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856Y1 - 메쉬휀스 - Google Patents

메쉬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856Y1
KR200421856Y1 KR2020060011545U KR20060011545U KR200421856Y1 KR 200421856 Y1 KR200421856 Y1 KR 200421856Y1 KR 2020060011545 U KR2020060011545 U KR 2020060011545U KR 20060011545 U KR20060011545 U KR 20060011545U KR 200421856 Y1 KR200421856 Y1 KR 200421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e
coupling
mesh
support
hole 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이건수
Original Assignee
이종현
이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현, 이건수 filed Critical 이종현
Priority to KR2020060011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8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8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04H17/1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the wire being placed in slots, groov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쉬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T형 결합홈이 형성된 지주, 상기 지주에 양측 최외각 세로살이 고정되는 메쉬망, 상기 지주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메쉬망의 상부를 덮으며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 덮개, 상기 지주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메쉬망의 하부를 덮으며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또 하나의 결합공이 형성된 하부 덮개, 상기 상/하부 덮개에 형성된 결합공과 대응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쉬망의 최외각 세로살에 밀착되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된 결합부재 및, 상기 상/하부 덮개에 형성된 결합공과 결합부재에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고 상기 지주에 형성된 T형 결합홈에 삽입되는 T형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메쉬망의 상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고, 지주의 배면에 형성된 T형 결합홈과 별도의 T형 볼트/너트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메쉬휀스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설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메쉬휀스, 덮개, T형 볼트, ㄱ형 볼트

Description

메쉬휀스{Mesh Fen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메쉬휀스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쉬휀스의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메쉬휀스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메쉬휀스의 평단면도,
도 5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휀스의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5의 (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휀스의 일부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지주 11 : T형 결합홈
20 : 상부 덮개 30 : 하부 덮개
40 : 결합부재 51 : T형 볼트
52 : 너트 61, 62 : 연결부재
21, 31, 41, 61a, 62a : 결합공
M : 메쉬망
본 고안은 메쉬휀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주의 배면에 형성된 T형(또는 ㄱ형) 결합홈과 T형(또는 ㄱ형) 볼트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고 설치시에 별도의 천공작업이 필요없는 메쉬휀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메쉬휀스는 U형 밴드를 사용하여 메쉬망과 지주를 연결고정하였고, 이와 같이 고정된 메쉬휀스는 외부충격에 약하고 상하좌우로 쉽게 흔들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0530803호와 같이 연결밴드를 개량하여 지주와 메쉬망의 연결을 견고히 하는 발명, 고안이 다수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량된 연결밴드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메쉬망의 상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실제 메쉬휀스 설치 공정시 지주와 메쉬망을 위치시킨 후, 볼트/너트를 사용하여 연결밴드로 지주와 메쉬망을 연결고정하고자 할 때, 별도로 체결공을 형성하기 위한 천공작업이 필요하여 설치 공정에 다소 시간이 소요되고, 따라서 공정이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주의 배면에 밀착되고 메쉬망의 상/하부를 덮는 상/하부 덮개를 구비함으로써 메쉬망 의 상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고, 지주의 배면에 형성된 T형(또는 ㄱ형) 결합홈과 별도의 T형 볼트(또는 ㄱ형 볼트)/너트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메쉬휀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메쉬휀스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T형 결합홈이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에 양측 최외각 세로살이 고정되는 메쉬망과, 상기 지주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메쉬망의 상부를 덮으며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 덮개와, 상기 지주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메쉬망의 하부를 덮으며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또 하나의 결합공이 형성된 하부 덮개와, 상기 상/하부 덮개에 형성된 결합공과 대응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쉬망의 최외각 세로살에 밀착되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된 결합부재 및, 상기 상/하부 덮개에 형성된 결합공과 결합부재에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고 상기 지주에 형성된 T형 결합홈에 삽입되는 T형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메쉬휀스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ㄱ형 결합홈이 형성된 지주와, 상기 지주에 양측 최외각 세로살이 고정되는 메쉬망과, 상기 지주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메쉬망의 상부를 덮으며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 덮개와, 상기 지주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메쉬망의 하부를 덮으며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 되고 그 아래에 또 하나의 결합공이 형성된 하부 덮개와, 상기 상/하부 덮개에 형성된 결합공과 대응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쉬망의 최외각 세로살에 밀착되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된 결합부재 및, 상기 상/하부 덮개에 형성된 결합공과 결합부재에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고 상기 지주에 형성된 ㄱ형 결합홈에 삽입되는 ㄱ형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쉬휀스는 한 쌍의 메쉬망 최외각 세로살에 설치되며 결합공이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는 T형 볼트와 너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메쉬휀스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쉬휀스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메쉬휀스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메쉬휀스의 평단면도이다.
