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017B1 - 마스크를 구비한 상의 - Google Patents

마스크를 구비한 상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017B1
KR102233017B1 KR1020200175797A KR20200175797A KR102233017B1 KR 102233017 B1 KR102233017 B1 KR 102233017B1 KR 1020200175797 A KR1020200175797 A KR 1020200175797A KR 20200175797 A KR20200175797 A KR 20200175797A KR 102233017 B1 KR102233017 B1 KR 102233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auxiliary
wearer
body portion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박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진 filed Critical 박성진
Priority to KR102020017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는, 착용자의 몸통, 목, 머리의 하단부에 대응하도록 착용될 수 있는 몸체부;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몸체부를 착용한 착용자의 몸통 정면 및 안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보조 몸체부; 및 보조 몸체부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공기를 여과시켜 통과시키는 보호부를 포함하되, 착용자가 보조 몸체부와 결합된 몸체부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호부는 착용자의 코 부위 및 입 부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를 구비한 상의{Top with mask}
본 발명은 신체의 상반신에 착용되는 상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의에 일체형으로 위치되고 신체의 안면에 착용될 수 있는 마스크를 구비한 상의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외출, 레저 활동 등을 할 때 방수, 방풍, 보온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상의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야외 외출용 상의는 통기성, 땀의 배출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상의는 착용자의 몸통을 감싸는 몸체, 몸체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팔이 삽입될 수 있는 소매, 및 몸체의 상부에서 착용자의 목을 감싸는 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착용자가 상의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안면은 대기 중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착용자는 상의만을 착용한 상태에서 동절기의 추위에 대하여 대처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착용자는 머플러, 마스크 등을 별도로 구비하여 착용한다.
또한, 마스크는 동절기 추위로부터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할 뿐 아니라, 공기 중의 세균이나 먼지 등이 호흡을 통해 인체 내로 흡입되는 것을 막는 데에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미세먼지 농도의 증가, 메르스 등과 같은 전염병으로 인해 마스크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었고, 최근 코로나 19는 마스크를 생활 필수품이 되게 하였다. 하지만, 사람들은 상의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를 별도로 휴대하거나 소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상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이하게 상의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마스크를 구비할 수 있는 상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상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의를 착용함으로써 마스크를 착용가능한 상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상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상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는, 착용자의 몸통, 목, 머리의 하단부에 대응하도록 착용될 수 있는 몸체부;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몸체부를 착용한 착용자의 몸통 정면 및 안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보조 몸체부; 및 보조 몸체부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공기를 여과시켜 통과시키는 보호부를 포함하되, 착용자가 보조 몸체부와 결합된 몸체부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호부는 착용자의 코 부위 및 입 부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몸통을 둘러쌀 수 있으며, 양측단이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는 착용 몸체;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각각 착용 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착용자의 팔이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소매; 및 착용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착용자의 목 및 머리의 하단부를 둘러쌀 수 있는 깃을 포함하되, 보조 몸체부는 착용 몸체의 양측단 및 깃의 양측단 사이에 착용 몸체의 양측단 및 깃의 양측단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보호부는 깃의 양측단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몸체부의 상단부에는 보호부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개구를 갖고 항균 성능을 갖는 통기 필터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통기 필터에 대응하도록 보조 몸체부의 외측면에 위치되고, 하단이 개방된 유도 공간을 형성하는 유도 부재; 망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통기 개구에 대응하도록 보조 몸체부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상단이 개방된 거치 공간을 형성하는 거치 부재; 및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거치 공간에 삽입되어 통기 필터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통기 필터 및 거치 부재에 의해 여과되지 않는 미세 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는, 보조 몸체부의 내측면에서 거치 부재의 주위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 부재; 및 통기 필터의 양측에 대응되는 날개 부재의 각각에 연결되고, 각각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양종단이 날개 부재에 연결되는 한 쌍의 걸림 부재를 더 포함하되, 거치 부재가 착용자의 코 부위 및 입 부위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날개 부재는 