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215Y1 - 신발용 장신구가 구비된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용 장신구가 구비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215Y1
KR200421215Y1 KR2020060010147U KR20060010147U KR200421215Y1 KR 200421215 Y1 KR200421215 Y1 KR 200421215Y1 KR 2020060010147 U KR2020060010147 U KR 2020060010147U KR 20060010147 U KR20060010147 U KR 20060010147U KR 200421215 Y1 KR200421215 Y1 KR 200421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mounting
ornament
petal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1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대
Original Assignee
정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대 filed Critical 정종대
Priority to KR20200600101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2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2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0Nails, pegs, pins, clamps, or tacks, for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4Ornamental buckles;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out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완전한 입체감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의 색체성도 겸비되는 합성수지재의 꽃잎형상 장신구를 신발 외피에 부착함으로서, 신발 외관미가 향상되는 신발용 장신구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에 있어서, 꽃잎형상을 이루며 하부 중심으로 요홈형태를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부와 일체를 이루며 중심에는 장착공이 형성되는 적층판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재의 복수의 꽃잎체 ;와 적층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상기 꽃잎체의 장착공에 삽입되는 장착부가 하부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꽃봉오리부가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장착대 ;로 이루어지는 신발용 장신구가 상기 신발의 외피에 상기 신발용 장신구의 하단부가 부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신구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 신발용 장신구, 꽃잎체, 장착대, 적층판, 장착공, 꽃봉오리부

Description

신발용 장신구가 구비된 신발{SHOES WITH ACCESSORY FOR SHOE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의한 신발용 장신구가 구비된 신발의 단면도 및 확대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신발용 장신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신발용 장신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적층된 꽃잎체의 장착공으로 장착대가 삽입되는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2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신발 10 : 신발용 장신구
100 : 꽃잎체 110 : 본체
120 : 적층판 121 : 장착공
200 : 장착대 210 : 꽃봉오리부
211 : 단턱 220 : 장착부
본 고안은 완전한 입체감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의 색체성도 겸비되는 합성수지재의 꽃잎형상 장신구를 신발 외피에 부착함으로서, 신발 외관미가 향상되는 신발용 장신구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 외피에는 이용자들의 취향에 알맞는 제품의 디자인이나 외관미 등이 고려된 각종 장신구가 부착되어 이용자들의 다양한 개성을 표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장신구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합성수지재는 이종의 색상연출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재는 사출성형으로 제작되어 지는데, 이러한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합성수지재는 입체성의 표현이 곤란하다.
그리하여 색상표현의 곤란성에 대한 대안으로 이중 사출 성형의 방법이 이용되게 되었다.
이중 사출 성형이란 주로 두 가지 종류의 색상 또는 성형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제품을 하나의 금형에서 생산하는 기술로서, 두 종류의 재료를 금형내에서 순차적으로 사출성형하여 제품을 얻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중 사출 성형에 의한 방법 역시 두 가지 정도의 색상표현에만 적합할 뿐 다양한 색상연출에는 역시 곤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색상의 표 현에 있어서도 표면에만 색상을 입히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반사출에 의해 제작되는 합성수지재의 장신구를 굴곡부가 형성되는 완전한 입체성을 가질 수 있음과 동시에 다양한 색상의 색체성을 지닌 꽃잎형상으로 연출될 수 있게 함으로서, 신발 외관미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신발용 장신구가 구비된 신발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신발에 있어서, 꽃잎형상을 이루며 하부 중심으로 요홈형태를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부와 일체를 이루며 중심에는 장착공이 형성되는 적층판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재의 복수의 꽃잎체 ;와 적층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상기 꽃잎체의 장착공에 삽입되는 장착부가 하부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꽃봉오리부가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장착대 ;로 이루어지는 신발용 장신구가 상기 신발의 외피에 상기 신발용 장신구의 하단부가 부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따른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의한 신발용 장신구가 구비된 신발의 단면도 및 확대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신발용 장신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신발용 장신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적층된 꽃잎체의 장착공으로 장착대가 삽입되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신발용 장신구(10)는 꽃잎체(100)와 장착대(200)로 이루어진다.
꽃잎체(100)는 본체(110)와 적층판(120)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10)와 적층판(120)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이다.
본체(110)는 꽃잎형상을 이루며, 하부 중심으로는 요홈형태를 이루게 된다.
적층판(120)은 본체(110)의 하단부와 일체를 이루며, 중심으로는 장착공(121)이 형성된다.
꽃잎체(100)는 복수로 마련되어 적층판(120)으로 각각 접면되게 적층시킨다.
복수의 꽃잎체(100)의 색상은 각각 다양한 색상으로 마련된다.
장착대(200)는 장착부(220)와 꽃봉오리부(210)로 이루어진다.
장착부(220)는 장착대(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적층된 복수의 꽃잎체(100)의 장착공(121)에 삽입된다.
꽃봉오리부(210)는 장착대(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장착부(220)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장착부(220)와 꽃봉오리부(210)의 경계에는 단턱(211)이 형성된다.
단턱(211)은 최상단으로 적층되는 적층판(120)의 상면과 접면되게 위치되어 꽃봉오리부(210)를 꽃잎체(100)의 중심으로 돌출되게 위치시킨다.
복수의 꽃잎체(100)의 장착공(121)에 삽입되는 장착부(220)의 하단은 최하단으로 적층되는 꽃잎체(100)의 적층판(120) 하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장착부(220)의 하단과 최하단으로 적층된 적층판(120)의 하면이 동일한 수평면을 유지하게 되면, 신발용 장신구(10)의 하단부에 해당되는 장착부(220) 하단과 적층판(120) 하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한다.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되면, 신발용 장신구(10)의 하단부를 신발(1) 외피에 부착시킨다.
그리하여 신발용 장신구(10)에 의해 신발(1)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장착부(220) 하단을 신발 외피에 부착하는 방식으로는 상기 접착제에 의한 방법뿐만 아니라 단순 끼움 결합식이나 나사결합식, 억지끼움식 등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도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장착대(200)를 이루는 장착부(220)와 꽃봉오리부(210)의 재질도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신발용 장신구(10)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꽃잎체(100)의 적층판(120)을 서로 접면되게 적층시킨다.
이때 복수의 꽃잎체(100)의 꽃잎형상의 본체(110)는 각각 다양한 색상으로 배치되게 한다.
다양한 색상의 꽃잎체(100)가 적층되면, 적층되어 있는 상기 꽃잎체(100)의 적층판(120) 중심에 형성된 장착공(121)으로 장착대(200)의 장착부(220)를 삽입한다.
장착부(220)가 삽입되면, 장착부(220)의 상부에 형성된 꽃봉오리부(210)의 단턱(211)이 꽃잎체(100)의 적층판(120) 상면에 걸리게 되며, 꽃잎형태의 신발용 장신구(10)가 이루어지게 된다.
장착공(121)에 삽입된 장착부(220)의 하단과 최하단으로 적층된 적층판(120)의 하면이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게 되면, 장착부(220)의 하단과 적층판(120)의 하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여 신발(1) 외피에 부착시킨다.
상기의 과정에 의해 신발용 장신구(10)가 신발(1)에 부착되게 된다.
상기의 실시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한 색상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꽃잎형상의 장신구를 신발의 외피에 부착함으로서, 완전한 입체감과 동시에 색체감을 표현할 수 있게됨으로서,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작업공정만으로도 신발 외관미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1)

