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285Y1 -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285Y1
KR200422285Y1 KR2020060008675U KR20060008675U KR200422285Y1 KR 200422285 Y1 KR200422285 Y1 KR 200422285Y1 KR 2020060008675 U KR2020060008675 U KR 2020060008675U KR 20060008675 U KR20060008675 U KR 20060008675U KR 200422285 Y1 KR200422285 Y1 KR 200422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holder
tub
dr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희
Original Assignee
박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희 filed Critical 박상희
Priority to KR2020060008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2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고정부와 밴드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욕조밖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고, 피부 마사지 기능이 있는 스파 장치를 욕조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애완동물의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 욕조의 개방구측에 그루밍 테이블을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애완동물을 테이블위에 올려 놓고 브러쉬, 건조, 미용 및 마시지할 수 있고, 나아가 욕조의 일측에 드라이 거치대를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목욕후 애완동물 건조시 드라이기를 거치대에 고정시킨 다음 양손으로 자유롭게 빨리 건조시킬 수 있는 욕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 욕조, 입욕, 밴드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BATH SYSTEM FOR PET ANIMALS}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의 참고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에서 애완동물을 목욕시키는 사용 상태의 단면을 도시하는 상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을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그루밍 테이블이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된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고정부와 밴드부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욕조밖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속박할 수 있고, 피부 마사지 기능이 있는 스파 장치를 욕조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애완동물의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 욕조의 개방구측에 그루밍 테이블을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애완동물을 테이블위에 올려 놓고 브러쉬, 건조, 미용 및 마시지할 수 있고, 나아가 욕조의 일측에 드라이 거치대를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목욕후 애완동물 건조시 드라이기를 거치대에 고정시킨 다음 양손으로 자유롭게 건조시킬 수 있는 욕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많은 가정에서 애견이나 고양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애완동물을 기르고 있다. 이와 같은 애완동물은 인간에게 즐거움과 정서적 안정감을 주지만, 목욕, 미용을 적시에 행하지 않는 등 애완동물 관리를 소홀히 하는 경우, 벼룩, 진드기, 또는 세균의 매개체가 된다. 이는 애완동물에게 피부병 등의 질병을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질병을 전염시킬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은 계절이 바뀜에 따라 털갈이를 하게 되는데, 집안에 부유하는 털은 집안 공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나아가 특히 어린이들에게 털 알레르기 및 아토피 등의 질병을 야기시킨다.
특히, 아파트 문화가 일반화된 주거환경에서 만약 애완동물에 의하여 특정 가정에 질병이 유발될 경우, 주위의 다른 가정에도 전염되어 피해를 주게 된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 애완동물을 기르는 사람들은 애완동물의 위생 및 건강 상태에 대하여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을 1주일에 적어도 한번 목욕시켜 애완동물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요구되어 진다.
종래에 애완동물을 목욕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애완동물을 물이 채워진 욕조에 넣고, 애완동물의 눈, 코, 입에 물이 들어가지 않토록 한 손으로 애완동물을 잡고 나머지 손으로 물을 붓거나 샤워기를 이용하여 목욕을 시키고, 최종적으로는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털을 말리게 된다. 특히, 털을 말려주는 과정에서도 털이 빠져서 날리거나 바닥에 떨어지는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들어, 일부 고가의 애완동물용 목욕장치가 국내에 수입되어 일부 동물병원 등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 서민이 구입하여 사용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크고, 그러한 고가의 목욕장치도 애완동물을 기계적으로 목욕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목욕시 애완동물이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그 결과 애완동물이 목욕을 기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애완동물이 목욕을 기피할 경우, 종래의 애완동물용 욕조의 경우에는 애완동물의 목을 한 손으로 잡은 다음 다른 손으로만 목욕을 시킬 수 있었고, 이 경우에도 발버둥치는 애완동물을 한 손으로 욕조내에 속박시키는 것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목욕후 