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597Y1 -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597Y1
KR200421597Y1 KR2020060010268U KR20060010268U KR200421597Y1 KR 200421597 Y1 KR200421597 Y1 KR 200421597Y1 KR 2020060010268 U KR2020060010268 U KR 2020060010268U KR 20060010268 U KR20060010268 U KR 20060010268U KR 200421597 Y1 KR200421597 Y1 KR 200421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spur gear
shaft
machine tool
gea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봉
Original Assignee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0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5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5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 B23Q5/385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feeding continuously using a gear and rack mechanism or a friction wheel co-operating with a r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모터축에 결합되는 스퍼기어 조립체가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되 공구대 회전 작동시 스퍼기어 조립체와 3피스 커플링과의 간섭이 미발생되어 소음 유발을 방지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공작기계에 설치된 공구대용 모터축의 단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샤프트 바디의 일측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샤프트 바디의 축 중심을 향해 요입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 바디의 타측에 설치되며 지지핀에 의해 샤프트 바디와 결합 가능하도록 키홈이 형성된 스퍼기어와; 상기 스퍼기어의 축방향 외측면상에 밀착 설치되는 와셔; 및 상기 와셔에 설치되어 샤프트부의 결합홈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공구대 회전시 발생하는 스퍼기어의 소음이 방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를 제공한다.
웜 휠기어, 웜기어, 웜 샤프트, 백래시

Description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Tool substitution of the machine tool spur gear assembly}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가 공작기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지지핀 10 : 샤프트부
11 : 샤프트 바디 12 : 장착홈
14 : 결합홈 20 : 스퍼기어
22 : 키홈 30 : 와셔
40 : 고정볼트
본 고안은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모터축에 결합되는 스퍼기어 조립체가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되 공구대 회전 작동시 스퍼기어 조립체와 3피스 커플링과의 간섭이 미발생되어 소음 유발을 방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절삭 또는 비절삭의 가공을 통해 금속 또는 비금속의 소재를 적당한 공구를 사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하거나, 반소재에 더욱 정밀한 가공을 실시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
상기한 공작기계중 NC 공작기계는 핸들 조작이 아니라 숫자나 부호(수치 데이터)를 입력해 움직이는 공작기계이며 다품종 소량 생산에 강한 공작기계이다.
상기한 NC 공작기계는 기계 본체와 NC(수치제어) 장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계 본체는 실제 가공작업을 담당하는 공작기계를 말하고, NC 장치는 컴퓨터의 명령에 따라 정보처리를 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한 NC 공작기계의 연삭용 공구대에는 일체 형성된 스퍼기어가 공구대용 모터축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퍼기어는 치차부분과 모터축에 설치되는 부분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치차부 연삭시 연삭 숫돌과 모터축에 마운팅 결합된 스퍼기어 부분에 간섭이 발생 되어 치차부 연삭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공구대 회전 작동시에 스퍼기어에서 소음이 과다하게 발생 되는 현상을 유발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작기계의 공구대 회전시 스퍼기어의 소음이 방지가능한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는 공작기계에 설치된 공구대용 모터축의 단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샤프트 바디의 일측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샤프트 바디의 축 중심을 향해 요입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샤프트부가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 바디의 타측에 설치되며 지지핀에 의해 샤프트 바디와 결합 가능하도록 키홈이 형성된 스퍼기어와, 상기 스퍼기어의 축방향 외측면상에 밀착 설치되는 와셔; 및 상기 와셔에 설치되어 샤프트부의 결합홈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공구대 회전시 발생하는 스퍼기어의 소음이 방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공작기계(미도시)에 설치된 공구대용 모터축(2)의 단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샤프트 바디(11)의 일측에 장착홈(12)이 형성되 고 타측에는 샤프트 바디(11)의 축 중심을 향해 요입 형성된 결합홈(14)을 포함하는 샤프트부(10)가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부(10)의 샤프트 바디(11)에는 장착홈(12)의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다수개의 고정공(12a)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12a)에 별도로 구비된 결합볼트가 나사 결합하여 모터축(2)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 바디(11)의 타측에 설치되며 지지핀(4)에 의해 샤프트 바디(11)와 결합 가능하도록 키홈(22)이 형성된 스퍼기어(20)가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부(10)는 스퍼기어(20)가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퍼기어(20)의 축방향 외측면상에 와셔(30)가 밀착 설치된다.
상기 와셔(30)에 설치되어 샤프트부(10)의 결합홈(14)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볼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모터축(2)에 설치된 스퍼기어 조립체(100)는 공작기계(미도시)에 설치된 조작부(미도시) 에서 구동모터에 회전 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에 구비된 모터축(2)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축(2)이 회전함에 따라 모터축(2)에 설치된 스퍼기어(20)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스퍼기어(20)를 통해 연삭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공구대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도 상기 스퍼기어(20)와 3피스 커플링(6)과 맞물리면서 소음이 발생 되지 않아 공구대 회전 작동 에 따른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는 공구대 회전시 스퍼기어와 3피스 커플링과의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공작기계에 설치된 공구대용 모터축의 단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샤프트 바디의 일측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샤프트 바디의 축 중심을 향해 요입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 바디의 타측에 설치되며 지지핀에 의해 샤프트 바디와 결합 가능하도록 키홈이 형성된 스퍼기어;
    상기 스퍼기어의 축방향 외측면상에 밀착 설치되는 와셔; 및
    상기 와셔에 설치되어 샤프트부의 결합홈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공구대 회전시 발생하는 스퍼기어의 소음이 방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
KR2020060010268U 2006-04-17 2006-04-17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 KR200421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268U KR200421597Y1 (ko) 2006-04-17 2006-04-17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268U KR200421597Y1 (ko) 2006-04-17 2006-04-17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597Y1 true KR200421597Y1 (ko) 2006-07-13