도 1은 지주(10)의 배면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지주(10)의 '전면'은 메쉬휀스에 의해 구분되는 공간 중에서 행인이 볼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하며, '배면'은 행인이 볼 수 없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메쉬휀스는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하여 지면에 설치되고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T형 결합홈(11)이 형성된 지주(10)와, 상기 지주에 한 쌍의 최외각 세로살이 고정되는 메쉬망(M)과, 상기 메쉬망의 상부를 덮고 상기 지주의 배면에 밀착되며 중앙에 결합공(21)이 형성된 상부 덮개(20)와, 상기 지주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메쉬망의 하부를 덮으며 중앙에 결합공(31)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또 하나의 결합공(32)이 형성된 하부 덮개(30)와, 상기 상/하부 덮개(20,30)의 결합공(21,31)과 대응하는 결합공(41)이 형성되고 상기 메쉬망의 최외각 세로살에 밀착되는 평평한 판 형상의 결합부재(40)와, 상기 상/하부 덮개(20,30)에 형성된 결합공(21,31)과 결합부재(40)에 형성된 결합공(41)을 관통하고 상기 지주에 형성된 T형 결합홈(11)에 삽입되는 볼트(51)/너트(52)와, 한 쌍의 메쉬망 최외각 세로살에 설치되며 결합공(61a,62a)이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재(61,62)와 상기 결합공(61a,62a)을 관통하는 T형 볼트(51)/너트(52)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10)는 인발기를 사용하여 인발가공 또는 기타 공지의 지주 가공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지주(10)의 전면은 2개의 오목한 곡면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는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 있슴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지주(10)의 배면에는 길이방향으로 T형 결합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주의 내부 공간에는 보강리브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별도의 보강프레임이 없어도 외부충격에 대해 견딜 수 있도록 하며, 지주의 배면에 형성된 T형 결합홈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덮개(20)의 상부와 하부 덮개(30)의 하부는 메쉬망(M)의 상/하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메쉬망을 견고히 지지하며, 측면은 상기 지주(10)의 배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덮개(20,30)의 중앙에는 T형 볼트(51)의 헤드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 헤드의 모양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결합공(21,3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은 T형 볼트(51)에 의해 상기 T형 결합홈(11)과 관통된다. 또한, 하부 덮개(30)에는 상기 결합공(31)의 아래 부분에 상기 T형 볼트(51)의 헤드가 삽입될 수 있는 또 다른 결합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40)의 중앙에는 상기 상/하부 덮개(20,30)에 형성된 결합공(21,31)과 대응하는 결합공(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와 메쉬망의 최외각 세로살이 접하는 부분을 오목하게 하거나, 결합부재에 상기 세로살이 걸리게 하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메쉬망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T형 볼트(51)는 주로 공작기계의 테이블에 공작물을 고정시킬 때에 사 용되는 것으로써, 볼트의 헤드가 직사각형이며 너트(52)로 고정할 때 상기 지주의 배면에 형성된 T형 결합홈(11) 내부에서 90도 회전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볼트이다.