브러쉬, 건조, 미용 및 마사지할 경우, 욕조의 물을 비우고 애완동물을 욕조내에 한 손으로 속박시킨 다음에야 나머지 한 손으로 제공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져, 매우 불편하였고 목욕 시간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육자 입장에서는 애완동물을 목욕시키는 일이 가장 불편하고 힘겨운 일인 반면, 애완동물도 목 욕 중에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밴드 고정부와 밴드부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이 욕조밖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속박함과 동시에, 목욕중에 스파 장치로 피부 마사지를 제공해 줌으로써 애완동물이 보다 안락한 환경하에서 목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애완동물의 입욕 및 목욕이 끝난 다음에는 욕조의 개방구측에 그루밍 테이블을 설치하고, 그 그루밍 테이블위에 애완동물을 위치시켜 보다 간편하게 브러쉬, 건조, 미용 및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드라이 거치대에 드라이기를 고정시킨 다음 양손으로 자유자재로 건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드라이 거치대를 모든 종류의 드라이기가 장착가능하도록 호환되게 설계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드라이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목적은 애완동물을 지지 내지 고정시키는 스탠드 본체부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욕조 본체부 또는 그루밍 테이블에 결합함으로써, 애완동물을 스탠드 본체부에 착석시킨 상태로 목욕, 입욕, 샤워, 건조, 마사지 등 애완동물의 모든 관리를 행할 수 있는 편리한 욕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은 상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물을 수납할 수 있는 욕조 본체부; 상기 욕 조 본체부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밴드 고정부; 및 다수의 회전볼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됨과 동시에, 그 일단이 상기 밴드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애완동물에 연결되어 애완동물을 욕조내에 속박시키는 메인 밴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밴드부의 타단이 애완동물이 착용하는 어깨끈의 일측에 연결되어, 애완동물을 욕조내에 속박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밴드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체결장공이 형성된 다수의 회전볼과, 양쪽 말단부에 고정볼이 구비된 다수의 연결 밴드가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밴드 각각의 고정볼은 체결장공을 통하여 이웃하는 회전볼의 중공부내에 각각 결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밴드 고정부는 그 일측면에 장홈이 형성되고, 그 장홈에는 연속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회전볼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어, 메인 밴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구비된 회전볼을 상기 회전볼 장착홈에 억지 끼움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밴드 고정부는 그 상측면에 장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후크형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형 체결부재는 회동되어 상기 장홈에 끼움 결합된 연결 밴드에 맞물려 고정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욕조 본체부의 내부 바닥면에는 스파 장치가 탈착가능게 더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욕조 본체부의 상측 테두리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 거치대 삽입공이 형성되고, 그 드라이 거치대 삽입공에 드라이 거치 대가 탈착가능하게 삽입되어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욕조 본체부의 상측 테두리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장착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후크 부재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밴드부의 연결고리는 상기 드라이 거치대 삽입공 및 테이블 장착공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드라이 거치대 및 고정봉에 의해 욕조 본체부의 상측 테두리면에 고정되고, 상기 보조 밴드부의 후크 부재는 상기 메인 밴드부의 타단 또는 어깨끈의 일측에 연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 거치대는 수직 지지대와 그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드라이 홀더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직 지지대는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수직 프레임 봉과 상기 수직 프레임 봉의 상하단측으로부터 각각 삽통되는 체결봉과 연결봉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 홀더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홀더 본체, 그 홀더 본체와 맞물려 체결되는 홀더 커버, 상기 홀더 본체와 홀더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 커버의 체결에 의해 상기 홀더 본체에 내삽되어 고정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마주 보도록 대응하는 한 쌍의 탄성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탄성유닛은 상기 홀더 본체의 중공부측으로 연장된 내측 탄성유닛과, 내측 탄성유닛 외측면 일부에 부착되는 외측 탄성유닛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직 지지대에는 샤워기 거치 부재가 탈착가능하게 클램핑 결합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그루밍 테이블이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된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물을 