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630Y1 - Excavator of toy - Google Patents

Excavator of to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630Y1
KR200420630Y1 KR2020060003552U KR20060003552U KR200420630Y1 KR 200420630 Y1 KR200420630 Y1 KR 200420630Y1 KR 2020060003552 U KR2020060003552 U KR 2020060003552U KR 20060003552 U KR20060003552 U KR 20060003552U KR 200420630 Y1 KR200420630 Y1 KR 200420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arm
upper body
excavator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5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훈
Original Assignee
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훈 filed Critical 지훈
Priority to KR2020060003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63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63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12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with cranes, winc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8Electric lighting systems

Abstract

본 고안은 완구용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굴삭기용 붐의 상하 각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상부바디에 내재되는 붐의 회전지점에 구비되어 내구성 향상과 함께 실제 굴삭기와 같이 붐의 상하 각운동 조절에 의한 단계별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후단이 붐의 전단에 연결되고 전단에는 버켓이 일체로 고정된 암이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상하 각운동되며, 운전실을 포함하는 상부바디의 회전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져, 평소 굴삭기 등에 관심을 갖는 유아들에게 놀이에 대한 흥미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교육도 할 수 있도록 한 완구용 굴삭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y excavator, a means for enabling the vertical angular movement of the excavator boom is provided at the rotation point of the boom embedded in the upper body to improve the durability and to adjust the vertical angular movement of the boom like an actual excavator Height adjustment can be made step by step,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boom, the arm is fixed to the front end of the bucket is vertically angular movement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the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the upper body including the cab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oy excavator that can maximize the interest in play as well as safety education for children interested in excavators.

완구용 굴삭기, 안전교육, 붐, 암, 높이 조절, 레버, 선회제어수단, 램프 Toy excavator, safety training, boom, arm, height adjustment, lever, turning control means, ramp

Description

완구용 굴삭기{Excavator of toy}Toy Excavator {Excavator of toy}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an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의 붐 및 암을 상하 각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설명하는 사시도,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means for vertically angular movement of the boom and the arm of the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의 붐을 단계별로 상하 각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5a and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om of the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p and down the boom step by step,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의 일구성으로서, 암작동바의 흔들림 방지 구조를 설명하는 요부사시도,Figure 6 is a configuration of the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par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nti-shake structure of the arm operating bar,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의 상부바디가 주행장치와 조립되는 부분을 나타내며, 선회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7 and 8 show a part of the upper body of the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with the traveling device,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turning device,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의 선회장치에 구성되는 스위칭 구조로서, 각각 상부바디의 후면에 부착된 램프의 온 및 오프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9a and 9b is a switching structure configured in the swinging device of the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on and off states of the lamp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upper body, respectively,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의 암을 상하로 각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10a and 10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angular movement of the arm of the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p and down,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의 붐을 단계별도 상하 각운 동시키는 상태로서, 각각 붐의 숙여지는 동작 및 들어올려지는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11 and 12 is a state in which the boom of the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ped up and down angular step, respectively, the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oom and the lifting operation, respectively,

도 13a 및 도 13b는 종래의 완구용 굴삭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3a and 1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oy excavato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상부바디 12 : 바닥판10: upper body 12: bottom plate

14 : 안착홈 16 : 받침대14: seating groove 16: pedestal

18 : 붐 20 : 원통축18: boom 20: cylindrical shaft

22 : 회전축 24 : 레버22: axis of rotation 24: lever

26 : 결합단 28 : 암작동바26: coupling end 28: female operating bar

30 : 주행장치 32 : 버켓30: traveling device 32: bucket

34 : 암 36 : 운전실34: arm 36: cab

38 : 단차면 40 : 슬롯38: step surface 40: slot

42 : 커버판 44 : 결합돌기42: cover plate 44: engaging projection

46 : 결합홈 48 : 제1지지편46: coupling groove 48: the first support piece

50 : 제2지지편 52 : 제1톱니50: second support 52: the first tooth

54 : 제1걸림단 56 : 붐실린더54: first locking step 56: boom cylinder

56' : 피스톤 58 : 제2톱니56 ': piston 58: second tooth

60 : 제2걸림단 62 : 장식용 버켓실린더60: second locking end 62: decorative bucket cylinder

64 : 암실린더 64' : 피스톤64: dark cylinder 64 ': piston

66 : 램프 68 : 조립홀66: lamp 68: assembly hole

70 : 제1접점 72 : 제2접점70: first contact point 72: second contact point

74 : 스크류 76 : 커버체74: screw 76: cover body

78 : 통전용접점78: current contact

본 고안은 완구용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굴삭기와 같이 붐의 단계별 상하 각운동 및 붐의 전단에 연결되는 암의 상하 각운동이 가능하며, 운전실을 포함하는 상부바디의 회전 운동으로 상부바디의 후면에 부착된 램프가 점멸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져, 평소 굴삭기 등에 관심을 갖는 유아들에게 놀이에 대한 흥미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굴삭기의 작업안전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완구용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y excavator,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move up and down angular movement of the boom and the up and down angular movement of the arm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boom, like an actual excavator, and to rotate the upper body including the cab The lamp attached to the rear of the upper body is made of flashing structure, so that children who are interested in excavators can maximize their interest in play and provide safety education on the safety of excavato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y excavator.

유아용 완구로서 실제 모형을 기반으로 제작된 것이 출시되고 있는 바, 그 예로는 비행기, 자동차, 건설기계의 일종의 굴삭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완구들은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하여 실제 동작이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게 제작되고 있다.Babies' toys are manufactured based on actual models. For example, airplanes, automobiles, and construction machinery, such as excavators, and these toys are partially implemented to induce children's interest. It is being made to be.

