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953Y1 -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 - Google Patents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953Y1
KR200420953Y1 KR2020060010220U KR20060010220U KR200420953Y1 KR 200420953 Y1 KR200420953 Y1 KR 200420953Y1 KR 2020060010220 U KR2020060010220 U KR 2020060010220U KR 20060010220 U KR20060010220 U KR 20060010220U KR 200420953 Y1 KR200420953 Y1 KR 200420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collar
pocket
cover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티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티티
Priority to KR2020060010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9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9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3/00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옷기에 마스크가 형성되되, 목과 입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주머니를 형성하여 패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의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반적인 의복의 목부분에 형성된 옷깃(collar)에 부착되되, 상기 옷깃의 한쪽 끝단에는 잠금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옷깃의 다른쪽 외부끝단에 주머니를 형성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상부주머니가 형성된 상부커버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하부주머니가 형성된 하부커버로 구성된 마스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마스크를 항상 부착하여 다닐 수 있어서 오염원에 대해서 언제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고, 오염원의 정도에 따라서 필터링 기능을 조절할 수 있어서 오염원으로부터 적절한 대처가 가능하며, 마스크를 귀에 걸지 않기 때문에 착용이 간편하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마스크, 오염원, 황사, 유행병, 조류독감, 패드, 필터링.

Description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CLOTHES ATTACHED MISK}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15 : 잠금수단
20 : 상부커버 30 : 하부커버
40 : 패드 50 : 옷깃
70 : 마스크
본 고안은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옷기에 마스크가 형성되되, 목과 입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주머니를 형성하여 패드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의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이라 함은 신체의 체온 유지 및 멋을 연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의복은 장소, 목적 계절 및 풍습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다종을 이루고 있으며 현대사회에서 의복은 단순히 몸을 보호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 라 개인의 개성과 취향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환경오염이 심각해져서 대기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고, 조류독감과 같은 치명적인 유행병으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거리에 나서고 있다.
특히, 중국과 같은 큰 대륙의 산업화와 이산화탄소 등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 현상 등으로 대륙의 사막화가 빨라지고 이로 인한 황사가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서, 이러한 마스크의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상기한 대기오염, 유행병, 황상 등의 오염원으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종래의 마스크는 면이나 종이 등을 사용하여 코와 입을 막을 수 있도록 몸체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의 좌우 측면에는 귀에 걸 수 있도록 걸이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마스크는 사람들이 호주머니 등에 별도로 소지하여야 하고, 만약 소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급작스러운 오염원에 노출될 경우에는 호흡기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몸체패드는 쉽게 오염되기 때문에 일회성으로 사용하거나 자주 빨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오염원이 심한 환경에 노출될 경우 두께의 조절 즉 필터링(filtering)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목적에서 개발되었다.
(1) 마스크를 항상 부착하여 다닐 수 있는 의복을 제공한다.
(2) 오염원의 정도에 따라서 필터링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을 제공한다.
(3) 마스크를 귀에 걸지 않기 때문에 착용이 간편하고 편리한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일반적인 의복의 목부분에 형성된 옷깃(collar)에 부착되되,
상기 옷깃의 한쪽 끝단에는 잠금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옷깃의 다른쪽 외부끝단에 직사각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상부주머니가 형성된 상부커버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하부주머니가 형성된 하부커버로 구성된 마스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일반적인 의복의 목부분에 형성된 옷깃(50)에 부착되되, 상기 옷깃(50)의 한쪽 끝단에는 잠금수단(15)이 형성되고, 상기 옷깃의 다른쪽 외부끝단에 직사각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일체로 상부주머니가 형성된 상부커버(20)와;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하부주머니가 형성된 하부커버(30)로 구성된 마스크(7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0)는 옷깃(50)의 외부에 형성된 직사각형상으로 두겹으로 상하부가 관통되고, 일측은 옷깃(50)의 안쪽에 부착되고, 타측은 단추 등의 잠금수단(12)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 몸체(10)는 옷깃(50)을 상부로 들어올리면 옷깃(50)에 부착된 부분을 중심으로 타측은 반대편 옷깃(50)에 형성된 잠금수단(15)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 몸체(10)의 상단에는 내부로 접을 수 있도록 상부커버(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커버(20)는 펼쳤을 때 하단이 개봉되고, 상단이 막혀있는 상부주머니가 형성되며, 상부주머니는 두겹으로 형성된 몸체(10)와 연통된다.
상기 몸체(10)의 하단에는 내부로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되, 접었을 때 상기 상부커버(20)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펼쳤을 때 상단이 개봉되고, 하단이 막혀있는 하부주머니가 형성되며, 하부주머니는 두겹으로 형성된 몸체(10)와 연통된다.
상기 상부주머니로부터 몸체(10)를 관통하여 하부주머니까지 손수건 등의 패드(40)를 삽입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의복의 착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염원이 발생된 지역에 있게 되면, 옷깃(50)을 상부로 들어올리고, 마스크(70)의 한쪽에 형성된 잠금수단(12)을 분리하고, 몸체(10)에서 상부커버(20)와 하부커버(30)를 펼친다음 오염원의 정도에 따라서 그대로 옷깃(50)에 형성된 잠금수단(15)을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손수건 등의 패드(40)를 상부주머니에서부터 몸 체(10) 및 하부주머니에 걸쳐서 삽입한 다음 옷깃(50)에 형성된 잠금수단(15)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마스크를 항상 부착하여 다닐 수 있어서 오염원에 대해서 언제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다.
(2) 오염원의 정도에 따라서 필터링 기능을 조절할 수 있어서 오염원으로부터 적절한 대처가 가능하다.
(3) 마스크를 귀에 걸지 않기 때문에 착용이 간편하고 편리하다.