수납할 수 있는 욕조 본체부; 상기 욕조 본체부의 상측 개방부에 씌워지는 그루밍 테이블; 및 상기 그루밍 테이블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미끄럼 방지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욕조 본체부의 상측 테두리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그루밍 테이블은 그 하측면에 상기 테이블 장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체결부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돌출 체결부가 상기 욕조 본체부에 형성된 테이블 장착공에 탈착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욕조 본체부의 상측 테두리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 거치대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그루밍 테이블에는 상기 욕조 본체부의 드라이 거치대 삽입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을 통하여 애완동물 고정대가 관통되어 상기 거치대 삽입공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욕조 본체부의 내부에는 애완동물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스탠드 본체부가 자유로이 탈착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스탠드 본체부는 애완동물의 머리 및 몸통을 지지시키는 상판 스탠드, 상기 상판 스탠드를 지지하는 수직 스탠드 지지대, 및 상기 수직 스탠드 지지대를 지지하는 4개의 스탠드 다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스탠드, 수직 스탠드 지지대, 및 스탠드 다리부는 상호 접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스탠드는 애완동물의 몸통을 지지하는 몸통 지지대, 상기 몸통 지지대의 전방 일측에 각도 및 길이 조절가능하게 결합되어 애완동물의 목 크기에 따라 각도 및 길이 조절가능한 목 지지대, 상기 목 지지대의 상단에 구비되어 애완동물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머리 받침대, 및 상기 몸통 지지대의 중앙에 각도 조절가능하게 결합되어 애완동물의 몸통 좌우를 받쳐주는 몸통 사이드 지지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머리 받침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애완동물의 목을 고정시키는 목 고정 밴드, 및 상기 몸통 사이드 지지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애완동물의 몸통을 고정시키는 몸통 고정 밴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통 지지대의 후방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애완동물의 둔부를 고정시키는 둔부 고정대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었고,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수 있는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애완동물이란 집에서 애완용으로 기를 수 있는 개, 고양이, 돼지 등의 모든 종류의 동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의 참고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에서 애완동물을 목욕시키는 사용 상태의 단면을 도시하는 상태 단면도이다.
밴드 시스템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은 상측에 개방구가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물을 수납할 수 있는 욕조 본체부(100), 욕조 본체부(100)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밴드 고정부(120) 및 그 일단이 밴드 고정부(1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애완동물에 연결되어 애완동물을 욕조내에 속박시키는 메인 밴드부(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욕조 본체부(100)는 그 내부를 굴곡처리하여 최소량의 물로도 애완동물을 입욕 및 목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욕조 본체부(100)는 내구력이 강한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완동물에는 어깨끈(4)을 채워주는데, 상기 메인 밴드부(130)의 타단을 그 어깨끈(4)의 일측에 구비된 링(5)에 연결하여, 애완동물을 욕조내에 속박시킨다.
도2를 참조하면, 메인 밴드부(13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체결장공(132)이 형성된 다수의 회전볼(131)과, 양쪽 말단부에 고정볼(134)이 구비된 다수의 연결 밴드(133)가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밴드(133)의 양쪽 고정볼(134)이 체결장공(132)을 통하여 이웃하는 회전볼(131)의 중공부내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메인 밴드부(130)에 묶여 속박되어 있는 애완동물이 움직인다 할지라도, 회전볼(131) 자체가 애완동물과 접촉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밴드부는 꼬이지 않게 된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욕조 본체부(100)의 바닥면에는 다양한 방식의 밴드 고정부(120)가 구비된다. 제1 타입의 밴드 고정부(120)는 그 일측면에 장홈(121)이 형성되고, 그 장홈(121)에는 연속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회전볼 장착홈(122)이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 밴드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구비된 회전볼(131)을 상기 밴드 고정부(120)의 회전볼 장착홈(122)에 억지 끼움 결합함으로써 메인 밴드부(130)를 밴드 고정부(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타입의 밴드 고정부(120)는 일반적으로 벨트 등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버클형이다. 