건설기계의 일종인 굴삭기(Excavator)의 경우, 흙 등을 퍼올리는 버켓의 상하 동작 및 붐의 상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203369호에는 "완구용 포크레인의 접철장치"가 개시 되어 있다.Excavator, which is a kind of construction machine, is manufactured with the structure which can control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cket and the vertical angle of the boom to spread the soil. For example,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1203369 "Folding device for fork crane" is disclosed.

위의 등록실용신안공보의 기술을 나타내는 첨부한 도 13a 및 13b를 참조하면, 아암(102)과 결합되어 있는 하측실린더(112,112') 상단 중앙에 걸림편(113)을 고정하고, 이 하측실린더(112,112')에 인출입되는 하측피스톤(114,114')의 표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115,115')을 형성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13A and 13B showing the technique of the above-described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the locking piece 113 is fix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lower cylinders 112 and 112 'coupled to the arm 102, and the lower cylinder ( 112, 112 ')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ngaging grooves 115, 115'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lower pistons 114, 114 'drawn o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이에, 아암(102)을 들어올리거나 숙여지게 하면, 하측피스톤(114,114')이 하측실린더(112,112')로부터 인출입되는 바, 이와 동시에 상기 걸림편(113)이 하측피스톤(114,114')의 걸림홈(115,115')에 연속적으로 소리를 내며 걸리게 되며, 아암(102)의 멈춤시 걸림편(113)이 걸림홈(115,115')에 끼워져 지지하게 되므로 아암(102)은 멈춤 위치에서 고정되어진다.Thus, when the arm 102 is raised or leaned, the lower pistons 114 and 114 'are pulled in and out from the lower cylinders 112 and 112',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piece 113 is the locking groove of the lower pistons 114 and 114 '. (115, 115 ') is continuously caught making a sound, and the arm 102 is fixed in the stop position because the locking piece 113 is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115, 115') when the arm 102 stops.

이렇게 아암의 들어올림 및 숙여지게 하는 동작이 직선구간의 걸림홈 및 걸림편을 이용하여 가능하게 이루어지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The lifting and bowing operation of the arm is made possible by using the engaging groove and the engaging piece in the straight section, but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즉, 하측피스톤의 표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 및 이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편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마모되는 단점이 있고, 특히 걸림편이 쉽게 떨어지는 내구성의 문제점이 있다.That is, since the locking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lower piston and the locking piece caught in the locking groove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y are easily worn,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of durability that the locking piece easily falls off.

이렇게 걸림홈이 마모되면 걸림편의 걸림 지지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국 아암(전단에 버켓을 포함함)이 바닥쪽으로 곧장 숙여지게 되면서 더 이상 들리지 않게 되며, 또한 걸림편이 떨어지면 걸림홈에 대한 걸림 지지 동작 자체가 아예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아암은 바닥쪽으로 힘없이 떨어지게 된다.If the locking groove is worn in this way, the supporting action of the locking piece is not performed properly, and as a result, the arm (including the bucket at the front end) is leaned straight to the bottom and no longer lifted up. The support itself does not take place at all, so the arm falls off to the floor.

결국, 상기 걸림홈의 마모 내지 걸림편의 탈락 등으로 인해 아암의 각도 조 절 동작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놀이를 하는 유아는 금방 실증을 내게 되고, 포크레인 완구는 방치와 함께 버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the angle adjustment operation of the arm is not made at all due to the wear of the catching groove or the dropping of the catching piece, and thus the infant who is playing gives a proof immediately, and the fork-lane toy is thrown away with neglect. .

또한, 첨부한 도 1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켓(116)을 각회전시키는 작동바(117)의 결합부분에 유격이 많이 발생하여, 덜걱거리는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결과적으로 작동바(117)가 이탈되는 등의 내구성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 13b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lot of play occurs i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operation bar 117 to rotate the bucket 116, a rattling noise, resulting in the operation bar 117 There is a durability problem, such as the deviation.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굴삭기용 붐의 상하 각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상부바디에 내재되는 붐의 회전지점에 구비되어 내구성 향상과 함께 실제 굴삭기와 같이 붐의 상하 각운동 조절에 의한 단계별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후단이 붐의 전단에 연결되고 전단에는 버켓이 일체로 고정된 암이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상하 각운동되며, 운전실을 포함하는 상부바디의 회전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져, 평소 굴삭기 등에 관심을 갖는 유아들에게 놀이에 대한 흥미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완구용 굴삭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the means for enabling the up and down angular movement of the excavator boom is provided at the rotation point of the boom inherent in the upper body to improve the durability and up and down of the boom like an actual excavator Step height adjustment by angular movement adjustment can be made,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boom and the bucket is fixed to the front end up and down angular movement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the rotation of the upper body including the cab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cavator for toys tha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exercised so that children who are interested in excavators can maximize their interest in pla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운전실을 포함하는 상부바디와, 이 상부바디의 저부에 조립되는 주행장치와, 상기 상부바디의 전단부에 각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붐과, 이 붐에 각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전단에는 버켓이 일체로 고 정된 암을 포함하는 완구용 굴삭기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upper body including a cab, a traveling device that is assembl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a boom that is angularly assembl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body, and the angle to the boom In the toy excavator, which is rotatably assembled and includes an arm in which the bucket is fixed to the front end,

i) 상기 암을 상하 각운동시키기 위한 수단과; ⅱ) 상기 붐의 각회전에 의한 상하 높이 조절 및 조절된 높이에서 붐을 고정/지지하는 수단과; ⅲ) 상기 상부바디와 주행장치간의 조립을 위한 연결부분에 구비되는 선회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되,i) means for angling said arm up and down; Ii) means for fixing / supporting the boom at the height and height adjustment and the adjusted height by angular rotation of the boom; Iii) including a swing control means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for assembly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traveling device,

i) 상기 암을 상하 각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바디의 내부에 내설시키되, 상기 붐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축과; 이 원통축에 일측단이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삽입 고정되는 레버와; 상기 회전축의 중앙부 표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결합단과; 상기 붐의 저부공간을 따라 배열되는 동시에 그 후단은 상기 결합단에 힌지 결합되고, 전단은 상기 암의 후단부 저면에 힌지 고정되는 암작동바로 구성되고,i) Means for vertically angularly moving the arm include: a cylindrical shaft internally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body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integrally formed at a rear end of the boom; A rotating shaft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shaft; A lever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shaft; A coupling end integrally protruded from a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It is arranged along the bottom space of the boom and the rear end is hinged to the coupling end, the front end is composed of an arm operating bar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arm,

