덮개(3)의 사이로 누수되는 물로 인하여 발생되는 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물탱크(3)가 놓여 지는 몸체(2)의 수조실(2A)과 무화발생실(2B)을 송수관(5)으로 연결하여 진동자(6)에 의하여 무화시키고
    상기의 무화를 송풍기(7)의 송풍에 의하여 덮개(3)의 노즐(8)을 통하여 실내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몸체(2)의 상측 테두리부(2C)에는 테두리 돌편(201)을 형성하되 상기 상측 테두리부(2C) 전체를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면(202)으로 형성하여 증발되는 물이 내측으로 흘러내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초음파가습기의 누수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측 테두리부(2C)에 일정한 간격으로 경사홈(20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초음파가습기의 누수방지장치.
KR2020060010615U 2006-04-20 2006-04-20 초음파가습기의 누수방지장치 KR200422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615U KR200422293Y1 (ko) 2006-04-20 2006-04-20 초음파가습기의 누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615U KR200422293Y1 (ko) 2006-04-20 2006-04-20 초음파가습기의 누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293Y1 true KR200422293Y1 (ko) 2006-07-27

Family

ID=4177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615U KR200422293Y1 (ko) 2006-04-20 2006-04-20 초음파가습기의 누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2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173U (ko) 2017-11-09 2019-05-17 나호선 생수용기를 이용하는 미니 초음파 가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173U (ko) 2017-11-09 2019-05-17 나호선 생수용기를 이용하는 미니 초음파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9104C (en) Ultrasonic humidifier
US20100132208A1 (en) Clothes treatiang apparatus
US9096969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moisture supply units
JP2009144984A (ja) ドレン排水処理装置
KR200422293Y1 (ko) 초음파가습기의 누수방지장치
KR101708315B1 (ko) 의류처리장치
JP2008013906A (ja) 布地のジェットニードリング用ウォーターバーの吸引室
KR100798327B1 (ko) 스팀청소기용 보일러
KR101679577B1 (ko) 상부급수식 초음파 가습기
US20170184302A1 (en) Steamer head
CN102247707A (zh) 一种嵌入式抽湿杀菌装置
RU2359176C1 (ru) Установка охлаждения воздуха с испарением рециркулирующей воды
KR101050964B1 (ko) 가습분포도를 높여주도록 구성되는 가습기
KR0164173B1 (ko) 가습기
JP6130160B2 (ja) エゼクタ式真空ポンプ
KR100748713B1 (ko) 스팀청소기
KR200447044Y1 (ko) 살균기능을 향상시킨 가습기
KR0139393Y1 (ko) 냉온수기 결합형 가습기
KR0124174Y1 (ko) 가습기의 노즐
JPH11351619A (ja) 加湿器
US20220364746A1 (en) Mist Maker Featuring Forced Airflow To Reduce Moisture Condensation And/Or Featuring Airflow Drifting
CN218104913U (zh) 防漏液的电子烟雾化器
KR0134803Y1 (ko) 가습기의 방음장치
KR200157776Y1 (ko) 가습기
KR100509630B1 (ko) 방향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