Claims (4)

  1. 일반적인 의복의 목부분에 형성된 옷깃(50)에 부착되되,
    상기 옷깃(50)의 한쪽 끝단에는 잠금수단(15)이 형성되고,
    상기 옷깃의 다른쪽 외부끝단에 직사각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일체로 상부주머니가 형성된 상부커버(20)와;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하부주머니가 형성된 하부커버(30)로 구성된 마스크(7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옷깃(50)의 외부에 형성된 직사각형상으로, 두겹으로 상하부가 관통되고, 일측은 옷깃(50)의 안쪽에 부착되며, 타측은 잠금수단(12)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20)는 펼쳤을 때 하단이 개봉되고, 상단이 막혀있는 상부주머니가 형성되며, 상부주머니는 두겹으로 형성된 몸체(10)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20)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펼쳤을 때 상단이 개봉되고, 하단이 막혀있는 하부주머니가 형성되며, 하부주머니는 두겹으로 형성된 몸체(10)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
KR2020060010220U 2006-04-17 2006-04-17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 KR200420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220U KR200420953Y1 (ko) 2006-04-17 2006-04-17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220U KR200420953Y1 (ko) 2006-04-17 2006-04-17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953Y1 true KR200420953Y1 (ko) 2006-07-06

Family

ID=4176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220U KR200420953Y1 (ko) 2006-04-17 2006-04-17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95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55Y1 (ko) * 2008-04-04 2010-12-10 박한철 상의
KR200470161Y1 (ko) * 2012-02-21 2013-12-05 조한규 이중기능옷깃
KR102233017B1 (ko) * 2020-12-15 2021-03-26 박성진 마스크를 구비한 상의
KR20210051650A (ko) * 2019-10-31 2021-05-10 유선미 목칼라 겸용 마스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355Y1 (ko) * 2008-04-04 2010-12-10 박한철 상의
KR200470161Y1 (ko) * 2012-02-21 2013-12-05 조한규 이중기능옷깃
KR20210051650A (ko) * 2019-10-31 2021-05-10 유선미 목칼라 겸용 마스크
KR102446909B1 (ko) * 2019-10-31 2022-09-22 유선미 목칼라 겸용 마스크
KR102233017B1 (ko) * 2020-12-15 2021-03-26 박성진 마스크를 구비한 상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55597A1 (en) Hepa Hoodie
KR100890944B1 (ko) 마스크
WO2017142126A1 (ko) 기능성 마스크
US20110107492A1 (en) Protective clothing
WO2008066510A3 (en) Protective garment
DE60131996D1 (de) Atemschutzgerät mit integriertem filter, ausatemventil und umlenkelement
KR20190032897A (ko)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
KR200420953Y1 (ko)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
US20210298376A1 (en) Garment mask for filtering breathable particles
JP4131333B2 (ja) 衣服
TWM611171U (zh) 可拆式面罩防塵衣
EP1543737A3 (en) Facemask-inbuilt medical hood structure
KR101696146B1 (ko) 미세먼지막이 상의
KR20100006003U (ko) 원통형 마스크
US20220039482A1 (en) Garment apparatus and methodology that facilitates wearing of mask
KR102268803B1 (ko) 마스크와 비말방지용 보안면의 착탈구조
KR20120052078A (ko) 마스크를 구비한 후드넥워머
KR20200026014A (ko) 셔츠
CN111418932A (zh) 一体式防护装置
CN2901914Y (zh) 一种医护用隔离服
CA2857418A1 (en) Plane face
KR102352351B1 (ko) 미세먼지의 중금속 오염도 확인 기능을 갖는 일회용 마스크
CN212233172U (zh) 一种便于清洗的冠状病毒治疗用防护服
EP3944780B1 (en) Clothing accessory with airway protection devices
CN213908570U (zh) 一种儿童防护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