거치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되고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어 거치 부재와 안면 사이를 밀폐하고, 걸림 부재는 착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필터 부재가 거치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필터 부재의 가장자리는 통기 필터 주위의 보조 몸체부와 거치 부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의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깃의 외측면에서 위치되어 하단이 개방된 커버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부재, 및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접힌 상태에서 커버 공간에 수용될 수 있고, 펼쳐진 상태로 착용 몸체의 외측면을 덮을 수 있는 커버 몸체를 포함하는 보호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깃의 외측면 중앙에는 커버 부재에 대응하면서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상단 고정 베이스가 위치되고, 착용 몸체의 외측면 하단부에는 각각 소매에 대응하면서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하단 고정 베이스가 위치되며, 커버 몸체의 상단부 중앙에는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다른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상단 고정 부재가 위치되고, 커버 몸체의 하단부에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각각 커버 몸체의 모서리에 인접하면서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다른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하단 고정 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단 고정 부재가 상단 고정 베이스에 맞물려 결합되고 하단 고정 부재가 하단 고정 베이스에 맞물려 결합될 때, 커버 몸체는 펼쳐진 상태로 착용 몸체의 외측면을 덮으면서 착용 몸체의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날개 부재는, 거치 부재의 양측에 대응되면서 걸림 부재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날개 부재들; 및 제 1 날개 부재들 사이에 위치되면서 그 사이에 거치 부재가 위치되는 한 쌍의 제 2 날개 부재를 포함하고, 보호부는, 각각의 제 1 종단이 걸림 부재의 제 1 종단에 연결되고, 제 1 날개 부재, 보조 몸체부 및 상측 제 2 날개 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측 제 2 날개 부재의 내부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위치되며, 제 2 종단이 상측 제 2 날개 부재의 내부에서 상측 제 2 날개 부재의 회동단에 인접하도록 고정된 한 쌍의 제 1 보조 부재; 각각의 제 1 종단이 걸림 부재의 제 2 종단에 연결되고, 제 1 날개 부재, 보조 몸체부 및 하측 제 2 날개 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며, 하측 제 2 날개 부재의 내부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위치되며, 제 2 종단이 하측 제 2 날개 부재의 내부에서 하측 제 2 날개 부재의 회동단에 인접하도록 고정된 한 쌍의 제 2 보조 부재; 및 제 2 날개 부재보다 단단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날개 부재들 각각의 내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위치되고, 제 1 보조 부재의 제 2 종단 및 제 2 보조 부재의 제 2 종단이 고정된 한 쌍의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되, 제 1 날개 부재들 및 제 2 날개 부재들이 거치 부재에 포개져 위치된 상태에서, 제 1 보조 부재들 및 제 2 보조 부재들이 걸림 부재들에 의해 당겨질 때, 상측 제 2 날개 부재에는 상측 제 2 날개 부재의 회동단을 거치 부재의 상단을 향하도록 하는 힘이 가해지는 동시에 하측 제 2 날개 부재에는 하측 제 2 날개 부재의 회동단을 거치 부재의 하단을 향하도록 하는 힘이 가해져, 고정 부재는 거치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제 2 날개 부재들은 펼쳐진 형태로 거치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착용 몸체의 외측면에는 하단 고정 베이스에 인접하도록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 고정 베이스가 위치되며, 커버 몸체는, 사이에 상단 고정 부재가 위치되고, 커버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 커버; 각각의 날개 커버의 종단 부분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간에 멀어지도록 연장되고 연결될 수 있는 한 쌍의 날개 연결 부재; 날개 커버의 종단에 연결되고, 탄성 재료로 이루어진 연결 와이어; 및 연결 와이어의 종단에 위치되고,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다른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착용자가 몸체부를 착용한 상태에서 백팩을 착용하고, 하단 고정 부재가 하단 고정 베이스에 맞물려 결합된 상태에서, 날개 커버가 백팩의 어깨끈에 대응되고 상호 간에 연결된 날개 연결 부재와 조합하여 어깨끈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연결 고정 부재가 연결 고정 베이스에 맞물려 결합될 때, 연결 와이어는 늘어난 상태로 날개 커버를 당길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의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마스크가 상의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2) 착용자가 상의를 착용함으로써, 착용자는 마스크를 착용가능하도록 휴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의 보호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가 착용자에 착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에서 보호부가 위치된 보조 몸체부의 내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에서 보호 커버부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의 보호 커버부에서 변형된 커버 몸체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100)의 보호부(103)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100)가 착용자에 착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100)는 몸체부(101), 보조 몸체부(102) 및 보호부(103)를 포함하되, 착용자의 신체, 특히 상반신에 착용될 수 있다.
몸체부(101)는 착용자의 신체의 상반신에 착용될 수 있고, 접혔다가 펼쳐질 수 있는 섬유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몸체부(101)는 착용자에 의해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몸통, 목, 머리의 하단부에 대응하도록 착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101)의 내측면은 착용자가 몸체부(101)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와 마주하는 몸체부(101)의 면을 의미하고, 몸체부(101)의 외측면은 착용자가 몸체부(101)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와 마주하지 않는 몸체부(101)의 면을 의미한다.