제3 타입의 밴드 고정부(120)는 그 상측면에 장홈(123)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후크형 체결부재(1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후크형 체결부재(124)는 회동되어 상기 장홈(123)에 끼움 결합된 연결 밴드(133)에 맞물리게 되고, 그 결과 밴드부를 밴드 고정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타입의 밴드 고정부(120)를 이용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에 의해 메인 밴드부(130)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욕조 본체부(100)의 상측 테두리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 거치대 삽입공(104)(또는 테이블 장착공(106))이 형성되고, 그 드라이 거치대 삽입공 등에 드라이 거치대(210) 또는 고정봉(134)이 탈착가능하게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 경우, 드라이 거치대(210) 또는 고정봉(134)에 의해 보조 밴드부(135)의 일단이 욕조 본체부(100)의 상측 테두리면에 고정된다. 즉, 보조 밴드부(135)는 일단에 후크 부재(136)를 구비하고 타단에 연결고리(137)를 구비한다. 이 보조 밴드부(135)의 연결고리(137)는 상기 드라이 거치대 삽입공(104)에 끼움 결합되는 드라이 거치대(210) 또는 고정봉(134)에 의해 욕조 본체부(100)의 상측 테두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보조 밴드부(135)의 후크 부재(136)는 메인 밴드부(130)의 타단 또는 어깨끈의 일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은 보조 밴드부(135)에 의해 사방으로부터 속박되어 욕조밖으로 벗어날 수 없게 된다. 특히, 메인 밴드부(130)와 보조 밴드부(135) 전부를 애완동물에게 채울 경우에는 애완동물이 발버둥치더라도 욕조밖으로 빠져 나올 수 없게 되므로, 욕조 그 자체가 케이지(cage)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손님이 방문하는 등 애완동물을 특정 장소에 가두어야 할 경우, 별도의 케이지 없이도 본 고안의 욕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욕조내에 속박시킬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배수구(110)가 욕조 본체부(100)의 바닥면 일측에 형성되는데, 이 배수구(110)에는 거름망(112)이 끼워져 애완동물의 털을 걸러준다. 부재번호 144는 배수구 뚜껑이다.
스파 시스템
도2를 참조하면, 욕조 본체부(100)의 바닥면 일측에는 스파 장치(140)가 구비된다. 스파 장치(140)는 기포를 발생시켜 애완동물의 구석구석까지 거품 목욕 및 피부 마사지 가능하다. 상기 스파 장치는 하측면에 다수의 흡착부(142)를 구비하여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파 장치(140)는 욕조 본체부(100)의 바닥면에 매립된다.
드라이 거치대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욕조 본체부(100)의 상측 테두리면(102)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 거치대 삽입공(104)이 형성되고, 그 드라이 거치대 삽입공(104)에는 드라이 거치대(200)가 탈착가능하게 삽입된다. 드라이 거치대(200)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210)와 그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드라이 홀더(22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드라이 홀더(220)는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수직 지지대(210)는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수직 프레임 봉(212)과 상기 수직 프레임 봉(212)의 상하단측으로부터 삽통되는 체결봉(216)과 연결봉(214)으로 이루어진다. 도3을 참조하면, 체결봉(216)의 일단은 거치대 삽입공(104)에 삽입되고, 그 타단은 수직 프레임 봉(212)에 내삽된다. 연결봉(214)의 일단은 수직 프레임 봉(212)에 외삽되고, 그 타단에는 체결공이 구비되어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213)에 의해 드라이 홀더(220)와 결합된다. 상기 연결봉(214)의 일단이 수직 프레임 봉(212)에 외삽되어 있기에, 상기 드라이 홀더(220)는 수직 프레임 봉(212)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지지대(210)의 수직 프레임 봉(212)에는 샤워기 거치 부재(230)가 탈착가능하게 클램핑 결합된다. 따라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워기(1)를 샤워기 거치 부재(230)에 끼움 결합한 다음 양손으로 애완동물을 목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샤워기 거치 부재(230)가 결합된 수직 프레임 봉(212)은 체결봉(216)에 외삽되어 있기에, 샤워기(1)는 체결봉(216)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결합된 샤워기 거치 부재(230)는 수직 프레임 봉(212)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샤워기(1)의 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드라이 홀더(22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홀더 본체(222), 그 홀더 본체(222)와 맞물려 체결되는 홀더 커버(224), 상기 홀더 본체(222)와 홀더 커버(22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 커버(224)의 체결에 의해 상기 홀더 본체(222)에 내삽되어 고정되는 탄성부재(226)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226)는 서로 마주 보도록 대응하는 한 쌍의 탄성유닛(22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탄성유닛(227)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 본체(222)의 중공부측으로 연장된 내측 탄성유닛(227a)과, 내측 탄성유닛(227a) 외측면 일부에 부착되는 외측 탄성유닛(227b)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탄성유닛(227) 사이로 드라이기(2)를 끼워 거치시킬 경우, 드라이기(2)가 서로 대응하는 내측 탄성유닛(227a)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드라이기(2)의 외측면이 내측 탄성유닛(227a)과 밀착되어 끼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드라이 홀더(220)내에 탄성부재(226)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드라이기(2)를 자유자재로 드라이 홀더(220)에 거치시킬 수 있다.
