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849Y1 - 공조용 필터 - Google Patents

공조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849Y1
KR200421849Y1 KR2020060011331U KR20060011331U KR200421849Y1 KR 200421849 Y1 KR200421849 Y1 KR 200421849Y1 KR 2020060011331 U KR2020060011331 U KR 2020060011331U KR 20060011331 U KR20060011331 U KR 20060011331U KR 200421849 Y1 KR200421849 Y1 KR 2004218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estrone
net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헌
Original Assignee
(주) 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솔티 filed Critical (주) 솔티
Priority to KR2020060011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8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8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정화를 위한 공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필터프레임의 내부에 외부 공기나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부터 제1보호망, 제1항균필터, 제1에스트론필터, 제1보강망, 제2보강망, 부직포, 제2에스트론필터, 제2항균필터 및 제2보호망을 순차 배열하여 구성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정전기 발생효과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포집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어 각종 먼지나 유해균의 제거 등 매우 향상된 여과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며, 우수한 항균작용 및 지속적인 항균작용으로 더욱 청정한 실내 환경의 조성을 가능하게 하고 내구성이 있으며 세탁성이 우수하는 등 반영구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공조용 필터{FILTER FOR AIR HANDLING}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공조용 필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필터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필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공조용 필터 1a: 필터프레임
10: 제1보호망 20: 제1항균필터
30: 제1에스트론필터 40: 제1보강망
50: 제2보강망 60: 부직포
70: 제2에스트론필터 80: 제2항균필터
90: 제2보호망
본 고안은 공조용 공기정화 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집성능 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과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용 필터는 외부 유입공기 및 순환공기 중에서 공기 속의 먼지나 공해, 각종 세균 및 악취 등을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를 공급되게 하는 여과장치로서, 청정한 실내 환경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공조용 필터는 빌딩 공기정화나 산업공장, 병원, 연구서 등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두루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의해 제작된 공조용 필터는 정전기 기능이 없어 공기중으로부터 유해물질 제거를 위한 포집능력이 떨어짐에 의해 향상된 여과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포집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과기능을 향상시켜 청정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공조용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기정화를 위한 공조용 필터에 있어서, 필터프레임의 내부에 외부 공기나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부터 제1보호망, 제1항균필터, 제1에스트론필터, 제1보강망, 제2보강망, 부직포, 제2에 스트론필터, 제2항균필터 및 제2보호망을 순차 배열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와 제2에스트론필터와의 사이에 제3보강망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항균필터는 항균염화망의 구성이고, 상기 제1 및 제2 에스트론필터는 폴리우레탄의 구성이며, 상기 제2 및 제3 보강망은 연속적인 주름의 절곡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공조용 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필터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필터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조용 필터(1)는 필터프레임(1a) 내에 외부 공기나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부터 제1보호망(10), 제1항균필터(20), 제1에스트론(estron)필터(30), 제1보강망(40), 제2보강망(50), 부직포(60), 제2에스트론필터(70), 제2항균필터(80) 및 제2보호망(90)이 순차 배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프레임(1a) 내에 외부 공기나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부터 제1보호망(10), 제1항균필터(20), 제1에스트론(estron) 필터(30), 제1보강망(40), 제2보강망(50), 부직포(60), 제3보강망(100), 제2에스트론필터(70), 제2항균필터(80) 및 제2보호망(90)이 순차 배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보호망(10)과 제2보호망(90)은 부식방지를 위하여 아연도금망으로 구성되고, 양측부 최외곽에서 내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필터부재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항균필터(20)와 제2항균필터(80)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사(絲)를 이용하여 재직(裁織)한 항균염화망으로 구성한 것으로, 전기적 성질이 우수하여 정전기를 발생함에 의해 포집성능이 안정되어 있으면서 뛰어난 포집효과를 발휘하고, 항균가공처리에 의해 항균성능을 발휘하여 공기 중에서 각종 유해균을 제거하여주며, 세탁성이 뛰어나다.
이때, 제1항균필터(20)는 검정색상으로 하고, 제2항균필터(80)는 흰색상으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색 표현이 가능함을 이용하여 공기의 공급측에 흰색상의 제2항균필터(80)를 배치함으로써 공기의 유입측에서 여과기능이 잘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청소 및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에스트론필터(30)와 제2에스트론필터(70)는 폴리우레탄의 구성으로, 통기성이 좋고 정전기를 발생하므로 포집성능의 우수함을 발휘하게 되고, 내유/내약품성의 특성과 가벼우며 세탁이 용이하다.
상기 제1보강망(40)과 제2보강망(50) 및 제3보강망(100)은 알루미늄의 구성 으로 다수 구비되는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제1보강망(40)은 평판구조로 형성되게 하고 제2보강망(50) 및 제3보강망(100)은 연속적인 주름의 절곡구조로 형성되게 한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 및 작용을 하게 되는 본 고안의 공조용 필터(1)는 정전기 발생에 의한 포집력을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각종 먼지나 유해균 등의 여과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항균작용을 통해 공기 공급에 따른 청정조건을 높일 수 있게 하며 내구성 및 세탁성의 구비에 의해 반영구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공조용 필터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의 해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양한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에 따른 기술적 사상에 의해 본 고안에 귀속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조용 필터에 의하면, 정전기 발생효과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의해 포집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어 각종 먼지나 유해균의 제거 등 매우 향상된 여과기능을 발휘되게 한다.
또한, 우수한 항균작용 및 지속적인 항균작용으로 더욱 청정한 실내 환경의 조성을 가능하게 하며, 내구성이 있고 세탁성이 우수하는 등 반영구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3)