또한, 몸체부(101)는 착용 몸체(111), 소매(113) 및 깃(115)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 몸체(111)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착용자의 몸통을 둘러쌀 수 있다. 착용 몸체(111)가 착용자의 몸통을 둘러쌀 때, 착용 몸체(111)의 양측단은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착용 몸체(111)의 양측단은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소매(11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착용 몸체(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착용자의 몸통이 착용 몸체(111)의 양측단들 사이를 통과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팔은 소매(113)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착용 몸체(111)의 내측면은 착용자의 몸통에 접촉되고, 착용자의 등 부분은 소매(113)들 사이의 착용 몸체(111)의 내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몸체부(101)는 착용자의 상반신에 착용될 수 있다.
깃(115)은 착용 몸체(11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깃(115)의 양측단은 착용 몸체(111)의 양측단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착용자의 팔이 소매(113)에 삽입되고, 착용자의 몸통이 착용 몸체(111)에 의해 둘러싸일 때, 착용자의 목 및 머리의 하단부는 부분적으로 깃(115)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상의(100)는 잠바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재킷, 셔츠 등과 같은 다양한 상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의(100)는 소매(113)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조끼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몸체부(102)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101)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착용자가 몸체부(101)를 착용할 때, 보조 몸체부(102)는 몸체부(1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몸통 정면 및 안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특히, 보조 몸체부(102)는 착용 몸체(111)와 깃(115)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몸체부(102)는 착용 몸체(111)의 양측단 및 깃(115)의 양측단 사이에 위치되어, 보조 몸체부(102)의 양측단은 각각 착용 몸체(111)의 종단 및 깃(115)의 종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몸체부(102)는 몸체부(101)의 착용 몸체(111)의 양측단 및 깃(115)의 양측단에 지퍼 등에 의해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몸체부(102)의 상단부에는 통기 필터(121)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통기 필터(121)는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호 간에 이격된 복수 개의 개구들을 가질 수 있고, 항균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기 필터(121)에는 에이지온(Agion) 항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통기 필터(121)는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도형의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몸체부(102)가 몸체부(101)에 결합된 상태에서, 통기 필터(121)는 몸체부(101)의 깃(115)의 양측단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몸체부(101)가 보조 몸체부(102)에 결합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몸체부(101)를 착용할 때, 착용자의 코 부위 및 입 부위는 통기 필터(121)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착용자는 보조 몸체부(102)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호흡할 수 있다.
한편, 보조 몸체부(102)에는 통기 필터(121) 대신에 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보호부(103)는 마스크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보조 몸체부(102)의 상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부(103)는 통기 필터(121)에 대응하도록 보조 몸체부(102)에 위치될 수 있고,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될 수 있다. 공기는 보호부(103)에서 여과되어 통과될 수 있다.
또한, 보호부(103)는 유도 부재(131), 거치 부재(132), 필터 부재(133), 날개 부재(134) 및 걸림 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부재(131)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통기 필터(121)에 대응하도록 보조 몸체부(102)의 외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몸체부(102)의 외측면은 보조 몸체부(102)에서 몸체부(101)를 착용한 착용자와 마주하지 않는 면이다.
또한, 유도 부재(131)는 보조 몸체부(102)의 외측면에서 하단이 개방된 유도 공간(13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도 부재(131)의 가장자리의 일부는 보조 몸체부(102)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기 필터(121)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유도 부재(131)는 통기 필터(121)보다 큰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유도 부재(131)의 4개의 가장자리 중 하단에 위치된 가장자리를 제외한 3개의 가장자리가 보조 몸체부(102)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거치 부재(132)는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호 간에 이격된 복수 개의 개구들을 갖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통기 필터(121)에 대응하도록 보조 몸체부(102)의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몸체부(102)에서 몸체부(101)를 착용한 착용자와 마주하는 면이다. 또한, 거치 부재(132)는 항균 성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거치 부재(132)는 망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거치 부재(132)는 보조 몸체부(102)의 내측면에서 상단이 개방된 거치 공간(130a)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 부재(132)의 가장자리의 일부는 보조 몸체부(102)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기 필터(121)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거치 부재(132)는 통기 필터(121)보다 큰 직사각형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거치 부재(132)의 4개의 가장자리 중 상단에 위치된 가장자리를 제외한 3개의 가장자리가 보조 몸체부(102)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필터 부재(133)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거치 공간(130a)에 분리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부재(133)는 통기 필터(121) 및 거치 부재(13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부재(133)는 통기 필터(121)보다 크고 거치 부재(132)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거치 공간(130a)에 삽입되어 통기 필터(121)와 거치 부재(13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필터 부재(133)의 가장자리는 통기 필터(121) 주위의 보조 몸체부(102)의 내측면과 거치 부재(13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필터 부재(133)는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으나, 통기 필터(121) 및 거치 부재(132)에 의해 여과되지 않는 미세 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부재(133)는 KF-80, KF-94, KF-AD 등과 같은 다양한 여과 성능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날개 부재(134)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거치 부재(132)의 주위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보조 몸체부(102)의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날개 부재(134)는 보조 몸체부(102)의 내측면에서 회동될 수 있되, 거치 부재(132)에 포개질 수 있도록 회동될 수 있거나, 거치 부재(132)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
한편, 날개 부재(134)는 거치 부재(132)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도 있다.