특히, 입욕 및 목욕후 애완동물을 건조시킬 경우, 메인 밴드부(130) 및/또는 보조 밴드부(135)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속박시킨 상태에서 드라이기로 온풍을 욕조 내측으로 불어 넣어 줌으로써 욕조내에서의 대류 현상 등에 의해 애완동물을 보다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도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이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욕조 본체부(100)의 상측 개방부에 씌워지는 그루밍 테이블(30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욕조 본체부(100)의 상측 테두리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장착공(106)이 형성된다. 그루밍 테이블(300)은 그 하측면 테이블 장착공(106)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체결부(310)가 구비된다. 그루밍 테이블(300)을 욕조 본체부(100)의 상측 개방부에 씌울 경우, 돌출 체결부(310)가 욕조 본체부(100)에 형성된 테이블 장착공(106)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 그루밍 테이블(300)의 상측면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320)가 구비된다. 이는 그루밍 테이블(300)위에 놓여지는 애완동물이 미끄러져 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미끄럼 방지 패드(320)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측면에 연속적으로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미끄럼을 방지한다. 도5를 참조하면, 욕조 본체부(100)의 일측 테두리면에는 드라이 거치대 삽입공(104)이 형성되는데, 이 거치대 삽입공(104)과 대응하는 위치의 그루밍 테이블(300)에는 관통공(3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330)을 통하여 애완동물 고정대(340)가 상측으로부터 관통하고 욕조 본체부(100)의 거치대 삽입공(10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5에서는 애완동물 고정대(340)를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결부재(342) 등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속박시킬 수 있는 모든 구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루밍 테이블(300)위에 올려 놓어진 애완동물을 애완동물 고정대(34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양손으로 건조, 미용, 브러쉬, 및 마시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도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을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은 애완동물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스탠드 본체부(40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스탠드 본체부(400)는 상기 욕조 본체부(100)의 내부에 자유로이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스탠드 본체부(400)를 욕조 본체부(100) 내측에 결합하여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스탠드 본체부(400)를 분리시켜 별개로 보관할 수 있다. 스탠드 본체부(400)는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완동물의 머리 및 몸통을 지지시키는 상판 스탠드(410), 상기 상판 스탠드(410)를 지지하는 수직 스탠드 지지대(420), 및 상기 수직 스탠드 지지대(420)를 지지하는 4개의 스탠드 다리부(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스탠드(410), 수직 스탠드 지지대(420), 및 스탠드 다리부(430)는 상호 힌지 결합되어 있어, 접고 펼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특히 보관시에 상기 상판스탠드(410), 수직 스탠드 지지대(420), 및 스탠드 다리부(430)를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스탠드(410)는 애완동물의 몸통을 지지하는 몸통 지지대(402), 상기 몸통 지지대(402)의 전방 일측에 각도 및 길이 조절가능하게 결합되어 애완동물의 목 크기에 따라 각도 및 길이 조절가능한 목 지지대(404), 상기 목 지지대(404)의 상단에 구비되어 애완동물의 머리부를 지지하는 머리 받침대(406), 및 상기 몸 통 지지대(402)의 중앙에 각도 조절가능하게 결합되어 애완동물의 몸통 좌우를 받쳐주는 몸통 사이드 지지대(408)로 구성된다. 특히, 몸통 사이드 지지대(408)는 애완동물의 몸통이 클 경우 외측 방향으로 각도 조절되어 몸통이 큰 애완동물을 사이드 방향에서 지지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안정된 자세로 착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 받침대(406)의 일측에는 목 고정 밴드(442)가 구비되어 있어, 애완동물의 머리부를 머리 받침대(406)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목 고정 밴드(442)를 체결시킴으로써 애완동물의 머리부를 머리 받침대(406)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몸통 사이드 지지대(408)의 일측에는 몸통 고정 밴드(440)가 구비되어 있어, 애완동물을 몸통 지지대(40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몸통을 감싸도록 체결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몸통을 몸통 지지대(40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몸통 지지대(402)의 후방 일측에는 둔부 고정대(450)가 구비된다. 둔부 고정대(450)는 몸통 지지대(402)의 후방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애완동물의 둔부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둔부 고정대(450)는 그 내부에 둔부가 끼워질 수 있는 중공부를 구비한다. 