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600Y1 - 멀티 탭 - Google Patents

멀티 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600Y1
KR200420600Y1 KR2020060011312U KR20060011312U KR200420600Y1 KR 200420600 Y1 KR200420600 Y1 KR 200420600Y1 KR 2020060011312 U KR2020060011312 U KR 2020060011312U KR 20060011312 U KR20060011312 U KR 20060011312U KR 200420600 Y1 KR200420600 Y1 KR 200420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desk
tap
tab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2020060011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6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6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 탭에 관한 것으로 요즘은 전자기기의 사용이 많아짐으로 인하여 많은 콘센트 구멍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 용도로 각종 멀티탭이 사용되고 있다. 이 멀티 탭들은 대기전력 절약, 전기화재 방지를 위해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가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
멀티 탭의 경우 전력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위치를 끄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렇게 상시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멀티 탭이 노출되어야 하고, 이왕이면 책상위로 노출되어 있어야 스위치조작이 편리하므로 보통은 책상위에 놓이도록 해서 사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멀티 탭이 책상 위로 노출되면 멀티 탭에 여러 개의 플러그가 꽂혀 있으므로 해서 전선줄들이 많이 노출되게 되고 보기에도 안 좋을 뿐 아니라, 책상 공간도 일정부분 차지하기 때문에 책상 사용 공간이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멀티 탭 본체와 조작 스위치를 분리함으로 해서 멀티 탭 본체는 책상후면으로 가게하고, 스위치만 책상위로 놓이게 하여 전기 사용의 안전성과 책상위에 전선을 책상후면으로 돌릴 수가 있으므로 깔끔하게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멀티 탭 본체(1)에 스위치용전선(5)을 인출하여, 스위치를 분리조작 할 수 있도록 고안 된 멀티 탭이다.
멀티 탭, 콘센트

Description

멀티 탭{omitted}
도1 : 본 고안의 멀티 탭 사시도
도2 : 본 고안의 멀티 탭 사시도
도3 : 스위치와 고정금구 간에 작용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콘센트
3 : 플러그 4 : 스위치
5 : 전선 6 : 전선
7 : 나사 8 : 나사
9 : 고정금구 10 : 나사손잡이
11 : 1구 콘센트
산업이 발달하면서 각종 전자 기기를 많이 사용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많은 플러그를 꽂을 콘센트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멀티 탭을 만들어 냈으며, 전기 절약과 전기화재를 줄이고자 멀티 탭 본체에 스위치를 달아 전기 사용시에는 스위치를 켜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위치를 끄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스위치를 끄기 위해서는 스위치가 항상 사람에 손이 닿는 곳에 있어야 되므로 사무실에서는 책상위에 놓는 경우가 많고, 그러므로 인하여 책상은 전선으로 복잡해지고 책상 사용 면적도 좁아지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책상 공간이 좁거나 전선이 많아서 보기에 안 좋은 경우에는 멀티 탭을 책상 후면으로 놓이게 설치하는 경우가 생기고 그로 인하여 멀티 탭에 스위치는 있어도 사용하지 않는 무용지물로 방치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멀티 탭 본체(1)에서 스위치용 전선(6)을 인출하고, 인출한 전선(6)에 스위치(4)를 설치하고, 이 스위치(4)를 책상위에 놓이게 함으로서 멀티 탭 본체는 책상 후면에 놓이게 되어 복잡한 전선은 책상 뒤로 감춰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보다 편리하게 스위치(4)를 켜고 끌 수가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멀티 탭 사시도 , 도 2는 본 고안의 멀티 탭 사시도, 도3은 스위치와 스위치 고정금구(9) 간에 작용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그 구조를 설명하면,
본 고안은 멀티 탭 본체(1)와 스위치(4), 스위치 고정금구(9), 플러그(3)등 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멀티탭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벽체에 있는 콘센트에 멀티탭 플러그(3)를 꽂는다.
그 다음 멀티 탭에 여러 개의 전자기에 연결된 플러그를 본체 콘센트(2)에 각각 꽂는다. 이렇게 꽂은 멀티 탭은 책상후면으로 놓이게 하고, 고정금구(9)를 이용하여 멀티 탭 on/off 스위치(4)를 책상 한쪽 모서리에 고정 시킨다.
이렇게 고정이 되면 책상을 제자리로 옮기고 멀티탭 스위치(4)를 켜고 사용하면 된다.
우리는 아침에 출근해서 책상 위 한쪽 모서리에 공정된 스위치(4)를 켠 다음, 전자기기 자체에 붙어 있는 각각에 스위치를 켜서 사용하다가 퇴근시간이 되면 전자기기 자체에 붙어 있는 스위치를 먼저 끈 다음 책상위에 설치되어 있는 멀티탭용 스위치(4)르 끄고 퇴근하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기로 인한 화재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대기전력으로 인한 전력손실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원 빈국인 우리나라 실정에도 맞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고안은 이렇게 책상위에 스위치(4)만 있게 되면, 가끔씩 이동용 전자기기를 사용 시에는 이동용 전자기기 플러그를 꽂을 콘센트가 없어서 책상후면에 있는 멀티 탭을 끌어 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책상위에 콘센트가 있다면 보다 유용하게 사용 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2에서와 같이 스위치(4)와 함께 1구용 콘센트(11)를 일 체화함으로써 사용상 편리를 도모코자 하였다.
이 스위치(4)는 책상 후면에 설치된 멀티탭에 전원 및 1구용콘센트 전원을 동시에 on/off 할 수 있는 구조로 결선 제작되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보다 안전하게 사용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멀티 탭 본체에서 스위치를 분리하여 사용함으로서 멀티 탭이 책상후면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하여 책상을 보다 넓게 사용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가닥의 전선이 노출되지 않아 미관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퇴근 할 때 전기를 쉽게 끌 수 있어서 전기화재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대기전력을 100% 차단,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약 등 국가경제에도 도움이 된다.