ⅱ) 상기 붐의 각회전에 의한 상하 높이 조절 및 조절된 높이에서 붐을 고정/지지하는 수단은: 상기 붐의 원통축 외경면을 따라 형성된 제1톱니와; 상기 상부바디의 바닥판에 내부쪽으로 돌출되게 조립되어, 상기 제1톱니에 끼워지게 되는 제1걸림단으로 구성되며,Ii) means for adjusting the vertical height by the angular rotation of the boom and for fixing / supporting the boom at the adjusted height include: a first tooth formed along an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haft of the boom; It is assembled to protrude inward to the bottom plate of the upper body, and consists of a first engaging end to be fitted to the first tooth,

ⅲ) 상기 선회제어수단은 상기 주행장치의 중앙 상면에 형성된 원형구간의 제2톱니와; 이 제2톱니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부바디의 바닥체 상면으로부터 저면쪽으로 돌출되게 조립된 제2걸림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굴삭기를 제공한다.Iii) the pivot control means includes a second tooth of a circular sec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traveling device; To provide a toy exca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engaging end is configured to protrude toward the bottom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to be fitted to the second tooth.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붐의 높이 조절된 위치에서 붐을 받쳐주며 지지 하는 보조수단으로서, 상기 상부바디의 전면에는 한 쌍의 붐실린더가 부착되고, 이 붐실린더의 피스톤 상단이 상기 붐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s an auxiliary means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boom in the height-adjusted position of the boom, a pair of boom cylinders ar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upper body, the upper end of the piston of the boom cylinder on both sides of the boo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암의 후단부 상면과 상기 버켓의 후단부간에는 피스톤이 인출입되지 않는 장식용 버켓실린더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arm and the rear end of the bu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corative bucket cylinder that the piston is not drawn out.

또한, 상기 붐의 중간부분 표면에 암실린더가 장착되되, 이 암실린더의 피스톤은 상기 암의 후단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rm cylinder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boom, characterized in that the piston of the arm cylinder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arm to be retractable.

특히, 상기 상부바디의 후면에는 상부바디의 선회시 점멸되는 램프가 부착되고, 이 램프의 점멸수단으로서 상기 제2톱니의 중앙에 형성된 조립홀 내경면에 배터리와 연결되는 제1접점 및 상기 램프와 연결되는 제2접점을 서로 마주보게 부착하고, 상기 상부바디의 바닥체에 스크류로 조립되도록 상기 조립홀에 삽입되는 커버체 외경면에 상기 제1 및 제2접점을 연결 또는 단락시키는 통전용접점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a lamp flashing when the upper body is turned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body, and the first contact point and the lamp connected 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assembly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tooth as the blinking means of the lamp. An electrical contact for attaching the second contact to face each other and connecting or short-circui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body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so as to be assembled by a screw to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한편, 상기 암작동바를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는 제1지지편이 상기 붐의 저부공간에서 양측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암작동바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상기 암의 결합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눌러주는 제2지지편이 상기 암의 내벽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upport piece for holding the arm operating bar to be shaken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both sides in the bottom space of the boom, the pressing projec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arm operating bar is press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of the arm The second supporting piec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rm.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통상의 완구용 굴삭기와 같이 외관상 운전실을 포함하는 상부바디(10)와, 이 상부바디의 저부에 조립되는 주행장치(30)와, 상기 상부바디(10)의 전단부에 각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붐(18)과, 후단이 상기 붐(18)에 각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전단에는 버켓(32)이 일체로 고정된 암(34)으로 구성된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ody 10 including the cab apparently like a typical toy excavator, and a traveling device assembl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 30, the boom 18 is angularly assembl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body 10, and the rear end is assembled to the boom 18 to be rotated angularly and the bucket 32 is fixed to the front end integrally Arm 34.

본 고안은 상기한 기본적인 굴삭기의 구성에 유아들의 놀이 흥미도를 유발시키고자, i) 상기 암(34)을 상하 각운동시키기 위한 수단과, ⅱ) 상기 붐(18)의 각회전에 의한 상하 높이 조절 및 조절된 높이에서 붐(18)을 고정/지지하는 수단과, ⅲ) 상기 상부바디(10)와 주행장치(30)간의 조립을 위한 연결부분에 구비되는 선회제어수단이 주된 구성으로 포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nduce children's play interes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basic excavator, i) means for angular movement of the arm 34, and ii) up and down height by angular rotation of the boom 18 Means for fixing / supporting the boom 18 at the adjusted and adjusted height, and iii) Swivel control means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for the assembly between the upper body 10 and the traveling device 30 as a main configuration will be.

상기 상부바디(10)를 정면에서 보면, 일측에 운전실(36)이 배치되고, 타측에는 계단식의 단차면(38)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롯(40)이 형성된 커버판(42)이 부착되어 있다.Looking at the upper body 10 from the front, the cab 36 is disposed on one side, the stepped step surface 38 is formed on the other side, between the cover plate formed with a slot 40 in the vertical direction ( 42) is attached.