걸림 부재(135)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거치 부재(132)의 양측에 대응되는 날개 부재(13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걸림 부재(135)는 와이어(즉, 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종단이 날개 부재(134)에 연결될 수 있다.
보조 몸체부(102)가 몸체부(1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몸체부(101)를 착용할 때, 착용자의 코 부위 및 입 부위는 거치 부재(132)에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날개 부재(134)는 거치 부재(132)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될 수 있고, 날개 부재(134)들 사이에는 착용자의 코 부위 및 입 부위가 위치된 상태에 날개 부재(134)들은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 부재(135)는 착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다. 이로 인해, 날개 부재(134)가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거치 부재(132)는 착용자의 코 부위 및 입 부위에 대응되면서 착용자의 입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보호부(103)는 몸체부(101)를 착용한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코 및 입을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는 유도 공간(130)으로 유도되고, 통기 필터(121)를 통과하여 거치 공간(130a)에 유도되며, 필터 부재(133)에 여과된 이후에 거치 부재(132)를 통과하여 착용자에게 흡입될 수 있다(도 3의 얇은 화살표 참조). 한편,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거치 부재(132)를 통과하여 거치 공간(130a)으로 유도되고 필터 부재(133) 및 통기 필터(121)를 통과한 이후에 유도 공간(130)으로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다. 즉, 보호부(103)는 필터 부재(133)의 성능에 따라 미세먼지, 바이러스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를 보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100)에서 보호부(103)가 위치된 보조 몸체부(102)의 내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103)의 날개 부재(134a, 134b)는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날개 부재(134a, 134b)는 거치 부재(132)의 양측에 대응되면서 걸림 부재(135)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날개 부재(134a)들, 및 제 1 날개 부재(134a)들 사이에 위치되면서 그 사이에 거치 부재(132)가 위치되는 한 쌍의 제 2 날개 부재(134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호부(103)는 제 1 보조 부재(136) 및 제 2 보조 부재(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보조 부재(136) 및 제 2 보조 부재(137)는 와이어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보조 부재(136)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걸림 부재(135)에 연결되고, 제 1 날개 부재(134a), 보조 몸체부(102) 및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b)는 한 쌍의 제 2 날개 부재(134b)들 중에서 거치 부재(132)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날개 부재(134b)를 의미한다.
각각의 제 1 보조 부재(136)의 제 1 종단은 걸림 부재(135)의 제 1 종단에 연결되고, 각각의 제 1 보조 부재(136)의 제 2 종단은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회동단에 인접하면서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회동단은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b)가 보조 몸체부(102)에서 회동될 때 거치 부재(132)에 대하여 이동되는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또한, 제 1 보조 부재(136)는 각각 보조 몸체부(102)의 내부에서 거치 부재(132)와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b) 사이를 따라 위치되고,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내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위치된다(도 4 참조). 이로 인해, 제 1 보조 부재(136)의 제 2 종단은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a)의 내부에서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a)의 회동단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 1 보조 부재(136)는 제 1 날개 부재(134a), 보조 몸체부(102) 및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내부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제 1 날개 부재(134a)들 및 제 2 날개 부재(134b)들이 거치 부재(132)에 포개지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걸림 부재(135)가 당겨져 제 1 날개 부재(134a)들은 거치 부재(132)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보조 부재(136)들이 각각 걸림 부재(135)에 의해 당겨질 때, 제 1 보조 부재(136)는 제 1 날개 부재(134a), 보조 몸체부(102) 및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제 1 보조 부재(136)의 제 1 종단 부분은 제 1 날개 부재(134a)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회동단은 거치 부재(132)의 상단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고,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b)는 접히면서 거치 부재(132)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도 4 참조).
제 2 보조 부재(137)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 걸림 부재(135)에 연결되고, 제 1 날개 부재(134a), 보조 몸체부(102) 및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b)는 한 쌍의 제 2 날개 부재(134b)들 중에서 거치 부재(132)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날개 부재(134b)를 의미한다.