  1. 공기정화를 위한 공조용 필터에 있어서,
    필터프레임(1a)의 내부에 외부 공기나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에서부터 제1보호망(10), 제1항균필터(20), 제1에스트론필터(30), 제1보강망(40), 제2보강망(50), 부직포(60), 제2에스트론필터(70), 제2항균필터(80) 및 제2보호망(90)을 순차 배열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60)와 제2에스트론필터(70)와의 사이에 제3보강망(100)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필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항균필터(20)(80)는 항균염화망의 구성이고, 상기 제1 및 제2 에스트론필터(30)(70)는 폴리우레탄의 구성이며, 상기 제2 및 제3 보강망(50)(100)은 연속적인 주름의 절곡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필터.
KR2020060011331U 2006-04-27 2006-04-27 공조용 필터 KR2004218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31U KR200421849Y1 (ko) 2006-04-27 2006-04-27 공조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31U KR200421849Y1 (ko) 2006-04-27 2006-04-27 공조용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849Y1 true KR200421849Y1 (ko) 2006-07-20

Family

ID=4177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331U KR200421849Y1 (ko) 2006-04-27 2006-04-27 공조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8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036B1 (ko) * 2013-02-18 2014-08-06 주식회사 세방씨앤에프 포집성능 및 제품수명을 향상시킨 염화망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036B1 (ko) * 2013-02-18 2014-08-06 주식회사 세방씨앤에프 포집성능 및 제품수명을 향상시킨 염화망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9772B1 (ko) 공기 정화기
RU2386469C1 (ru) Улучшенный фильтрующий материал для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я на основе поляризуемого электрическим полем материала
WO2018199579A2 (ko) 항균동망을 이용한 항균동 필터
JP2017533079A (ja) 均一に拡張可能なエアフィルタ
CN104083038B (zh) 用于净化pm2.5的雪尼尔屏风
KR100603548B1 (ko) 데미스터 충진형 여재 정전식 필터
KR20120109696A (ko) 데미스터 충진형 여재 정전식 필터
JP2018506426A5 (ko)
US20120198804A1 (en) HVAC Air Filter with Peel Layers
KR200421849Y1 (ko) 공조용 필터
KR101974880B1 (ko) 창문용 털필터 공기정화기
JP6076077B2 (ja) エアフィルター
KR101793387B1 (ko) 섬모층을 구비하는 기체정화용 섬모체와 이를 포함하는 기체정화장치
CN204048947U (zh) 一种用于净化pm2.5的雪尼尔屏风
CN204984215U (zh) 一种新型除尘杀菌窗
KR20110030907A (ko) 공기조화시스템의 공조용 여과필터
KR20040108481A (ko) 광촉매필터유니트 및 그를 적용한 공기정화기
KR20120042005A (ko)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160015566A (ko) 공기청정기
CN210624758U (zh) 空气净化屏
KR200215604Y1 (ko) 공기조화기 전처리필터
KR200309270Y1 (ko) 자동차용 에어필터
CN112452068A (zh) 一种高效低阻抗菌可重复冲洗的空调过滤组件及其应用
JP7174481B2 (ja) 空気浄化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空気浄化フェンス構造体
CN213089983U (zh) 一种具有两级过滤结构的用于中央空调的消杀净化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