이때, i) 상기 암(34)을 상하 각운동시키기 위한 수단과, ⅱ) 상기 붐(18)의 각회전에 의한 상하 높이 조절 및 조절된 높이에서 붐(18)을 고정/지지하는 수단이 외부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바디(10)의 커버판(42) 내부에 설치된다.At this time, i) the means for angular movement of the arm 34, and ii) the height of the vertical adjustment by the angular rotation of the boom 18 and the means for fixing / supporting the boom 18 at the adjusted height It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plate 42 of the upper body 10 to be protected from the force.

먼저, 상기 암을 상하 각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looking at the means for vertically angular movement of the arm as follows.

첨부한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의 붐 및 암을 상하 각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means for vertically angular movement of the boom and the arm of the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상부바디(10)의 바닥판(12)에는 반원형의 안착홈(14)이 형성된 복수개의 받침대(16)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받침대(16)의 안착홈(14)에 상기 붐(18)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축(20)이 안착된다.The bottom plate 12 of the upper body 1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destals 16 having semi-circular seating grooves 14 formed therein, and the boom 18 in the seating grooves 14 of the pedestal 16. The cylindrical shaft 20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ar end of the) is seated.

또한, 상기 원통축(20)에 일측단이 삽입되는 회전축(22)도 상기 받침대(16)의 안착홈(14)에 함께 안착된다.In addition, the rotary shaft 22,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shaft 20, is also seated together in the seating groove 14 of the pedestal 16.

상기 회전축(22)의 타단에는 레버(24)가 삽입 고정되는 바, 이 레버(24)는 상기 상부바디(10)의 일측면(운전실 반대쪽)에 노출된 채로 조작 가능하게 배열된다.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22, the lever 24 is inserted and fixed, the lever 24 is arranged to be operable while exposed to one side (opposite the cab) of the upper body (10).

이때, 상기 회전축(22)의 중앙부 표면에는 결합단(26)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데, 이 결합단(26)에는 암작동바(28)의 후단이 힌지로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coupling end 26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22, the rear end of the female operation bar 28 is coupled to the coupling end 26 by a hing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암작동바(28)는 상기 붐(18)의 저부공간을 따라 배열되는 동시에 그 후단이 상기 결합단(26)에 힌지 결합되고, 전단은 상기 암(34)의 후단부 저면에 힌지 고정된다.More specifically, the female actuating bar 28 is arranged along the bottom space of the boom 18 and the rear end thereof is hinged to the coupling end 26, the front end is the rear end of the arm 34 The hinge is fixed to the bottom.

즉, 상기 암작동바(28)의 전단끝에 형성된 결합돌기(44)가 상기 암(34)의 후단부 저부공간에서 그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홈(46)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된다.That is, the engaging projection 44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emale operation bar 28 is hinged rotatab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46 formed on one side in the bottom space of the rear end of the arm 34.

한편, 첨부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암작동바(28)를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는 제1지지편(48)이 상기 붐(18)의 저부공간에서 양측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암작동바(28)의 결합돌기(44)가 상기 암(34)의 결합홈(46)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돌기(44)쪽을 눌러줄 수 있는 제2지지편(50)이 상기 암(34)의 내벽면에 일체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 6, the first support piece 48 for holding the female operating bar 28 unsteadily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both sides in the bottom space of the boom 18, A second support that can press the engaging projection 44 side to easily prevent the engaging projection 44 of the female operating bar 28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groove 46 of the arm 34 The piece 5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rm 34.

여기서, 상기 붐의 각회전에 의한 상하 높이 조절 및 조절된 높이에서 붐을 고정/지지하는 수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looking at the means for fixing / supporting the boom in the height and height adjustment and the adjusted height by the angular rotation of the boom as follows.

상기 붐(18)의 원통축(20) 외경면을 따라 제1톱니(52)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바디(10)의 바닥판(12)에 내부쪽(위쪽)으로 돌출되게 제1걸림단(54)을 조립하여 달성되며, 이때 상기 제1톱니(52)에 제1걸림단(54)이 항상 끼워진 상태가 된다.A first toothing 52 is formed along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haft 20 of the boom 18 and protrudes inwardly (upwardly) to the bottom plate 12 of the upper body 10. Achieve by assembling 54, in which the first engaging end 54 is always fitted to the first tooth 52.

따라서, 상기 붐(18)을 상하로 각회전시키면, 제1걸림단(54)이 제1톱니(52)를 따라 연속적으로 걸리게 되면서 흥미 유발을 위한 작동음이 발생되고, 붐(18)이 원하는 높이 위치에서 정지되면 상기 제1걸림단(54)이 제1톱니(52)에 계속 끼워진 채로 지지해주게 되어, 결국 붐(18)은 원하는 높이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boom 18 is rotated up and down, the first engaging end 54 is continuously caught along the first teeth 52, and an operation sound for inducing interest is generated, and the boom 18 is desired. When stopped at the height position, the first catching end 54 is supported while being continuously inserted into the first teeth 52, so that the boom 18 is maintained at the desired height position.

이때, 상기 붐(18)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수단이 구비되는 바, 상기 붐(18)의 높이 조절된 위치에서 붐을 받쳐주며 지지하는 보조수단으로 상기 상부바디(10)의 전면에 한 쌍의 붐실린더(56)가 부착된다.At this time, an auxiliary means for preventing sagging due to the weight of the boom 18 is provided, the auxiliary means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boom in the height-adjusted position of the boom 18 of the upper body 10 A pair of boom cylinders 56 are attached to the front sid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한 쌍의 붐실린더(56)의 피스톤(56') 상단은 상기 붐(18)의 양측면에 고정되며, 이 피스톤(56')은 붐(18)이 상승하는 각회전시 붐실린더(56)로부터 인출되며 상승하고, 붐(18)이 하강하는 각회전시 붐실린더(56)로 인입되는 동작을 하게 되며, 결국 높이 조절된 붐(18)을 받쳐주면서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an upper end of the piston 56 'of the pair of boom cylinders 56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boom 18, and the piston 56' is angularly rotated when the boom 18 is raised. Withdrawal from the boom cylinder (56) and ascends, the boom (18) is to move into the boom cylinder (56) during each rotation of the descending, and eventually supporting the height-adjusted boom (18) to sag due to its own weight To prevent it.