  1. 신발에 있어서,
    꽃잎형상을 이루며 하부 중심으로 요홈형태를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단부와 일체를 이루며 중심에는 장착공이 형성되는 적층판으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재의 복수의 꽃잎체 ;와
    적층되어 마련되는 복수의 상기 꽃잎체의 장착공에 삽입되는 장착부가 하부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는 단턱이 형성되는 꽃봉오리부가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장착대 ;로 이루어지는 신발용 장신구가 상기 신발의 외피에 상기 신발용 장신구의 하단부가 부착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장신구가 구비된 신발.
KR2020060010147U 2006-04-17 2006-04-17 신발용 장신구가 구비된 신발 KR200421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147U KR200421215Y1 (ko) 2006-04-17 2006-04-17 신발용 장신구가 구비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147U KR200421215Y1 (ko) 2006-04-17 2006-04-17 신발용 장신구가 구비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215Y1 true KR200421215Y1 (ko) 2006-07-10

Family

ID=4176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147U KR200421215Y1 (ko) 2006-04-17 2006-04-17 신발용 장신구가 구비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2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49526S1 (en) Shoe
USD894412S1 (en) LED beauty mask
USD908322S1 (en) Boot
USD521214S1 (en) Ornament for a boot
USD474586S1 (en) Shoe sole
USD604940S1 (en) Ornament base for a shoe
USD549130S1 (en) Plush advent tree
USD507398S1 (en) Shoe sole
USD955480S1 (en) Game board
USD970088S1 (en) Table lamp
JP2007185353A (ja)
USD501281S1 (en) Set of decorative braids for a bicycle helmet
CA110741S (en) Ball fetch toy
KR20100104989A (ko) 입체장식물이 고정된 장식 복층 유리
KR200421215Y1 (ko) 신발용 장신구가 구비된 신발
USD587161S1 (en) Nativity scene decoration including Santa Claus and Rudolph
USD552682S1 (en) Eraser for a white board
USD1008076S1 (en) Base for decoration
USD570882S1 (en) Embroidery machine
KR200476905Y1 (ko) 장식구 부착용 반지 몸체 구조
KR200398725Y1 (ko) 신발 장식구
KR100830597B1 (ko) 가죽패드를 구비한 키홀더의 장식부 형성방법
USD540011S1 (en) Cap
CN201073069Y (zh) 可换装饰件的化妆盒
CN209750020U (zh) 一种用于首饰的锁扣式装饰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