Family

ID=4177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268U KR200421597Y1 (ko) 2006-04-17 2006-04-17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5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048U (ko) * 2013-11-21 2015-05-29 장선자 이앙기용 로터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048U (ko) * 2013-11-21 2015-05-29 장선자 이앙기용 로터케이스
KR200481022Y1 (ko) 2013-11-21 2016-08-04 장윤서 이앙기용 로터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2604B2 (ja) 回転工具の加工深さ調整装置
WO2009021498A3 (de) Modulartiges spindelaggregat
US9682453B2 (en) Tool changer for machine tool
KR200421597Y1 (ko) 공작기계의 공구대용 스퍼기어 조립체
CN101053950B (zh) 具有旋转手柄调节装置的手持式工具机
EP2537632B1 (en) Grinding machine and grinding method
US20080105072A1 (en) Rotary holding device for a machining apparatus
KR100859349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앵글헤드
KR102142619B1 (ko) 선반 공구대의 모터기어 결합구조
US20090101235A1 (en) Feeding mechanism for a woodworking machine
KR20020001560A (ko) 선삭가공공구
ZA200604826B (en) Device for assembling the housing and the body of a hydraulic rock-breaker
US1355142A (en) Metal-working machine
CN207405323U (zh) 一种具有切缝功能的缝纫机
DE202005012918U1 (de) In beide Richtungen drehbare multifunktionelle Poliermaschine
KR101378831B1 (ko) 전동공구용 기어박스 조립체 및 그 기어박스 조립체의 기어박스 캡과 기어박스 하우징의 체결 풀림 방지구조
JP2014133295A (ja) グラインダ
KR101379952B1 (ko) 에어 그라인더
JP2634111B2 (ja) 加工装置における主軸駆動装置
JP5517845B2 (ja) 電動ドライバ
KR100428306B1 (ko) 로터리 캠 프레스 장치
CN215928291U (zh) 一种驱动组件
KR20100011372U (ko) 선반가공 및 절삭가공 겸용 복합가공기 및 그 주축구조
JP2010036326A (ja) 携帯用工具
JP2010110841A (ja) 多軸工作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