여기서, 상기 상부바디와 주행장치간의 조립부분에 구비되는 선회제어수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look at the turning control means provided in the assembly portion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traveling device as follows.

첨부한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의 상부바디가 주행장 치와 조립되는 부분을 나타내며, 선회제어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7 and 8 are views showing a part of the upper body of the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with the driving device,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wing control means.

상기 선회제어수단은 상기 주행장치(30)의 중앙 상면에 형성된 원형구간의 제2톱니(58)와, 이 제2톱니(58)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부바디(10)의 바닥판(12) 상면으로부터 저면쪽으로 돌출되게 조립된 제2걸림단(60)으로 구성된다.The pivot control means is a second tooth 58 of the circular sec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traveling device 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2 of the upper body 10 to be fitted to the second tooth 58 The second locking end 60 is assembled to protrude toward the bottom from the.

따라서, 상기 상부바디(10)를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제2걸림단(60)이 상기 주행장치(30)의 제2톱니(58)를 따라 연속적인 걸리면서 놀이흥미도를 고취시키는 작동음을 내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pper body 10 is grasped and rotated, the second catching end 60 generates an operation sound for inspiring play interest while being continuously caught along the second tooth 58 of the traveling device 30. .

또한, 상기 상부바디(10)의 선회 작동시 원하는 위치까지 선회가 되면, 상기 제2걸림단(60)이 해당위치의 제2톱니(58)에 걸린 상태이므로, 선회를 위한 외부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상부바디(10)는 원하는 선회위치에서 정지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when turning to the desired position during the swing operation of the upper body 10, since the second catching end 60 is caught in the second tooth 58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 external force for turning is not applied. Unless the upper body 10 is stopped at the desired pivot position.

한편, 상기 암(34)의 후단부 상면과 상기 버켓(32)의 후단부간에는 피스톤이 인출입되지 않는 장식용 버켓실린더(62)가 장착되어, 마치 실제 굴삭기와 같은 모습을 표출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arm 34 and the rear end of the bucket 32 is equipped with a decorative bucket cylinder 62, which does not draw out pist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expressing the appearance as if it is an actual excavator. Can be.

또한, 상기 붐(18)의 중간부분 표면에 암실린더(64)가 장착되고, 이 암실린더(64)의 피스톤(64')이 상기 암(34)의 후단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상기 암(34)이 하방향으로 숙여지는 작동시 피스톤(64')은 암실린더(64)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암(34)이 상방향으로 들리는 작동시 피스톤(64')은 암실린더(64)의 내부로 인입되어진다.In addition, an arm cylinder 64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boom 18, and the piston 64 'of the arm cylinder 64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arm 34 so that the arm can be pulled out. In operation, when the arm 34 is bowed downward, the piston 64 'is withdrawn from the arm cylinder 64, and in operation when the arm 34 is lifted upward, the piston 64' is arm cylinder ( 64) is drawn into the interior.

이러한 동작을 하는 상기 암실린더(64)의 역할은 상기 붐(18)의 전단에 각회 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암(34)이 자중에 의하여 혹시라도 처지는 현상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실제 굴삭기와 같은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The role of the arm cylinder 64 to perform this operation is to act as a real excavator at the same time as the arm 34, which is assembled to the front of the boom 18 so as to be rotated each time to catch the drooping phenomena by its own weight. Will provide the appearance.

여기서, 상기 상부바디의 후면에 장착되는 램프의 점멸수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flashing means of the lamp mounted on the rear of the upper body will be described.

첨부한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의 선회장치에 구성되는 스위칭 구조로서, 각각 상부바디의 후면에 부착된 램프의 온 및 오프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9A and 9B are sec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n and off states of lamp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body, respectively, as a switching structure of the swinging device of the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상부바디(10)의 선회시 그 후면에 부착된 램프(66)가 점멸하게 된다.When the upper body 10 is turned, the lamp 66 attached to the rear thereof blinks.

상기 램프(66)의 점멸을 위한 스위칭 수단으로서, 먼저 상기 제2톱니(58)의 중앙에 형성된 조립홀(68) 내경면에 배터리(미도시됨)와 연결되는 제1접점(70) 및 상기 램프(66)와 연결되는 제2접점(72)을 서로 마주보게 부착하게 된다.As a switching means for blinking the lamp 66, first contact point 70 and the battery (not shown) connected 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assembly hole 68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tooth 58 and the The second contact 72 connected to the lamp 66 is attached to face each other.

즉, 상기 제1접점(70) 및 제2접점(72)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상기 조립홀(68) 내경면에 서로 마주보게 부착된다.That is, the first contact point 70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72 are attached to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assembly hole 68 while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주행장치(30)의 조립홀(68)을 통하여 삽입되면서, 상기 상부바디(10)의 바닥판(12)에 스크류(74)에 의하여 커버체(76)가 조립되는 바, 이 커버체(76)의 외경면에 상기 제1 및 제2접점(70,72)을 연결 또는 단락시키는 통전용접점(78)이 부착된다.In addition, the cover body 76 is assembled by the screw 74 to the bottom plate 12 of the upper body 10 while being inserted through the assembly hole 68 of the traveling device 30, this cover An electrical contact 78 is attached to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sieve 76 to connect or short-circuit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70 and 72.

따라서, 도 9a에서 보듯이 상기 상부바디(10)의 선회동작과 함께 커버체(76)가 회전을 하게 되면, 커버체(76)의 통전용접점(78)이 상기 제1접점(70) 및 제2접점(72)에 동시에 닿아 통전/연결하는 구간에서 램프(66)가 켜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9A, when the cover body 76 rotates together with the pivoting motion of the upper body 10, the energizing contact 78 of the cover body 76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70 and the first contact point 70. The lamp 66 is turned on in the period of energizing / connecting the second contact 72 at the same time.