Claims (3)

  1. 멀티 탭 중,
    멀티 탭의 전원을 켜고 끌 수 있는 스위치가 본체에서 분리되어 있는 멀티 탭.
  2. 멀티 탭 중,
    멀티 탭 본체가 두 개 있고, 그 본체 두 개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스위치가 본체 어느 한쪽에 설치된 멀티 탭.
  3. 멀티 탭 중,
    멀티 탭를 켜고 끌 수 있는 스위치(4)를 책상 모서리에 고정 할 수 있도록 "ㄷ"자형 고정금구(9)가 나사(7)를 이용 본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탭.
KR2020060011312U 2006-04-25 2006-04-25 멀티 탭 KR200420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12U KR200420600Y1 (ko) 2006-04-25 2006-04-25 멀티 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12U KR200420600Y1 (ko) 2006-04-25 2006-04-25 멀티 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600Y1 true KR200420600Y1 (ko) 2006-07-04

Family

ID=4176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312U KR200420600Y1 (ko) 2006-04-25 2006-04-25 멀티 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6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0600Y1 (ko) 멀티 탭
CN203562588U (zh) 一种易于拔插的电器插头
KR20100002913U (ko) 매입형 다공 콘센트의 절전 스위치 장치
KR20100114701A (ko)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CN210111223U (zh) 电源插座
KR200267355Y1 (ko) 온/오프 스위치 작동이 편리한 멀티 콘센트
KR200199639Y1 (ko) 전기 절전용 멀티콘센트 코드 스위치
KR101513141B1 (ko) 절전용 콘센트구조
KR200411211Y1 (ko) 누름형 멀티콘센트
KR200324398Y1 (ko) 원격 케이블형 멀티탭
KR200304078Y1 (ko) 컴퓨터용 콘센트
CN210866679U (zh) 一种回弹转动式保护型插头
CN215645315U (zh) 一种带usb充电装置的隔离安全插座
KR200324399Y1 (ko) 멀티탭
CN208299113U (zh) 磁石延长线插座
US20040160722A1 (en) Power grid
CN105071147A (zh) 一种立体插座
KR200235472Y1 (ko) 전원 공급용 콘센트
KR200407346Y1 (ko) 멀티텝
KR200432690Y1 (ko) 콘센트
CN105703172A (zh) 一种带开关插头
CN106340745A (zh) 一种单面三孔安全插座收纳盒
KR200429099Y1 (ko) 컴퓨터 본체에 갖추어진 콘센트
KR20110008260U (ko) 텀블러 스위치가 부착된 멀티탭
KR20080003931U (ko) 멀티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