둔부 고정대(450)를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 애완동물을 몸통 지지대(402)에 착석시킨 다음, 둔부 고정대(450)를 애완동물의 둔부 방향으로 회동시켜 애완동물의 둔부가 둔부 고정대(450)에 마련된 중공부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도7 및 도8을 참조하면, 욕조 본체부(100)의 바닥면에는 4개의 바닥 지지부(150)가 구비되고, 그 바닥 지지부(150) 내부에는 체결홈(15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욕조 본체부(100)를 뒤집은 상태에서 4개의 바닥 지 지부(150)의 체결홈(152)에 스탠드 본체부(400)의 4개의 스탠드 다리부(430)를 끼움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4개의 스탠드 다리부(430)의 저면에 돌출 지지부를 구비하여, 그 돌출 지지부가 바닥 지지부(150)의 체결홈(152)에 끼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면에 도시한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의 구성 등을 변형 내지 수정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본 고안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밴드 고정부와 밴드부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이 욕조밖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속박함과 동시에, 목욕중에 스파 장치로 피부 마사지를 제공해 줌으로써, 애완동물이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환경하에서 입욕 및 목욕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둘째, 애완동물의 입욕 및 목욕 후, 욕조의 개방구측에 그루밍 테이블을 설치하고, 그 그루밍 테이블위에 애완동물을 위치시켜 보다 간편하게 브러쉬, 건조, 미용 및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세째, 드라이 거치대에 드라이기를 고정시킨 다음, 양손으로 자유자재로 건 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드라이 거치대를 모든 종류의 드라이기가 장착가능하도록 호환되게 설계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드라이기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
네째, 애완동물을 지지 내지 고정시키는 스탠드 본체부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욕조 본체부 또는 그루밍 테이블에 결합함으로써, 애완동물을 스탠드 본체부에 착석시킨 상태로 목욕, 입욕, 샤워, 건조, 마사지 등 애완동물의 모든 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9)

  1.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물을 수납할 수 있는 욕조 본체부;
    상기 욕조 본체부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밴드 고정부; 및
    다수의 회전볼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됨과 동시에, 그 일단이 상기 밴드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애완동물에 연결되어 애완동물을 욕조내에 속박시키는 메인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밴드부의 타단이 애완동물이 착용하는 어깨끈의 일측에 연결되어, 애완동물을 욕조내에 속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밴드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체결장공이 형성된 다수의 회전볼과, 양쪽 말단부에 고정볼이 구비된 다수의 연결 밴드가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밴드 각각의 고정볼은 체결장공을 통하여 이웃하는 회전볼의 중공부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고정부는 그 일측면에 장홈이 형성되고, 그 장 홈에는 연속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회전볼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어, 메인 밴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구비된 회전볼을 상기 회전볼 장착홈에 억지 끼움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고정부는 그 상측면에 장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후크형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형 체결부재는 회동되어 상기 장홈에 끼움 결합된 연결 밴드에 맞물려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 본체부의 내부 바닥면에는 스파 장치가 탈착가능게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 본체부의 상측 테두리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 거치대 삽입공이 형성되고, 그 드라이 거치대 삽입공에 드라이 거치대가 탈착가능하게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 본체부의 상측 테두리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장착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후크 부재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연결고리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밴드부의 연결고리는 상기 드라이 거치대 삽입공 및 테이블 장착공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드라이 거치대 및 고정봉에 의해 욕조 본체부의 상측 테두리면에 고정되고, 상기 보조 밴드부의 후크 부재는 상기 메인 밴드부의 타단 또는 어깨끈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거치대는 수직 지지대와 그 수직 