각각의 제 2 보조 부재(137)의 제 1 종단은 걸림 부재(135)의 제 2 종단에 연결되고, 각각의 제 2 보조 부재(137)의 제 2 종단은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회동단에 인접하면서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회동단은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b)가 보조 몸체부(102)에서 회동될 때 거치 부재(132)에 대하여 이동되는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또한, 제 2 보조 부재(137)는 각각 보조 몸체부(102)의 내부에서 거치 부재(132)와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b) 사이를 따라 위치되고,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내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위치된다(도 4 참조). 이로 인해, 제 2 보조 부재(137)의 제 2 종단은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a)의 내부에서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a)의 회동단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 2 보조 부재(137)는 제 1 날개 부재(134a), 보조 몸체부(102) 및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내부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제 1 날개 부재(134a)들 및 제 2 날개 부재(134b)들이 거치 부재(132)에 포개지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걸림 부재(135)가 당겨져 제 1 날개 부재(134a)들은 거치 부재(132)로부터 이격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보조 부재(137)들이 각각 걸림 부재(135)에 의해 당겨질 때, 제 2 보조 부재(137)는 제 1 날개 부재(134a), 보조 몸체부(102) 및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제 2 보조 부재(137)의 제 1 종단 부분은 제 1 날개 부재(134a)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회동단은 거치 부재(132)의 하단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고,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b)는 접히면서 거치 부재(132)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와 같은 제 1 보조 부재(136) 및 제 2 보조 부재(137)로 인해, 보호부(103)에서 제 1 날개 부재(134a)들 및 제 2 날개 부재(134b)들이 거치 부재(132)에 포개져 위치된 상태에서, 착용자는 한 쌍의 걸림 부재(135)를 당겨 제 1 보조 부재(136) 및 제 2 보조 부재(137)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날개 부재(134a)들 및 제 2 날개 부재(134b)들은 회동되어 상호 간에 멀어지면서 거치 부재(132)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거치 부재(132)는 제 1 날개 부재(134a)들 및 제 2 날개 부재(134b)들 사이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착용자는 자신의 코 부위 및 입 부위를 제 1 날개 부재(134a)들 및 제 2 날개 부재(134b)들 사이에 위치시키고, 걸림 부재(135)를 귀에 걸 수 있다. 상의(100)의 보호부(103), 특히 제 1 날개 부재(134a)들 및 제 2 날개 부재(134b)들이 거치 부재(132)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보호부(103)는 착용자가 걸림 부재(135)를 이용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착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보호부(103)는 고정 부재(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138)는 제 2 날개 부재(134b)보다 단단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날개 부재(134b)들 각각의 내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보조 부재(136)의 제 2 종단 및 제 2 보조 부재(137)의 제 2 종단은 고정 부재(138)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 날개 부재(134a)들 및 제 2 날개 부재(134b)들이 거치 부재(132)에 포개져 위치된 상태에서, 제 1 보조 부재(136)들 및 제 2 보조 부재(137)들이 걸림 부재(135)들에 의해 당겨질 때,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b)에는 상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회동단을 거치 부재(132)의 상단을 향하도록 하는 힘이 가해지는 동시에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b)에는 하측 제 2 날개 부재(134b)의 회동단을 거치 부재(132)의 하단을 향하도록 하는 힘이 가해져, 고정 부재(138)는 거치 부재(13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제 2 날개 부재(134b)들은 펼쳐진 형태로 거치 부재(132)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의(100)에서 착용자는 보조 몸체부(102)에 결합된 상태의 몸체부(101)를 착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부(103)는 보조 몸체부(102)의 상단부에 위치된 통기 필터(121)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착용자의 코 부위 및 입 부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부(103)는 마스크로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상의(100)는 보조 몸체부(102)에 결합된 상태의 착용자가 몸체부(101)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로서 기능을 하는 보호부(103)를 휴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착용자에게 착용가능한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상의(100)에서 보호부(103)는 보조 몸체부(102)와 함께 몸체부(101)에 결합될 수 있고, 몸체부(1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상의(100)는 마스크로서 기능을 하는 보호부(103)를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100)에서 보호 커버부(104)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상의(100)는 보호 커버부(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커버부(104)는 몸체부(101)의 깃(115)의 외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 커버부(104)는 깃(115)의 외측면에서 소매(113)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착용자가 몸체부(101)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호 커버부(104)는 착용자의 등 부위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커버부(104)는 깃(115)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착용 몸체(111)의 외측면의 일부를 덮을 수 있고, 착용자의 등 부위를 덮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착용자가 몸체부(101)를 착용하고 백팩(10)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호 커버부(104)는 백팩(10)을 덮어 보호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커버부(104)는 커버 부재(141) 및 커버 몸체(14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부재(141)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소매(113)들 사이의 깃(115)의 외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141)는 깃(115)의 외측면에서 하단이 개방된 커버 공간(14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141)의 가장자리의 일부는 깃(115)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깃(115)의 외측면 및 커버 부재(141)에는 상호 간에 맞물릴 수 있도록 결합 부재(140a)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부재(140a)는 벨크로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호 간에 맞물리기도 하고 분리되기도 하며, 상호 간에 맞물려 커버 공간(140)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커버 공간(140)에 수용될 커버 몸체(143)를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깃(115)의 외측면, 특히, 외측면의 중앙에는 커버 부재(141)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상단 고정 베이스(115a)가 위치될 수 있다. 