상기 연결부재(61,62)는 상기 지주(10)의 배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메쉬망 최외각 세로살에 설치되며, 각각의 연결부재(61,62)는 결합공(61a,62a)을 구비하고, 체결을 위해 서로 포개어졌을 때, 상기 결합공들(61a,62a)이 T형 볼트(51)/너트(52)에 의해 관통되어 체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메쉬망(M)이 상기 지주(10)의 배면에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휀스의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5의 (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휀스의 일부 평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휀스는 지주(10)의 배면에 형성된 결합홈(12)이 ㄱ형홈으로 되어 있으며, 덮개(미도시)에 형성된 결합공(미도시)과 결합부재(미도시)에 형성된 결합공(미도시)을 관통하는 볼트(53)의 헤드가 ㄱ형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쉬휀스는 상기 결합홈(12)과 볼트(53)의헤드가 ㄱ형인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고안의 메쉬휀스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메쉬휀스를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배면에 T형(또는 ㄱ형, 이하 설치과정은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함) 결합홈이 형성된 지주(10)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하여 매설하고, 상기 지주(10)의 하부에 하부 덮개(30)를 상기 지주의 배면에 밀착시킨 후, 미리 살짝 결합해 둔 T형 볼트(51)/너트(52)의 헤드부분을 상기 하부 덮개에 형성된 결합공(32)을 관통하여 밀어 넣고 너트(52)를 돌려서 조이면 T형 볼트(51)의 헤드가 상기 T형 결합홈(11) 내에서 너트를 돌리는 방향과 같이 회전하여 T형 결합홈과 동일하게 형성된 T형 볼트의 헤드가 회전하여 걸려짐으로써 고정되며, 최종적으로 너트를 끝까지 돌려서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메쉬망(M)을 상기 하부 덮개(30) 위에 얹어 놓고 연결부재(61,62)를 서로 포개어 T형 볼트(51)/너트(52)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결합공(61a,62a)과 지주(10)에 형성된 T형 결합홈(11)이 관통되도록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지주(10)와 상기 메쉬망(M) 사이의 공간에 상부 덮개(20)를 결합공(21)과 T형 결합홈(11)이 같은 위치가 되도록 삽입하고 결합부재(40)를 상기 메쉬망의 최외각 세로살 위에 위치시킨다. 이 때, 결합부재에 형성된 결합공(41)과 상기 상부 덮개(20)의 결합공(21) 또한 같은 위치가 되도록 한다.
그 후, 미리 살짝 결합해 둔 T형 볼트(51)/너트(52)의 헤드부분이 상기 결합공들(21,41)을 관통하도록 밀어 넣고 너트(52)를 끝까지 돌려서 고정되도록 한다. 하부 덮개(30)에 대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작업을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메쉬휀스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메쉬휀스에 의하면, 지주의 배면에 밀착되고 메쉬망의 상/하부를 덮는 상/하부 덮개를 구비함으로써 메쉬망의 상하좌우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고, 메쉬망을 하부 덮개 위에 놓고 설치하므로 설치가 매우 용이하며, 지주의 배면에 형성된 T형(또는 ㄱ형) 결합홈과 별도의 T형 볼트(또는 ㄱ형 볼트)/너트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메쉬휀스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설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T형 결합홈이 형성된 지주;
    상기 지주에 양측 최외각 세로살이 고정되는 메쉬망;
    상기 지주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메쉬망의 상부를 덮으며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 덮개;
    상기 지주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메쉬망의 하부를 덮으며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또 하나의 결합공이 형성된 하부 덮개;
    상기 상/하부 덮개에 형성된 결합공과 대응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쉬망의 최외각 세로살에 밀착되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된 결합부재; 및,
    상기 상/하부 덮개에 형성된 결합공과 결합부재에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고 상기 지주에 형성된 T형 결합홈에 삽입되는 T형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휀스.