지지대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드라이 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는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수직 프레임 봉과 상기 수직 프레임 봉의 상하단측으로부터 각각 삽통되는 체결봉과 연결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홀더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홀더 본체, 그 홀더 본체와 맞물려 체결되는 홀더 커버, 상기 홀더 본체와 홀더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홀더 커버의 체결에 의해 상기 홀더 본체에 내삽되어 고정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마주 보도록 대응하는 한 쌍의 탄성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탄성유닛은 상기 홀더 본체의 중공부측으로 연장된 내측 탄성유닛과, 내측 탄성유닛 외측면 일부에 부착되는 외측 탄성유닛으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에는 샤워기 거치 부재가 탈착가능하게 클램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2020060008675U 2006-03-31 2006-03-31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KR200422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75U KR200422285Y1 (ko) 2006-03-31 2006-03-31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75U KR200422285Y1 (ko) 2006-03-31 2006-03-31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826A Division KR20070098316A (ko) 2006-03-31 2006-03-31 그루밍 테이블이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된 애완동물용 욕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285Y1 true KR200422285Y1 (ko) 2006-07-27

Family

ID=4177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675U KR200422285Y1 (ko) 2006-03-31 2006-03-31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28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102B1 (ko) 2014-09-30 2015-04-07 주식회사 동우티엔씨 욕조 겸용 야외용 다용도 테이블
KR20200056142A (ko) 2018-11-14 2020-05-22 변현일 애견 욕조 장치
KR20220059130A (ko) 2020-11-02 2022-05-10 주식회사 하이씨엔티 수소발생기를 구비한 이동식 펫 욕조기
KR20220076168A (ko) * 2020-11-30 2022-06-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 샤워기 거치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102B1 (ko) 2014-09-30 2015-04-07 주식회사 동우티엔씨 욕조 겸용 야외용 다용도 테이블
WO2016052847A1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동우티엔씨 욕조 겸용 야외용 다용도 테이블
KR20200056142A (ko) 2018-11-14 2020-05-22 변현일 애견 욕조 장치
KR20220059130A (ko) 2020-11-02 2022-05-10 주식회사 하이씨엔티 수소발생기를 구비한 이동식 펫 욕조기
KR20220076168A (ko) * 2020-11-30 2022-06-0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 샤워기 거치대
KR102459534B1 (ko) 2020-11-30 2022-10-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 샤워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0796A (en) Portable animal bathing apparatus
US10143182B1 (en) Multifunction washer box
US20070079766A1 (en) Beauty, medical treatment, and bath system for pet animal
KR200422285Y1 (ko) 애완동물용 욕조 시스템
US7673356B1 (en) Head and neck support apparatus
KR20070098316A (ko) 그루밍 테이블이 탈착가능하도록 구비된 애완동물용 욕조시스템
KR102035705B1 (ko) 반려동물용 욕조
KR101395421B1 (ko) 다목적 펫 하우스
KR20110110519A (ko) 애완동물 목욕거치대
US7836854B1 (en) Pet bathing apparatus
KR20200082898A (ko) 애완동물 움직임 방지용 거치대
US20140359932A1 (en) Inclined child bath support
US20190320854A1 (en) Bathtub Inser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2036371B1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KR20050053477A (ko) 애완동물용 미용, 의료 및 욕조 시스템
JP6116944B2 (ja) ペット用洗浄器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ペット用洗浄器具セット
US8720380B1 (en) Sink enclosure for bathing pets
KR100702197B1 (ko) 애완동물용 목욕, 미용 및 의료시스템
KR200343208Y1 (ko) 애완동물용 미용 및 욕조 시스템
KR102031072B1 (ko) 반려동물 목욕대
EP2430958A2 (en) Detachable and height adjustable bathtub for use in cleaning and care of infants and pets
KR200353192Y1 (ko) 애완동물용 목욕,미용 및 의료시스템
KR101377310B1 (ko) 애완동물의 샤워장치
US10631690B2 (en) Foot exfoliation device
KR102546642B1 (ko) 반려동물 목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