상단 고정 베이스(115a)는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착용 몸체(111)의 외측면 하단부에는 한 쌍의 하단 고정 베이스(104a)가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하단 고정 베이스(104a)는 각각 착용 몸체(111)의 외측면에서 소매(113)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착용자가 몸체부(101)를 착용하고 백팩(10)을 착용할 때, 백팩(10)은 하단 고정 베이스(104a)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하단 고정 베이스(104a)는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몸체(143)는 접혔다가 펼쳐질 수 있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소매(113)들 사이의 착용 몸체(111)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커버 몸체(143)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몸체(143)는 접힌 상태에서 커버 공간(140)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는 반면에 펼쳐진 상태에서 커버 공간(140)으로부터 연장되어 소매(113)들 사이의 착용 몸체(111)의 외측면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커버 몸체(143)는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커버 몸체(143)의 상단부, 특히 상단부의 중앙에는 복수 개의 상단 고정 부재(143a)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단 고정 부재(143a)는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다른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단 고정 베이스(115a)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몸체(143)의 하단부에는 상호 간에 이격되면서 커버 몸체(143)의 모서리에 인접하도록 한 쌍의 하단 고정 부재(143b)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단 고정 부재(143b)는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다른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단 고정 베이스(104a)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몸체(143)는 접힌 상태로 커버 공간(140)에 수용될 수 있고, 커버 공간(140)은 결합 부재(140a)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몸체(143)는 상의(100)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도 5(a) 참조).
착용자가 몸체부(101)를 착용하고 백팩(10)을 착용할 때, 커버 몸체(143)는 백팩(10)을 덮을 수 있도록 펼쳐질 수 있다(도 5(b) 참조). 여기서, 상단 고정 부재(143a)가 상단 고정 베이스(115a)에 맞물려 결합되고, 하단 고정 부재(143b)가 하단 고정 베이스(104a)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도 5(c) 참조). 이로 인해, 커버 몸체(143)는 펼쳐져 백팩(10)을 덮은 상태로 보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상의(100)는 보호 커버부(104)를 통해 백팩(10)을 덮을 수 있는 커버 몸체(143)를 접힌 상태로 커버 공간(140)에 수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커버 몸체(143)를 커버 공간(140)으로부터 분리하여 펼쳐 몸체부(101)에서 소매(113) 사이의 착용 몸체(111)의 외측면에 고정시켜 백팩(10)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의(100)의 보호 커버부(104)에서 변형된 커버 몸체(143)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커버 몸체(143)는 날개 커버(1431), 날개 연결 부재(1432), 연결 와이어(1433) 및 연결 고정 부재(1434)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 커버(143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커버 몸체(143)의 상단으로부터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날개 커버(1431)들 사이에는 상단 고정 부재(143a)가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착용자가 몸체부(101)를 착용하고 백팩(10)을 착용하며, 커버 몸체(143)가 백팩(10)을 덮은 상태에서, 날개 커버(1431)는 백팩(10)의 어깨끈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날개 커버(1431)는 백팩(10)의 어깨끈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날개 연결 부재(1432)는 두 쌍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날개 커버(1431)의 종단 부분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간에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호 간에 대응된 한 쌍의 날개 연결 부재(1432)는 연결될 수 있다. 날개 커버(1431)가 백팩(10)의 어깨끈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날개 연결 부재(1432)는 상호 간에 연결되어 날개 커버(1431)와 조합하여 백팩(10)의 어깨끈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연결 와이어(1433)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되, 날개 커버(1431)의 종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고정 부재(1434)는 연결 와이어(1433)의 종단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 고정 부재(1434)는 하단 고정 베이스(104a)에 인접하도록 착용 몸체(111)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고정 부재(1434)는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착용 몸체(111)의 외측면에는 하단 고정 베이스(104a)에 인접하도록 연결 고정 베이스(104b)가 위치될 수 있고, 연결 고정 베이스(104b)는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다른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착용자가 몸체부(101)를 착용한 상태에서 백팩(10)을 착용하고, 커버 몸체(143)의 하단 고정 부재(143a)가 착용 몸체(111)의 하단 고정 베이스(104a)에 맞물려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 고정 부재(1434)가 연결 고정 베이스(104b)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연결 와이어(1433)는 늘어난 상태로 날개 커버(1431)를 당겨 커버 몸체(143)의 상단과 백팩(10) 사이를 더욱더 밀폐하여, 커버 몸체(143)의 상단과 백팩(10) 사이를 통한 빗물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날개 커버(1431)가 백팩(10)의 어깨끈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날개 연결 부재(1432)는 상호 간에 연결되어 날개 커버(1431)와 조합하여 백팩(10)의 어깨끈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이로 인해, 백팩(10)이 착용자에 착용된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리더라도, 커버 몸체(143)는 백팩(10)을 안정적으로 덮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상의