  2.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ㄱ형 결합홈이 형성된 지주;
    상기 지주에 양측 최외각 세로살이 고정되는 메쉬망;
    상기 지주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메쉬망의 상부를 덮으며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된 상부 덮개;
    상기 지주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메쉬망의 하부를 덮으며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또 하나의 결합공이 형성된 하부 덮개;
    상기 상/하부 덮개에 형성된 결합공과 대응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쉬망의 최외각 세로살에 밀착되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된 결합부재; 및,
    상기 상/하부 덮개에 형성된 결합공과 결합부재에 형성된 결합공을 관통하고 상기 지주에 형성된 ㄱ형 결합홈에 삽입되는 ㄱ형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휀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휀스는 한 쌍의 메쉬망 최외각 세로살에 설치되며 결합공이 형성된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는 T형 볼트와 너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휀스.
KR2020060011545U 2006-04-28 2006-04-28 메쉬휀스 KR2004218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545U KR200421856Y1 (ko) 2006-04-28 2006-04-28 메쉬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545U KR200421856Y1 (ko) 2006-04-28 2006-04-28 메쉬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856Y1 true KR200421856Y1 (ko) 2006-07-20

Family

ID=4177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545U KR200421856Y1 (ko) 2006-04-28 2006-04-28 메쉬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85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221B1 (ko) 2008-07-23 2011-01-21 엄재욱 도난방지기구를 가진 교량난간
KR200452514Y1 (ko) 2008-07-07 2011-03-04 정재욱 메쉬 펜스용 철망의 안전장치
CN108716306A (zh) * 2018-04-19 2018-10-30 厦门川莆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网状护栏
KR102091846B1 (ko) * 2019-08-22 2020-03-23 (주)거광산업 울타리용 철망 휀스
KR102430016B1 (ko) * 2022-01-14 2022-08-11 주식회사 인산 메쉬펜스용 가림막 장치
KR102646241B1 (ko) 2023-11-10 2024-03-11 주식회사 인산 메쉬 펜스용 가림막 고정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514Y1 (ko) 2008-07-07 2011-03-04 정재욱 메쉬 펜스용 철망의 안전장치
KR101005221B1 (ko) 2008-07-23 2011-01-21 엄재욱 도난방지기구를 가진 교량난간
CN108716306A (zh) * 2018-04-19 2018-10-30 厦门川莆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网状护栏
CN108716306B (zh) * 2018-04-19 2020-08-25 厦门川莆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网状护栏
KR102091846B1 (ko) * 2019-08-22 2020-03-23 (주)거광산업 울타리용 철망 휀스
KR102430016B1 (ko) * 2022-01-14 2022-08-11 주식회사 인산 메쉬펜스용 가림막 장치
KR102646241B1 (ko) 2023-11-10 2024-03-11 주식회사 인산 메쉬 펜스용 가림막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1856Y1 (ko) 메쉬휀스
JP568024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構造、太陽電池装置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方法
JP4767881B2 (ja) 柵のビーム取付構造
JP6188064B2 (ja) 簡易屋根構造物
KR100566721B1 (ko) 조립식 흙막이 장치
KR101402671B1 (ko) 휀스용 와이어로프 고정구
KR20110112101A (ko) 합성목재 울타리 결합구조
JP4762883B2 (ja) パネル脱着容易なフェンス
JP2005120577A (ja) 歩道および中央分離帯の防護用のプレートまたは網付防護柵
KR100840624B1 (ko) 휀스용 포스트
KR101117083B1 (ko) 조립식 메쉬 펜스
KR101228375B1 (ko) 그레이팅의 결속구조
JPH1124737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固定用架台
KR200406221Y1 (ko) 울타리용 지주의 결합구조
CN214660235U (zh) 一种钢拱架副拱快速支护系统
KR200410682Y1 (ko) 울타리 지주
JP4110114B2 (ja) 木製ガードレール並びにその木製ビーム材及び接続金物
JP5419311B1 (ja) 外装用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取付工法
JP5755951B2 (ja) グレーチング
KR100642327B1 (ko) 조립식 인공암벽
JPH0739935Y2 (ja) ガードレール
KR200290946Y1 (ko) 인삼재배용 차광막 구조물
JP3406969B2 (ja) 耐震補強構造体及びその施工法
KR200384537Y1 (ko) 통신단자함 지지대
KR101172758B1 (ko) 능형망 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