반면에, 도 9b에서 보듯이 상기 커버체(76)의 통전용접점(78)이 상기 제1접점(70) 및 제2접점(72)을 연결하지 못하는 구간에서는 램프(66)가 꺼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9B, the lamp 66 is turned off in a section in which the electrical contact 78 of the cover body 76 does not connect the first contact 70 and the second contact 72.

이에따라, 상기 상부바디(10)의 선회 동작시, 램프(66)가 점멸(켜짐과 꺼짐을 반복함)하게 되어, 놀이 흥미도를 크게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굴삭기의 작업안전에 대한 안전교육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during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upper body 10, the lamp 66 is flashing (repetitive on and off), not only can cause a lot of interest in play, but also safety training on the work safety of the excavator. You can do it effectively.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의 놀이를 위한 작동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if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operating state for the play of the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의 암을 상하로 각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0A and 10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angular movement of the arm of the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p and down.

도 10a는 버켓(32)을 포함하는 암(34)이 상부바디(10)쪽으로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24)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22)의 전방회전과 함께 회전축(22)에 돌출 형성된 결합단(26)이 전방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결합단(26)과 결합되어 있던 암작동바(28)의 후단이 전방으로 각회전을 하게 된다.10A shows a state in which the arm 34 including the bucket 32 is fully folded toward the upper body 10. In this state, when the lever 24 is rotated forward, the combined end 26 protruding from the rotary shaft 22 with the forward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22 is rotated forward, the coupling end 26 The rear end of the arm operating bar 28, which is coupled with the angular rotation forward.

연이어, 상기 암작동바(28)의 후단이 전방으로 각회전을 하게 되면, 암작동바(28)의 전단부가 전진 운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암작동바(28)의 전단부가 상기 암(34)을 전방을 향해 밀어주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rear end of the female actuating bar 28 rotates forward, the front end of the female actuating bar 28 moves for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end of the female actuating bar 28 is the arm 34. Will be pushed forward.

따라서, 상기 암(34)이 힌지점(붐과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들려지는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 상태는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다.Therefore,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arm 34 forward about the hinge point (connection point with the boom) is made, and the state is as shown in FIG. 10B.

반대로, 상기 암(34)이 완전히 펼쳐진 도 10b의 상태에서 상기 레버(24)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암작동바(28)의 당김으로 인하여 상기 암(34)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힘 상태로 복귀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lever 24 is rotated backwards in the state of FIG. 10B with the arm 34 fully deployed, the arm 34 is pulled as shown in FIG. 10A due to the pulling of the arm operating bar 28. Return to the folded state.

첨부한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의 붐을 단계별로 상하 각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그 측면도를 나타낸다.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oom of the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angularly moved in stages, and FIG. 11 is a side view thereof.

상기 암(34)이 완전히 펼쳐진 도 10b의 상태에서 상기 붐(18)을 잡고 아래로 누르거나, 또는 레버(24)를 더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도 5a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붐(18)은 숙여지면서 낮은 높이로 조절된다.Holding the boom 18 and pressing it down or rotating the lever 24 further forward in the state of FIG. 10B with the arm 34 fully extended, the boom 18 as shown in FIGS. 5A and 11. ) Is lowered and adjusted to a lower height.

즉, 상기 붐(18)이 숙여지는 각회전과 함께 붐(18)의 후단에 일체로 된 원통축(20)이 전방으로 더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이때 원통축(20)의 외경면을 따라 형성된 제1톱니(52)를 따라 상기 제1걸림단(54)의 연속적인 걸림동작이 발생하게 되고, 동시에 제1걸림단(54)의 연속적인 걸림동작으로 놀이 흥미도 고취를 위한 작동음이 발생된다.That is, the cylindrical shaft 20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oom 18 with the angular rotation of the boom 18 is further rotated forward, at this time along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haft 20 The continuous engaging motion of the first engaging end 54 is generated along the first tooth 52 fo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sound for enhancing the interest in play is achieved by the continuous engaging operation of the first engaging end 54. Is generated.

이와 동시에, 상기 붐(18)을 원하는 높이에 위치에서 정지시키면 상기 제1걸림단(54)이 제1톱니(52)에 계속 끼워진 상태이므로, 붐(18)은 원하는 하방향 높이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붐실린더(56)로 삽입된 피스톤(56')에 의하여 받쳐진 상태가 되어, 붐(18)은 원하는 하방향 높이 위치에서 더욱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when the boom 18 is stopped at a desired height, the first catching end 54 is continuously inserted into the first tooth 52, so that the boom 18 is fixed at a desired downward height position.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boom 18 is supported by the piston 56 'inserted into the boom cylinder 56, so that the boom 18 is more firmly fixed at the desired lower height position. Done.

여기서, 도 11의 아래도면 상태에서, 상기 레버(24)를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먼저 상기 암작동바(28)의 당김으로 인하여 상기 암(34)이 접힘 상태가 되고, 상기 레버(24)를 후방으로 더 회전시키면 상기 붐(18)이 들어 올려지는 각회전과 함께 붐(18)의 후단에 일체로 된 원통축(20)이 후방으로 더 회전을 하게 되는 바, 마찬가지로 상기 원통축(20)의 외경면을 따라 형성된 제1톱니(52)를 따라 상기 제1걸림단(54)의 연속적인 걸림동작이 발생하게 되고, 동시에 제1걸림단(54)의 연속적인 걸림동작으로 놀이 흥미도 고취를 위한 작동음이 발생된다.Here, when the lever 24 is rotated backward in the lower view of FIG. 11, first, the arm 34 is folded due to the pulling of the arm operating bar 28, and the lever 24 is rotated. When further rotating backward, the cylindrical shaft 20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oom 18 is rotated further with the angular rotation in which the boom 18 is lifted. Along the first tooth 52 formed along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end 54 of the continuous engaging operation occurs, and at the same time by the continuous engaging operation of the first engaging end 54 to enhance the interest of play An operation sound is generated for.