101: 몸체부
102: 보조 몸체부
103: 보호부
104: 보호 커버부

Claims (10)

  1. 착용자의 몸통, 목, 머리의 하단부에 대응하도록 착용될 수 있는 몸체부;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몸체부를 착용한 착용자의 몸통 정면 및 안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보조 몸체부; 및
    보조 몸체부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공기를 여과시켜 통과시키는 보호부를 포함하되,
    착용자가 보조 몸체부와 결합된 몸체부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호부는 착용자의 코 부위 및 입 부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보조 몸체부의 상단부에는 보호부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의 개구를 갖고 항균 성능을 갖는 통기 필터가 위치되며,
    보호부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통기 필터에 대응하도록 보조 몸체부의 외측면에 위치되고, 하단이 개방된 유도 공간을 형성하는 유도 부재;
    망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통기 개구에 대응하도록 보조 몸체부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상단이 개방된 거치 공간을 형성하는 거치 부재;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거치 공간에 삽입되어 통기 필터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통기 필터 및 거치 부재에 의해 여과되지 않는 미세 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부재;
    보조 몸체부의 내측면에서 거치 부재의 주위를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날개 부재; 및
    통기 필터의 양측에 대응되는 날개 부재의 각각에 연결되고, 각각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양종단이 날개 부재에 연결되는 한 쌍의 걸림 부재를 포함하고,
    거치 부재가 착용자의 코 부위 및 입 부위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날개 부재는 거치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되고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어 거치 부재와 안면 사이를 밀폐하고, 걸림 부재는 착용자의 귀에 걸리며,
    날개 부재는,
    거치 부재의 양측에 대응되면서 걸림 부재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날개 부재들; 및
    제 1 날개 부재들 사이에 위치되면서 그 사이에 거치 부재가 위치되는 한 쌍의 제 2 날개 부재를 포함하고,
    보호부는,
    각각의 제 1 종단이 걸림 부재의 제 1 종단에 연결되고, 제 1 날개 부재, 보조 몸체부 및 상측 제 2 날개 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측 제 2 날개 부재의 내부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위치되며, 제 2 종단이 상측 제 2 날개 부재의 내부에서 상측 제 2 날개 부재의 회동단에 인접하도록 고정된 한 쌍의 제 1 보조 부재;
    각각의 제 1 종단이 걸림 부재의 제 2 종단에 연결되고, 제 1 날개 부재, 보조 몸체부 및 하측 제 2 날개 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며, 하측 제 2 날개 부재의 내부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위치되며, 제 2 종단이 하측 제 2 날개 부재의 내부에서 하측 제 2 날개 부재의 회동단에 인접하도록 고정된 한 쌍의 제 2 보조 부재; 및
    제 2 날개 부재보다 단단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날개 부재들 각각의 내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위치되고, 제 1 보조 부재의 제 2 종단 및 제 2 보조 부재의 제 2 종단이 고정된 한 쌍의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며,
    제 1 날개 부재들 및 제 2 날개 부재들이 거치 부재에 포개져 위치된 상태에서, 제 1 보조 부재들 및 제 2 보조 부재들이 걸림 부재들에 의해 당겨질 때, 상측 제 2 날개 부재에는 상측 제 2 날개 부재의 회동단을 거치 부재의 상단을 향하도록 하는 힘이 가해지는 동시에 하측 제 2 날개 부재에는 하측 제 2 날개 부재의 회동단을 거치 부재의 하단을 향하도록 하는 힘이 가해져, 고정 부재는 거치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제 2 날개 부재들은 펼쳐진 형태로 거치 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몸통을 둘러쌀 수 있으며, 양측단이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는 착용 몸체;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각각 착용 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착용자의 팔이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소매; 및
    착용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착용자의 목 및 머리의 하단부를 둘러쌀 수 있는 깃을 포함하되,
    보조 몸체부는 착용 몸체의 양측단 및 깃의 양측단 사이에 착용 몸체의 양측단 및 깃의 양측단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보호부는 깃의 양측단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필터 부재가 거치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필터 부재의 가장자리는 통기 필터 주위의 보조 몸체부와 거치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
  7. 제2항에 있어서, 상의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깃의 외측면에서 위치되어 하단이 개방된 커버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부재, 및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접힌 상태에서 커버 공간에 수용될 수 있고, 펼쳐진 상태로 착용 몸체의 외측면을 덮을 수 있는 커버 몸체를 포함하는 보호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
  8. 제7항에 있어서,
    깃의 외측면 중앙에는 커버 부재에 대응하면서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상단 고정 베이스가 위치되고, 착용 몸체의 외측면 하단부에는 각각 소매에 대응하면서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하단 고정 베이스가 위치되며,
    커버 몸체의 상단부 중앙에는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다른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상단 고정 부재가 위치되고, 커버 몸체의 하단부에는 상호 간에 이격되어 각각 커버 몸체의 모서리에 인접하면서 똑딱 단추의 소켓 및 볼 중 다른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하단 고정 부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
  9. 제8항에 있어서,
    상단 고정 부재가 상단 고정 베이스에 맞물려 결합되고 하단 고정 부재가 하단 고정 베이스에 맞물려 결합될 때, 커버 몸체는 펼쳐진 상태로 착용 몸체의 외측면을 덮으면서 착용 몸체의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의.