이와 동시에, 상기 붐(18)을 원하는 높이에 위치에서 정지시키면 상기 제1걸림단(54)이 제1톱니(52)에 계속 끼워진 상태이므로, 붐(18)은 원하는 상방향 높이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붐실린더(56)로부터 인출된 피스톤(56')에 의하여 받쳐진 상태가 되어, 붐(18)은 원하는 상방향 높이 위치에서 더욱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when the boom 18 is stopped at the desired height, the first catching end 54 is continuously inserted into the first tooth 52, so that the boom 18 is fixed at the desired upward height position. The state is maintained, and is likewise supported by the piston 56 'withdrawn from the boom cylinder 56, so that the boom 18 is more firmly fixed at the desired upper height position.

이와 같이, 상기 붐의 각회전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상기 암의 각회전에 의한 접힘/펼침 동작, 상기 상부바디의 선회 동작 및 선회시 램프 점멸 등으로 유아들은 놀이 흥미를 더욱 가지며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굴삭기의 작업안전에 대한 안전교육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height adjustment by the angular rotation of the boom and the folding / unfolding operation by the angular rotation of the arm,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upper body and the flashing of the lamp when turning, etc. Safety training on the safety of excavators can also be done naturally.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완구용 굴삭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As seen above, according to the toy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advantages.

1) 굴삭기용 붐의 상하 각운동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암의 각운동에 의한 위치 조절, 그리고 상부바디의 선회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굴삭기를 가지고 놀이를 할 때 흥미도를 더 유발할 수 있다.1)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xcavator boom, the position by the angular movement of the arm and the pivot position of the upper body, which can cause more interest when playing with the excavator.

2) 붐의 각운동을 위한 수단인 톱니 및 걸림단이 상부바디 내에 위치되어, 외부력에 의한 마모를 줄일 수 있고, 동시에 외부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2) The teeth and the locking end, which are means for angular movement of the boom, are located in the upper body, thereby reducing wear caused by external forces and at the same time preventing damage caused by external forces.

3) 상부바디의 선회시, 상부바디의 후면에 부착된 램프의 점멸이 이루어져,평소 굴삭기 등에 관심을 갖는 유아들에게 놀이에 대한 흥미도를 극대화시킬 수 뿐만 아니라 굴삭기의 작업안전에 대한 안전교육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3) When the upper body is turning, the lamp attached to the rear of the upper body is blinking, so that the children who are interested in the excavator can maximize the interest in the play and safety education on the safety of the excavat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effectively.

4) 붐의 저부공간에 내재되는 암작동바가 지지편에 의하여 그 흔들림이 방지되는 동시에 이탈 가능성이 방지될 수 있는 견고한 내구성을 제공한다.4) The female operating bar inherent in the bottom space of the boom provides robust durability that can prevent its shaking by the support piece and prevent the possibility of departure.

Claims (6)

운전실을 포함하는 상부바디(10)와, 이 상부바디(10)의 저부에 조립되는 주행장치(30)와, 상기 상부바디(10)의 전단부에 각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붐(18)과, 이 붐(18)에 각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전단에는 버켓(32)이 일체로 고정된 암(34)을 포함하는 완구용 굴삭기에 있어서,An upper body 10 including a cab, a traveling device 30 assembl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10, a boom 18 assembled to the front end of the upper body 10 so as to allow an angular movement; In this toy boom 18, which is rotatably assembled and the front end excavator having a bucket (32) integrally fixed to the bucket 32, i) 상기 암(34)을 상하 각운동시키기 위한 수단과; ⅱ) 상기 붐(18)의 각회전에 의한 상하 높이 조절 및 조절된 높이에서 붐(18)을 고정/지지하는 수단과; ⅲ) 상기 상부바디(10)와 주행장치(30)간의 조립을 위한 연결부분에 구비되는 선회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되,i) means for angularly moving the arm 34; Ii) means for fixing / supporting the boom 18 at the height and height adjustment and the adjusted height by the angular rotation of the boom 18; Ⅲ) including a swing control means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for the assembly between the upper body 10 and the traveling device 30, i) 상기 암(34)을 상하 각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바디(10)의 내부에 내설시키되, 상기 붐(18)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축(20)과; 이 원통축(20)에 일측단이 삽입되는 회전축(22)과; 상기 회전축(22)의 타단에 삽입 고정되는 레버(24)와; 상기 회전축(22)의 중앙부 표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결합단(26)과; 상기 붐(18)의 저부공간을 따라 배열되는 동시에 그 후단은 상기 결합단(26)에 힌지 결합되고, 전단은 상기 암(34)의 후단부 저면에 힌지 고정되는 암작동바(28)로 구성되고,i) Means for vertically angular movement of the arm 34 is: the cylindrical shaft 20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upper body 1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oom 18 and ; A rotating shaft 22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shaft 20; A lever 24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22; A coupling end 26 integrally protruded from a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22; The rear end is arranged along the bottom space of the boom 18 and the rear end is hinged to the coupling end 26, the front end is composed of a female operating bar (28) hinged fixed to the bottom end of the rear end of the arm (34) Become, ⅱ) 상기 붐(18)의 각회전에 의한 상하 높이 조절 및 조절된 높이에서 붐(18)을 고정/지지하는 수단은: 상기 붐(18)의 원통축(20) 외경면을 따라 형성된 제1톱니(52)와; 상기 상부바디(10)의 바닥판(12)에 내부쪽으로 돌출되게 조립되어, 상기 제1톱니(52)에 끼워지게 되는 제1걸림단(54)으로 구성되며,Ii) Means for fixing / supporting the boom 18 at the height adjustment and the height adjusted by the angular rotation of the boom 18 include: a first formed along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haft 20 of the boom 18; Tooth 52; It is composed of a first engaging end 54 is assembled to protrude inwardly to the bottom plate 12 of the upper body 10, and fitted to the first tooth 52, ⅲ) 상기 선회제어수단은 상기 주행장치(30)의 중앙 상면에 형성된 원형구간의 제2톱니(58)와; 이 제2톱니(58)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부바디(10)의 바닥판(12) 상면으로부터 저면쪽으로 돌출되게 조립된 제2걸림단(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굴삭기.Iii) the pivot control means comprises: a second tooth 58 formed in a circular section on the center of the traveling device 30; Toy excavator,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second engaging end (60) assembl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2) of the upper body (10) to be fitted to the second tooth (5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붐(18)의 높이 조절된 위치에서 붐(18)을 받쳐주며 지지하는 보조수단으로서, 상기 상부바디(10)의 전면에는 한 쌍의 붐실린더(56)가 부착되고, 이 붐실린더(56)의 피스톤(56′) 상단이 상기 붐(18)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굴삭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means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boom 18 in the height-adjusted position of the boom 18, a pair of boom cylinder 56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body 10, A toy exca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piston (56 ') of the boom cylinder (56)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boom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34)의 후단부 상면과 상기 버켓(32)의 후단부간에는 피스톤이 인출입되지 않는 장식용 버켓실린더(62)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굴삭기.The toy excav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ecorative bucket cylinder (62) is moun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of the arm (34) and the rear end of the bucket (3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붐(18)의 중간부분 표면에 암실린더(64)가 장착되되, 이 암실린더(64)의 피스톤(64′)은 상기 암(34)의 후단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굴삭기.2. The arm cylinder 64 i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boom 18, and the piston 64 ′ of the arm cylinder 64 is retractable to the rear end of the arm 34. Toy excavato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10)의 후면에는 상부바디(10)의 선회시 점멸되는 램프(66)가 부착되고, 이 램프(66)의 점멸수단으로서 상기 제2톱니(58)의 중앙에 형성된 조립홀(68) 내경면에 배터리와 연결되는 제1접점(70) 및 상기 램프(66)와 연결되는 제2접점(72)이 서로 마주보게 부착되고, 상기 상부바디(10)의 바닥판(12)에 스크류(74)로 조립되도록 상기 조립홀(68)에 삽입되는 커버체(76) 외경면에 상기 제1 및 제2접점(70, 72)을 연결 또는 단락시키는 통전용접점(78)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굴삭기.2. The lamp 66 of claim 1, wherein a lamp 66 flashing when the upper body 10 is turned is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upper body 10,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tooth 58 is used as a blinking means of the lamp 66. The first contact point 70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72 connected to the lamp 66 are attached 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assembling hole 68 at the bottom of the upper body 10. Electrical contact for connecting or shorting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70 and 72 to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cover body 76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68 so that the plate 12 is assembled with the screw 74. 78) is a toy excavator,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작동바(28)를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는 제1지지편(48)이 상기 붐(18)의 저부공간에서 양측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암작동바(28)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돌기(44)가 상기 암(34)의 결합홈(4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눌러주는 제2지지편(50)이 상기 암(34)의 내벽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구용 굴삭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upport piece 48 for holding the female actuating bar 28 is not shaken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along both sides in the bottom space of the boom 18, the female actuating bar 28 The second support piece 50 for pressing the coupling protrusion 44 formed at the end of the arm 34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roove 46 of the arm 34 is formed integrally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rm 34. Toy excavator.
KR2020060003552U 2006-02-08 2006-02-08 Excavator of toy KR20042063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552U KR200420630Y1 (en) 2006-02-08 2006-02-08 Excavator of to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552U KR200420630Y1 (en) 2006-02-08 2006-02-08 Excavator of to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630Y1 true KR200420630Y1 (en) 2006-07-04

Family

ID=41769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552U KR200420630Y1 (en) 2006-02-08 2006-02-08 Excavator of to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630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1199A (en) * 2015-07-06 2015-09-30 广西固瑞科技股份有限公司 Safety amusement excav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1199A (en) * 2015-07-06 2015-09-30 广西固瑞科技股份有限公司 Safety amusement exca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0630Y1 (en) Excavator of toy
WO2021196849A1 (en) Folding driving device for folding and unfolding children&#39;s foldable bed
CN111419039B (en) Portable children game bed
WO2020228585A1 (en) Cantilever umbrella
CN215621710U (en) Bumper and vehicle
CN106627381B (en) A kind of heavy truck front windshield cleaning pedal gear
JP5464454B2 (en) Folding vehicle frame
JP2006288563A (en) Handrail
JP4566802B2 (en) Agricultural machine
JP4366665B1 (en)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CN211048857U (en) Locking mechanism for office chair back seat synchronous linkage device
JP3957991B2 (en) Rotating bed structure in a retractable infant bed
CN113525975A (en) Street sweeper and garbage bucket dumping device thereof
CN112401427A (en) Multifunctional outdoor umbrella
JP4765129B2 (en) Window opening and closing device
CN206463500U (en) Children&#39;s bull-dozer
JP4980402B2 (en) Folding handrail
CN106400413A (en) A washing machine
KR100317721B1 (en) A Movable Leg for the Collapsible Table
JP2007510574A (en) Hand carrier
CN215603636U (en) Outdoor umbrella rotary mechanism
KR100580692B1 (en) construction handle inside door
CN218536820U (en) Linkage unlocking mechanism of baby stroller
CN218400500U (en) Landing leg locking device, landing leg structure and operation machinery
CN216932162U (en) Outdoor umbrella use state adjustment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