  10. 삭제
KR1020200175797A 2020-12-15 2020-12-15 마스크를 구비한 상의 KR102233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97A KR102233017B1 (ko) 2020-12-15 2020-12-15 마스크를 구비한 상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97A KR102233017B1 (ko) 2020-12-15 2020-12-15 마스크를 구비한 상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017B1 true KR102233017B1 (ko) 2021-03-26

Family

ID=7525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797A KR102233017B1 (ko) 2020-12-15 2020-12-15 마스크를 구비한 상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01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139A (ja) * 2002-07-18 2004-02-19 Sumikura Kk リュックカバー付きジャケット
KR200420953Y1 (ko) * 2006-04-17 2006-07-06 주식회사 유일티티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
US20170113076A1 (en) * 2015-10-27 2017-04-27 BioLx, Inc. Clothing with built-in respiratory filter
KR102058424B1 (ko) * 2018-06-27 2019-12-23 박용관 마스크를 가진 목 상의
US20200085114A1 (en) * 2016-12-23 2020-03-19 Calceviva S.N.C. Di Simeone Bruno Garment, in particular for the torso
JP2020114961A (ja) * 2020-04-24 2020-07-30 株式会社無有 マスク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を備えたマスク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139A (ja) * 2002-07-18 2004-02-19 Sumikura Kk リュックカバー付きジャケット
KR200420953Y1 (ko) * 2006-04-17 2006-07-06 주식회사 유일티티 마스크가 형성된 의복
US20170113076A1 (en) * 2015-10-27 2017-04-27 BioLx, Inc. Clothing with built-in respiratory filter
US20200085114A1 (en) * 2016-12-23 2020-03-19 Calceviva S.N.C. Di Simeone Bruno Garment, in particular for the torso
KR102058424B1 (ko) * 2018-06-27 2019-12-23 박용관 마스크를 가진 목 상의
JP2020114961A (ja) * 2020-04-24 2020-07-30 株式会社無有 マスク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を備えたマス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7036B2 (en) Unpowered respiratory protective headset and body suit and additional improvements to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11553742B2 (en) Face mask
TW482690B (en) Half-mask respirator with head harness assembly.
US9491979B2 (en) Balaclava with removable face mask
US3885558A (en) Complete head covering for use in sterile environments
KR102522613B1 (ko) 마스크
US20210329993A1 (en) Protective face mask
KR100920512B1 (ko) 다기능 마스크
CN111465432B (zh) 具有透气结构鼻孔盖的面罩
US20220015491A1 (en) Face and neck cover with droplet filter
KR20180002801U (ko) 이중 구조의 방진 마스크
US6754909B1 (en) Neck gator
JP2023541720A (ja) 呼吸用マスク
CN205512835U (zh) 折叠式可穿戴雾霾防护装置
KR102233019B1 (ko) 수납 주머니를 구비한 상의
KR102233017B1 (ko) 마스크를 구비한 상의
JP4131333B2 (ja) 衣服
JP3230429U (ja) マスク用セパレータ及びマスク
KR102221681B1 (ko) 탈부착 후드형 마스크
US20210052922A1 (en) Ppe with rotating assembly providing multiple face covers
KR20080004323U (ko) 안면 보호 마스크
KR101920146B1 (ko) 황사주름마스크
KR20210000416U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KR20050060944A (ko) 마스크
KR200484165Y1 (ko) 통기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킨 의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